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116B1 -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 Google Patents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116B1
KR100747116B1 KR1020027008086A KR20027008086A KR100747116B1 KR 100747116 B1 KR100747116 B1 KR 100747116B1 KR 1020027008086 A KR1020027008086 A KR 1020027008086A KR 20027008086 A KR20027008086 A KR 20027008086A KR 100747116 B1 KR100747116 B1 KR 10074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valve
passage
spra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346A (ko
Inventor
로버트 에스. 슐츠
Original Assignee
엠사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사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엠사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1/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manually-operate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배출기(1)용 분무배출헤드(17)에 관한 것으로, 이 배출헤드(17)는 혼합체임버(15)로 공기와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통로들(12,14)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액체는 작은 방울로 분할되어 오리피스(16)를 통해 미세한 분무로 방출되는 한편, 이 장치는 푸쉬-풀 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10)를 포함하며, 이 밸브(10)가 폐쇄될 때 액체가 대기로부터 밀봉되어서 액체제품의 건조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본 발명은 용기의 측면을 압착해서 압축되는 배출기(dispenser)용 배출헤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와 액체가 미세한 분무를 만들기 위해서 혼합되고, 분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출된 액체를 대기로부터 밀봉하는 푸쉬-풀 형태의 밸브가 있는 배출헤드와 관련된 것이다.
압착용기 형태의 분무기가 수년간 사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분무기는 오랜 기간에 걸쳐 압축캔 배출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압축캔의 대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압착용기용 배출기는 미국특허 제 5,183,186호와 동 제 5,318,205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특허는 공기용 통로와 제품(즉, 유동성 물질)용 통로가 경사진 혼합체임버에서 만나는 압착용기용 배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혼합체임버의 경사부는 공기유동을 액체유동으로 경사지게 안내하여 혼합체임버의 액체에 난류가 생성되게 한다. 이 난류는 액체를 분열시키고, 액체와 공기를 직접 혼합시킨다. 그 결과, 미세한 분무가 오리피스로부터 추진된다.
이 발명의 단점은 액체출구에 비교적 고가의 볼밸브의 사용이 필요하고, 용 기가 뒤집힐 때 공기경로가 완전히 액체유동에 개방되기 때문에 액체가 배출기 밖으로 샌다는 것이다. 더구나, 이 장치에서 출구오리피스와 통기경로는 공기가 배출될 액체와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한다. 이는 액체물질을 마르게 하여 출구오리피스를 막고 적절한 분무를 방해하는 불리한 결과를 발생시킨다.
압착용기와 관련된 다른 특허는 미국특허 제 5,273,191호이다. 이 특허는 또한 공기와 액체를 혼합하는 경사진(tapered) 혼합체임버를 사용하는 압착용기를 설명한다. 이 특허에는, 혼합체임버로의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고, 혼합체임버와 압착용기로의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개스킷을 포함하는 다양한 밸브장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이 특허는 액체용 통로의 압력에 따라 액체용 통로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편향된 밸브요소를 나타낸다.
푸쉬-풀 형태의 밸브장치를 갖춘 배출기용 배출헤드는 미국특허출원 제 09/073,615에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참조로 설명된다. 이 발명에서, 압착용기는 액체용 유동경로와 공기용 유동경로를 가지고 있다. 용기가 압착될 때, 액체는 액체용 유동경로를 통해서 이송되고, 압축공기는 공기용 유동경로를 통해서 이송된다. 이 2개의 유동은 출구오리피스에 인접하게 위치된 혼합체임버에서 만난다. 공기와 액체는 미세한 분무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된다. 이 발명의 단점은 당김손잡이(pull knob)가 출구오리피스의 반대편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이 발명은 공기가 분무될 액체와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구오리피스와 동일한 측면에 위치된 당김손잡이를 갖춘 푸쉬-풀 형태의 밸브를 사용하는, 압착용기와 같은 압축되지 않은 수용기와 함께 사용되는 분무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기의 내부통로로의 공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배출기는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하는 압착용기와 같은 용기로 뻗을 수 있는 침액관(dip tube)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침액관의 상부는 통상 좁은 직경의 도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볼을 갖춘 볼-체크밸브 조립체에 연결된다. 분무배출기의 공기용 통로는 용기의 내부를 배출기의 혼합체임버와 연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제품용 통로는 볼-체크밸브의 상부에서 혼합체임버까지이고, 혼합체임버의 분무오리피스 쪽으로 안내된다. 공기용 통로는 혼합체임버로 안내되는 제품용 통로의 일부 둘레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환형상의 통로이다.
