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510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510B1
KR100904510B1 KR1020087030316A KR20087030316A KR100904510B1 KR 100904510 B1 KR100904510 B1 KR 100904510B1 KR 1020087030316 A KR1020087030316 A KR 1020087030316A KR 20087030316 A KR20087030316 A KR 20087030316A KR 100904510 B1 KR100904510 B1 KR 10090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pening
closing mechanism
indoor unit
movab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877A (ko
Inventor
테츠야 야마시타
타츠히코 아카이
타카시 도이
토시유키 나츠메
아츠시 카타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前面) 그릴과 가동 패널의 장착 정도(精度)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본체 케이싱(42)과,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과, 구동기와, 개폐 기구(61)를 구비한다. 전면 그릴(60)은 본체 케이싱(42)의 전방(前方)에 설치되고, 제1 흡입구(27)를 가진다.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구동기는 본체 케이싱(42)에 설치되고, 제2 패널(7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개폐 기구(61)는 전면 그릴(60)에 설치되고, 구동기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2 패널(72)을 이동시켜 제1 흡입구(27)를 개폐한다.
Figure R1020087030316
공기 조화기, 실내기, 본체 케이싱, 전면 그릴, 패널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가동 패널과 구동부와 개폐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가동 패널은, 예를 들어, 흡입구 등의 개구(開口)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패널이다. 구동부는, 가동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개폐 기구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가동 패널을 이동시키는 기구이며, 예를 들어, 모터 등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나 송풍 팬 등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고, 구동부는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개폐 기구도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근년(近年)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본체 케이싱에 장착되는 전면(前面) 그릴을 구비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전면 그릴은, 본체 케이싱의 전면에 장착되고, 흡입구나 취출구 등의 개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상기의 가동 패널은, 전면 그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 패널은, 본체 케이싱에 설치된 구동부 및 개폐 기구 에 의하여 개구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즉, 전면 그릴이 본체 케이싱에 장착되는 경우에서도, 구동부는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기 때문에, 개폐 기구도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7-12821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폐 기구가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동 패널과 전면 그릴의 장착 정도(精度)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즉, 개폐 기구가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면, 개폐 기구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동 패널은, 본체 케이싱을 기준으로 위치 결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전면 그릴의 개구를 개폐하는 가동 패널과, 전면 그릴의 장착 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면 그릴과 가동 패널의 장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 케이싱과, 전면 그릴과,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과, 구동부와, 개폐 기구를 구비한다. 전면 그릴은, 본체 케이싱의 전방(前方)에 설치되고, 흡입구와 취출구를 가진다. 제1 가동 패널은,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제2 가동 패널은 제1 가동 패널과 별체이고,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구동부는,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일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개폐 기구는, 전면 그릴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흡입구를 개폐하는 것과 함께, 제2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취출구를 개폐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개폐 기구가 본체 케이싱이 아니라 전면 그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기구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1 가동 패널은, 본 체 케이싱보다도 전면 그릴을 기준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 그릴과 제1 가동 패널의 장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개폐 기구는, 구동부의 동일한 구동력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것과 함께, 제2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제2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기구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을 링크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의 개폐 동작을 타이밍 좋게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 케이싱과, 전면 그릴과,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과, 구동부와, 개폐 기구를 구비한다. 전면 그릴은, 본체 케이싱의 전방(前方)에 설치되고, 흡입구와 취출구를 가진다. 제1 가동 패널은,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제2 가동 패널은 제1 가동 패널과 별체이고,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구동부는,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일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단일의 구동부이다. 개폐 기구는, 전면 그릴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흡입구를 개폐하는 것과 함께, 제2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취출구를 개폐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개폐 기구가 본체 케이싱이 아니라 전면 그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기구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1 가동 패널은, 본체 케이싱보다도 전면 그릴을 기준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 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 그릴과 제1 가동 패널의 장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개폐 기구는, 단일의 구동부의 동일한 구동력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제1 개구를 개폐하는 것과 함께, 제2 가동 패널을 이동시켜 제2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기구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을 링크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가동 패널과 제2 가동 패널의 개폐 동작을 타이밍 좋게 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개폐 기구가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를 가진다. 제1 개폐 기구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의 일단 및 제2 가동 패널의 일단을 이동시킨다. 제2 개폐 기구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가동 패널의 타단 및 제2 가동 패널의 타단을 이동시킨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0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는 전면 그릴의 좌우의 측면의 내면(內面)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는 전면 그릴의 좌우의 측면의 내면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전면 그릴의 장착 시에,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가 장착의 방해로 될 우려가 적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조립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0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는 각각 유닛화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는 각각 유닛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0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개폐 기구가 동력 전달축을 더 가진다. 동력 전달축은, 전면 그릴의 전면의 이면에 설치되고, 제1 개폐 기구 및 제2 개폐 기구와 접속되어 있으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제1 개폐 기구 및 제2 개폐 기구로 분배하여 전달한다.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가동 패널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가동 패널은 제1 가동 패널 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 그릴과 가동 패널의 장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구성 및 냉매 회로의 개략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장착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 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1)의 냉매 회로는, 주로 실내 열교환기(20), 어큐뮬레이터(31), 압축기(32), 사방 전환 밸브(33), 실외 열교환기(30) 및 전동 팽창 밸브(34)로 구성된다.
