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31B1 -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31B1
KR100906731B1 KR1020070110119A KR20070110119A KR100906731B1 KR 100906731 B1 KR100906731 B1 KR 100906731B1 KR 1020070110119 A KR1020070110119 A KR 1020070110119A KR 20070110119 A KR20070110119 A KR 20070110119A KR 100906731 B1 KR100906731 B1 KR 10090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ipe
fixed
clamp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161A (ko
Inventor
김진왕
Original Assignee
김진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왕 filed Critical 김진왕
Priority to KR102007011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3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경에 편차를 갖는 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하고, 복수의 배관을 하나의 배관 고정 장치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며, 배관을 밴딩하여 상기 설치면 위에 고정 지지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밴드 클램프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삽입되는 상기 밴드의 타단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밴드에 삽입된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밴드 클램프, 배관 고정 장치, 밴딩, 클램핑, 배관

Description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고정 방법{Apparatus for holding pipe having band clamp and Method for holding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이나 외벽에 배관을 고정 설치하는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 고정 장치는 천장이나 외벽과는 설치면에 배관을 설치할 때, 배관을 설치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켜 고정하고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배관 고정 장치는 배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태로, 배관에 탈착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배관 고정 장치와 배관은 제조 공차를 갖기 때문에, 배관 고정 장치와 배관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거나 배관 고정 장치에 배관이 꽉 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배관 고정 장치가 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배관 고정 장치가 배관에 과도한 압력을 작용하기 때문에, 배관을 손상시키거나 배관 고정 장치를 배관에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고정 장치는 설치할 수 있는 배관의 종류가 한 종류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의 외경에 따라서 다른 배관 고정 장치를 준비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배관 고정 장치는 하나의 배관 밖에 설치하지 못하기 때문에, 설치할 배관의 수가 많은 경우 설치할 배관 수에 대응되는 많은 배관 고정 장치들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배관마다 개별적으로 배관 고정 장치를 이용해서 설치면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는 배관의 수는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직경에 편차를 갖는 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복수의 배관을 하나의 배관 고정 장치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며, 배관을 밴딩하여 상기 설치면 위에 고정 지지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밴드 클램프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삽입되는 상기 밴드의 타단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밴드에 삽입된 상기 배관을 고정 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배관 고정 장치를 이용한 배관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방법은, (a) 복수의 배관 사이에 인터포저가 개재된 상기 복수의 배관 부분을 상기 밴드에 위치시키는 과정과, (b) 상기 클램프에 상기 밴드를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로 밴드를 클램핑하여 상기 복수의 배관을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방법은, 상기 (a) 과정 전 또는 상기 (b) 과정 후에 진행되는, 설치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된 설치대의 타단부에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여 상기 배관 고정 장치를 상기 설치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는 밴드 클램프를 구비하기 때문에, 배관의 외경에 맞게 밴드의 폭을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외경에 편차를 갖는 배관을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 클램프의 밴드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의 외경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관을 밴드 클램프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설치면에서 많은 수의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복수의 배관 사이에 인터포저를 개재하여 배관 고정 장치로 설치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배관 사이의 기계적인 접촉에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와 밴드 클램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60)는 설치면(95)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91)의 타단부가 체결된다. 그리고 밴드 클램프(70)는 지지부(60)에 고정 설치되며, 배관(93)을 밴딩하여 설치면(95) 위에 고정 지지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부(60)는 밴드 클램프(70)와 설치대(91)의 연결을 매개하는 부분으로서, 지지몸체(61)와 너트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몸체(61)는 너트부(63)가 일정 유격을 갖고 결합되는 결합판(65)과, 결합판(65)과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판(65)을 중심으로 양쪽이 하향 절곡되어 서로 밀착되는 한 쌍의 고정판(67)을 포함하며, 고정판(67) 사이에 밴드(10)의 허리 부분(17)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너트부(63)의 내주면에는 암나나산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대(91)의 외주면에는 너트부(63)의 암나사산에 대응되게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 클램프(70)는 밴드(10)와, 밴드(10)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램프(20)는 삽입되는 밴드(10)의 타단부를 클램핑 하여 밴드(10)에 위치한 배관(93)을 고정한다. 