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854B1 -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 - Google Patents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54B1
KR100911854B1 KR1020020068024A KR20020068024A KR100911854B1 KR 100911854 B1 KR100911854 B1 KR 100911854B1 KR 1020020068024 A KR1020020068024 A KR 1020020068024A KR 20020068024 A KR20020068024 A KR 20020068024A KR 100911854 B1 KR100911854 B1 KR 10091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topper member
trigger lever
attach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725A (ko
Inventor
아마노히토시
우다가와다카시
우에다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Publication of KR2003004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2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14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트리거식 분출기의 외관을 좋게 하고, 또 트리거레버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부재의 분실의 우려를 없앰과 동시에, 스토퍼부재를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성을 향상한다.
피스톤(21)을, 제 1 피스톤(18)과 그것에 씌우도록 하여 연결하는 제 2 피스톤(22)으로 구성한다. 제 2 피스톤에는, 눌러내리기 부재(27)를 씌운다. 그 눌러내리기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방향 주위에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스토퍼부재(25)를 설치한다. 그리고, 그 스토퍼부재를 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것에 부딪치는 부딪치기 돌출부(27d)를 눌러내리기 부재에 형성함과 동시에, 스토퍼부재를 비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 부딪치기 돌출부를 피하는 에스케이프 오목부를 스토퍼부재에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부재를 로킹위치로 했을 때 눌러내리기 부재의 눌러내리기를 저지하고, 비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 저지를 해제한다.
에스케이프 오목부, 피스톤, 실린더실, 고정캡, 스토퍼부재, 손가락 대기부, 클릭돌출부, 트리거레버, 분출구, 노즐, 부딪치기 돌출부, 분출펌프.

Description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TRIGGER-TYPE SPRAY UNIT AND SPRAYER}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리거식 분출기의 분출펌프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그 분출펌프장치에서 사용되는 제 1 피스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분출펌프장치에서 사용되는 탄성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그 분출펌프장치에서 사용되는 제 2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a)는 그 제 2 피스톤의 저면도, (b)는 다른 예의 제 2 피스톤의 저면도, (c)는 또 다른 예의 제 2 피스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그 분출펌프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토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a)는 그 스토퍼부재의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분출펌프장치에서 사용되는 눌러내리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그 분출펌프장치의 사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용기 10a: 용기의 입출구부
18: 제 1 피스톤 21: 피스톤
22: 제 2 피스톤 23: 고정캡
23e: 클릭 걸어맞춤부 25: 스토퍼부재
25c: 손가락 대기부 25e: 에스케이프 오목부
25g: 클릭돌출부 26: 트리거레버
27: 눌러내리기 부재 27d: 부딪치기 돌출부
30: 노즐부재 30a: 분출구
P: 분출펌프장치 S: 실린더실
본 발명은, 사용시에 트리거레버를 회전운동하여 피스톤을 압입하여, 실린더실내의 내용물을 피스톤내를 통해서 분출구로부터 외부로 분출하는, 화장용·소독용·세정용·약용·도장용 등의 트리거식 분출기에 관한 것이다. 또, 그와 같은 트리거식 분출기에서, 용기의 입출구부에 부착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빨아올려서 외부로 분출하는 분출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리거식 분출기 중에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210601 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 노즐주위에, 스토퍼부재인 로킹부재를 외측에 부착하여, 이 로킹부재로 트리거레버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것이다.