용기가 압착될 때, 이에 따른 압력은 공기를 혼합체임버로 그리고 액체를 침액관 위로 올라가게 힘을 발생시킨다. 액체는 볼밸브를 개방시켜 혼합체임버 쪽으로 안내된다. 동시에, 공기는 환형상의 공기용 통로를 통해서 힘을 받는다. 공기흐름은 혼합체임버의 경사진 벽에 의해 편향될 때 액체흐름의 중심부에 모이고 충돌한다. 이는 액체의 미립화를 발생시키고 미세한 분무는 오리피스를 통해 발사된다.
용기의 압력이 경감될 때, 볼은 좁은 직경의 도관으로 다시 떨어져서 침액관에 제품을 가둔다. 이에 따라, 제품은 용기의 액체의 높이 위의 높은 높이에서 침액관에 유지될 것이고, 다음의 압착사이클을 준비한다. 여기서 통상 분무 전에 발 생하는 지연시간이 제거된다.
제품용 통로는 분무배출기의 본체에 수용되는 밸브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공기와 제품용 통로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푸쉬-풀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의 폐쇄위치에서, 제품과 공기용 통로는 압착용기의 내부에 매우 가까워져서, 공기가 압착용기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통로의 폐쇄는 압착용기내 액체제품이 마르는 것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푸쉬-풀밸브의 다른 장점은 출구오리피스와 동일한 측면에 위치된 손잡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는 특히 액체 접시세정용기(liquid dish detergent bottle)와 같은 배출기의 방법으로 작동되는 밸브에 친숙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목부에 분무하우징을 고정하는 개선된 스냅온(snap on) 연결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에 따라서, 분무하우징은 용기상의 환형상의 홈으로 뻗는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를 구비한다. 환형상의 홈은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에 방사상의 힘을 작용시켜, 추가적인 체결력을 스냅온 연결부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이는 스커트부 벽이 더 얇은 물질로 제조되게 하지만, 여전히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한다. 스커트부 벽이 얇은 물질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목부는 더 큰 공차를 갖고 제조될 수 있고, 분무하우징은 여전히 목부를 지나 배출기하우징을 밀기 위해 과도한 힘을 요구하지 않고 목부 위에 장착될 수 있다. 큰 공차는 용기가 세계의 많은 생산공장에서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스커트부가 환형상의 홈안에서 조합되기 때문에, 용기/분무배출기의 조합은 종래의 것보다 더 저항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완전히 개방된 위치의 밸브를 나타내는 푸쉬-풀 분무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완전히 폐쇄된 위치의 밸브를 나타내는 푸쉬-풀 분무헤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a 와 도 4b 및 도 4c는 다른 볼체크밸브의 도면으로, 도 4a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측면도, 도 4c는 평면도,
도 5는 분무하우징 유지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분무배출시스템은 일정량의 액체나 다른 유동성 물질을 담는 압착가능한 용기(1;부분도시됨)를 포함한다. 압착가능한 용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당한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분무배출장치 하우징이나 분무기본체(17)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용기(1)의 목부(5) 상부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분무배출장치 하우징(17)은 그 바닥 개방단이 분무배출장치가 용기에 장착될 때 용기의 바닥 근처에 배치되도록 크기가 설정되는 침액관(3)을 포함한다.
침액관(3)의 상부단은 볼체크밸브(7)의 좁은 도관(6)을 수용한다. 좁은 도관(6)은 유체가 통과하도록 침액관(3)과 연통된다. 좁은 도관(6)의 내경은 볼(8)이 통상 좁은 도관(6)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볼체크밸브(7)의 볼(8)의 직경보다 작다. 볼(8)이 이 위치에 있을 때, 볼체크밸브(7)는 폐쇄되어 침액관(3)의 상부단도 함께 폐쇄된다. 볼체크밸브(7)의 나머지 부분의 내경은 볼(8)의 직경보다 크다. 여기서, 볼(8)은 볼체크밸브(7)를 개방하기 위해 침액관내 유체의 상승이동에 관하여 위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볼체크밸브(7)의 상부는 밸브(10)쪽으로 좁은 도관(6)으로부터 유체의 통로를 허용하는 동축으로 배치된 공급관(9)을 수용한다. 공급관(9)은 볼(8)의 이동을 위쪽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해 볼(8)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공급관(9)의 단부는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방사상의 슬롯(100)을 포함한다. 슬롯(100)은 볼(8)이 유체의 상승이동에 관해 위로 이동할 때 볼체크밸브(7)를 통한 유체의 자유유동이 공급관(9)으로 향하게 한다. 따라서, 공급관(9)은 볼(8)이 볼체크밸브(7)를 개방하기 위해 위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볼(8)로부터 위로 조금 떨어진 거리에 위치된다.
