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18B1 -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를 위한 유기-인 화합물 - Google Patents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를 위한 유기-인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018B1
KR100906018B1 KR1020047000770A KR20047000770A KR100906018B1 KR 100906018 B1 KR100906018 B1 KR 100906018B1 KR 1020047000770 A KR1020047000770 A KR 1020047000770A KR 20047000770 A KR20047000770 A KR 20047000770A KR 100906018 B1 KR100906018 B1 KR 10090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phosphate
diphosphate
nucle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814A (ko
Inventor
하싼 요마
올리버 볼프
보란 알틴씨쎄크
마티아스 에버를
마틴 힌츠
안-크리스틴 콜라스
아민 라이센베르크
요헨 비스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에이전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09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60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34705 external-priority patent/DE10134705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35395 external-priority patent/DE10135395A1/d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에이전시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오에이전시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3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7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7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65746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the molecule containing more than one cyclic phosphorus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for throat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09Esters of phosphoric acids
    • C07F9/098Esters of polyphosphoric acids or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3804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not used, see subgroups
    • C07F9/3808Acyclic saturated acids which can have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 C07F9/3821Acyclic saturated acids which can have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substituted by B, Si, P or a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3804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not used, see subgroups
    • C07F9/3826Acyclic unsaturated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40Esters thereof
    • C07F9/4003Esters thereof the acid moiety containing a substituent or a structure which is considered as characteristic
    • C07F9/4025Esters of poly(thio)phosphon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besity (AREA)
  • Neurosurgery (AREA)
  • Vir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의 유기인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GcpE 및 LytB 효소 저해제의 스크리닝 및 동물 및 인간의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를 위한 유기-인 화합물{ORGANO-PHOSPHOROUS COMPOUNDS FOR ACTIVATING GAMMA/DELTA T CELLS}
인간 및 동물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은 면역계 기능 이상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면역계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요구가 높다.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과정에 전통적인 아세테이트/메발로네이트 경로가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관해서는 문헌(Beycia ED, Porter JW, Annu Rev Biochem. 1976;45:113-42)에 공지되어 있고, 메발로네이트와 무관한 다른 생합성 방법, 즉, 2-메틸-D-에리쓰리톨 경로(MEP, DOXP와 유사어)도 문헌(Rohmer M. Nat Prod Rep. 1999 Oct;16(5):565-74)에 공지되어 있다. 두 경로 모두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IPP)로 귀착되는데, 이 화합물은 모든 고급 이소프레노이드의 공통된 전구체이다. 아세테이트/메발로네이트 경로가 오랫동안 공지되고 자세히 설명되어 온 반면, MEP 경로를 따라 일어나는 생합성 반응 단계들은 아직 다 공지되지 않았다.
MEP 경로를 따르는 하나 또는 수개의 중간체에 의해 인간의 감마/델타 T-세포가 활성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MEP 함유 유기체로부터의 추출물과 말초혈 임파구를 함께 항온 배양하는 동안에 감마/델타 T-세포군의 선택적 증식 및 사이토킨 분비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Jomaa H, Feurle J, Luhs K, Kunzmann V, Tony HP, Herderich M, Wilhelm M, FEMS Immunol Med Microbiol, 1999 Sep;25(4):371-8). 이/이들 활성화 물질(들)의 정확한 화학 조성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공개된 데이터에 의하면 3-포밀-l-부틸 피로포스테이트가 MEP의 가설 중간체로 생성되고 이 물질이 감마/델타 T-세포의 활성화에 역할을 한다고 한다 (Belmant C, Espinosa E, Poupot R, Peyrat MA, Guiraud M, Poquet Y, Bonneville M, Fournie JJ, J Biol., Chem. 1999 Nov 5;274(45):32079-84).
본 발명의 목적은 감마/델타 T-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계 조절 효과를 갖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원 제1항 및 그 종속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에 의해 달성된다.
놀랍게도,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에 탁월하게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1
(I)
식중,
R1은 메틸 잔기, 포밀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잔기 및 C0H2R31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1은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1과 R2는 분자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고,
R33은 수소,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수소,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실릴,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으로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 및 OR3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4는 R3 의 정의와 같고,
X2는 X2와 C1사이에 고리가 형성되는 범위내에서 X1과 같이 정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X2는 -OR6,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2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3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상기 식중 R7과 R8은 R34과 같이 정의되고, R4는 R3과 같이 정의되며, Z1은 X1과 같이 정의되고, X3은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X1과 같이 정의되며 C1과 고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4
에 해당하는데 여기서 R5는 R3과 같이 정의되고, Z2 및,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X4는 X 1과 같이 정의되며,
R2는 수소, OH, 알콕시, 페녹시, 벤질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1 은 산소 또는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5
일 수 있는데, 식중 Y1 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H, OH, 할로겐, 아미노 잔기, C1-9-알콕시 잔기 및 C1-9-알킬티오 잔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함께 옥소기를 형성할 수 있고,
C0와 C1 , C1 과 C2 또는 C2 와 C3 사이에 이중결합이 존재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6
(II)
식중,
C2와 C3사이에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 존재할 수 있고,
R1은 메틸 잔기, 포밀 잔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잔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OH, 알콕시, 페녹시, 벤질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1 은 산소 또는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7
에 상응하는데, 식중 Y1 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H, OH, 할로겐, 아미노, C1-9-알콕시 및 C1-9-알킬티오 잔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함께 옥소기를 형성할 수 있고,
R3은 수소,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실릴,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으로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2는 X2와 C1사이에 고리가 형성되는 범위내에서 X1과 같이 정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X2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8
에 해당하는데, 식중 R4는 R3과 같이 정의되며, Z1은 X1과 같이 정의되고, X3은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X 1과 같이 정의되며 C1과 고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Figure 112004001970690-pct00009
에 해당하며 식중 R5는 R3과 같이 정의되고, Z2 및,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X4는 X1과 같이 정의된다.