또, 일본 특개 2000-233145 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노즐주위에, 스토퍼부재인 로킹부재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조립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로킹부재를 회전운동하여 그 조작부를 커버의 분할홈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하여, 트리거레 버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모두 외관이 나쁘고, 사용시에는 스토퍼부재를 떼어내거나, 또 스토퍼부재가 떼어지기 쉬운 구성이거나 했으므로, 스토퍼부재를 분실할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없어,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트리거식 분출기의 외관을 좋게 하고, 또 트리거레버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부재의 분실의 우려를 없앰과 동시에, 스토퍼부재를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성을 향상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용기의 입출구부에 부착하여, 사용시에 트리거레버를 회전운동하여 눌러내리기 부재를 눌러내려, 피스톤을 밀어넣어서 실린더실내의 내용물을 피스톤 내부로부터 눌러내리기 부재내를 통해서 분출구로부터 외부로 분출함과 동시에, 용기내의 내용물을 실린더 실내로 빨아들이는, 트리거식 분출기의 분출펌프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왕복운동방향 주위에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하여, 로킹위치로 했을 때 눌러내리기 부재의 눌러내리기를 저지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분출펌프장치에 있어서, 스토 퍼부재를 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 스토퍼부재에 부딪치는 부딪치기 돌출부를 눌러내리기 부재에 형성함과 동시에, 스토퍼부재를 비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 부딪치기 돌출부를 피하는 에스케이프 오목부을 스토퍼부재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분출펌프장치에 있어서, 스토퍼부재에 손가락 대기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출펌프장치에 있어서, 스토퍼부재를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에 클리킹 느낌을 가지고 회전운동 자유롭게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트리거식 분출기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출펌프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리거식 분출기의 분출펌프장치의 외관을, 도 2에는 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중 부호 10은, 용기이다. 용기(10)는, 플라스틱재료로 병형상으로 만들고, 그 입출구부(10a)외주에 수나사를 만들고, 내부에, 내용물로서 분출액을 수납한다.
그 용기(10)의 입출구부(10a)에는, 분출펌프장치(P)를 부착한다.
분출펌프(P)에는, 나사캡(12)을 설치한다. 나사캡(12)은, 내주에 암나사를 가짐과 동시에, 정상부(12a)중앙에 중심구멍(12b)을 두고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상부(12a)를 실린더(13)의 플랜지(13a)상에 올려놓고, 용기(10)의 입출구부(10a)에 씌워서 나사부착하고, 입출구부(10a)와의 사이에서 패킹을 압축하여 부착한다.
실린더(13)는, 도중에 3개의 단차부(13b·13c·13d)를 설치하고 도면중 하방을 향해 차례로 소직경으로 한다.
그 실린더(13)의 상부에는, 제 1의 단차부(13b) 주위에 상술한 플랜지(13a)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바로 아래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흡입구멍(13e)을 두고, 또 나사캡(12)의 중심구멍(12b)을 통해서 상단부(13f)를 상향으로 돌출한다.
다른 한편, 실린더(13)의 하부에는, 제 3의 단차부(13d)위치의 하측내부에, 하방을 향해서 첨차 소직경이 되는 밸브시트(13g)를 설치한다. 밸브시트(13g)의 아래에는, 관형상의 관부착구(13h)를 계속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그 관부착구(13h)내에 빨아올리기 파이프(14)의 상단부를 압입한다.
이와 같은 실린더(13)내에는, 볼형상의 체크밸브(16)를 넣어서 밸브자리(13g)상에 올려 놓고 나서, 코일스프링(17)을 삽입하여 제 3의 단차부(13d)상에 올려 놓는다. 그 후, 코일스프링(17) 상에 칼라부(18a)를 얹고 제 1 피스톤(18)을 실린더(13) 내에 삽입한다.
제 1 피스톤(18)은, 단독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라부(18a)의 상면에 고리형상홈(18b)을 상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칼라부(18a)의 바로위 외주에 복수의 세로홈(18c)을 설치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제 1 피스톤(18)의 칼라부(18a) 상에 는 탄성밸브(20)을 얹고, 이것에 의해 실린더(13)내의 실린더실(S)을 구획한다. 탄성밸브(20)는, 단독으로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H형인 것을 고리형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외주하단(20a)을 실린더(13)의 외주면에 눌러댐과 동시에, 그 외주하단(20a)보다 약간 짧은 내주하단(20b)을 고리형상홈(18b)에 삽입하고, 상향으로 돌출하는 내주통부(20c)를 제 1 피스톤(18)의 외주에 작은 간극(a)을 두고 따르게 하여 이루어진다.
제 1 피스톤(18)상에는, 그 제 1 피스톤(18)과 함께 피스톤(21)을 구성하는 제 2 피스톤(22)을 얹는다. 제 2 피스톤(22)에는, 단독으로 도 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가늘고 긴 소직경 통부(22a)와 중직경통부(22b)와 대직경통부(22c)와 발(足)부(22d)를 설치한다. 중직경통부(22b)에는, 내주에 복수의 세로홈(22e)을 가지고, 제 1 피스톤(18)의 상부를 삽입한다. 대직경통부(22c)에는, 경사져 있는 어깨부(22f)를 가지고, 내주면에 탄성밸브(20)의 내주통부(20c)의 상단을 눌러댄다.
