KR100875697B1 -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697B1
KR100875697B1 KR1020080079522A KR20080079522A KR100875697B1 KR 100875697 B1 KR100875697 B1 KR 100875697B1 KR 1020080079522 A KR1020080079522 A KR 1020080079522A KR 20080079522 A KR20080079522 A KR 20080079522A KR 100875697 B1 KR100875697 B1 KR 100875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ightweight
lightweight body
hollow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윤성호
김상모
윤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석티비에스
(주)광장구조기술사사무소
주식회사 티브이에스포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석티비에스, (주)광장구조기술사사무소, 주식회사 티브이에스포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석티비에스
Priority to KR102008007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697B1/ko
Priority to PCT/KR2009/004493 priority patent/WO2010018989A2/ko
Priority to MYPI2011000633A priority patent/MY1565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04B5/32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the filling elements being sphe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슬래브에 적용할 수 있고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철근이나 와이어메쉬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에 관한 것으로서, 반구 형상의 중공의 상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반구 형상의 중공의 하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경량체는, 상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경량체의 체적을 크게 하여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경량체의 체적이 크더라도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경량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경량체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슬래브 두께의 변화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철근이나 와이어메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가 경량체의 높이내로 안착될 수 있으므로 피복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복두께의 증가로 인한 슬래브 두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슬래브용 경량체{A LIGHT WEIGHT BODY FOR HOLLLOW CONCRETE SLAB}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슬래브에 적용할 수 있고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철근이나 와이어메쉬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나 넓은 거실 공간의 확보를 위해 슬래브(slab)의 두께를 늘려 강도를 높이거나, 경량화나 차음성능 개선을 위해 슬래브 내부에 매설물을 설치하여 중공화하는 공법이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 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체 또는 경량체를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자중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단면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 슬래브는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slab)의 구현은 물론 층간 소음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종래의 중공 슬래브로서 중공관이나 형강, 데크 플레이트 등을 이용한 1방향 슬래브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1방향 슬래브는 중공부가 1방향으로만 연속되는 1방향성 슬래브로서, 하중을 1방향으로만 전달하기 때문에 4변에서 지지되는 슬래브의 하중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2방향 슬래브는 비정형의 평면설계나 곡선 형태의 평면설계 등 평면설계가 비교적 자유롭고, 보의 형상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 우수하며 시공이 간편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2방향성 중공슬래브로서, 플라스틱 발포체 등의 경량체를 이용하며, 슬래브에 격자상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된 소공간에 경량체를 매설한 2방향 중공슬래브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2방향 중공 슬래브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공슬래브가 있다. 상기 2방향 중공슬래브는, 현장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을 동바리 등 지지물로 지지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슬래브 하부철근 및 하부 와이어메쉬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 와이어메쉬 위에 경량체를 배치하고 상기 경량체 위에 상부 와이어메쉬와 상부철근을 배근한 다음,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료한다.
그러나, 중공 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에 경량체와 콘크리트 사이의 밀도의 차이로 인하여 경량체가 콘크리트의 표면위로 떠오르려고 하는 부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이러한 부력발생으로 인하여 중공 슬래브에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종래의 2방향 중공 슬래브의 시공에 있어서는, 현장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구멍을 천공하여 하부와이어 메쉬를 슬래브 거푸집에 고정하고 상부 와이어 메쉬와 하부 와이어 메쉬를 현장에서 결속선 등에 의해 고정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고정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2방향 중공슬래브에 있어서는, 상기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력방지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직접 경량체를 배치하고 경량체 부력방지장치를 배치한 후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량체의 설치 및 부력방지장치의 설치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경량체를 배치한 후 경량체 상부를 밟고 작업하는 경우 경량체에 파손이 자주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는, 일정형상의 일정크기를 갖는 경량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슬래브의 두께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다른 크기의 경량체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경량체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다양한 경량체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고 현장에서의 경량체의 설치작업도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량체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철근의 간격이나 와이어메쉬의 격자의 크기도 또한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에 있어서는, 부력방지를 위하여 경량체 의 상부에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는 바,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를 제 위치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 부력방지에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이러한 염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력방지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체의 체적을 크게 하여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슬래브의 두께가 변화되더라도 다른 크기의 경량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경량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력방지를 위한 장치를 시판되는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를 사용하여도 간단하고 안정되게 경량체에 고정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는, 중공 슬래브에 매설되는 경량체에 있어서, 반구 형상의 중공의 상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반구 형상의 중공의 하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경량체는 