하기 화학식 (IIA)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0
(IIA)
식중,
C2와 C3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고,
R1은 메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하이드록시메틸기이고,
R2는 수소,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이고,
X1과 X2는 O, CHF, CHCl, CFCl, CH2, CF2 또는 CCl2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으로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하기 화학식 (IIB)의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1
(IIB)
식중,
C2와 C3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고,
R1은 메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기이고,
R2는, R1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인 경우에는 수소이고 R1이 메틸 잔기인 경우에는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이며,
X1, X2 및 X3는 O, CHF, CHCl, CFCl, CH2, CF2 또는 CCl2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으로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하기 화학식 (IIC)의 화합물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2
(IIC)
식중,
C2 와 C3 사이에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 존재할 수 있고,
R1은 메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기이고,
R2는 수소,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이고,
X1, X2, X3 및 X4는 O, CHF, CHCl, CFCl, CH2, CF 2 또는 CCl2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 , R4 및 R5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으로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화학식 (II) 및 (IIA) 내지 (IIC)을 갖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식중 R1 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잔기, 특히 하이드록시메틸 자체 또는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예컨대 우리딘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이고 R2 가 수소인 화합물이다.
마찬가지로 화학식 (II) 및 (IIA) 내지 (IIC)을 갖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식중 R1이 메틸 잔기이고 R2가 하이드록실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잔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포스페이트 잔기, 특히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 잔기, 예컨대 우리딘 디포스페이트 잔기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3
식중, R3, R4 및 R5 는 수소, 암모늄, 나트륨 및 칼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4
(III)
식중,
R31 및 R2는, 분자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고,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1이 분자내 존재하는 경우에는 C1과 C2사이에 이중 결합이 존재하고 R 2가 분자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사하게 C0과 C1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R33 은 수소,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4는 수소,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탄소수가 1-26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실릴,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 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으로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2 는 -OR6 또는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5
으로 식중 R6은 R34와 유사하게 정의되고, R7 및 R8은 R34과 같이 정의되며, X1, X32 및 X3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산소 또는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6
으로 식중 Y1과 Y2 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OH, 할로겐, 아미노 잔기, C1-9-알콕시 잔기 및 C1-9-알킬티오 잔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함께 옥소기를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A)의 화합물로,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7
(IIIA)
식중,
R31 및 R2는, 분자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고,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1이 분자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C1 과 C3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R2가 분자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C0과 C1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R34, R7 및 R8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앞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1, X32 및 X33 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화학식 (II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C1, C2 및 C3에 존재하는 수소 치환기는 명확성을 위해 화학식 (I) 내지 (IIIA)에서는 명시적으로 표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탄소 원자는 4가인 것으로 이해되고 따라서 누락된 치환기는 수소 라디칼이다.
또한, 바람직한 화합물은 식중 R31 및 R2가 OH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이고, R34, R7 및 R8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유기 또는 무기염기의 양이온, 특히 주기율 표 제1족, 제2족 및 제3족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X1, X32 및 X33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CHF, CHCl, CFCl, CH2, CF2 또는 CCl2인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IA)의 바람직한 다른 화합물은 포스페이트기가 나트륨, 칼륨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암모늄염인 화합물이다.
하기 화합물이 가장 적합하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8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종속항에 의해 정의된다.
전술한 정의의 특성 및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한다.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터-부틸, 펜틸, 헥실 등과 같이 탄소수 26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킬렌"은 예컨대 비닐, 프로페닐(예, 1-프로페닐, 2-프로페닐), 1-메틸프로페닐, 2-메틸프로페닐, 부테닐, 2-에틸프로페닐, 펜테닐 및 헥세닐과 같이 탄소수 26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이다. .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키닐"은 탄소수 26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이다.
"사이크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치환될 수 있는 C3-C7-사이클로알킬이고, 알킬, 알콕시(예, 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겐(예, 불소, 염소, 브롬 등), 니트로 등이 가능한 치환기로서 적합하다.
"아릴"은 페닐, 나프틸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이고 알콕시(예 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겐(예, 불소, 염소, 브롬 등), 니트로 등의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아르알킬"은 벤질, 펜에틸, 벤즈하이드릴, 트리틸 등과 같은 모노-, 디- 및 트리페닐알킬을 포함하고 이때 방향족 부분은 알콕시(예 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겐(예, 불소, 염소, 브롬 등), 니트로 등의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알콕시 잔기"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메톡시 또는 에톡시 잔기 등과 같이 탄소수 26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잔기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하이드록실, 아미노, 할로겐 및 옥소기 그리고 메톡시 또는 에톡시 잔기와 같은 알콕시 잔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하이드록시메틸 잔기"는 예컨대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페녹시메틸 또는 벤즈옥시메틸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9-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 잔기가 산소에 붙어 있거나,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우리딘 디포스페이트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 포스페이트 또는 피로포스페이트 잔기가 산소에 붙어 있는 잔기를 말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킬티오 잔기"는 티오메틸 또는 티오에틸 잔기 등과 같은 탄소수 9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티오 잔기를 말한다. 이는 예컨대 하이드록실, 아미노, 할로겐 및 옥소기 그리고 메톡시 또는 에톡시 잔기와 같은 알콕시 잔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실릴 잔기"는, 예컨대 앞서 정의한 알킬 잔기 또는 사이클로알킬-(C0-26)-알킬 잔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실릴-(C0-26)-알킬기"는 알킬 잔기에 의해 구조체에 결합될 수 있는 실릴 잔기이다. 이 알킬기와 실릴기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전술한 에스테르의 경우 알칸 및/또는 아렌 부분은, 필요한 경우, 할로겐, 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 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페이트 잔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 잔기로는 유기 또는 무기 염기를 갖는 상응하는 인산 유도체 염 화합물(예,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암모늄염, 마그네슘염, 트리에틸아민염, 에탄올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에틸렌디아민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등), 아미노산 염(예, 아르기닌염, 리신염, 글리신염, 알라닌염, 오르니틴염 등) 및 포스페이트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6-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잔기와 에스테르를 형성하거나 누클레오사이드 또는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와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잔기가 있다.