실내기(2)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20)는, 접촉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실내기(2)에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실내 열교환기(20)에 통하게 하여 열교환이 행해진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 팬(21)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21)은, 실내기(2)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모터(22)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실외기(3)에는, 압축기(32)와, 압축기(32)의 토출 측에 접속되는 사방 전환 밸브(33)와, 압축기(32)의 흡입 측에 접속되는 어큐뮬레이터(31)와, 사방 전환 밸브(33)에 접속된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 열교환기(30)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팽창 밸브(34)는, 액 폐쇄 밸브(36)를 통하여 배관(23)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23)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20)의 일단과 접속된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33)는, 가스 폐쇄 밸브(37)를 통하여 배관(24)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24)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20)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3)에는, 실외 열교환기(30)에서의 열교환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팬(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외 팬(38)은 실외 팬 모터(39)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의 구성〕
도 2에 실내기(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실내기(2)는, 실내의 측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의 실내기이며, 주로 본체부(4), 취출구 조립체(5), 전면 그릴 조립체(6), 전면 패널(7)을 구비한다.
[본체부]
본체부(4)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도 1 참조), 실내 팬 모터(22, 도 1 참조), 전장품(電裝品) 상자(40), 구동기(41, 도 4 참조), 본체 케이싱(42)을 가진다.
〈실내 열교환기, 실내 팬, 실내 팬 모터, 전장품 상자〉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는,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은, 측면에서 볼 때, 실내 팬(21)이 실내기(2)의 중앙에 배치되고, 역V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실내 열교환기(20)가 실내 팬(21)의 상반분(上半分)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 팬 모터(22, 도시하지 않음)는, 실내 팬(21)의 정면에서 볼 때의 우측방(右側方)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3(b)는 실내기(2)의 측면 단면도이다.
전장품 상자(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의 정면에서 볼 때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장품 상자(40)는, 내부에 제어 기판을 수용하고 있고, 제어 기판은 실내기(2)의 냉난방 운전 등에 필요한 각 구성 부품의 제어를 행한다.
〈구동기〉
구동기(41, 구동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42)의 좌측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전면 패널(7)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기(4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개폐 모터(43, 모터), 제1 구동기 기어(44), 제2 구동기 기어(45, 제2 기어), 구동기 케이싱(46)을 가지고 있다.
패널 개폐 모터(43)는, 전장품 상자(40)에 수용되는 제어 부품과 케이블(430)에 의하여 접속되고, 전면 패널(7)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 된다.
제1 구동기 기어(44)는, 패널 개폐 모터(43)의 회전을 제2 구동기 기어(45)로 전달한다.
제2 구동기 기어(45)는, 그 일부가 구동기 케이싱(46)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전면 그릴(60)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 기구(61)가 가지는 동력 전달 기어(66, 도 6 참조)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부(4)에 전면 그릴(60)을 장착하여 후술하는 고정부(62, 도 4 참조)에 구동기(41)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2 구동기 기어(45)와 동력 전달 기어(66)를 용이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제2 구동기 기어(45)는, 제1 구동기 기어(44)를 통하여 패널 개폐 모터(43)의 회전을 동력 전달 기어(66)로 전달하여, 개폐 기구(61)로 패널 개폐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기 케이싱(46)은, 상기의 패널 개폐 모터(43), 제1 구동기 기어(44), 제2 구동기 기어(45)를 수용한다. 또한, 구동기 케이싱(46)은 계지 구멍(461)과 피고정부(462)를 가진다.
계지 구멍(461)은 구동기 케이싱(46)에 설치된 개구이며, 도 4에 도시하는 본체 케이싱(42)의 계지 멈춤쇠(490)가 삽입된다. 계지 구멍(461)은 구동기 케이싱(46)에 2개 설치되어 있고, 각각 계지 멈춤쇠(490)의 크기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지 멈춤쇠(490)가 계지 구멍(46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구동기(41)는 이동 불가능하게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약간 이동 가능하게 가고정된다. 따라서, 가고정 후에 행해지는 본고정(本固定) 시에, 구동기(41)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피고정부(462)는 전면 그릴(60)의 고정부(62)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나사 구멍을 가진다. 피고정부(462)는, 전면 그릴(60)에 설치되는 고정부(62)에 나사 고정된다. 피고정부(462)와 고정부(62)에 의한 고정은, 계지 구멍(461)과 계지 멈춤쇠(490)에 의한 가고정과는 달리, 구동기(41)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동기(41)를 전면 그릴(60)에 확실히 고정하는 고정이다.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42)에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 전장품 상자(40), 구동기(41)가 설치된다. 본체 케이싱(42)에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 전장품 상자(40)가 고정되고, 구동기(41)가 가고정된다. 본체 케이싱(42)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실내 팬(21)의 하방(下方), 후방(後方), 좌측방(左側方)을 덮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 케이싱(4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팬 수용부(47), 배면부(背面部, 48), 좌측부(49)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 4에 있어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실내 열교환기(20)나 실내 팬(21)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실내 팬 수용부(47)는, 실내 팬(21) 및 실내 팬 모터(22)를 수용하는 부분이며, 실내 팬(21)의 상방(上方)으로부터 장착되는 실내 열교환기(20)를 지지한다. 실내 팬 수용부(47)의 우측단 근방에는, 실내 팬(21)의 우측방에 배치되는 실내 팬 모터(22)가 고정되고, 나아가 그 우측방에는 전장품 상자(40)가 고정된다 (도 2 참조). 실내 팬 수용부(47)의 하부는, 취출구 조립체(5)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실내 팬(21)이 수용된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음). 실내 팬 수용부(47)의 하부에 취출구 조립체(5)가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 팬 수용부(47)의 실내 팬(21)이 수용되는 공간과, 취출구(26, 도 3(b) 참조)가 연통한다.
