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878A -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 Google Patents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878A
KR20130002878A KR1020110064101A KR20110064101A KR20130002878A KR 20130002878 A KR20130002878 A KR 20130002878A KR 1020110064101 A KR1020110064101 A KR 1020110064101A KR 20110064101 A KR20110064101 A KR 20110064101A KR 20130002878 A KR20130002878 A KR 2013000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using
elastic body
clamp body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096B1 (ko
Inventor
조청용
김진우
김명훈
박규동
Original Assignee
(주)동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금속 filed Critical (주)동아금속
Priority to KR102011006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0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16L33/085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with a scroll-typ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결합홈이 이격하여 배치된 클램프바디와, 클램프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클램프바디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하우징과, 고정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하우징을 통해 삽입되는 클램프바디의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램프의 결합홈은 클램프바디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는 고정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나사부를 이용하여 클램프의 체결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램프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경우, 클램프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고정하우징 및 나사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나사부에 탄성체를 삽입하여 관에 체결된 클램프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요성 관에 체결되는 경우, 나사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관의 외면에 맞닿지 않도록 하여 관의 외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며, 결합홈이 형성된 클램프바디를 가압하여 보다 용이하게 나사부가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CLAMP HAVING ELASTIC BODY}
본 발명은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호스와 같은 관을 고정시키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에 관한 분야이다.
호스와 같은 관을 결속시키는 클램프는 결속 후 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진동, 클램프 자체의 인장 등에 의하여 결속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클램프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클램프를 교체하여 새로 결속하거나 클램프와 관 사이에 부피가 있는 팁 등을 삽입시켜 약해진 결속력을 보완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를 교체하는 경우 클램프의 교체에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며, 팁 등을 클램프와 관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 삽입된 팁에 의해 클램프가 과도하게 인장되어 결국 클램프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클램프의 체결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램프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경우, 클램프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클램프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탄성체를 이용하여 관에 체결된 클램프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가요성 관에 체결되는 경우, 클램프가 가요성 관의 외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결합홈이 이격하여 배치된 클램프바디와, 클램프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클램프바디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하우징과, 고정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하우징을 통해 삽입되는 클램프바디의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결합홈은 클램프바디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고정하우징은 클램프바디의 일측과 결합되는 하우징베이스와, 하우징베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나사부가 배치되며, 클램프바디의 일측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커버로 이루어지며, 하우징커버에는 나사부의 회전시 하우징커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하우징베이스와 하우징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하우징커버의 일측에는 공간부에 삽입된 나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나사부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원통형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헤드와,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공간부에 삽입된 나사산과, 나사산과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걸림턱이 삽입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나사산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본체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나사부가 공간부에 삽입되는 경우, 탄성체의 타단은 하우징커버의 일측과 맞닿고, 탄성체의 일단은 헤드와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하우징커버의 일측에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로드가 형성되어, 공간부를 통해 삽입된 클램프바디를 하부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고정하우징의 일측, 클램프바디 상에는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고정하우징에 삽입되는 클램프바디의 결합홈과 클램프바디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는 고정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나사부를 이용하여 클램프의 체결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램프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경우, 클램프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고정하우징 및 고정나사산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나사산에 탄성체를 삽입하여 관에 체결된 클램프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요성 관에 체결되는 경우, 고정나사산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관의 외면에 맞닿지 않도록 하여 관의 외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며, 결합홈이 형성된 클램프바디를 가압하여 보다 용이하게 나사부가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 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4 (a)는 도 1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고정하우징의 분해도이며, 도 4 (b)와 (c) 는 도 4 (a)에 도시된 고정하우징의 결합도이고, 도 5에 도시된 (a)'와(b)'.(c)'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다른 각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 전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4 (a)는 도 1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고정하우징의 분해도이며, 도 4 (b)는 도 4 (a)에 도시된 고정하우징의 결합도이고, 도 5에 도시된 (a)'와(b)'.(c)'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다른 각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결합홈(110)이 이격하여 배치된 클램프바디(100)와, 클램프바디(100)의 타측에 배치되고, 클램프바디(10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하우징(200)과, 고정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하우징(200)을 통해 삽입되는 클램프바디(100)의 결합홈(110)에 삽입결합되는 나사부(300)를 포함한다.