이때 밴드 클램프(70)로는 제2007-103939호에 개시된 롤러 방식의 밴드 클램프를 개시하였지만, 한국특허출원 제2007-102552호에 개시된 롤러 방식의 밴드 클램프 또는 볼트 방식의 밴드 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밴드 클램프(7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밴드(10)는 일정 길이를 갖는다. 클램프(20)는 베이스판(31)을 갖는 클램프 몸체(30), 고정롤러(40) 및 핸들(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31)에는 밴드(10)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슬롯(31c)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31)과 고정롤러(40) 사이에 삽입되는 밴드(10)의 타단부를 베이스판(31)과 고정롤러(40)가 맞물려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고정롤러(40)의 조작은 핸들(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밴드(10)와 클램프(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성형 금형을 이용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 클램프(70)는 핸들(5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베이스판(31)과 고정롤러(40) 사이에 삽입되는 밴드(10) 부분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특히 밴드(10)는 허리 부분(17)이 지지부(60)의 고정판(67)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밴드의 허리 부분(17)은 용접으로 고정판(67)에 고정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그 외 리벳, 납땜이나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밴드의 허리 부분(17)은 클램프(20)가 설치되는 일단부와 클램프(20)에 고정되는 타단부 사이의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밴드(10)의 중심 부분일 수 있다. 즉 지지 부(60)에 고정되는 밴드의 허리 부분(17)이 타단부나 일단부에 가까울수록 클램프(20)로 밴드(1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밴드의 허리 부분(17)으로는 밴드(10)의 중심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설치면(95)에 배관(93)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 5 내지 도 7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은 순차적으로 한 개, 두 개 및 세 개의 배관을 배관 고정 장치로 설치면에 고정 설치한 예를 개시하였다. 배관에 하나의 배관 고정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배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배관 고정 장치(100)가 설치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면(95) 위에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한다. 즉 설치면(95)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91)의 타단부를 지지부(60)의 너트부(63)에 체결하여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면(95) 위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배관 고정 장치(100)로는 배관(93)의 외경보다는 긴 밴드(10)를 갖는 밴드 클램프(70)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배관(93)을 밴드(10)로 감을 수 있도록, 배관(93)을 밴드(10)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밴드 클램프(70)의 핸들(50)을 제 2 가이드(39)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밴드(10)의 타단부를 클램프(20)에 삽입하여 배관(93)을 밴드 클램프(70)로 조인다.
다음으로 핸들(50)을 제 2 가이드(39) 쪽에서 제 1 가이드(37)쪽으로 회전시 킴으로써, 클램프(20)가 밴드(10)를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관(93)이 밴드 클램프(70)에 의해 밴딩된다.
반대로 밴드 클램프(70)의 밴딩을 해제하는 방법은 핸들(50)을 제 1 가이드(37) 쪽에서 제 2 가이드(39)쪽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는 밴드(10)를 배관(93)의 외경에 맞게 조절한 후 클램프(20)로 밴드(10)를 고정하여 배관(93)을 고정하기 때문에, 직경에 편차를 갖는 배관(93)을 안정적으로 설치면(95)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는 밴드 클램프(70)의 밴드(20)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한 종류의 배관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경을 갖는 배관(93)을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방법은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대(91)를 매개로 설치면(95)에 설치한 이후에 배관 고정 장치(100)에 배관(93)을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진행할 수도 있다. 즉 배관(93)에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한 후에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대(91)를 매개로 설치면(95)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두 개의 배관(93a, 93b)을 배관 고정 장치(100)로 고정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면 위에서 인출된 설치대(91)에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한다.
이어서 두 개의 배관(93a, 93b)을 밴드(10)로 감을 수 있도록, 두 개의 배관(93a, 93b)을 밴드(10)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두 개의 배관(93a, 93b)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경우, 배관(93a, 93b) 사이에 인터포저(92; interposer)를 개재한다.
인터포저(92)는 두 개의 배관(93a, 93b)의 일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94)이 형성되어 있다. 인터포저(92)는 두 개의 배관(93a, 93b)이 함께 밴드(10)에 안정적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인터포저(92)와 두 개의 배관(93a, 93b)의 외곽이 원형 형태를 이룰 수 있는 인터포저를 사용한다. 따라서 두 개의 배관(93a, 93b) 사이에 개재되는 인터포저(92)는 양쪽이 볼록하고 중간 부분이 오목한 아령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즉 인터포저(92)의 오목한 부분은 삽입홈(94)을 형성하고, 양쪽의 볼록한 부분(96)은 두 개의 배관(93a, 93b) 사이로 돌출되어 밴드(10)와 접촉한다. 인터포저(92)의 소재로는 금속,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밴드 클램프(70)의 핸들(50)을 제 2 가이드(39)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밴드(10)의 타단부를 클램프(20)에 삽입하여 두 개의 배관(93a, 93b)을 밴드 클램프(70)로 조인다.