"누클레오사이드"는 아데노신, 구아노신, 우리딘, 티민 및 시티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는 데옥시아데노신, 데옥시구아노신, 데옥시티미딘, 데옥시시티딘 및 데옥시우리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염 및 그 염의 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공간 이성질체를 순수한 형태 및 그 혼합물 형태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lytB 유전자가 결실된 종류들을 포함하여 박테리아, 조류, 식물 및 원생동물로부터 얻어 정제된다(실시예 1). 정제는 HPLC 또는 전기영동, 침강(예, 바륨염으로) 또는 기타 크로마토그래피 기술과 같이 공지된 다 른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이 예컨대 GcpE 및 LytB 효소의 활성 시험에 사용될 수 있고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측정 시험계에도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2, 5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화학 합성될 수 있고(실시예 3) 박테리아, 조류, 식물 및 원생동물로부터 얻어 정제될 수도 있다(실시예 4). 정제는 HPLC 또는 전기영동, 침강(예, 바륨염으로) 또는 기타 크로마토그래피 기술과 같이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GcpE 및 LytB 효소 저해제를 확인하는 스크리닝 공정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이 MEP 중간체이기 때문이다. 효소 활성을 결정하는 이 방법은 적합한 반응 조건하에서 효소 기질과 생성물의 농도 차이를 측정하는 것에 근거한다. 활성 측정을 하는 동안 적합한 시험 물질을 효소와 접촉시킴으로써 관찰되는 효소 활성의 감소에 의해 저해제를 확인한다. 이 저해제들은 제초제로서 적합하고 인간 및 동물에서 항생 활성, 항기생충 활성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활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약제 생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의 약효는 감마/델타 T-세포의 활성화에 기초한다. 적용 분야에 따라, 자가 면역반응물질 및 알레르기물질에 대한 면역 방어기전이 강화되거나 면역 내성이 유도(induce)될 수 있다.
적용 분야는 인간 및 동물의 면역 질환, 자가면역 질환 및 알레르기 치료이다. 예로는, 알레르기,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샘염, 중 증 근무력증, 루프스 홍반, 당뇨병, 원발 쓸개관 간경화, 활성 만성간염, 부신염/아디손 질환, 다발근육염, 피부근육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심근염 및 심막염, 피부경화증, 포도막염(수정체 포도막염, 교감 안염증), 보통천포창, 유사천포창, 악성빈혈, 자가면역 위축위염, 크론씨병 및 궤양성 결장염과 같은 장 염증질환, 천식통 및 기관지염통과 같은 폐 염증질환이 있다.
바람직한 적용 분야는 크론씨병, 궤양성 결장염, 다발성 경화증,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알레르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기생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세하게, 제1항 및 그 종속항에 정의된 화합물은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종양의 치료 및 예방에 적합하다. 헬리코박터 피로리(예, 위장관 종양) 및 파필로마 바이러스(예, 여성 생식기 종양)가 이러한 미생물군에 속한다.
청구항에서 정의된 화합물들은 특히 전술한 질병 뿐 아니라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및 양성 및 악성 종양, 특히 파필로마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 종양의 치료 및 예방에 적합하고, 위장관 궤양의 경우 헬리코박터 근절에 적합하다.
의약 목적을 위해, 약제학적 제제를 단독 또는 다른 약물들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생유기체 또는 사멸된 유기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제제는 면역계에 의해 외부 항원 또는 자가항원으로 인식되는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들의 예로는 미엘린 기초 단백(MBP)과 기타 신경조직 추출물, I, II 또는 III형 콜라겐, 티로글로불린, 아세틸콜린 수용체 단백질, DNA, 섬세포 추출물, 인간 인슐린, 간 추출물, 간세포 추출물, 부신피질 추출물, 피부 추출물, 심 추출물, 근 추출물, 피부 세포 추출물, 조혈세포 추출물, 안 수정체 단백질, S-항원, S-항원 혼합물, 위 세포 추출물, 벽세포 추출물, 내인자 및 장 추출물이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법으로는 경구투여, 흡입투요, 정맥투여, 비경구투여, 수조내투여, 질내투여, 복막내투여, 국소투여(산제, 연고제, 점적제) 및 직장투여, 그리고 피부 또는 점막 투여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항에서 정의한 화합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인간 질병, 특히 알레르기 및 천식과 만성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 치료를 위한 흡입제 투여를 포함한다.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이 더 있다: 정제, 지속성 정제, 당의정, 캅셀제, 예비혼합제, 환제, 펠렛제, 볼러스제, 에어로졸제, 과립제, 좌제, 용액제, 농축제, 현탁제 및 유제, 파스타제, 연고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산제, 주입제 및 분무제. 이러한 약제학적 제제들은 일회 투여량의 일부 또는 다회 투여량에 해당할 수 있다. 투여량 단위는 예컨대 일회 투여량의 1, 2, 3 또는 4 배 또는 1/2, 1/3 또는 1/4배 일 수 있다. 일회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일회 투여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량을 포함하고 1일 투여량 전체, 1/2, 1/3 또는 1/4에 해당한다.
정제, 당의제, 캅셀제, 환제 및 과립제는 활성 성분과 함께 (a)전분, 락토스, 사탕수수, 글루코스, 만니톨 및 규산과 같은 충진제 및 희석제, (b)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결합제, (c)글리세린과 같은 보습제, (d)아가-아가 탄산칼슘 및 탄산 나트륨과 같은 붕해제, (e)파라핀과 같은 용액 지연제 및 (f)4급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흡수 촉진제, (g)세틸알콜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h)카올린 및 벤토나이트와 같은 흡착제 및 (i)탈크, 스테아린산 칼슘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고형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활택제 또는 상기 나열한 (a) 내지 (i)의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플라스틱(국소요법을 위한 플라스틱 사슬), 콜라겐 또는 골시멘트와 같은 기타 담체 물질내 담겨질 수 있다.