도 4a와 도 4b는 볼체크밸브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 공급관(9')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볼체크밸브(7')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하다. 바아(29)는 공급관(9')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볼(8')은 볼체크밸브(7')를 개방하기 위해 위로 자유롭게 이동되지만 이 이동은 제한된다. 공급관의 직경이 볼(8)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품은 볼을 거쳐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도 1로 다시 돌아가면,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공급관(9)은 하우징(17)의 밸브벽(11)의 연장부가 된다. 밸브벽(11)의 공급관(9)은 밸브(1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밸브(10)내의 제품통로(1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밸브벽(11)은 환형상의 공기통로(14)와 연통되는 공기오리피스(13)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상의 공기통로(14)는 공기 소용돌이통로(15)를 축의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제품용 통로(12)의 일부 주위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도록 슬라이드하우징(22)의 몸체와 분무노즐(21) 사이의 공간으로 한정된다. 밸브(10)는 분무배출기 하우징(17)의 밸브벽(11,18) 사이의 공동부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된다.
밸브(10)는 분무노즐(21)과 슬라이드하우징(22)의 2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분무노즐(21)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하우징(22)의 스냅 연결부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분무노즐(21)은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밸브(10)를 개방방향(O)과 폐쇄방향(C)으로 밀고 당기도록 파지되는 당김손잡이(26)를 포함한다.
분무노즐(21)의 경사부(tapered section, 19, 20)는 혼합체임버(15)로 고려되는 그 사이에 있는 공동부를 형성한다. 이 경사부(19,20)는 원뿔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품용 통로(12)의 일부는 혼합체임버(15)를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안내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상의 공기용 통로(14)는 수평방향의 혼합체임버(15)로 안내하는 제품용 통로(12)의 일부 둘레에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경사부(19,20)는 혼합체임버(15)의 분무오리피스(16)를 형성하기 위해 만나기 전에 종결된다.
용기(1)의 목부(5)는 환형상의 돌기부(41;ledge)를 구비하고, 하우징이 용기(1)의 목부에 압축될 때 용기(1)에 하우징(17)을 고정하기 위해 분무배출기 하우징(17)의 환형상의 림(28;rim)과 상호작용한다. 하우징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는 공지된 바와 같이 플러그씨일(30;plug seal)이나 개스킷장치(31)에 의해 용기에 밀봉될 수 있다.
한편, 캡은 도 5에 도시된 방식으로 용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서, 분무하우징(17)은 제 1 체결용 가장자리(37)를 갖춘 제 1 환형림(32)을 구비한다. 용기(33)는 목부(34)를 구비한다. 목부는 제 2 체결용 가장자리(36)를 갖춘 제 2 환형림(35)을 구비한다. 제 1 체결용 가장자리(37)는 용기에 분무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제 2 체결용 가장자리(36)와 상호작용한다. 목부(5)와 용기(1) 사이의 연결부에는 환형홈(38)이 있다. 분무하우징의 스커트부(39)는 이 홈내로 뻗는다. 하우징과 목부의 림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방수씨일을 형성하기 위한 개스킷(40)이 위치된다. 다르게는 플러그씨일이 방수씨일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용기상에 분무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해, 분무하우징(17)은 용기의 목부 위에 압축된다. 스커트부(39)는 제 1환형림(32)이 제 2환형림(35)을 통과하도록 유연하게 굽혀진다. 제 1환형림이 제 2환형림을 통과한 후에, 스커트부의 탄성은 제 2환형림을 목부쪽으로 되돌리게 한다. 그 다음, 제 1 및 제 2 체결용 가장자리가 함께 위치되어 캡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39)는 홈(33)내로 뻗고, 홈(33)의 형상은 더 많은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스커트부의 가장자리들을 적소에 지지한다.
도 1로 다시 돌아가서, 슬라이드하우징(22)은 하우징(17)의 밸브벽(11,18) 사이의 공동부내에 수용된다. 슬라이드하우징(22)은 완전히 개방된 위치(도 1참조)와 완전히 폐쇄된 위치(도 2참조) 사이에서 길이방향축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다.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서, 제품용 통로(12)는 공급관(9)과 정렬되지 않으며, 공기용 통로(14)는 공기오리피스(13)와 정렬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하우징(22)은 공급관(9)과 공기오리피스(13)를 완전히 밀봉한다.