다음으로 핸들(50)을 제 2 가이드(39) 쪽에서 제 1 가이드(37)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램프(20)가 밴드(10)를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두 개의 배관(93a, 93b)이 밴드 클램프(70)에 의해 밴딩된다. 이때 두 개의 배관(93a, 93b) 사이에 인터포저(92)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배관(93a, 93b)을 밴드 클램프(70)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밴드 클램프(70)의 밴딩을 해제하는 방법은 핸들(50)을 제 1 가이 드(37) 쪽에서 제 2 가이드(39)쪽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두 개의 배관(93a, 93b)을 배관 고정 장치(100)로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배관(93a, 93b, 93c)을 하나의 배관 고정 장치(100)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세 개의 배관(93a, 93b, 93c)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경우, 배관들(93a, 93b, 93c) 사이에 인터포저(92)를 개재한다.
인터포저(92)는 세 개의 배관(93a, 93b, 93c)의 일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94)이 형성되어 있다. 인터포저(92)는 세 개의 배관(93a, 93b, 93c)이 함께 밴드(10)에 안정적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인터포저(92)와 세 개의 배관(93a, 93b, 93c)의 외곽이 원형 형태를 이룰 수 있는 인터포저(92)를 사용한다. 따라서 세 개의 배관(93a, 93b, 93c) 사이에 개재되는 인터포저(92)는 배관(93a, 93b, 93c)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오목하게 삽입홈(94)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과 배관 사이의 볼록한 부분(96)은 배관(93a, 93b, 93c) 사이로 돌출되어 밴드(10)와 접촉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동일한 외경을 갖는 복수의 배관을 하나의 배관 고정 장치(100)로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배관들을 함께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는 다양한 외경을 갖는 복수의 배관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2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60), 밴드 클램프(170) 및 서포트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60)는 설치면(195)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191)의 타단부가 체결된다. 서포트부(180)는 일단부가 지지부(160)에 고정되며, 배관(193)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밴드 클램프(170)는 서포트부(180)에 고정 설치되며, 배관(193)을 밴딩하여 고정한다.
특히 서포트부(180)는 밴드 클램프(170)의 밴드(110)가 갖는 고정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포트부(180)의 일단부는 지지부(160)의 고정판(167)에 볼트(185)와 너트(187)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서포트부(180)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슬롯(18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110)의 허리 부분(117)이 슬롯(181)에 지그재그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밴드 클램프(170)의 밴드(110)의 타단부를 서포트부(180)의 슬롯(181)에 지그재그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서포트부(180)와 면접촉하는 밴드의 허리 부분(117)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은 서포트부(180)에 용접이나 리벳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 183은 밴드(110)와 서포트부(180)가 용접된 부분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183a는 용접을 위해 서포트부(180)에 형성한 구멍이다.
서포트부(180)는 밴드(110)의 보강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밴드(110)에 비해서 폭이 넓고 두께는 두껍다. 서포트부(180)를 포함하는 밴드(110) 사이에 배관(193)을 삽입할 수 있도록, 서포트부(180)는 반고리 형태를 갖는다.
서포트부(180)에 설치된 밴드 클램프(170)의 클램프(120)는 지지부(160)에 가까운 서포트부(180)의 일단부보다는 서포트부(180)의 타단부에 가깝게 설치되며, 이는 밴드 클램프(170)를 이용한 배관(193)의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200)를 이용하여 설치면(195)에 배관(193)이 설치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200)를 이용하여 배관(193)을 고정 설치하는 방법은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과 동일한 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배관 고정 장치(200)가 한 개의 배관(193)을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밴드 클램프(170)의 밴드(110)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외경을 갖는 배관의 고정에 사용되거나 복수개의 배관을 일괄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관을 일괄적으로 고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배관 사이에는 인터포저가 개재된다.
제 3 실시예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밴드 클램프(170)는 밴드(110)가 서포트부(180)의 슬롯(181)에 지그재그로 결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부(280)를 밴드의 허리 부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300)는 지지부(260), 서포트부(280) 및 밴드 클램프(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260)는 설치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의 타단부가 체결된다. 서포트부(280)는 일단부가 지지부(260)에 고정되며, 배관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밴드 클램프(270)는 서포트부(280)에 고정 설치되며, 배관을 밴딩하여 고정한다.
특히 밴드 클램프(270)는 서포트부(280)의 양단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밴드부(210a, 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밴드부(210a)는 일단이 서포트부(280)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과 연결된 타단에 클램프(2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밴드부(210b)는 제 1 밴드부(210a)와 분리되어 있으며, 제 1 밴드부(210a)가 고정되는 서포트부(280) 부분의 맞은 편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일단과 연결된 타단이 클램프(220)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밴드부(210a, 210b)의 일단은 서포트부(280)에 용접이나 리벳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 283은 용접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서포트부(280)는 밴드(210)의 허리 부분으로 사용된다.