정제, 당의제, 캅셀제, 환제 및 과립제는 통상적인 코팅제 및 외피제나 경우에 따라 불투명제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외피제로 코팅될 수 있고, 활성 성분이 경우에 따라서는 서방출되거나 장관에서만 방출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의 특정 부위에서만 방출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폴리머 물질이나 왁스를 담체 물질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활성 성분은, 경우에 따라 전술한 부형제들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활성 성분 외에, 좌제는 통상의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카오 지방과 같은 지방 및 고급 에스테르(예, C16-지방산을 갖는 C14-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이 있다.
활성 성분 외에, 연고제, 파스타제, 크림제 및 겔제는 예컨대 동식물 지방,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탈크 및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통상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 외에, 산제 및 분무제는 예컨대 락토즈, 탈크, 규산,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칼슘 및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무제는 탄화염화불소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 외에도, 용액제와 유제는 예컨대 물, 에틸알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카스터유 및 참기름, 글리세린, 글리세롤 포말,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와 같은 통상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개별 유도체들의 함량에는 큰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용 및 수의용 약물에 있어서는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화학식 (I)의 활성 성분이 대략 24시간 동안 총 0.01 내지 약 2000㎍ 정도, 필요하다면 수회의 단일 용량 형태로, 투여 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단일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2000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치료 대상 환자의 체중이나 타입, 질병의 성질이나 심각한 정도, 투여 약물의 제형 및 투여경로 및 투여기간이나 간격에 따라 전술한 투여량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전술한 활성 성분 함량보다 적은 함량으로 도 충분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전술한 활성 성분 함량을 증량해야만 할 수 도 있다. 당업 자는 그 전문 지식에 기초하여 필요한 활성 성분의 최적 투여량과 투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동물 치료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통상의 농도와 제제 형태로 음식 또는 식품 또는 음료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화합물의 정제
코린-박테리아 암모니아진(Coryne-bacterium ammoniagenes)으로부터 다양한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다이낙스 밀(Dynax)을 이용하여 이 세포량 28kg을 5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완충액(pH 8.0)에 소화시켰다. 소수성 폴리스티렌 매트릭스에 미리 흡수 시킨 후, 상기 소화 물질을 음이온 교환기에 넣고 계단식 농도구배(100, 300, 50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pH 8.0)로 용출하였다. 300 mM 용출물은 C-18 매트릭스를 통과해 초여과를 위한 3 kDa의 움푹한 섬유필터를 통과하였다. 물을 이용해 이 여과물을 3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로 용출시켜 음이온 교환기에 한번 더 넣었다. 30 내지 50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의 선형 농도구배로 용출시켰다. 각 분획에 대해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능을 시험하였다. 몇몇 활성 화합물을 바륨염으로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2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 완충액(pH 8.0)에 용해시켜 음이온 교환기에서 재 크로마토그래피 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합물 1 내지 16을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농후화 MEP 중간체에 의한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피콜(Ficoll) 농도 구배 원심을 이용하여 건강한 제공자의 말초혈로부터 임파구를 얻었다. 각 시험을 위해, 이렇게 얻은 세포 2 x 105를, 25 mM의 HEPES, 2 mM의 L-글루타민, 0.025 mg/ml의 겐타마이신, 100 U/ml의 인간 인터루킨-2 (IL-2) (모두 Life Technology로부터 제공) 및 10%의 인간 AB 혈청(Bavarian Red Cross)으로 농후화한 RPMI-1640 매질(Life Technology 사) 0.2 ml에 뿌렸다. 시험 분획을 다양하게 희석하여 첨가하고, 시그마사의 이소펜테닐 디포스페이트(IPT)를 최종 농도10 μM로 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37℃에서 5% CO2와 함께 항온배양 하였다. 72시간 후에 세포를 수확하여 유동 세포측정기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는 동안, V 감마 9+ T-세포 표면의 CD25 활성화 마커의 발현은 베크만-콜터 (Beckman-Coulter)사의 단일클론항체 CD25-PE (B1.49.9), V 감마 9-FITC (Immu360) 및 CD3-PC5 (UCHT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화합물 1은 IPP보다 약 750배 더 활성이 있는 한편, 화합물 2는 400배 그리고 화합물 3, 5 및 6은 IPP보다 100배 더 활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3
반응 도식 1에 있는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112004001970690-pct00019

Ia: R1 = 벤질; R2 = OH IIa: R1 = 벤질; X1 = X32 = O; R2-R4 = H
Ib: R1 = 벤질; R2 = Br IIb: R1 = 벤질, X1 = O; X32 = CH2 or
CF2 또는 CHF; R2-R4 = H
Ic: R1 = 아세틸; R2 = Br IIc: R1 = 아세틸; X1 = X32 = CH2; R2-R4 =
ethyl
Figure 112004001970690-pct00020
IIIa: X1 = X32 = O
IIIb: X1 = O; X32 = CH2 또는 CF2 또는 CHF
IIIc: X1 = X32 = CH2
1.화합물 Ia 내지 Ic의 합성
화합물 Ia 및 Ib은 문헌(K. Sato, S. Inoue, Y. Takagi, S. Morii, Bull. Chem. Soc. Jpn., 1976, 49(11), 3351-3351)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화합물 Ic은 문헌(H. Kunio, H. Kazushige, Chem. Pharm. Bull., 1994, 42, 4, 786-79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2. 화합물 Iia 내지 IIc의 합성
화합물 IIa은 화합물 Ib를 출발 물질로 하여 예컨대 문헌(B. Woodside, Z. Huang, C. Poulter, Org. Synth. 1988, 66, 211-219)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합물 IIb은 화합물 Ia를 출발 물질로 하여 제조하였다. 먼저, 화합물 Ia를 이에 상응하는 토실레이트로 전환한 후 예컨대 트리스(테트라-n-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게노메틸렌포스페이트와 반응시켰다. 문헌 WO00/59916 및 이 문헌에서 인용한 문헌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그 다음, 화합물 Ic로부터 화합물 IIc를 제조하였다. 문헌(R.C. McClard and T.S. Fujita, J. Am. Chem. Soc., 1987, 109, 5544-5545)에 기재된 방법대로 합성하였다.