슬라이드하우징(22)은 하우징(17)의 밸브벽(11,18)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제거된다. 하우징(17)상의 림(23)은 슬라이드하우징의 안쪽 및 바깥쪽 이동을 제한한다. 슬라이드하우징(22)은 스템부(stem portion, 24)를 포함한다. 스템부(24)는 공기가 슬라이드하우징과 방사상의 리브(25) 사이에서 흐르도록 통로를 형성한 방사상의 리브(25)를 매개로 슬라이드하우징(22)과 일체로 주조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사상의 리브(25)는 바람직하게는 탄성끼움을 위해 45° 경사지게 위치된다. 제품용 통로(12)는 스템부(24)를 통과한다.
하우징(17)의 단부벽(27)은 스템부(2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폐쇄된 위치에서, 측벽(27)과 플러그씨일(50)은 제품용 통로(12)를 완전히 밀봉한다.
압착용기와 함께 사용된 본 발명의 분무배출장치의 작동은 이제 유체 및 공기의 경로를 기술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용기(1)를 압착할 때, 용기내의 압력은 추진유체(2)를 침액관(3) 위로 상승시킨다. 유체는 좁은 도관(6)을 통해 추진되고, 볼(8)을 도관(6)의 상부 위로 밀어서 볼체크밸브(7)를 개방한다. 그 다음, 유체는 제품용 통로(12)쪽 공급관(9)내로 자유롭게 흐르게 된다. 통로(12)로부터 유체흐름 은 분무오리피스(16)쪽 수평방향의 혼합체임버(15)내로 분사된다. 제품용 통로(12)가 분무오리피스에 직선상으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혼합체임버(15)와 연통되는 것을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다.
용기를 압착할 때, 압력의 증가는 또한 공기를 공기오리피스(13)를 거쳐 환형상의 통로(14)내로 용기의 유체 높이 위로 힘을 가한다. 혼합체임버(15)에 도달하기 위해 공기에 의해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는 액체가 공기보다 먼저 혼합체임버에 도달하지 않도록 액체에 의해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유체가 오리피스(16)에서 나오기 전에 공기와 혼합된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환형상의 공기용 통로(14)는 혼합체임버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고, 혼합체임버의 경사부 또는 원뿔형상부(19,20)와 직선상으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혼합체임버(15)와 연통된다. 경사부(19,20)는 통로(14)로부터의 환형상의 공기흐름을 통로(12)로부터 액체의 중앙의 수평흐름에 비스듬한 각도로 안내한다. 따라서, 공기의 환형상의 흐름은 분무오리피스(16)에 근접한 지점에서 액체의 중심흐름에 모이고 충돌한다. 액체는 분열되어 공기와 직접 혼합되게 하는 상당한 난류를 받는다. 미세한 분무는 작은 방울들이 대칭의 입자크기분포를 나타내는 원형이고 대칭인 분무패턴을 나타내는 오리피스(16) 밖으로 추진된다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압력이 용기상에 배출될 때, 장치는 외기가 오리피스(16)를 통해 용기내로 흡입될 때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한다. 오리피스(16)를 통한 공기의 흡입은 각 압착싸이클 후에 오리피스와 혼합체임버(15)를 세정하여 오리피스의 막힘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이 자기세정특성은 막힘이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점성제품의 경우에 특 히 바람직하다.
압력의 배출은 또한 액체가 볼(8)을 떨어뜨리는 공급관(9)을 하강시키게 하여, 좁은 도관(6)의 상부를 폐쇄한다. 볼(8)에 의한 도관(6)의 막힘은 공급관(3)의 액체를 가둘 것이다. 따라서, 다음 압착싸이클 동안 제품은 침액관의 매우 높은 높이에 위치되어, 분무가 방출되기 전에 시간이 덜 소요될 것이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은 압축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거의 순간적인 분무를 성취한다.
전술된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구체화하기 위해 참조로 설명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예가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며, 명세서와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실시예로 간주될 것이다.

Claims (13)

  1. 일정량의 액체와 이 액체 위의 공기를 수용하는 압착가능한 용기와;
    상기 일정량의 액체내로 뻗는 침액관(dip tube);
    플러그 씨일을 구비하고, 안쪽에 밸브수용부를 형성하여 구비하며, 밸브와, 내부에 혼합체임버를 형성하여 구비하는 경사부를 갖추되, 상기 경사부는 이 경사부의 종결부에서 밸브를 통해 형성되는 분무오리피스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밸브는 이 밸브의 개방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침액관을 연결하는 액체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액체용 통로는 스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분무오리피스쪽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부분과 상기 분무오리피스를 통해 정렬된 길이방향 축을 갖추며, 상기 밸브와 액체용 통로는 혼합체임버가 침액관으로부터의 연결이 끊어지는 폐쇄위치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된 분무기본체;
    상기 액체용 통로의 일부 둘레에 동심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혼합체임버와 일정량의 공기를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분무기본체의 경사부에 대해 직선상으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연통하되, 이 혼합체임버는 밸브의 폐쇄위치에서 용기의 내부와 연결이 끊어지도록 된 공기용 통로; 및
    상기 분무오리피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측면에 위치된 당김손잡이(pull knob);를 구비하되,
    상기 플러그 씨일은 상기 액체용 통로의 상기 스템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스템부는 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침액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으며,
    작동시 상기 공기용 통로로부터의 공기흐름이 분무기본체의 경사부에 의해 편향되어 혼합체임버내에 있는 액체용 통로에서 나오는 액체흐름의 중심부에 모이고 충돌하여서 이 액체흐름을 분무하는, 액체를 침액관 위로 올라가게 힘을 가하고 분무오리피스를 통해 액체 및 공기분무를 방출하도록 용기를 압착할 때 작동되는 압착용기용 분무기.