배면부(48)는, 실내 팬(21) 및 실내 열교환기(20)의 후방을 덮고, 실내기(2)의 배면 측을 닫는다.
좌측부(49)는, 구동기(41)가 가고정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좌측부(49)는, 실내 팬 수용부(47)의 좌측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실내 팬 수용부(47)에 장착되는 실내 팬(21) 및 실내 열교환기(20)의 좌측단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좌측부(49)의 좌측면에는, 구동기(41)를 가고정하는 계지 멈춤쇠(490)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멈춤쇠(490)는, 계지 구멍(461)에 대응하여 2개소 설치되어 있고, 좌측부(49)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방, 즉, 좌측부(49)의 실내 팬(21)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계지 멈춤쇠(490)는, 전면 그릴(60)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되기 전에, 구동기(41)를 본체 케이싱(42)에 가고정한다. 계지 멈춤쇠(490)가 삽 입되는 구동기(41)의 계지 구멍(4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계지 멈춤쇠(490)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계지 멈춤쇠(490)와 계지 구멍(461)에 의하여 가고정된 상태의 구동기(41)는, 약간 이동 가능하게 가고정되어 있고, 계지 멈춤쇠(490)는 구동기(41)가 후술하는 전면 그릴(60)의 고정부(62)에 의하여 고정될 때에, 구동기(41)가 고정부(62)에 의하여 고정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구동기(41)를 가고정한다.
[취출구 조립체]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조립체(5)는, 본체부(4)에 장착되어 취출구(26, 도 3(b) 참조)를 구성한다. 취출구 조립체(5)에 의하여 구성되는 취출구(26)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20)를 통하여 실내로 불어나오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이다. 취출구(26)는, 정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취출구(26)는 실내기(2)의 하부 근방에서, 실내기(2)의 전면에 설치된다.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26)는, 후술하는 전면 패널(7)의 제1 패널(71, 제2 가동 패널)에 의하여 닫힌다.
취출구 조립체(5)는, 수평 플랩(50) 및 플랩 모터(51, 도 4 참조)를 가지고 있다. 수평 플랩(50)은,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판상(板狀)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취출구(26)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한다. 수평 플랩(50)은,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고 있고, 플랩 모터(51)에 의하여 구동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한다. 또한, 수평 플랩(50)은 수평면에 평행이 되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면에 평행한 실내기(2)의 저면(底面)을 구성한다.
[전면 그릴 조립체]
전면 그릴 조립체(6)는, 전방으로부터 본체부(4)에 장착되고, 본체부(4)의 전방이나 측면을 덮는다. 전면 그릴 조립체(6)는, 전면 그릴(60) 및 개폐 기구(61)를 가진다.
〈전면 그릴〉
전면 그릴(60)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배면 전체가 개구한 박형(薄型)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진다. 전면 그릴(60)은, 정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전면 그릴(60)은, 본체부(4)의 전방, 좌우 측방(側方), 상방 및 하방를 덮도록 본체부(4)에 장착된다. 또한, 전면 그릴(60)에는 흡입부(25)와 취출부(29, 제2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25)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실내기(2)의 내부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1 흡입구(27, 제1 개구)와 제2 흡입구(28)를 가지고 있다. 제1 흡입구(27)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중앙 부근에서부터 상부에 걸쳐 설치되고, 실내 열교환기(20)의 전면 측과 대향한다. 제1 흡입구(27)는,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후술하는 전면 패널(7)의 제2 패널(72, 제1 가동 패널)에 의하여 닫힌다. 제2 흡입구(28)는, 전면 그릴(60)의 긴쪽 방향으로 긴 복수의 슬릿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면 그릴(6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취출부(29)는, 전면 그릴(60)의 하부에 설치된 개구이며, 취출구 조립체(5)와 함께 취출구(26)를 구성한다. 취출부(29)는, 후술하는 전면 패널(7)의 제1 패널(71)에 의하여 닫힌다.
또한, 전면 그릴(60)의 전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62)는, 가고정된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가 고정되는 부분이며, 나사 구멍을 가지고 있다. 나사 구멍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좌측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4)에 가고정된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 가고정의 단계에서는,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고정부(62)의 나사 구멍은 완전히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피고정부(462)와 고정부(62)를 고정하는 본고정의 단계에서, 가고정된 구동기(41)를 이동시켜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고정부(62)의 나사 구멍을 일치시키면 된다. 고정부(62)와 피고정부(462)는, 나사를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고정부(62)의 나사 구멍에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양측단 근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600 - 60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600 - 603)은, 상하로 나누어져 좌우 각각에 2개소씩, 합계 4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600 - 603)에서는, 후술하는 제1 패널 지지 부재(67),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일부가 돌출하고 있고, 전면 패널(7)의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이, 제1 패널 지지 부재(67) 및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일부에 각각 고정된다.