한편 제 3 실시예에서는 서포트부(280)의 내측면에 제 1 및 제 2 밴드부(210a, 210b)의 일단을 고정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2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부의 양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밴드부의 일단을 삽입시킨 후 용접이나 리벳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서포트부의 외측면에 제 1 및 제 2 밴드부의 일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밴드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밴드 클램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배관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배관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관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관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배관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밴드 20 : 클램프
60 : 지지부 70 : 밴드 클램프
93, 193 : 배관 100, 200, 300 : 배관 고정 장치
180, 280 : 서포트부

Claims (14)

  1. 설치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지지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클램프는,
    슬롯(31c)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슬롯이 형성된 방향에 수직한 상기 베이스판의 마주보는 양측면이 돌출된 클램프 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슬롯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을 통하여 베이스판의 일측 밖으로 뻗어 있는 밴드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고정롤러 사이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타단부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허리 부분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배관의 허리 부분이 고정되는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슬롯(1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의 허리 부분은 상기 서포트부의 슬롯에 지그재그로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와 면접촉하는 상기 밴드의 부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은 상기 서포트부에 용접 또는 리벳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일단이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일단과 연결된 타단에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제 1 밴드부와;
    상기 제 1 밴드부와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밴드부가 고정되는 상기 서포트부 부분의 맞은 편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일단과 연결된 타단이 상기 클램프에 삽입되는 제 2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부의 일단은 상기 서포트부에 용접 또는 리벳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되는 배관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복수의 배관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인터포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포저에는 상기 복수의 배관의 일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의 소재는 금속, 고무,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KR1020070110119A 2007-10-31 2007-10-31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KR10090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119A KR100906731B1 (ko) 2007-10-31 2007-10-31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119A KR100906731B1 (ko) 2007-10-31 2007-10-31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161A KR20090044161A (ko) 2009-05-07
KR100906731B1 true KR100906731B1 (ko) 2009-07-07

Family

ID=4085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119A KR100906731B1 (ko) 2007-10-31 2007-10-31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99A (ko) * 2020-10-23 2022-05-02 이동준 장착구의 직경 조절이 가능한 덕트 지지용 행거 장치
KR102652791B1 (ko) 2023-09-25 2024-03-28 반명환 배관용 행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775A (en) * 1997-01-21 1999-09-07 Calmettes; Lionel Gripping collar
KR200169555Y1 (ko) * 1999-08-21 2000-02-15 이상용 볼트 및 너트가 용접 고정된 파이프 서포트
KR200409512Y1 (ko) * 2005-11-16 2006-02-24 (주)창신산업 절연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775A (en) * 1997-01-21 1999-09-07 Calmettes; Lionel Gripping collar
KR200169555Y1 (ko) * 1999-08-21 2000-02-15 이상용 볼트 및 너트가 용접 고정된 파이프 서포트
KR200409512Y1 (ko) * 2005-11-16 2006-02-24 (주)창신산업 절연 파이프 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99A (ko) * 2020-10-23 2022-05-02 이동준 장착구의 직경 조절이 가능한 덕트 지지용 행거 장치
KR102442784B1 (ko) 2020-10-23 2022-09-15 이시원 장착구의 직경 조절이 가능한 덕트 지지용 행거 장치
KR102652791B1 (ko) 2023-09-25 2024-03-28 반명환 배관용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161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EP1044871B1 (en) Conduit guides for bicycles
WO2019209806A1 (en) Snap-on tube and pipe support clamp
JP2625304B2 (ja) 取付けク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KR100906731B1 (ko)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JP2009509108A (ja) 縦長の対象装置を保持する装置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CN214465336U (zh) 多功能弹性卡箍
CN107850250B (zh) 软管夹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JP2017057704A (ja) ブレース連結金具
KR20150019500A (ko) 풀림 방지용 배관 연결장치
JP2019128037A (ja) 管クリップ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JPH04370485A (ja) 配管支持具
JP2008263746A (ja) 柱状立設体への線状体の保持構造及びその保持方法
JP5291498B2 (ja)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TWI825611B (zh) 包含用於容納多種管尺寸之蝸輪的支撐管夾
JP3240670U (ja) 固定具
KR20130002878A (ko)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JP2024041152A (ja) 配管保持部材及び配管保持方法
JP2009250435A (ja) ヘッダー補強部材、補強付き連結式ヘッダー、及び連結式ヘッダー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