  2. 삭제
  3. 일정량의 액체와 이 액체 위의 공기를 수용하는 압착가능한 용기와;
    상기 일정량의 액체내로 뻗는 침액관(dip tube);
    플러그 씨일을 구비하고, 안쪽에 밸브수용부를 형성하여 구비하며, 밸브와, 내부에 혼합체임버를 형성하여 구비하는 경사부를 갖추되, 상기 경사부는 이 경사부의 종결부에서 밸브를 통해 형성되는 분무오리피스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밸브는 이 밸브의 개방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침액관을 연결하는 액체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액체용 통로는 스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분무오리피스쪽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부분과 상기 분무오리피스를 통해 정렬된 길이방향 축을 갖추며, 상기 밸브와 액체용 통로는 혼합체임버가 침액관으로부터의 연결이 끊어지는 폐쇄위치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는 2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분무기본체;
    상기 액체용 통로의 일부 둘레에 동심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혼합체임버와 일정량의 공기를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분무기본체의 경사부에 대해 직선상으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연통하되, 이 혼합체임버는 밸브의 폐쇄위치에서 용기의 내부와 연결이 끊어지도록 된 공기용 통로; 및
    상기 분무오리피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측면에 위치된 당김손잡이(pull knob);를 구비하되,
    상기 플러그 씨일은 상기 액체용 통로의 상기 스템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스템부는 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침액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으며,
    작동시 상기 공기용 통로로부터의 공기흐름이 분무기본체의 경사부에 의해 편향되어 혼합체임버내에 있는 액체용 통로에서 나오는 액체흐름의 중심부에 모이고 충돌하여서 이 액체흐름을 분무하는, 액체를 침액관 위로 올라가게 힘을 가하고 분무오리피스를 통해 액체 및 공기분무를 방출하도록 용기를 압착할 때 작동되는 압착용기용 분무기.
  4. 유지용 림(rim)을 갖춘 목부를 갖추고, 일정량의 액체와 이 액체 위의 공기를 수용하는 압착가능한 용기와;
    상기 일정량의 액체내로 뻗는 침액관(dip tube);
    플러그 씨일을 구비하고, 안쪽에 밸브수용부를 형성하여 구비하며, 밸브와, 내부에 혼합체임버를 형성하여 구비하는 경사부를 갖추되, 상기 경사부는 이 경사부의 종결부에서 밸브를 통해 형성되는 분무오리피스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밸브는 이 밸브의 개방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침액관을 연결하는 액체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액체용 통로는 스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분무오리피스쪽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부분과 상기 분무오리피스를 통해 정렬된 길이방향 축을 갖추며, 상기 밸브와 액체용 통로는 혼합체임버가 침액관으로부터의 연결이 끊어지는 폐쇄위치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지용 림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용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분무기본체; 및
    상기 액체용 통로의 일부 둘레에 동심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혼합체임버와 일정량의 공기를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분무기본체의 경사부에 대해 직선상으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연통하되, 이 혼합체임버는 밸브의 폐쇄위치에서 용기의 내부와 연결이 끊어지도록 된 공기용 통로;를 구비하되,
    상기 플러그 씨일은 상기 액체용 통로의 상기 스템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스템부는 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침액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으며,
    작동시 상기 공기용 통로로부터의 공기흐름이 분무기본체의 경사부에 의해 편향되어 혼합체임버내에 있는 액체용 통로에서 나오는 액체흐름의 중심부에 모이고 충돌하여서 이 액체흐름을 분무하는, 액체를 침액관 위로 올라가게 힘을 가하고 분무오리피스를 통해 액체 및 공기분무를 방출하도록 용기를 압착할 때 작동되는 압착용기용 분무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목부와 용기의 연결부에 환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분무기본체는 환형상의 홈으로 뻗는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를 갖추고, 상기 환형상의 홈은 상기 스커트부에 방사상 안쪽으로 힘을 작용하는 압착용기용 분무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액관 및 액체용 용기를 유체가 연통하게 하는 볼체크밸브를 추가로 구비하되, 이 볼체크밸브는 용기의 작동시 용기내의 액체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에서 침액관의 액체를 유지하는 압착용기용 분무기.