〈개폐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개폐 기구(61)는, 구동기(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전면 패널(7)을 이동시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이다. 개폐 기구(61)는, 기어부를 가지는 복수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로 전달하는 감속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개폐 기구(61)는, 구동기(41)로부터 전해지는 회전 운동을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기구(61)는 전면 그릴(60)의 이면(裏面)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개폐 기구(63), 제2 개폐 기구(64) 및 동력 전달축(65)을 가지고 있다.
제1 개폐 기구(63)는, 전면 패널(7)의 좌측면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을 지지한다. 덧붙여, 여기에서 말하는 「좌우」란 실내기(2)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를 의미하고 있고, 도 6은 전면 그릴(60)을 이측(裏側)에서 본 도면이기 때문에, 도 6에서의 좌우와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는 역으로 되어 있다. 제1 개폐 기구(63)는,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개폐 시에,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으로 전하여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을 이동시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다.
제2 개폐 기구(64)는, 전면 패널(7)의 우측면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패널(71)의 우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우측단 근방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개폐 기구(64)는,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개폐 시에,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패널(71)의 우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우측단 근방으로 전하여 제1 패널(71)의 우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우측단 근방을 이동시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다.
동력 전달축(65)은,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개폐 기구(63) 및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부재이며,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이면에,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동력 전달축(65)의 양단은 각각 제1 개폐 기구(63) 및 제2 개폐 기구(64)와 접속되어 있고, 그 사이에 동력 전달 기어(66, 제1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어(66)는, 제1 개폐 기구(6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전면 그릴(60)이 본체부(4)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기(41)의 제2 구동기 기어(45)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 기구(61)는, 동력 전달축(65)에 의하여, 구동기(41)로부터의 구동력을 제1 개폐 기구(63) 및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1 개폐 기구(63)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제2 개폐 기구(64)는 제1 개폐 기구(63)와 좌우 대칭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 개폐 기구(63)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개폐 기어(630, 감속 기구, 변환 기구), 제2 개폐 기어(631, 감속 기구, 변환 기구), 제1 패널 지지 부재(67), 제2 패널 지지 부재(68, 지지 부재, 감속 기구, 변환 기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개폐 기구(63)는, 이들 기어 및 부재를 수용하는 제1 개폐 기구 케이싱(69)을 가지고 있고, 유닛화되어 있다.
제1 개폐 기어(630)는, 동력 전달축(65)의 일단에 고정되고, 동력 전달축(65)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기(41)로부터의 구동력을 제2 개폐 기어(631)로 전 달한다.
제2 개폐 기어(631)는, 제1 개폐 기어(630),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제1 기어부(670) 및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제2 기어부(680)와 맞물려 있고, 제1 개폐 기어(63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1 패널 지지 부재(67) 및 제2 패널 지지 부재(68)로 각각 전달한다.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제1 패널(71)에 장착되고, 제1 패널(71)을 지지하는 평탄한 판상의 부재이다.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1 패널(71)을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적인 형상의 직선 부분(671)과, 직선 부분(671)의 하부로부터 실내기(2)의 전방을 향하여 만곡(彎曲)하는 만곡 부분(67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만곡 부분(672)의 선단(先端)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에 설치된 슬릿(601)을 통하여 전면 그릴(60)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4 참조). 이 만곡 부분(672)의 선단에는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이 고정된다. 또한, 직선 부분(671)에는, 제1 기어부(67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어부(67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이며, 제2 개폐 기어(631)의 회전 운동을 상하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기(41)의 회전 운동이 제1 패널(71)의 상하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제2 패널(72)에 장착되고, 제2 패널(72)을 지지하는 평탄한 판상의 부재이다.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 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패널(7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완만한 원호(圓弧)를 그려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2 패널(7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 패널(72)은, 그 상단이 앞으로 기울도록 이동하고, 제2 패널(72)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 패널(72)은, 앞으로 기울고 있던 상단이 원래대로 되돌아와 제2 패널(72)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이동한다 (도 8 참조).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제2 기어부(680)와 판부(681)를 가지고 있다.
제2 기어부(680)는 판부(68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2 개폐 기어(631)와 맞물려 있다. 제2 기어부(680)는, 완만한 원호를 그리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이며, 제2 개폐 기어(631)의 회전 운동을 원호 운동으로 변환하여,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2 패널(72)로 전달한다.