발부(22d)는, 도시예에서는 도 6(a)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대직경통부(22c)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뻗어, 선단을 내주통부(20c)의 경사져 있는 기부외면(20e)에 접촉한다. 이 발부(22d)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b)을 크게 해도 좋고, 도시 생략 하지만 작게 해도 좋다. 또, 수를 줄여서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로 해도 좋고, 도시 생략 하지만 수를 늘려도 좋다.
제 2 피스톤(22)의 대직경통부(22c)의 주위에는, 고정캡(23)을 부착한다. 고정캡(23)은, 캡부(23a)와, 그 정상부로부터 동심으로 상향으로 돌출하는 통부(23b)와, 캡부(23a)의 어깨부로부터 경사져 상향으로 뻗는 지주부(23c)로 이루어진다.
캡부(23a)는, 실린더(13)의 상단부(13f) 주위에 씌우듯이 끼워붙이고, 정상부(12a)를 끼워서 나사캡(12)을 빠짐방지함과 동시에, 제 1 단차부(13b)와의 사이에서 패킹(24)을 압축한다. 패킹(24)에는, 탄성밸브(20)의 외주 상단(20d)을 접촉하고 있다.
통부(23b)에는, 내주상부에 고리형상홈(23d)을 설치함과 동시에, 외주의 지주부(23c)측으로부터 상향으로 클릭 걸어맞춤부(23e)를 돌출한다. 그리고, 고리형상홈(23d)내에 위로부터 스토퍼부재(25)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붙인다. 스토퍼부재(25)는, 도 7 및 도 8(a) 및 (b)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부(23b)에는 끼워붙이는 스커트부(25a)와, 그 스커트부(25a)상에 동심으로 설치되는 원통부(25b)와, 그 원통부(25b) 외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뻗는 손가락 대기부(25c)로 이루어진다.
원통부(25b)에는, 내주면 상측 가장자리에 단차부(25d)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단차부(25d)로부터 하향으로 세로홈에 에스케이프 오목부(25e)를 90도의 간격을 두고 4개 펼치고, 입구에는 테이퍼(25f)를 설치하고 있다. 또, 외주면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손가락 대기부(25c)와 90도 및 180도의 간격으로 클릭돌출부(25g)를 3개 설치한다. 그리고, 그중의 1개의 클릭돌출부(25g)를 클릭 걸어맞춤부(23e)에 클리킹 느낌을 가지고 탄성적으로 끼워붙이고, 스토퍼부재(25)의 회전운동위치를 회전운동위치를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로 위치결정한다.
다른 한편, 고정캡(23)의 지주부(23c)는, 선단에 트리커레버(26)의 기단을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한다. 트리거레버(26)는, 직각으로 절곡하고, 구부림부에 절결(26a)을 갖는 둘레면부(26b)와, 그 양측에 대향하도록 설치하는 측면부(26c)로 이루어진다. 측면부(26c)의 내면에는, 하향으로 걸어맞추기 오목부(26d)를 형성한다.
걸어맞추기 오목부(26d)는, 눌러내리기 부재(27)의 걸어맞추기 돌출부(27a)에 걸어맞춘다. 눌러내리기 부재(27)는, 엘보형상으로 대략 90도로 절곡해서, 수직으로 설치하는 기단측의 1중파이프(27b)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단측의 2중 파이프부(27c)로 구성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중 파이프부(27b)의 상부 양측에는, 상술한 원형의 걸어맞추기 돌출부(27a)와, 그것으로부터 하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리브형상의 부딪치기 돌출부(27d)를 설치한다.
2중 파이프(27c)는, 외통부와 그것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내통부로 이루어지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노즐홀더(28)의 원통기단(28a)측을 끼워붙인다. 노즐홀더(28)에는, 선단측에 노츨부재(30)을 부착하고, 그 노즐부재(30)에 설치하는 분출구(30a)를, 2중 파이프부(27c)의 내통부내의 토출유로(27e)에 연달아 통하게 한다.