  7.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고, 공기오리피스와 액체오리피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씨일을 구비하는 분무기하우징과;
    상기 공동부내에 수용되고서, 공기통로를 구비하며, 스템부를 형성하는 액체통로를 구비하고, 혼합체임버와 출구오리피스를 구비하고,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고, 이 길이방향 축은 상기 출구오리피스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플러그 씨일은 상기 액체용 통로의 상기 스템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스템부는 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액체오리피스를 밀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용 통로는 분무노즐의 개방위치에서 혼합체임버 및 액체오리피스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용 통로는 분무노즐의 개방위치에서 혼합체임버와 공기오리피스를 연통되며, 상기 혼합체임버는 상기 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액체오리피스와 공기오리피스와의 연통이 끊어지는, 압착용기용 분무기를 위한 배출헤드.
  8. 제 7항에 있어서, 분무오리피스와 동일한 밸브측면에 위치된 당김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는 배출헤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용기내의 액체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에서 침액관의 액체를 유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배출헤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침액관에서 액체의 높이를 유지하는 수단은 볼체크밸브인 배출헤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체크밸브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공급관을 갖추는 한편, 상기 액체오리피스에 위치된 유지용 리브(rib)를 추가로 구비하는 배출헤드.
  12.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와, 이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에 있는 제1 체결용 가장자리를 갖추고 있고, 일체화된 밸브를 구비하는 분무하우징과;
    목부와, 이 목부에 있는 제2 체결용 가장자리 및, 상기 목부와의 결합부에 형성된 환형상의 홈을 갖춘 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체결용 가장자리와 제 2 체결용 가장자리는 상호작용하여 상기 용기에 상기 분무하우징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연성 있는 스커트부와 환형상의 홈은 상호작용하여 추가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상의 홈은 상기 스커트부에 대해 안쪽으로 방사상의 힘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분무배출기를 갖춘 용기.
  13. 삭제
KR1020027008086A 1999-12-22 2000-12-22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KR100747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70,892 1999-12-22
US09/470,892 US6398133B1 (en) 1999-12-22 1999-12-22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346A KR20020080346A (ko) 2002-10-23
KR100747116B1 true KR100747116B1 (ko) 2007-08-09

Family

ID=2386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086A KR100747116B1 (ko) 1999-12-22 2000-12-22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398133B1 (ko)
EP (1) EP1242148B1 (ko)
JP (1) JP4877623B2 (ko)
KR (1) KR100747116B1 (ko)
CN (1) CN1255196C (ko)
AR (1) AR030544A1 (ko)
AT (1) ATE333951T1 (ko)
AU (1) AU775370B2 (ko)
BR (1) BR0016600A (ko)
CA (1) CA2395475A1 (ko)
CO (1) CO5290287A1 (ko)
CZ (1) CZ20022186A3 (ko)
DE (1) DE60029629T2 (ko)
ES (1) ES2269219T3 (ko)
MX (1) MXPA02006278A (ko)
MY (1) MY126874A (ko)
PL (1) PL196017B1 (ko)
RU (1) RU2256473C2 (ko)
TW (1) TW530019B (ko)
WO (1) WO2001045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8901B2 (en) * 2001-01-12 2004-03-23 Johnsondiversey, Inc. Multiple function dispenser
US6637671B2 (en) * 2001-10-22 2003-10-28 S.C. Johnson & Son, Inc. Reduced risk dispensing of petroleum distillate based household products
ITRM20030055A1 (it) * 2003-02-10 2004-08-11 Emsar Spa Testa erogatrice a nebulizzazione per flacone deformabile elasticamente per schiacciamento.