판부(681)는,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및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외측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및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외측을 덮고 있다. 판부(681)의 전단(前端)은 전면 패널(7)의 전면에 설치된 슬릿(600)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이 고정되고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을 지지한다. 판부(681)는, 제2 기어부(680)로 전달되는 구동기(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완만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한다. 제2 패널(72)의 열림 동작에 있어서는, 판부(681)는 슬릿(600)으로부터 전면 그릴(60)의 전방으로 한층 더 돌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패널(72)을 제1 흡입구(27)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특히, 제2 패널(72)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판부(681)는 슬릿(600)으로부터 전면 그릴(60)의 전방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고, 제2 패널(72)과 전면 그릴(60)의 간극(間隙)의 측방을 막는다 (도 8 참조). 이것에 의하여, 판부(681)는 제2 패널(72)과 전면 그릴(60)의 간극의 측방으로부터 거주자 등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판부(681)는 제2 기어부(680),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등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거주자 등의 손이 제2 기어부(680)나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등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전면 패널]
전면 패널(7)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다. 전면 패널(7)은, 정면에서 볼 때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덮고,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한다. 전면 패널(7)은, 이음매가 없는 복수의 패널이 집합한 패널 집합체이며,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과 제3 패널(73)을 가지고 있다.
〈제1 패널〉
제1 패널(71)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하방에, 취출구(26)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취출구(26)를 덮도록 설치된다. 제1 패널(71)은, 개폐 기구(6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좌우 양단 근방이 지지되어 있고,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제1 패널(71)은,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장방형의 평판상(平板狀)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의 전면 그릴(60)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진다. 제1 패널(71)의 표측(表側)은, 요철(凹凸) 및 구멍 등의 개구 부가 없는 매끄러운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패널(71)은, 취출구(26)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3(a) 및 도 8(a)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패널(71)은, 정면에서 볼 때 취출구(26)보다도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패널(71)은, 취출구(26)를 닫은 상태에서는, 취출구(26)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하방을 완전히 덮는다. 또한, 제1 패널(71)은, 펄 입자 등의 휘도를 가지는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투명 수지층의 이측에는, 색채나 무늬 등이 넣어진 도료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료층은, 제1 패널(71)의 이측으로부터 도장을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패널(71)은 의장성이 높고, 거주자 등의 눈에 띄기 쉬운 전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2)의 의장성을 높이는 의장 패널로서 기능한다.
〈제2 패널〉
제2 패널(72)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상방에, 제1 흡입구(27)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 흡입구(27)를 덮도록 설치된다. 제2 패널(72)은, 개폐 기구(61)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좌우 양단 근방이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흡입구(27)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를 열고, 제1 흡입구(27)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를 닫는다. 제2 패널(72)은,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장방형의 평판상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 제1 흡입구(27)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진다. 제2 패널(72)의 표측은, 요철 및 구멍 등의 개구부가 없는 매 끄러운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3(a) 및 도 8(a)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패널(72)은, 정면에서 볼 때 제1 흡입구(27)보다도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 흡입구(27)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상반분을 완전히 덮는다. 또한, 제2 패널(72)은, 제1 패널(71)과 마찬가지로, 펄 입자 등의 휘도를 가지는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투명 수지층의 이측에는, 색채나 무늬 등이 넣어진 도료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료층은, 제2 패널(72)의 이측으로부터 도장을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패널(72)은 의장성이 높고, 거주자 등의 눈에 띄기 쉬운 전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2)의 의장성을 높이는 의장 패널로서 기능한다.
〈제3 패널〉
제3 패널(73)은,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패널(73)은, 정면에서 볼 때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3 패널(73)은, 전면 그릴(60)과 대략 같은 폭(W)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제1 패널(71)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진다. 제3 패널(73)의 표측은, 요철 및 구멍 등의 개구부가 없는 매끄러운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패널(73)은,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단부 근방이 전면 그릴(60)의 좌우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있고, 제3 패널(73)의 전면 부분이 전면 그릴(60)의 전면 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극을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3 패널(73)의 전면 부분의 후방에는, 전면 그릴(60)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하방에 배치된 제1 패널(71)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취출구(26)를 열기 위하여 이동하는 제1 패널(71)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3 패널(73)은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널(71)은, 취출구(26)를 닫은 상태에서는, 취출구(26)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하방를 완전히 덮고,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 흡입구(27)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상방을 완전히 덮는다. 또한,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에서는, 대략 평탄한 장방형의 평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면 패널(7)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에서는 실내기(2)의 전면의 대략 전체를 덮고,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의 경계선에 생기는 이음매만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난다. 즉, 제1 패널(71)과 제3 패널(73)의 경계선 및 제2 패널(72)과 제3 패널(73)의 경계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만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난다. 나아가,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은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고, 전면 패널(7)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면 패널(7)이 이와 같은 평탄한 형상으로 되는 것에 의하여 미관이 향상하고 있다.
[운전 개시 시의 전면 패널의 동작]
실내기(2)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전면 패널(7)은 상기와 같이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실내기(2)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우선, 실내 팬(21)이 저회전으로 기동된다. 다음으로,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하, 전면 패널(7)의 동작을 주로 도 8(a), 도 8(b) 및 도 8(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실내기(2)의 측면도이다.