클램프바디(100)는 호스와 같은 관의 외면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 관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프바디(100)의 일측(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는 결합홈(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10)은 나사부(30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된 결합홈(110)이 복수 개가 형성된다.
고정하우징(200)은 클램프바디(10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클램프바디(100)의 타측(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클램프바디(100)의 일단을 고정하우징(200)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바디(100)는 대략 원 형상으로 변형된다.
나사부(300)는 고정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하우징(200)을 통해 삽입되는 클램프바디(100)의 결합홈(110)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고정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결합홈(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바디(10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를 갖고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프바디(100)을 고정하우징(200)에 삽입한 후 나사부(300)를 회전시키는 경우 클램프바디(100)에 형성된 결합홈(110)이 순차적으로 나사부(300)에 맞물리며 클램프바디(100)와 고정하우징(200)은 상호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클램프바디(100)는 관의 외면에 힘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나사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230)에 삽입되는 원통형 본체(310)와, 본체(310)의 일측에 형성된 헤드(320)와, 본체(310)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산(330)을 포함한다.
본체(3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앞에서 설명한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산은 본체(310)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310)의 타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하우징(200)의 외측에 돌출된 헤드(320)가 형성된다.
헤드(320)는 고정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고정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헤드(320)의 일단면에 '+' 또는 '-'자 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고정하우징(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바디(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하우징베이스(210)와, 하우징베이스(210)에 결합되고, 내부에 나사부(300)가 배치되며 클램프바디(100)의 일측이 삽입되는 공간부(230)를 형성하는 하우징커버(2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베이스(210)와 하우징커버(220)는 도 5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하우징(200)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베이스(210)에 하우징커버(220)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우징베이스(210)의 상면 양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로드(211)가 형성되며, 하우징커버(220)의 양측에는 삽입로드(2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로드(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2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홈(224)에 삽입로드(211)를 관통시킨 후 삽입로드(211)를 가압하여 절곡시켜, 삽입홈(224)에서 삽입로드(21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베이스(210)와 하우징커버(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하우징커버(2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00)의 회전시 하우징커버(22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리브(221)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커버(220)에는 공간부(230)에 삽입된 나사부(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22)이 형성되며, 나사부(300)의 본체(310)와 헤드(320) 사이에는 걸림턱(222)이 삽입되는 체결홈(340)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00)의 본체(310) 일 부분과 나사산(330)을 공간부(230)에 삽입한 뒤, 하우징커버(220)의 걸림턱(222)이 체결홈(3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시켜, 나사부(300)를 고정하우징(2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걸림턱(222)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홈(240)에 삽입된다.
따라서, 나사부(300)는 공간부(23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공간부(230)에 삽입되는 나사산(330)은 결합홈(110)이 형성된 클램프바디(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2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커버(220)의 일측 하부의 일부가 '
Figure pat00001
'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본체(310)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11)가 결합되어 나사부(300)가 공간부(230)에 삽입되는 경우, 탄성체(311)의 타단은 하우징커버(220)의 일측과 맞닿고, 일단은 헤드(320)와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바디(100)의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나사산(330)은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와 체결된 관의 진동 등에 의하여 결합홈(110)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산(330)이 형성된 나사부(300)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체결후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310)에는 탄성체(311)를 삽입하여 나사부(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체(311)는 탄성와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탄성와셔 외에 코일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하우징커버(220)의 일측에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로드(223)가 형성되어, 공간부(230)를 통해 삽입된 클램프바디(1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바디(100)의 일단과 고정하우징(200)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 클램프바디(100)는 대략 평편한 장방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하우징(200)에 클램프바디(10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경우, 클램프바디(100)의 결합홈(110)이 고정하우징(200)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커버(220)의 일측 하부에는 고정하우징(200)의 공간부(230)에 삽입된 클램프바디(100)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나사산(330)이 결합홈(1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로드(2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커버(220)의 일측 