화합물 IIc는 저 수율로 얻을 수 있었고 즉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IIIc를 얻었다.
3. 화합물 IIIa 내지 IIIc의 합성
화합물 IIIa 내지 IIIc을 제조하기 위해, 500 mg의 상응하는 전구체 IIa 및 IIb를 5 ml의 메탄올에 각각 용해시킨 후 10 mol%의 수소화 촉매로 시험하였다. 그 다음 실온에서 수소를 도입하여 수소흡수를 측정하였다. 적절량의 수소가 흡수된 후, 그 혼합물을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원하는 생성물 IIIa 및 IIIb를 양호한 순도로 얻었다.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더 정제할 수 있다. 화합물 IIIc 는 화합물 IIc로부터 얻을 수 있다. 200 mg의 화합물 IIc를 가열된 상태의 아르곤-충만된 플라스크에서 무수 염화메틸렌(3 ml)에 용해시킨 후 10당량의 트리메틸브로모실란을 0℃에서 가하였다. 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용액 후처리로 원하는 생성물 IIIc을 수득하였고 이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시험에 이성질체로서 순수한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의 E/Z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화합물의 정제
코린-박테리아 암모니아진(Coryne-bacterium ammoniagenes)으로부터 다양한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다이낙스 밀(Dynax)을 이용하여 이 세포량 28kg을 5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완충액(pH 8.0)에 소화시켰다. 소수성 폴리스티렌 매트릭스에 미리 흡수 시킨 후, 상기 소화 물질을 음이온 교환기에 넣고 계단식 농도구배(100, 300, 50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pH 8.0)로 용출하였다. 300 mM 용출물은 C-18 매트릭스를 통과해 초여과를 위한 3 kDa의 움푹한 섬유필터를 통과하였다. 물을 이용해 이 여과물을 3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로 용출시켜 음이온 교환기에 한번 더 넣었다. 30 내지 50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의 선형 농도구배로 용출시켰다. 각 분획에 대해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능을 시험하였다. 몇몇 활성 화합물을 바륨염으로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2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 완충액(pH 8.0)에 용해시켜 음이온 교환기에서 재 크로마토그래피 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합물 1 내지 6, 13 및 14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5
농후화 MEP 중간체에 의한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
피콜(Ficoll) 농도 구배 원심을 이용하여 건강한 제공자의 말초혈로부터 임파구를 얻었다. 각 시험을 위해, 이렇게 얻은 세포 2 x 105를, 25 mM의 HEPES, 2 mM의 L-글루타민, 0.025 mg/ml의 겐타마이신, 100 U/ml의 인간 인터루킨-2 (IL-2) (모두 Life Technology로부터 제공) 및 10%의 인간 AB 혈청(Bavarian Red Cross)으로 농후화한 RPMI-1640 매질(Life Technology) 0.2 ml에 뿌렸다. 시험 분획을 다양하게 희석하여 첨가하고, 시그마사의 이소펜테닐 디포스페이트(IPT)를 최종 농도10μM로 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37℃에서 5% CO2와 함께 항온배양 하였다. 72시간 후에 세포를 수확하여 유동 세포측정기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는 동안, V 감마 9+ T-세포 표면의 CD25 활성화 마커의 발현은 베크만-콜터 (Beckman-Coulter)사의 단일클론항체 CD25-PE (B1.49.9), V 감마 9-FITC (Immu360) 및 CD3-PC5 (UCHT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화합물 9는 IPP보다 약 10,000배 더 활성이 있는 한편, 화합물 15, 17 및 19는 500배 그리고 화합물 10은 IPP보다 약 50배 더 활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Claims (4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1
    (I)
    식중,
    R1은 메틸 라디칼; 포밀 라디칼;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 및 C0H2R31 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1은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1과 R2 는 분자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고,
    R33은 수소,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수소, 탄소수가 1-26인 알킬, 탄소수가 1-26인 하이드록시알킬, 아릴, 아르알킬, 탄소수가 1-26인 알케닐, 탄소수가 1-26인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 포스페이트, 실릴,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 암모늄,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 및 OR3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4는 R3 의 정의와 같고,
    X2는 X2와 C1사이에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X1과 같이 정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X2는 -OR6,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2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3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상기 식중 R7과 R8은 R34과 같이 정의되고, R4는 R3과 같이 정의되며, Z1은 X1과 같이 정의되고, X3은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X1과 같이 정의되며 C1과 고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4
    그룹인데 여기서 R5는 R3과 같이 정의되고, Z2 및,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X4는 X1과 같이 정의되며,
    R2는 수소, OH, 알콕시, 페녹시, 벤질옥시,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1 은 산소 또는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5
    일 수 있는데, 식중 Y1 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H, OH, 할로겐, 아미노 라디칼, C1-9-알콕시 라디칼 및 C1-9-알킬티오 라디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함께 옥소기를 형성할 수 있고,
    C0와 C1 , C1 과 C2 또는 C2 와 C3 사이에 이중결합이 존재할 수 있음.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6
    (II)
    식중,
    C2 와 C3사이에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 존재할 수 있고,
    R1은 메틸 라디칼; 포밀 라디칼;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 및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OH, 알콕시, 페녹시, 벤질옥시,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1은 산소 또는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7
    그룹인데, 식중 Y1 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H, OH, 할로겐, 아미노, C1-9-알콕시 및 C1-9-알킬티오 라디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함께 옥소기를 형성하고,
    R3은 수소, 탄소수가 1-26인 알킬, 탄소수가 1-26인 하이드록시알킬, 아릴, 아르알킬, 탄소수가 1-26인 알케닐, 탄소수가 1-26인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 포스페이트, 실릴,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2는 X2와 C1사이에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X1과 같이 정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X2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8
    인데, 식중 R4는 R3과 같이 정의되며, Z1은 X1과 같이 정의되고, X3은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X1과 같이 정의되며 C1과 고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Figure 112008059707527-pct00029
    그룹인데 식중 R5는 R3과 같이 정의되고, Z2 및, C1과 고리를 형성하는 X4는 X1과 같이 정의됨.