반구 형상의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제 1 수직벽부와, 상기 제 1 수직벽부에 설치되는 제 1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경량체는 반구 형상의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상부끝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제 2 수직벽부와, 상기 제 2 수직벽부에 설치되는 제 2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맞물리는 제 3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수직벽부와 상기 제 2 수직벽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하부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3 연결부는 각각의 결합구멍에 핀 또는 볼트를 끼워넣음으로써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수직벽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측 제 3 연결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측 제3연결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된 제 2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2수직벽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 또는 파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원통형상의 상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부보다 내측을 향하여 밀려들어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하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측끝단부근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와, 상기 하부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결합돌기의 폭과 두께에 상응하는 폭과 깊이를 가지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좌우측으로 상기 결합돌기의 폭과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와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분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원통형상의 상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부보다 내측을 향하여 밀려들어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하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나사산과, 상기 하부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의 제 1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제 2 나산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1 홈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1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3 홈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3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4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3 홈의 각각은 상기 제 2 홈 및 상기 제 4 홈과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홈 및 제 4 홈의 깊이만큼 더욱 깊게 형성된 이단홈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홈 내지 상기 제 4 홈에 각각 상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홈 내지 제 4 홈 및 상기 결합홈의 끝단은 각각 상기 홈을 폐쇄하는 연결막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연결막에는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량체는, 반구 형상의 상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반구 형상의 하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하부면의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상부면의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제 2 돌출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돌출연결부 및 제 2 돌출연결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5 홈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5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6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7 홈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7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8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홈 및 상기 제 7 홈의 각각은 상기 제 6 홈 및 상기 제 8 홈과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6 홈 및 제 8 홈의 깊이만큼 더욱 깊게 형성된 이단홈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체의 체적을 크게 하여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경량체의 체적이 크더라도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경량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경량체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슬래브 두께의 변화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용 홈을 구비함으로써 경량체의 부력방지를 위한 철근이나 와이어메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가 경량체의 높이내로 안착될 수 있으므로 피복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복두께의 증가로 인한 슬래브 두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1)는, 상부경량체(10)와, 하부경량체(20)와, 높이조절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경량체(10)는, 중공부(11)와 제 1 수직벽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는 돔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의 입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직벽부(1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중공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직벽부의 하부끝단에는 제 1 연결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13)는 돌출부(13a)와, 결합구멍(1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3a)는 상기 제 1 수직벽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며,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경량체(20)는, 중공부(21)와 제 2 수직벽부(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21)는 돔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수직벽부(2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중공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수직벽부의 상부끝단에는 제 2 연결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23)는 돌출부(23a)와, 결합구멍(2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23a)는 상기 제 2 수직벽부의 상부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며,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경량체의 중공부의 일정위치에는 상기 중공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20a)를 복수개 마련하여, 상기 경량체(1)가 설치되는 슬래브 거푸집에 안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경량체와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높이조절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의 직경은 상기 제 1 수직벽부 및 상기 제 2 수직벽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맞물리는 제 3 연결부(33, 33')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연결부(33)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하부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33a)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측 제 3 연결부(33)의 결합구멍은 상기 제 1 연결부의 결합구멍에 위치맞춤한 후, 핀 또는 볼트를 끼워넣음으로써 체결되고, 하부측 제 3 연결부(33')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결합구멍에 위치맞춤된 후 핀 또는 볼트를 끼워넣음으로써 체결된다. 