하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라운딩 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의 고정하우징(200)의 일측, 클램프바디(100) 상에는 돌기(120)가 돌출형성되어, 고정하우징(200)에 삽입되는 클램프바디(100)의 결합홈(110)과 클램프바디(100)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가 체결된 관이 금속 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클램프바디(100)에 의해 관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나, 관이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호스의 외면이 클램프바디(100) 특히 클램프바디(100)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결합홈(110)이 형성된 클램프바디(100)의 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에 맞닿지 않도록 클램프바디(100) 상에 돌기(120)를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램프바디(100)와 고정하우징(200)이 체결되는 부위에 도 5에 됫된 바와 같이 보강바디(130)를 더 배치하여 보다 견고하게 클램프바디(100)와 고정하우징(20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바디(130)은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가 관과 맞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클램프바디 110 : 결합홈
120 : 돌기 200 : 고정하우징
210 : 하우징베이스 220 : 하우징커버
221 : 보강리브 222 : 걸림턱
223 : 가압로드 230 : 공간부
300 : 나사부 310 : 본체
311 : 탄성체 320 : 헤드
330 : 나사산 340 : 체결홈

Claims (5)

  1.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결합홈(110)이 이격하여 배치된 클램프바디(100);
    상기 클램프바디(1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바디(10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하우징(200); 및
    상기 고정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하우징(200)을 통해 삽입되는 클램프바디(100)의 결합홈(110)에 삽입결합되는 나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클램프바디(10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하우징(200)은 상기 클램프바디(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하우징베이스(210)와, 상기 하우징베이스(210)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나사부(300)가 배치되며, 상기 클램프바디(100)의 일측이 삽입되는 공간부(230)를 형성하는 하우징커버(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커버(220)에는 상기 나사부(300)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커버(22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리브(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220)의 일측에는 삽입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21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224)에 삽입되는 삽입로드(21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커버(220)와 상기 하우징베이스(210)의 체결시 상기 삽입로드(211)가 삽입홈(224)에 삽입되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베이스(210)와 하우징커버(2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220)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230)에 삽입된 나사부(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220)의 일측에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로드(223)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230)를 통해 삽입된 클램프바디(10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KR1020110064101A 2011-06-29 2011-06-29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KR10122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01A KR101228096B1 (ko) 2011-06-29 2011-06-29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01A KR101228096B1 (ko) 2011-06-29 2011-06-29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78A true KR20130002878A (ko) 2013-01-08
KR101228096B1 KR101228096B1 (ko) 2013-02-01

Family

ID=4783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01A KR101228096B1 (ko) 2011-06-29 2011-06-29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304B1 (ko) * 2019-09-17 2020-12-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154B1 (ko) 2015-08-24 2015-12-28 박정운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10757A1 (fr) 1977-12-02 1979-06-29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5410781A (en) 1993-12-13 1995-05-02 Tridon Limited Constant tension clamp
US5504978A (en) 1994-07-15 1996-04-09 Meyer, Iii; Harold A. Locking clamp assembly
DE10026020B4 (de) 2000-05-25 2004-12-16 Rasmussen Gmbh Schneckengewindeschel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304B1 (ko) * 2019-09-17 2020-12-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096B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897B2 (en) Pipe clamp
KR200473913Y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10316991B2 (en)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TWI267585B (en) Position detecting switch fixture for cylinder
US8689407B2 (en) Hose clamp
KR101637031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CA2157819C (en) Pipe and cable clamp with base part and receiving strap (ii)
KR101228096B1 (ko)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JP5364910B2 (ja) 電力線マーキングデバイス
JP2007024237A (ja) ホースクランプの弾力構造
JP2009509108A (ja) 縦長の対象装置を保持する装置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JP5252357B2 (ja) ケーブル支持金具
KR10146262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KR200488992Y1 (ko) 이어 클램프 밴드
KR2014013284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N215923148U (zh) 扎带
KR101170405B1 (ko) 벨트타입 클램프
JP2018115714A (ja) 配線・配管材の横ずれ防止構造、横ずれ防止具、横ずれ防止装置及び横ずれ防止方法
KR20100008558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N209016592U (zh) 一种电缆固定夹
KR100906731B1 (ko) 밴드 클램프를 갖는 배관 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고정 방법
KR20100010842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5857605B2 (ja) チューブクランプ
WO2019035257A1 (ja) 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