  3.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0
    (IIA)
    식중,
    C2와 C3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고,
    R1은 메틸기; 하이드록시메틸기; 또는,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기이고,
    R2는 수소,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1과 X2는 O, CHF, CHCl, CFCl, CH2, CF2 및 CCl2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수소,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4.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1
    (IIB)
    식중,
    C2와 C3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고,
    R1은 메틸기; 하이드록시메틸기; 또는,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기이고,
    R2는, R1이 하이드록시메틸 또는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인 경우에는 수소이고, R1이 메틸 라디칼인 경우에는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이며,
    X1, X2 및 X3는 O, CHF, CHCl, CFCl, CH2, CF2 및 CCl2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및 R4는 수소,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5.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2
    (IIC)
    식중,
    C2와 C3사이에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 존재할 수 있고,
    R1은 메틸기; 하이드록시메틸기; 또는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기이고,
    R2는 수소,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이며,
    X1, X2, X3 및 X4는 O, CHF, CHCl, CFCl, CH2, CF2 및 CCl2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3, R4 및 R5는 수소, 포스페이트,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6. 제2항에 있어서, X1, X2, X3 및 X4가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2항에 있어서, R1이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 또는,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라디칼이고, R2가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2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라디칼이고 R2가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또는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2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7045154943-pct00033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4
    (III)
    식중,
    R31 및 R2는, 분자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고, OH,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1이 분자내 존재하는 경우에는 C1과 C2사이에 이중 결합이 존재하고 R2가 분자내 존재하는 경우에는 C0과 C1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R33은 수소,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4는 수소, 탄소수가 1-26인 알킬, 탄소수가 1-26인 하이드록시알킬, 아릴, 아르알킬, 탄소수가 1-26인 알케닐, 탄소수가 1-26인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 포스페이트, 실릴, 누클레오사이드, 누클레오사이드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데옥시누클레오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양이온,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2는 -OR6 또는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5
    으로 식중 R6은 R34와 유사하게 정의되고, R7 및 R8은 R34과 같이 정의되며, X1, X32 및 X3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산소 또는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6
    그룹으로 식중 Y와 Z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OH, 할로겐, 아미노, C1-9-알콕시 및 C1-9-알킬티오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함께 옥소기를 형성함.
  11. 제10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I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8059707527-pct00037
    (IIIA)
    식중,
    R31 및 R2는, 분자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고, OH, 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누클레오사이드 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1이 분자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C1 과 C2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R2가 분자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C0과 C1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고,
    R34, R7 및 R8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제10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1, X32 및 X3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제10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12. 제11항에 있어서, R31이 OH 이고 C0 및 C1이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화합물.
  13. 제11항에 있어서, R2가 OH 이고 C1 및 C2가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화합물.
  14. 제10항에 있어서, R34 또는 R6 또는 R7 또는 R8이 포스페이트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5. 제10항에 있어서, R31 또는 R2 또는 X2이 포스페이트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6. 제10항에 있어서, R34, R6, R7 및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주기율표 제1족, 제2족 또는 제3족에 속하는 금속 양이온 또는 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7. 제10항에 있어서, X1 및 X32가 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8. 제10항에 있어서, X1이 CYZ, X32가 O 이고 X33이 CYZ이며, Y 및 Z가 제10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9. 제10항에 있어서, X1이 O, X32가 CYZ 이고 X33이 O이며, Y 및 Z가 제10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0. 제10항에 있어서, X1, X32 및 X3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H2, CHF, CHCl, CFCl, CCl2 및 CF2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1. 제10항에 있어서, 하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112004001970690-pct00038
  22. 제21항에 있어서, 화합물 15
    Figure 112008059707527-pct00040
    의 화합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항박테리아, 항기생충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택된 세포 또는 유기체 내에서 lytB 유전자를 제거, 불활성화 또는 변형시켜 화합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에 사용하는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효소 저해 시험 및 효소 저해제 스크리닝에서 기질 또는 생성물로 사용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LytB 효소 및 GcpE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LytB 효소 및 GcpE 효소의 활성화 결정에 사용하는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인간 질병 및 동물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인간의 면역 질환, 자가면역 질환, 호흡기 질환 및 알레르기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천식, 크론씨병, 궤양성 결장염, 다발성 경화증, 골병증, 골다공증, 만성 기관지염, 류마티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샘염, 중증 근무력증, 루프스 홍반, 당뇨병, 원발 쓸개관 간경화, 활성 만성간염, 부신염/아디손 질환, 다발근육염, 피부근육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심근염, 심막염, 피부경화증, 포도막염(수정체 포도막염, 교감 안염증), 보통천포창, 유사천포창, 악성빈혈, 자가면역 위축 위염 및 기관지염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기생충에 의해 유발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양성 및 악성 종양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위장관 궤양에 대한 헬리코박터 근절 요법을 위한 약제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4-하이드록시-3-메틸-2-부테닐 1-피로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경구투여용, 흡입투여용, 정맥투여용, 비경구투여용, 수조내투여용, 질내투여용, 복강내투여용, 국소투여용 또는 직장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선택된 제형이 면역계에 의해 외부항원 또는 자가항원으로 인식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39. 약제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효과량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 자가면역 질환;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기생충에 의해 유발된 질병; 양성 종양; 악성 종양;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1. 제39항에 있어서, 면역계에 의해 외부항원 또는 자가항원으로 인식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0.01 내지 200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초제.
  4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자가항원 및 알레르기물질에 대한 면역 내성을 유도하는 것인 방법.