실내기(2)가 운전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고 있고,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은,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의 표측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이 상태에서는, 개폐 기구(61)의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가동 범위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가동 범위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실내기(2)가 운전을 개시하면, 구동기(41)의 패널 개폐 모터(43)가 제어되어 회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구동기(41)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축(65)으로 전달되고, 구동력이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되어 전달된다. 그리고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에 의하여,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때, 제1 개폐 기구(63)에서는, 구동력이 제1 개폐 기어(630)와 제2 개폐 기어(631)를 통하여 제1 패널 지지 부재(67)로 전달된다. 제2 개폐 기어(631)로부터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제1 기어부(670)로 구동력이 전달될 때에, 회전 운동이 상방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개폐 기구(64)에서도 같은 구동기(4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1)은, 상하 방향 상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취출구(26)를 연다. 제1 패널(71)이 상하 방향 상향으로 이동하면, 제1 패널(71)의 상단이 제3 패널(73)의 후방의 간극에 삽입된다. 제1 패널(71)이 나아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1)이 제3 패널(73)과 전면 그릴(60)의 사이의 간극에 수용되고, 제3 패널(73)의 후방에 숨은 상태로 된다. 즉, 제1 패널(71)의 대략 전체가, 제3 패널(73)에 겹쳐진 상태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1 패널(71)의 이동에 링크하여 제2 패널(72)도 이동한다. 이때, 제1 개폐 기구(63)에서는, 상기의 제2 개폐 기어(631)의 회전이, 동시에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제2 기어부(68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 개폐 기어(631)로부터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제2 기어부(680)로 구동력이 전달될 때에, 회전 운동이 완만한 원호상의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전방으로 완 만한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이 원호상의 궤적은, 제2 패널 지지 부재(68)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하는 것과 같은 궤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개폐 기구(64)에서도 같은 구동기(4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2 패널 지지 부재(68)가 전면 그릴(6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패널(72)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하는 것)한다. 제2 패널(72)은 그 하단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회동한다. 제2 패널(72)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층 더 이동하여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그리고 제2 패널(72)의 상단과 전면 그릴(60)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고, 제1 흡입구(27)로부터 실내기(2)의 내부로 공기가 빨아들여진다. 덧붙여, 이때,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 사이의 간극의 측방은 제2 패널 지지 부재(68)에 의하여 막혀 있고,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 사이의 간극의 상방이 열려 있다. 이 때문에, 공기는 주로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 사이의 간극의 상방으로부터 빨아들여진다.
전면 패널(7)이 이동하여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열리면, 수평 플랩(50, 도 2 참조)이,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또한,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구동기(41)의 패널 개폐 모터(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제1 패널 지지 부재(67)와 제2 패널 지지 부재(68)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상기와 역으로 이동하고, 전면 패널(7)은 평탄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상기의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본체부(4)의 조립공정 S1, 취출구 조립체(5)의 장착 공정 S5, 전면 그릴 조립체(6)의 장착 공정 S6, 구동기(41)의 본고정 공정 S7, 전면 패널(7)의 장착 공정 S8을 구비한다.
본체부(4)의 조립공정 S1은, 나아가 열교환기 등의 장착 공정 S2, 구동기(41)의 가고정 공정 S3, 배선의 접속 공정 S4 등을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 등의 장착 공정 S2에서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 전장품 상자(40) 등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된다.
구동기(41)의 가고정 공정 S3에서는, 본체 케이싱(42)의 좌측부(49)의 계지 멈춤쇠(490, 가고정부, 멈춤쇠부)에 구동기(41)가 가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좌측부(49)의 계지 멈춤쇠(490)가 구동기(41)의 계지 구멍(461)에 삽입되어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기(41)가 좌측부(49)에 가고정된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적어도 전면 그릴(60)을 본체 케이싱(42)에 장착할 때에는, 구동기(41)는 본체 케이싱(42) 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고정된 구동기(41)는, 전면 그릴(60)이 본체부(4)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와 전면 그릴(60)의 고정부(62)가 대체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배선의 접속 공정 S4에서는, 구동기(41)의 패널 개폐 모터(43)와 전장품 상자(40)의 제어 기판이 케이블(430)에 의하여 접속된다. 덧붙여, 케이블(430)은, 구동기(41)로부터 본체 케이싱(42)을 따라 전장품 상자(40)까지 연장하여 설치된다.
다음으로, 취출구 조립체(5)의 장착 공정 S5에서는, 취출구 조립체(5)가 본체부(4)에 장착된다. 취출구 조립체(5)는, 본체부(4)의 실내 팬(21)이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취출구(26)가 연통하도록 본체부(4)에 장착된다.
전면 그릴 조립체(6)의 장착 공정 S6에서는, 전면 그릴 조립체(6)가 본체부(4)에 장착된다. 전면 그릴 조립체(6)는, 본체부(4)의 전방으로부터 본체부(4)에 씌워지고, 나사 고정이나 끼워 넣기 등에 의하여 본체부(4)에 고정된다.
구동기(41)의 본고정 공정 S7에서는, 가고정된 구동기(41)가 전면 패널(7)에 본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전면 패널(7)의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에 나사가 통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구동기(41)와 전면 패널(7)이 고정된다. 이때, 구동기(41)는 본체 케이싱(42)에 가고정된 상태이며, 전면 패널(7)의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이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7)의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동기(41)를 약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피고정 부(462)의 나사 구멍을 일치시켜 용이하게 나사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7)의 장착 공정 S8에서, 전면 패널(7)이 전면 그릴(6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슬릿(600 - 603)으로부터 돌출하는 개폐 기구(61)의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선단과,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선단에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각각 고정된다. 또한, 제3 패널(73)이 전면 그릴(60)에 고정된다.