US7621425B2 (en) * 2005-12-20 2009-11-24 Genx Innovations, Llc Apparatus for controlled initiation of fluid-flow from an inverted container
US8376192B2 (en) 2008-03-24 2013-02-19 Mary Kay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s using a press-fit diptube
USD636668S1 (en) 2008-03-24 2011-04-26 Mary Kay Inc. Dip tubes
US9789502B2 (en) 2008-06-05 2017-10-17 Mary Kay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s using a removable bottle
US9120108B2 (en) * 2012-07-03 2015-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generating dispenser
CA2883370A1 (en) 2012-08-31 2014-03-06 Arminak & Associates, Llc Inverted squeeze foamer
JP6683565B2 (ja) * 2016-07-29 2020-04-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霧切替式吐出器
WO2018064118A1 (en) * 2016-09-27 2018-04-05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Squeeze sprayer for fluid products
RU185121U1 (ru) * 2017-09-25 2018-11-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оминант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FR3071752B1 (fr) 2017-10-02 2022-07-22 Oreal Capsule a ouverture par traction equipee d’une reprise d’air
JP6932454B2 (ja) * 2017-11-30 2021-09-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2749A (en) * 1978-02-27 1979-07-31 Risdon Manufacturing Company Squeezable dispenser with outlet closure
US4979648A (en) * 1989-07-31 1990-12-25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Child resistant push-pull dispensing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345A (en) 1887-08-16 leitet
GB190110176A (en) 1901-05-16 1901-08-31 William Henry Bennett Improvements in "Drip-catching" Devices for Bottles, Jugs, Teapots, and other Receptacles
US1639059A (en) 1921-02-12 1927-08-16 Saloun Martin Preserving receptacle
US1716525A (en) 1928-11-12 1929-06-11 Silvestre V Leong Spraying or atomizing device
US2125788A (en) 1934-07-27 1938-08-02 Charles W Johnson Closure for bottles, jars, and like containers
US2731053A (en) 1953-06-19 1956-01-17 Compule Corp Medical containers and their closures
US2879924A (en) 1954-02-12 1959-03-31 Dan Campbell Dispensing device
US2823836A (en) 1954-09-29 1958-02-18 J Y L Cervello Means for delivering a liquid from a flexible bottle
US2823249A (en) 1954-12-09 1958-02-11 Thomas & Betts Corp Snap-on pigtail connector
US2961169A (en) 1958-09-09 1960-11-22 Nyden Robert Valved closures for containers
US3090529A (en) 1961-03-13 1963-05-21 Lipman Elmer Liquid container closure and dispensing means
ES266651A1 (es) 1961-04-17 1961-08-01 Draher Soc Anenima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envases flexibles
GB1085445A (en) 1961-04-21 1967-10-04 Wilhelm Josef Raeh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for aerosol dispensers
US3255934A (en) 1964-04-07 1966-06-14 Eskimo Pie Corp Squeeze-spray dispensing package
US3355072A (en) 1964-10-06 1967-11-28 Riddell Products Ltd Spray dispensing apparatus
FR1418921A (fr) * 1964-10-12 1965-11-26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têtes de vaporisation
SE316128B (ko) 1965-07-23 1969-10-13 Ind Cervello Sa
US3371825A (en) * 1966-05-12 1968-03-05 Multiform Desiccant Products I Sorptive getter for pressure discharge dispensers
US3794247A (en) * 1972-11-22 1974-02-26 Corsette Douglas Frank Spray fitment for squeeze bottles
US3856170A (en) 1973-06-14 1974-12-24 M Kessler Snap-top bottle cap with safety pry-off
US4102476A (en) * 1977-02-22 1978-07-25 Ciba-Geigy Corporation Squeeze bottle dispenser with air check valve on cover
IT1092596B (it) 1978-02-09 1985-07-12 Ruscitti Tommaso Pompetta a mano per dispensare liquidi micronizzati a pressione prestabilita
US4223842A (en) * 1978-12-04 1980-09-23 Ethyl Corporation Squeeze bottle atomizer
US4211346A (en) 1979-01-08 1980-07-08 Sybron Corporation Variable volume dispensing bottle with push-pull closure
US4253588A (en) * 1979-04-30 1981-03-03 William Morris Lester Dispensing closure with disc-like membrane valve member
DE3066837D1 (en) * 1979-08-16 1984-04-12 Canyon Corp Foam dispenser
US4401270A (en) 1981-08-14 1983-08-30 Mckinney James C Sprayer for squeeze bottle
US4453647A (en) * 1983-01-26 1984-06-12 Neat Benjamin C Plastic container having threaded closure
FR2545573B1 (fr) 1983-05-05 1986-06-20 Promotion Rech Innovation Tec Valve doseuse