  4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자가항원 및 알레르기물질에 대한 면역 방어 기전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
KR1020047000770A 2001-07-20 2002-07-18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를 위한 유기-인 화합물 KR100906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4705.7 2001-07-20
DE2001134705 DE10134705A1 (de) 2001-07-20 2001-07-20 Organo-Phosphorverbindungen zur Aktivierung von gamma/delta-T-Zellen
DE2001135395 DE10135395A1 (de) 2001-07-25 2001-07-25 Organo-Phosphorverbindungen zur Aktivierung von gamma/delta-T-Zellen
DE10135395.2 2001-07-25
PCT/EP2002/007986 WO2003009855A2 (de) 2001-07-20 2002-07-18 Organo-phosphorverbindungen zur aktivierung von gamma/delta-t-zel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814A KR20040030814A (ko) 2004-04-09
KR100906018B1 true KR100906018B1 (ko) 2009-07-06

Family

ID=2600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770A KR100906018B1 (ko) 2001-07-20 2002-07-18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를 위한 유기-인 화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7399756B2 (ko)
EP (1) EP1408984B1 (ko)
JP (1) JP4607451B2 (ko)
KR (1) KR100906018B1 (ko)
CN (1) CN1533279A (ko)
AT (1) ATE411805T1 (ko)
AU (1) AU2002339423B2 (ko)
CA (1) CA2453817C (ko)
DE (1) DE50212935D1 (ko)
DK (1) DK1408984T3 (ko)
ES (1) ES2315411T3 (ko)
PT (1) PT1408984E (ko)
WO (1) WO20030098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58A1 (de) * 2001-04-11 2002-10-17 Adelbert Bacher Intermediate und Enzyme des Mevalonat-unabhängigen Isoprenoidbiosyntheseweg
JP4607451B2 (ja) * 2001-07-20 2011-01-05 バイオエージェンシー・アーゲー ガンマ/デルタt細胞を活性化するための有機リン化合物
FR2833266B1 (fr) * 2001-12-11 2004-10-22 Mayoly Spindler Lab Nouveaux derives phosphonat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ur utilisation comme modulateurs de l'activite des lymphocytes tgamma9 delta2
FR2836483B1 (fr) * 2002-02-22 2006-09-15 Innate Pharma Procedes de production de lymphocytes gamma delta t
GB0212666D0 (en) * 2002-05-31 2002-07-10 Secr Defence Immunogenic sequences
ATE441420T1 (de) * 2002-12-02 2009-09-15 Innate Pharma Interleukin-2 und gamma delta t zellaktivator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und deren verwendungen
NZ542342A (en) 2003-04-25 2009-05-31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phosphonate analogs
JP2007516244A (ja) * 2003-12-02 2007-06-21 イナート・ファルマ・ソシエテ・アノニム 新しいクラスのガンマデルタt細胞アクチベーターおよびその使用
US20100291118A1 (en) * 2003-12-02 2010-11-18 Innate Pharma Class of Gamma Delta T Cells Activators and Use Thereof
EP1720567A2 (en) * 2004-02-10 2006-11-15 Innate Pharma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arcinoma
DE602005012097D1 (de) 2004-04-26 2009-02-12 Innate Pharma Adjuvante zusammensetzung und anwendungsverfahren dafür
EP3539546A1 (en) 2004-07-27 2019-09-18 Gilead Sciences, Inc. Phosphonate analogs of hiv inhibitor compounds
WO2006067635A2 (en) * 2004-12-20 2006-06-29 Innate Pharma S.A. USE OF Ϝδ T LYMPHOCYTE ACTIVATORS AS VACCINE ADJUVANT
US7683045B2 (en) * 2005-03-22 2010-03-23 Innate Pharma S.A. Class of γδ T cells activators and use thereof
WO2007028985A2 (en) * 2005-09-07 2007-03-15 The Secretary Of State For Defence Adjuvanted vaccine
CA2624533A1 (en) * 2005-10-06 2007-04-12 Innate Pharma Phosphoantigen salts of organic bases and methods for their crystallization
GB2453475B (en) * 2006-07-25 2011-01-19 Secr Defence Live vaccine strain
EP2083830A1 (en) 2006-11-17 2009-08-05 Innate Pharma Improved methods of using phosphoantige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2123285A1 (en) 2008-05-21 2009-11-2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Nucleosidic phosphoantigens for use in VGAMMA9DELTA2 T cell-mediated therapy
AU2009268681B2 (en) * 2008-07-08 2014-10-02 Gilead Sciences, Inc. Salts of HIV inhibitor compounds
US8735624B2 (en) 2008-09-10 2014-05-27 Innate Pharma Polymorphic form of CHDMAPP,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GB0901411D0 (en) * 2009-01-29 2009-03-11 Secr Defence Treatment
GB0901423D0 (en) * 2009-01-29 2009-03-11 Secr Defence Treatment
GB0906234D0 (en) 2009-04-14 2009-05-20 Secr Defence Vaccine
WO2017011686A1 (en) * 2015-07-14 2017-01-19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Fluorescent prodrugs
ES2969496T3 (es) 2017-08-01 2024-05-20 Gilead Sciences Inc Formas cristalinas de ((S)-((((2R,5R)-5-(6-amino-9H-purin-9-il)-4-fluoro-2,5-dihidrofuran-2- il)oxi)metil)(fenoxi)fosforil)-L-alaninato de etilo para tratar infecciones virales
CN109651429A (zh) * 2017-10-11 2019-04-19 清华大学 高效稳定的Vγ9Vδ2 T细胞的小分子激动剂
US11046817B2 (en) 2017-12-11 2021-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multi-valent cations and phosphono-phosphate containing polymers
EP3723867A1 (en) 2017-12-11 2020-10-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hosphono-phosphate and anionic group containing polymers
BR112020009762A2 (pt) 2017-12-11 2020-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ções para tratamento bucal compreendendo polímeros contendo grupo fosfonato e aniônico
EP3723866A1 (en) * 2017-12-11 2020-10-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hosphono-phosphate containing compounds and polymers
EP3723701A1 (en) 2017-12-11 2020-10-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phosphono-phosphate containing compounds
US11198763B2 (en) 2017-12-11 2021-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phosphono-phosphate and anionic group containing polymers
US11926641B2 (en) 2018-03-19 2024-03-12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Phosphonamidate butyrophilin ligands
KR20210069665A (ko) 2018-09-27 2021-06-11 포스포감, 인크. 동종이계 감마/델타-t 세포의 확장 및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0653A2 (de) * 1998-11-25 2000-06-02 Jomaa Pharmaka Gmbh Verwendung von phosphonoameisensäurederivaten zur behandlung von infektione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653A (en) 1993-07-19 1997-06-17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Of Yeshiva University, A Division Of Yeshiva Universtiy Method for proliferating Vγ2Vδ2 T cells
FR2715660A1 (fr) 1994-01-28 1995-08-04 Centre Nat Rech Scient Composés organo-phosphorés activateurs des lymphocytes Tgammadelta, procédé pour préparer et/ou isoler et/ou caractériser ces composés,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pharmaceutiques.