눌러내리기 부재(27)는, 1중 파이프부(27b)를, 스토퍼부재(25)의 원통부(25b)와 고정캡(23)의 통부(23b)내에 삽입하여 제 2 피스톤(22)의 소직경통부(22a)와 중직경통부(22b)에 씌우고, 노즐홀더(28)를 트리거레버(26)의 절결(26a)을 통해서 밖을 향해서 돌출한다. 그리고, 눌러내리기 부재(27)의 토출유로(27e) 를, 제 2 피스톤(22)의 소직경통부(22a)내의 유로(22g)와 연달아 통하게 함과 동시에, 걸어맞추기 돌출부(27a)상에 걸어맞추기 오목부(26d)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토퍼부재(25)의 손가락 대기부(25c)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레버(26)의 손가락 걸기부(26e)측을 향하게 하고, 반대측의 클릭돌출부(25g)를 클릭 걸어맞춤부(23e)에 클릭감을 가지고 끼워붙이고, 스토퍼부재(25)를 로킹위치로 한다. 그렇게 하면, 이 때 손가락 걸기부(26e)에 손가락을 걸고, 트리거레버(26)을 회전운동 하고자 해도,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부딪치기 돌출부(27d)가 스토퍼부재(25)의 단차부(25d)에 부딪치고,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눌러내리기를 저해하여 트리거레버(26)의 회전운동을 규제하여, 피스톤(21)의 눌러넣기를 방해한다.
이제, 이 분출기를 사용할 때는, 용기(10)를 쥐고 손가락 대기부(25c)에 손가락을 대고, 스토퍼부재(25)를 피스톤(21)의 왕복운동방향 주위에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손가락 대기부(25c)로부터 90도 이격된 위치에 있는 클릭돌출부(25g)의 어느 일방을 클릭 걸어맞춤부(23e)에 클리킹 느낌을 가지고 끼워붙여, 스토퍼부재(25)를 비로킹위치로 한다.
그 후, 손가락 걸기부(26e)에 손가락을 걸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레버(2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부딪치기 돌출부(27d)가 스토퍼부재(25)의 에스케이프 오목부(25e)내에 들어가,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눌러내리기를 가능하게 하여 탄성밸브(20)를 따라서 피스톤(21)을 코일스프링(17)에 저항하여 눌러넣고, 실린더실(S)내의 압력을 상승하여 탄성밸브(20) 를 밀어올린다.
실린더실(S)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되면, 제 2 피스톤(22)의 발부(22d)를 변형하여 외향으로 벌리고, 탄성밸브(20)를 제 1 피스톤(18) 사이에 간극을 만들고, 제 1 피스톤(18)의 칼라(18a)의 고리형상홈(18b)으로부터 탄성밸브(20)의 내주하단(20b)을 끌어낸다. 그리고, 실린더실(S)내의 내용물을 세로홈(18c)을 통해서 제 2 피스톤(22)내에 넣고, 제 2 피스톤(22) 세로홈(22e)으로부터 유로(22g)를 통해서 눌러내리기 부재(27)의 토출유로(27e)에 넣고, 눌러내리기 부재(27)내부를 통해서 분출구(30a)로부터 외부로 분출한다. 이윽고, 제 1 피스톤(18)의 칼라부(18a)를, 실린더(13)의 제 2의 단차부(13c)에 닿게 하여 멈춘다.
그리고, 실린더실(S)내의 내용물을 분출하여 실린더실(S)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발부(22d)의 변형을 되돌려서 탄성밸브(20)를 눌러내리고, 재차 칼라부(18a)의 고리형상홈(18b)내에 탄성밸브(20)의 내주하단(20b)을 넣고, 손가락 걸기부(26e)로부터 손가락을 땜과 동시에 코일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21) 및 눌러내리기 부재(27)를 상승하고, 트리거레버(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그렇게 하면, 실린더실(S)내의 압력이 부압화되어 볼밸브(16)을 열고, 용기(10)내의 내용물을 빨아올리기 파이프(14)를 통해서 실린더실(S)내로 빨아올린다. 그리고, 실린더실(S)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되어도, 다시 볼밸브(16)가 밸브시트(13g)상에 낙하하여 흡입구를 막는다.
그래서, 트리거레버(26)를 회전운동하면, 내용물을 분출구(30a)로부터 재차 분출할 수 있다. 이 반복에 의해, 용기(10)의 내용물이 사라질 때까지 몇번이고 분출할 수 있다.
사용을 중단할 때는, 손가락 대기부(25c)에 손가락을 대고 스토퍼부재(25)를 피스톤(21)의 왕복운동방향 주위로 회전운동하고, 다시, 도 2에 도시하는 로킹위치로 하여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눌러내리기를 저지하여, 트리거레버(26)의 회전운동을 규제한다.