덧붙여, 각 공정 S1 - S8은, 반드시 상기의 순서로 행해질 필요는 없고, 가능하면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특징〕
(1)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면 패널(7)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 기구(61)가 전면 그릴(6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폐 기구(61)가 본체부(4)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면 그릴(60)과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의 장착의 정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전면 그릴(60)과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의 사이의 간극이나 줄눈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고, 의장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는 각각 유닛화되어 전면 그릴(6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의 전면 그릴(60)에의 장착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한다.
나아가,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는, 전면 그릴(60)의 좌우의 측면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고, 전면 그릴(60)의 본체부(4)에의 장착 시의 방해로 될 우려가 적다. 이 때문에, 전면 그릴(60)의 본체부(4)에의 장착도 용이하다.
(2)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제2 패널(72)이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 경우에서도,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판부(681)에 의하여 제2 패널(72)과 전면 그릴(60)의 사이의 측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개폐 기구(61)의 기어부 등은, 판부(68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거주자 등의 손이 기어부 등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판부(681)에 의하여 제2 패널(72)과 전면 그릴(60)의 사이의 측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나 기어 등의 가동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제2 패널(72)의 이동 시에 있어서의 의장성이 향상한다.
나아가,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일체 성형되어 있고, 판부(681)와 제2 기어부(680)는 일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가 삭감되고, 주변 부품이 점유하고 있던 스페이스의 생략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기어부(680)와 판부(681)가 일체화된 것에 의하여, 제2 기어부(680) 자체의 강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제2 패널(72)을 지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패널 지지 부재(68)를 손 넣음 방지나 가리개용의 부재로서도 이용하고 있어, 다기능 부품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3)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구동기(41)는 본체부(4)에 가고정되 기 때문에, 전면 패널(7)의 본체부(4)에의 장착 시에 구동기(41)가 전면 패널(7)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선 처리가 용이하다. 즉, 전면 패널(7)의 본체부(4)에의 장착 시에 구동기(41)가 전면 패널(7)에 고정되어 있으면, 전면 패널(7) 측과 본체부(4) 측에서 배선이 걸치게 되어 작업이 행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구동기(41)를 본체부(4)에 가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면 패널(7)의 본체부(4)에의 장착 시에 전면 패널(7) 측과 본체부(4) 측에서 배선이 걸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구동기(41)는 개폐 기구(61)로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하여, 구동기(41)와 개폐 기구(61)의 위치 맞춤이 필요하지만,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면 그릴(60)이 본체부(4)에 장착된 후에, 전면 그릴(60)에 고정된다. 즉, 구동기(41)는 최종적으로는 전면 그릴(60)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면 그릴(60)에 설치되는 개폐 기구(61)와 구동기(41)의 장착 정도가 향상한다.
(4)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구동기(41)의 구동력이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되어 전달되고,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좌우 양단 근방이 링크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에서 좌우의 이동이 정도 좋게 동기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변형이 방지되고, 매끄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기(41)의 구동력이 제1 패널 지지 부재(67)와 제2 패널 지지 부재(68)로 분배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이 링크하여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 흡입구(27)와 취출구(26)의 개폐 동작을 동기시켜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나아가,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좌우 양단 근방의 이동 및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의 이동의 합계 4개소의 이동이, 하나의 패널 개폐 모터(43)의 구동력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때문에, 이 4개소의 이동의 동기를 정도 좋게 행할 수 있어, 개폐 동작이 타이밍 좋게 행해진다.
〔다른 실시예〕
(1)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개폐 기구(61)는, 구동기(4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 혹은 원호상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개폐 기구(61)가 행하는 동작의 변환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기(41)로부터 직선적인 운동이 전달되고, 이것을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기구에서도 무방하다.