EP0952834A2 (en) * 1996-05-15 1999-11-03 The University of Sheffield Isopentenyl pyrophosphate isomerase (ipi) and/or prenyl transferase inhibitors
DE19828450A1 (de) 1998-06-26 1999-12-30 Hassan Jomaa Bisphosphonsäuren und deren Derivate enthaltende Arzneimittel zur Prophylaxe und zur Behandlung von Autoimmunkrankheiten sowie von Allergien
FR2782721B1 (fr) 1998-09-01 2000-11-03 Inst Nat Sante Rech Med Nouveaux composes phosphohalohydrines, procede de fabrication et applications
IL141888A0 (en) * 1998-09-22 2002-03-10 Jomaa Pharmaka Gmbh Genes of the 1-deoxy-d-xylulose biosynthetic pathway
WO2000043403A1 (fr) * 1999-01-21 2000-07-27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Sels d'acide 2-methyl-3-butenyl-1-pyrophosphoriques et agents de traitement des lymphocytes
FR2791981B1 (fr) 1999-04-06 2001-07-20 Inst Nat Sante Rech Med Composes inhibant selectivement les lymphocytes tgamma9delta2, et leurs applications
CA2374608A1 (en) * 1999-05-21 2000-11-30 Jomaa Pharmaka Gmbh Use of genes of the deoxy-d-xylulose phosphate biosynthetic pathway for altering the concentration of isoprenoid
AU7729000A (en) 1999-09-30 2001-04-30 National Jewish Medical And Research Center Modulation of gammadelta t cells to regulate airway hyperresponsiveness
DE10027821A1 (de) 2000-06-05 2001-12-06 Adelbert Bacher Der Mevalonat-unabhängige Isoprenoidbiosyntheseweg
DE60140312D1 (en) 2000-08-07 2009-12-10 Monsanto Technology Llc Am methyl-d-erythriol phosphat reaktionsweg beteiligte gene
DE10201458A1 (de) 2001-04-11 2002-10-17 Adelbert Bacher Intermediate und Enzyme des Mevalonat-unabhängigen Isoprenoidbiosyntheseweg
DE10119905A1 (de) 2001-04-23 2002-10-24 Jomaa Pharmaka Gmbh Inaktivierung von Genen des MEP-Wegs
JP4607451B2 (ja) * 2001-07-20 2011-01-05 バイオエージェンシー・アーゲー ガンマ/デルタt細胞を活性化するための有機リン化合物
WO2003038072A1 (en) 2001-10-31 2003-05-08 Universite Libre De Bruxelles Generation and use of new types of dendritic cel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0653A2 (de) * 1998-11-25 2000-06-02 Jomaa Pharmaka Gmbh Verwendung von phosphonoameisensäurederivaten zur behandlung von infektion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9, 274(45), pp. 32079-3208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8984A2 (de) 2004-04-21
KR20040030814A (ko) 2004-04-09
ATE411805T1 (de) 2008-11-15
US20060030546A1 (en) 2006-02-09
DE50212935D1 (de) 2008-12-04
CA2453817A1 (en) 2003-02-06
AU2002339423C1 (en) 2003-02-17
JP2005508305A (ja) 2005-03-31
DK1408984T3 (da) 2009-02-09
CN1533279A (zh) 2004-09-29
EP1408984B1 (de) 2008-10-22
AU2002339423B2 (en) 2007-03-15
WO2003009855A2 (de) 2003-02-06
US7399756B2 (en) 2008-07-15
CA2453817C (en) 2011-09-20
US7871992B2 (en) 2011-01-18
US20080249067A1 (en) 2008-10-09
JP4607451B2 (ja) 2011-01-05
WO2003009855A3 (de) 2003-11-06
PT1408984E (pt) 2008-12-26
US20110112054A1 (en) 2011-05-12
ES2315411T3 (es)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018B1 (ko) 감마/델타 t세포 활성화를 위한 유기-인 화합물
US11559542B2 (en) Phosphoramidate derivatives of 5-fluoro-2′-deoxyuridin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0820461B1 (en) Aryl-ester phosphoramidate derivatives of 2',3'-didehydronucleosides
JP2008534489A (ja) 新しい種類のγδT細胞活性化剤およびその使用
EA006020B1 (ru) Производные 6-[2-(фосфонометокси)алкокси]пиримидинов, обладающие антивирус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ирусной инфекции
JP2007516244A (ja) 新しいクラスのガンマデルタt細胞アクチベーターおよびその使用
AU2007202803B2 (en) Organo-phosphorous compounds for activating gamma/delta T cells
DE10134705A1 (de) Organo-Phosphorverbindungen zur Aktivierung von gamma/delta-T-Zellen
DE10135395A1 (de) Organo-Phosphorverbindungen zur Aktivierung von gamma/delta-T-Zel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