여기서, 핀 등의 결합수단은 양끝단이 약간 돌출된 돌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체결후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를 매개로 하지 않고, 상기 상부경량체의 상기 제 1 연결부의 결합구멍에 상기 하부경량체의 상기 제 2 연결부의 결합구멍을 위치맞춤한 후 핀 또는 볼트를 끼워넣음으로써 상하부 경량체를 직접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를 복수개 사용하여 슬래브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경량체 및 상기 하부경량체를 높이 85mm로, 높이조절부를 높이 50mm로 구성하여, 슬래브 두께 250mm인 경우에는 상하부 경량체를 직접 연결하여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를 구성하고, 슬래브 두께 300mm인 경우에는 상부경량체, 하나의 높이조절부, 하부경량체를 연결하여 경량체를 구성하고, 슬래브 두께 350mm인 경우에는 상부경량체, 두개의 높이조절부, 하부경량체를 연결하여 경량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도 화장실 등의 공간은 슬래브의 두께가 다르게 적용되는 바, 이러한 슬래브 두께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개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경량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경량체를 각각 제조할 필요없이 동일한 금형으로 상하부 경량체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량체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경량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경량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근이나 와이어메쉬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생산할 수 있고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이나 와이어메쉬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량체, 상기 하부경량체, 상기 높이조절부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스틸플레이트, 스티로폼 등 다양한 재질의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3')는 상기 제 1 수직벽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13a')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13b')를 구비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측 제 3 연결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측 제3연결부(33')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33a')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된 제 2 돌기(33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수직벽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띠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핀이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없더라도 상기 상부경량체의 상기 제 1 돌기를 상기 상부측 높이조절부의 결합구멍이나 상기 하부경량체의 결합구멍에 삽입시킴으로써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높이조절부를 연결하여 구성하더라도 상기 하부측 높이조절부의 제 2 돌기를 인접한 높이조절부의 상부측 높이조절부의 결합구멍에 삽입시킴으로써 복수의 높이조절부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량체는, 높이조절부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 1 및 2의 높이조절부의 구성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부몸체부(31)와 하부몸체부(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는 단면으로 볼 때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 기 상부몸체부의 내경 및 외경은 각각 상기 하부몸체부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부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부보다 내측을 향하여, 즉 원통형상의 상기 높이조절부의 중심측을 향하여 밀려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측끝단부근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31a)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의 폭(w)를 가지며, 일정한 크기의 두께(t)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부의 외측면에는 결합홈(32a)이 상기 결합돌기의 개수에 상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하부몸체부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상부몸체부측을 향하여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32a)의 좌우측, 즉 상기 하부몸체부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분기홈(32b)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32a)의 폭과 두께는 상기 결합돌기의 폭과 두께와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홈의 길이는 상기 결합돌기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상기 분기홈의 깊이는 상기 결합돌기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를 복수개 연결하여 구성할 때에, 인접한 상부의 높이조절부의 결합돌기를 인접한 하부의 높이조절부의 결합홈에 위치를 맞추어 삽입한 후, 원하는 높이에서 분기홈측으로 회전시켜 삽입함으로 써 인접한 복수의 높이조절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높이조절부를 구성하더라도, 높이조절부의 크기 단위로 경량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원하는 위치에서 분기홈에 결합돌기를 끼워맞춤으로써 보다 미세한 경량체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3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량체는, 높이조절부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높이조절부의 구성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부몸체부(31')와 하부몸체부(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는 단면으로 볼 때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경 및 외경은 각각 상기 하부몸체부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부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부보다 내측을 향하여, 즉 원통형상의 상기 높이조절부의 중심측을 향하여 밀려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 1 나사산(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 2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를 복수개 연결하여 구성할 때에, 인접한 상부의 높이조절부의 제 2 나사산에 인접한 하부의 높이조절부의 제 1 나사산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인접한 복수의 높이조절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높이조절부를 구성하더라도, 높이조절부의 크기 단위로 경량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원하는 위치까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보다 미세한 경량체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량체는, 상하부 경량체 및 높이조절부에 홈이 형성된 점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구성과 상이하다.
상기 상부경량체(10')는, 서로 직교하는 제 1 홈(14)과 제 2 홈(15)을 갖는다. 상기 제 1 홈(14)은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의 깊이는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근이나 와이어메쉬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철근이나 와이어메쉬가 끼워 넣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의 깊이는 대략 10mm이다.
상기 제 2 홈(15)은,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1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과 대략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상기 하부경량체(20')는, 서로 직교하는 제 3 홈(24)과 제 2 홈(25)을 갖는다. 상기 제 3 홈(24)은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3 홈의 깊이는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철근이나 와이어메쉬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철근이나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홈의 깊이는 대략 10mm이다.