또한, 도시예에서, 축압상태를 높여서 실린더실(S)내의 내용물을 비교적 강한 압력으로 한번에 분출하는 설계로 할 때는, 제 2 피스톤(22)으로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부(22d)의 폭(b)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발부(22d)의 수가 많은 것을 사용하거나, 탄성밸브(20)의 내주통부(20c)에서의 기부외면(20e)의 경사각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하여, 발부(22d)를 변형하기 어렵게하고, 탄성밸브(20)의 상승을 억누르는 힘을 강하게 한다.
역으로 축압상태를 약하게 하여 실린더실(S)의 내용물을 비교적 약한 압력으로 분출하는 설계로 할 때에는, 제 2 피스톤(22)으로서 발부(22d)의 폭(b)이 작은 것을 사용하거나,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부(22d)의 수가 적은 것을 사용하거나, 탄성밸브(20)의 내주통부(20c)에서의 기부외면(20e)의 경사각이 작은 것을 사용하거나 해서, 발부(22d)를 변형하기 쉽게 하여, 탄성밸브(20)의 상승을 억누르는 힘을 약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트리거식 분출기의 분출펌프장치에서, 로킹위치로 했을 때 눌러내리기 부재의 눌러내리기를 저지하는 스토퍼부재를 피스톤의 왕복운동방향 주위에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로 외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하므로, 스토퍼부재를 비교적 큰 트리거레버로 감추어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트리거레버가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항상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토퍼부재를 분출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 스토퍼부재를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부재를 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 스토퍼부재에 부딪치는 부딪치기 돌출부를 눌러내리기 부재에 형성함과 함께, 스토퍼부재를 비로킹위치로 했을 때 그 부딪치기 돌출부를 피하는 에스케이프 오목부를 스토퍼부재에 형성하므로, 눌러내리기 부재의 눌러내리기 저지와 저지해제를 간단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부재에, 그것을 회전운동 조작할 때에 손가락을 대는 손가락 대기부를 설치하므로, 스토퍼부재의 회전운동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부재를,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로 클릭감을 가지고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므로, 스토퍼부재의 위치결정을 틀리지 않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출펌프장치를 구비하므로, 상기 효과를 갖는 분출펌프장치를 구비한 트리거식 분 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용기의 입출구부에 부착되어, 사용시에 트리거 레버를 회전운동하여 피스톤을 눌러내렸을 때, 실린더실내의 내용물을 분출구로부터 외부로 분출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을 상기 실린더실내로 빨아올리는, 트리거식 분출기의 분출펌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실(S)을 형성하는 실린더(13)와,
    상기 실린더(13)에 끼워붙여서 상기 피스톤(21)의 주위에 부착되는 고정캡(23)과,
    상기 고정캡(23)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상기 트리거 레버(26)와,
    부딪치기 돌출부(27d)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캡(23)내에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21)의 주위에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21)내의 유로(22g)와 연통하는 토출유로(27e)을 가지고, 상기 트리거 레버(26)에 의해 눌러내리기를 가능하게 하는 눌러내리기 부재(27)와,
    상기 눌러내리기 부재(27)에 부착되고, 상기 분출구(30a)가 설치되는 노즐홀더(28)와,
    상기 고정캡(23)에 끼워붙여지고, 상기 눌러내리기 부재(27)를 통해 상기 트리거 레버(26)와의 사이에, 상기 피스톤(21)의 왕복운동방향 주위에 로킹위치와 비로킹위치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로킹위치로 했을 때 상기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부딪치기 돌출부(27d)를 자신의 단차부(25d)에 부딪혀서 상기 트리거 레버(26)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한편, 비로킹위치로 했을 때 상기 눌러내리기 부재(27)의 부딪치기 돌출부(27d)를 자신의 에스케이프 오목부(25e)내로 들어가게 하여 상기 트리거 레버(26)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부재(25)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펌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에, 그것을 회전운동 조작할 때에 손가락을 대는 손가락 대기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펌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분출펌프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출기.