US4773570A (en) 1983-06-14 1988-09-27 Interscents N.V. Discharge device for a deformable container
US4530466A (en) 1983-06-17 1985-07-23 Ethyl Molded Products Company Spray nozzle
DE3561939D1 (en) 1984-08-23 1988-04-28 Hafina Treufinanz Ag Container provided with a closure
US4792067B1 (en) 1985-05-13 1999-02-16 Aptargroup Inc Mounting cup
US4773553A (en) 1985-09-12 1988-09-27 Risdon Corporation Assembly for securing and sealing a dispenser to a flanged container
US4711378A (en) 1986-03-24 1987-12-08 S. C. Johnson & Son, Inc. Spray cap assembly comprising a base unit and push/pull closure means
JPH0773936B2 (ja) * 1986-07-22 1995-08-09 株式会社東芝 文書作成装置
JPH0212365A (ja) * 1988-06-29 1990-01-17 Nec Corp ワードプロセッサ
US4898307A (en) 1988-08-25 1990-02-06 Goody Products, Inc. Spray caps
US4878604A (en) 1988-08-31 1989-11-07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closure
JPH02102365A (ja) * 1988-10-12 1990-04-13 Hitachi Ltd 燃料噴射装置
DE3911183C1 (ko) 1989-04-06 1990-05-31 Bielsteiner Verschlusstechnik Gmbh, 5270 Gummersbach, De
JPH0212365U (ko) * 1989-06-30 1990-01-25
US5183186A (en) 1991-08-15 1993-02-02 Emson Research Inc. Spray dispensing device having a tapered mixing chamber
US5273191A (en) * 1991-08-20 1993-12-28 Philip Meshberg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US5620113A (en) 1992-05-22 1997-04-15 Meshberg; Philip Dispenser and method of its use
US5667104A (en) 1992-05-22 1997-09-16 Meshberg; Philip Directional dispenser and method of its use
US5593064A (en) 1993-12-09 1997-01-14 Meshberg; Philip Promotional dispenser and method for its use
US5328061A (en) 1992-11-18 1994-07-12 Jeffrey M. Libit Sliding dispensing cap and dispensing stopper
US5390828A (en) 1993-05-20 1995-02-21 Aptargroup, Inc. Closure with two-part slidable dispensing cap
IT1270138B (it) * 1994-05-25 1997-04-29 Giovanni Albini Erogatore di fluidi in pressione nebulizzati , provvisto do otturatore mobile per azione del fluido in pressione
US5562219A (en) 1994-09-22 1996-10-08 Valois, S.A. Device for attaching a dispenser member to a receptacle
US5622317A (en) * 1994-12-12 1997-04-22 Contico International, Inc. Pressure buildup trigger sprayer
DE19533134A1 (de) * 1995-09-07 1997-03-13 Chapon Behälterverschluß
US5875918A (en) 1997-02-20 1999-03-02 Charles Chang Hermetically-sealed container and closure construction
US6050504A (en) * 1998-05-06 2000-04-18 Emson, Inc. Spray dispensing device using swirl passages and using the Bernoulli effe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2749A (en) * 1978-02-27 1979-07-31 Risdon Manufacturing Company Squeezable dispenser with outlet closure
US4979648A (en) * 1989-07-31 1990-12-25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Child resistant push-pull dispensing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33951T1 (de) 2006-08-15
AU2450501A (en) 2001-07-03
PL196017B1 (pl) 2007-11-30
CO5290287A1 (es) 2003-06-27
MXPA02006278A (es) 2003-09-25
DE60029629T2 (de) 2007-07-12
EP1242148B1 (en) 2006-07-26
RU2002117019A (ru) 2004-03-27
BR0016600A (pt) 2003-07-15
AU775370B2 (en) 2004-07-29
EP1242148A4 (en) 2003-04-23
CN1255196C (zh) 2006-05-10
RU2256473C2 (ru) 2005-07-20
PL364877A1 (en) 2004-12-27
DE60029629D1 (de) 2006-09-07
CN1434735A (zh) 2003-08-06
WO2001045798A1 (en) 2001-06-28
MY126874A (en) 2006-10-31
ES2269219T3 (es) 2007-04-01
TW530019B (en) 2003-05-01
CZ20022186A3 (cs) 2003-01-15
AR030544A1 (es) 2003-08-27
US6398133B1 (en) 2002-06-04
JP4877623B2 (ja) 2012-02-15
JP2003520663A (ja) 2003-07-08
EP1242148A1 (en) 2002-09-25
CA2395475A1 (en) 2001-06-28
KR20020080346A (ko)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116B1 (ko)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
EP0528559B1 (en) Spray dispensing device
AU767639B2 (en) High volume aerosol valve
KR20030015271A (ko) 압착배출기용 가변방출식 배출헤드
EP2181771B1 (en) Dome pump spray assembly
US4024992A (en) Air atomizer bottle sprayer with screw cap
EP1230984B1 (en) Airless sprayer for a squeeze bottle
US4711378A (en) Spray cap assembly comprising a base unit and push/pull closure means
KR20020087075A (ko) 압착배출기용 배출헤드를 이용하는 방법
US6250568B1 (en) Squeeze bottle aspirator
US3409182A (en) Squeeze bottl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