상기 제 4 홈(25)은,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3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홈과 대략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3 홈의 각각은 상기 제 2 홈 및 상기 제 4 홈과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홈 및 제 4 홈의 깊이만큼 더욱 깊게 형성된 이단홈(16, 26)을 더욱 구비한다. 상기 이단홈을 구비함으로써, 가로근 및 세로근으로 배근되는 철근이나 격자형상의 와이어메쉬를 모두 상기 상하부 경량체에 끼워넣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경량체에 홈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홈에 철근이나 와이어를 보다 안정되고 간단하게 배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경량체를 보다 정확 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반구 형상의 상하부 경량체의 정점이 아닌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철근이나 와이어메쉬가 배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이 반구 형상의 상하부 경량체의 보강심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고, 와이어메쉬가 상기 경량체의 높이 내로 수용되므로 피복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전체적인 슬래브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홈이 콘크리트의 기포의 공기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제 1 홈 내지 상기 제 4 홈에 각각 상응하는 결합홈(34)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 내지 제 4 홈 및 상기 결합홈의 끝단에는 각각 상기 홈을 폐쇄하는 연결막(17, 27, 37)을 각각 더욱 마련하고,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에 형성된 연결막과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연결막에는 결합용 돌기(18a,3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홈과 상기 제 4 홈에 형성된 연결막과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막에는 결합용 구멍(28, 38)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구멍을 통하여 상하부 경량체 및 높이조절부를 체결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8은 상하부 경량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경량체는, 상부 경량체의 상부측 일 부를 절개한 형상, 하부 경량체는 하부측 일부를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부 경량체에 상술한 바와 같은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부 경량체는 분리하여 형성한 후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상하부 경량체가 일체로 형성된 경량체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량체는, 상하부 경량체 및 높이조절부가 중공이 아닌 속이 찬 구조로 형성된 점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구성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경량체(40)는, 반구 형상의 상부 경량체(41)와, 상기 상부 경량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반구 형상의 하부 경량체(42)와,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하부면의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연결부(41a)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의 형상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상부면의 중앙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 된 제 1 오목연결부(42a)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목연결부는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오목연결부(43a)와,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2 돌출연결부(43b)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경량체, 하부경량체, 높이조절부는, 예를 들면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상하부 경량체와 높이조절부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를 매개로 하지 않고, 상기 상하부 경량체를 직접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를 복수개 사용하여 슬래브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 슬래브용 경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6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량체는, 상하부 경량체에 홈이 형성된 점이 상기 실시예 6의 구성과 상이하다.
상기 상부경량체(41)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5 홈(41b)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5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6 홈(41b')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경량체(42)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7 홈(42b)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7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8 홈(42b')을 구비한다.
상기 제 5 홈 및 상기 제 7 홈의 각각은 상기 제 6 홈 및 상기 제 8 홈과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6 홈 및 제 8 홈의 깊이만큼 더욱 깊게 형성된 이단홈(41b", 42b")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홈을 구비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는 상기 실시예 5에서와 대략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다양한 높이의 경량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량체
10 : 상부경량체
20 : 하부경량체
30 : 높이조절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중공의 상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중공의 하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의 높이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1 홈과,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1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3 홈과,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3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4 홈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3 홈의 각각은 상기 제 2 홈 및 상기 제 4 홈과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홈 및 제 4 홈의 깊이만큼 더욱 깊게 형성된 이단홈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11. 삭제
  12. 삭제
  13. 반구 형상의 상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반구 형상의 하부 경량체와,
    상기 상부 경량체와 상기 하부 경량체와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오목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오목연결부와,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돌출연결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2 돌출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경량체는,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5 홈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5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6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경량체는,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는 제 7 홈과, 반구 형상의 정점을 지나며 상기 경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끼워넣어지며 상기 제 7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경량체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8 홈을 구비하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에 있어서,