  4. 삭제
  5. 삭제
KR1020020068024A 2001-12-06 2002-11-05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 KR100911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3167 2001-12-06
JP2001373167 2001-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25A KR20030047725A (ko) 2003-06-18
KR100911854B1 true KR100911854B1 (ko) 2009-08-11

Family

ID=1918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024A KR100911854B1 (ko) 2001-12-06 2002-11-05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17963B1 (ko)
KR (1) KR100911854B1 (ko)
DE (1) DE60232219D1 (ko)
TW (1) TWI222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4823B1 (fr) 2004-01-05 2006-08-18 Oreal Tete de distribution verrouillable
JP2005219003A (ja) * 2004-02-06 2005-08-18 Canyon Corp トリガー付き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EP1917205B1 (en) * 2004-11-29 2011-12-28 AptarGroup, Inc Dispenser with lock
ITRM20050559A1 (it) * 2005-11-10 2007-05-11 Emsar Spa Micropompa nebulizzatrice dotata di un elemento di copertura e di azionamento a grilletto del suo tasto erogatore.
US8322630B2 (en) 2010-05-10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pump sprayer
US8322631B2 (en) 2010-05-10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pump sprayer having favor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specified liquids
JP6105273B2 (ja) * 2012-12-20 2017-03-29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シャットオフトリガ機構ならびにこのシャットオフトリガ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140559B2 (ja) * 2013-07-18 2017-05-31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シャッタートリガ機構ならびにシャッタートリガ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WO2016044327A1 (en) 2014-09-17 2016-03-24 Niagara Bottling, Llc Dock door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10406547B2 (en) 2014-09-22 2019-09-10 K&N Engineering, Inc. Sprayer nozzle support
JP6670671B2 (ja) 2016-04-28 2020-03-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器
EP3686122B1 (en) * 2017-09-20 2024-04-17 Yoshino Kogyosho Co., Ltd. Discharger
CN109094982A (zh) * 2018-09-04 2018-12-28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防泄漏按压式储存瓶
US11892818B2 (en) 2018-10-17 2024-02-06 Niagara Bottling, Llc Dock door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20290B2 (en) 2021-04-14 2023-11-21 Niagara Bottling, Llc Trailer alignment detection for dock automation using vision system and dynamic depth filte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3644A (en) * 1981-02-17 1983-02-15 Bennett Robert A Child resistant type trigger actuated pump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187A (en) * 1979-12-13 1981-07-14 Security Plastics, Inc. Trigger lock system for pump
US4441633A (en) * 1981-10-26 1984-04-10 Bennett Robert A Child resistant trigger pump
JP3503780B2 (ja) * 1995-08-18 2004-03-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付き噴出器
JPH09291879A (ja) * 1996-04-26 1997-11-11 Canyon Corp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JPH1045154A (ja) * 1996-07-30 1998-02-17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吐出器
JP3905609B2 (ja) * 1997-09-10 2007-04-18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スプレイヤ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3644A (en) * 1981-02-17 1983-02-15 Bennett Robert A Child resistant type trigger actuated pump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2901B (en) 2004-11-01
EP1317963A1 (en) 2003-06-11
DE60232219D1 (de) 2009-06-18
KR20030047725A (ko) 2003-06-18
EP1317963B1 (en)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54B1 (ko)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
JP4177614B2 (ja) 噴出ポンプ装置、噴出バルブ装置、およびトリガー式噴出器
JPH0268161A (ja) 噴霧分与器のための平頂弁部材
JP625812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US11213843B2 (en) Liquid dispenser with ventilated bottle and discharge head for this purpose
JPH09222075A (ja) 流動物用排出装置
KR101951627B1 (ko) 스프레이 펌프
JPH05146723A (ja) 流体を噴霧または分与する装置
JP2008030798A (ja) 噴出装置、ポンプ式噴出器、およびエアゾール式噴出器
EP0867228B1 (en) A pump mechanism for ejecting liquid
JP2004503366A (ja) 圧搾噴射器用可変排出噴射ヘッド
KR100747116B1 (ko)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JP612130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CN111350649A (zh) 设置有空气吹扫装置的用于化妆产品瓶的泵
JP4059643B2 (ja) 噴出容器
KR10063214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US7882984B2 (en) Fluid or pasty product dispensing device
US20240034542A1 (en) Dual press spray head
JP2008114857A (ja) 注出器
JP2003170978A (ja) 噴出ポンプ装置、および噴出器
JP2816179B2 (ja) 指作動式ポンプ
JP3827408B2 (ja) 噴出器
JP4511856B2 (ja) 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102427032B1 (ko) 펌프
JP3479640B2 (ja) トリガー式ポンプにおけるトリガーの作動阻止用アタッチメントと、そのアタッチメントが装着されたトリガー式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