    상기 제 5 홈 및 상기 제 7 홈의 각각은 상기 제 6 홈 및 상기 제 8 홈과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6 홈 및 제 8 홈의 깊이만큼 더욱 깊게 형성된 이단홈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79522A 2008-08-13 2008-08-13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10087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522A KR100875697B1 (ko) 2008-08-13 2008-08-13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PCT/KR2009/004493 WO2010018989A2 (ko) 2008-08-13 2009-08-12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및 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용 유니트 패널
MYPI2011000633A MY156581A (en) 2008-08-13 2009-08-12 Lightweight body for a hollow concrete slab, and unit panel for a hollow concrete slab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522A KR100875697B1 (ko) 2008-08-13 2008-08-13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697B1 true KR100875697B1 (ko) 2008-12-23

Family

ID=4037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522A KR100875697B1 (ko) 2008-08-13 2008-08-13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69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387A2 (ko) * 2009-10-22 2011-04-28 삼성물산 주식회사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 그 시공방법
KR101036580B1 (ko) 2010-04-08 2011-05-25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주름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KR101094097B1 (ko) 2011-04-29 2011-12-15 조상규 콘크리트 매설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KR101338944B1 (ko) * 2013-04-09 2013-12-09 김상모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20140009962A (ko) * 2010-06-28 2014-01-23 알베르토 알라르콘 가르시아 접근 가능하고 슬래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 설비를 수용할 수 있는 경량 슬래브 또는 유사한 구조적 요소
WO2015182817A1 (ko) * 2014-05-30 2015-12-03 삼성물산(주) 중공형성체가 선조립된 2방향 중공슬래브용 패널유닛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WO2016012639A1 (es) * 2014-07-25 2016-01-28 Nuevashebridas, S.L.U. Cuerpo de relleno aligerador para losas y forjados de hormigon
KR101718103B1 (ko) 2015-12-17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완충층을 구비한 중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KR20190014227A (ko) * 2017-07-28 2019-02-12 (주)대명이십일 보 시공용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20220000217U (ko) *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387A3 (ko) * 2009-10-22 2011-09-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 그 시공방법
WO2011049387A2 (ko) * 2009-10-22 2011-04-28 삼성물산 주식회사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 그 시공방법
KR101036580B1 (ko) 2010-04-08 2011-05-25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주름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KR101967432B1 (ko) * 2010-06-28 2019-08-13 알베르토 알라르콘 가르시아 접근 가능하고 슬래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 설비를 수용할 수 있는 경량 슬래브 또는 유사한 구조적 요소
KR20140009962A (ko) * 2010-06-28 2014-01-23 알베르토 알라르콘 가르시아 접근 가능하고 슬래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 설비를 수용할 수 있는 경량 슬래브 또는 유사한 구조적 요소
KR101094097B1 (ko) 2011-04-29 2011-12-15 조상규 콘크리트 매설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KR101338944B1 (ko) * 2013-04-09 2013-12-09 김상모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WO2015182817A1 (ko) * 2014-05-30 2015-12-03 삼성물산(주) 중공형성체가 선조립된 2방향 중공슬래브용 패널유닛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WO2016012639A1 (es) * 2014-07-25 2016-01-28 Nuevashebridas, S.L.U. Cuerpo de relleno aligerador para losas y forjados de hormigon
KR101718103B1 (ko) 2015-12-17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완충층을 구비한 중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KR20190014227A (ko) * 2017-07-28 2019-02-12 (주)대명이십일 보 시공용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2050804B1 (ko) * 2017-07-28 2019-12-04 (주)대명이십일 보 시공용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20220000217U (ko) *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200495226Y1 (ko) * 2020-07-17 2022-04-04 주식회사 비에스티엔지니어링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697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100875698B1 (ko) 중공슬래브용 유니트 패널
KR100717766B1 (ko) 슬래브용 중공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슬래브
KR101338944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20100065245A (ko) 중공 슬래브 시공용 2방향 경량체
KR101019588B1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101120360B1 (ko) 철근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20150071957A (ko) 중공슬래브에 사용되는 부력방지형 모듈
KR100719957B1 (ko) 스페이서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 시공방법및 그 연결구조
KR101019587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EP2930280A1 (en)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3027647A (ja) デッキプレ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
JP2013163954A (ja) 中空コンクリート基盤の施工方法
KR101059840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래브
KR101725734B1 (ko) 강거더와 일체화된 힘전달장치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JP200634264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施工方法と施工技術及び金具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57005B1 (ko) 배관 구조가 개선된 슬래브 데크 시스템
KR20120036616A (ko)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CN216007252U (zh) 隔热阳台
KR101176551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KR100993020B1 (ko)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을 위한 결합조립체, 및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0926137B1 (ko) 가로지지보가 형성된 합성거더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합성거더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