(2)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는 전면 그릴(60)의 좌우 측면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의 배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그릴(60)의 형상이나 전면 패널(7)의 배치에 따라서는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3)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별체의 판부(681)와 기어부가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단, 부품 점수 삭감의 관점에서 는,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본체부(4)의 계지 멈춤쇠(490)와 구동기(41)의 계지 구멍(461)에 의하여 가고정이 행해지고 있지만, 계지 멈춤쇠(490)가 구동기(41)에 설치되고, 계지 구멍(461)이 본체부(4)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가고정을 위한 구성은, 계지 멈춤쇠(490)와 계지 구멍(461)에 한정하지 않고, 구동기(41)를 본체부(4)에 대하여 가고정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5)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고정의 구조는,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개폐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부(4)로부터, 어떠한 가동 부품을 구비하는 전면 그릴(60)로 구동력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6)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개폐 기구(61)의 동력 전달축(65)에 의하여 구동기(41)의 구동력이 분배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축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부재에 의하여 구동력이 분배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전면 그릴과, 개폐 기구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1 가동 패널의 장착 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유용하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2는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실내기의 정면도이고, (b)는 실내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실내기의 좌측단 근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구동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전면 그릴 조립체를 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제1 개폐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개폐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내기의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27 : 제1 흡입구 (제1 개구)
29 : 취출부 (제2 개구)
41 : 구동기 (구동부)
42 : 본체 케이싱
43 : 패널 개폐 모터 (모터)
45 : 제2 구동기 기어 (제2 기어)
60 : 전면 그릴
61 : 개폐 기구
62 : 고정부
63 : 제1 개폐 기구
64 : 제2 개폐 기구
66 : 동력 전달 기어 (제1 기어)
68 : 제2 패널 지지 부재 (지지 부재, 감속 기구, 변환 기구)
71 : 제1 패널 (제2 가동 패널)
72 : 제2 패널 (제1 가동 패널)
490 : 계지 멈춤쇠 (가고정부, 멈춤쇠부)
630 : 제1 개폐 기어 (감속 기구, 변환 기구)
631 : 제2 개폐 기어 (감속 기구, 변환 기구)

Claims (14)

  1. 본체 케이싱(42)과,
    상기 본체 케이싱(42)의 전방(前方)에 설치되고, 흡입구(27)와 취출구(29)를 가지는 전면(前面) 그릴(60)과,
    상기 흡입구(27)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가동 패널(72)과,
    상기 제1 가동 패널(72)과 별체이고, 상기 취출구(29)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가동 패널(71)과,
    상기 제1 가동 패널(72)과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일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41)와,
    상기 전면 그릴(6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 패널(72)을 이동시켜 상기 흡입구(27)를 개폐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을 이동시켜 상기 취출구(29)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61)
    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2. 본체 케이싱(42)과,
    상기 본체 케이싱(42)의 전방(前方)에 설치되고, 흡입구(27)와 취출구(29)를 가지는 전면(前面) 그릴(60)과,
    상기 흡입구(27)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가동 패널(72)과,
    상기 제1 가동 패널(72)과 별체이고, 상기 취출구(29)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 능한 제2 가동 패널(71)과,
    상기 제1 가동 패널(72)과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일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단일의 구동부(41)와,
    상기 전면 그릴(6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 패널(72)을 이동시켜 상기 흡입구(27)를 개폐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을 이동시켜 상기 취출구(29)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61)
    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61)는,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 패널(72)의 일단 및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제1 개폐 기구(63)와,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 패널(72)의 타단 및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의 타단을 이동시키는 제2 개폐 기구(64)
    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기구(63)와 상기 제2 개폐 기구(64)는 상기 전면 그릴(60)의 좌우의 측면의 내면(內面)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기구(63)와 상기 제2 개폐 기구(64)는 각각 유닛화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61)는,
    상기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개폐 기구(63) 및 상기 제2 개폐 기구(64)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을 상기 제1 개폐 기구(63) 및 상기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65)
    을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패널(72)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동 패널(71)은 상기 제1 가동 패널(72)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KR1020087030316A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90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340513 2003-09-30
JP2003340513A JP3641722B2 (ja) 2003-09-30 2003-09-30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JP-P-2003-340514 2003-09-30
JP2003340514A JP3641723B2 (ja) 2003-09-30 2003-09-30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組立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09A Division KR20060064064A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877A KR20090006877A (ko) 2009-01-15
KR100904510B1 true KR100904510B1 (ko) 2009-06-25

Family

ID=344253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099A KR100815031B1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7004309A KR20060064064A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87030316A KR100904510B1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099A KR100815031B1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7004309A KR20060064064A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58409B2 (ko)
EP (1) EP1681517B1 (ko)
JP (2) JP3641723B2 (ko)
KR (3) KR100815031B1 (ko)
CN (2) CN100498084C (ko)
AU (1) AU2004278588B2 (ko)
ES (1) ES2666560T3 (ko)
SG (1) SG131132A1 (ko)
WO (1) WO2005033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502A (ja) * 2005-01-12 2006-07-27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059267B2 (ja) * 2005-11-30 2008-03-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001172B1 (ja) 2006-04-17 2007-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8535127B2 (en) 2006-11-22 2013-09-17 Dometic Corporation Air distribution apparatus
JP4698721B2 (ja) * 2008-10-17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576539B1 (ko) * 2009-01-20 2015-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858641B (zh) * 2010-06-18 2012-05-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柜机出风结构
US20120309287A1 (en) * 2011-06-06 2012-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Linear hidden vent feature for over the range style cooking appliances
US9975405B2 (en) 2013-03-14 2018-05-22 Dometic Corporation Modular air grill assembly
EP3076095B1 (en) * 2013-11-26 2019-05-08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RU2683342C1 (ru) * 2015-08-24 2019-03-28 Мицубиси Электрик Корпорейшн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установк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USD850609S1 (en) 2015-10-15 2019-06-04 Dometic Sweden Ab Modular air grill
AU2017101887A4 (en) 2016-01-16 2020-10-08 Dometic Sweden Ab Parking cooler
USD817466S1 (en) 2016-01-19 2018-05-08 Dometic Sweden Ab Air shroud assembly
AU367405S (en) 2016-02-12 2016-03-01 Dometic Sweden Ab Recreational vehicle air-conditioning unit
DE112017000915T5 (de) 2016-02-22 2018-10-31 Dometic Sweden Ab Klimaanlagensteuerung
CN109070688B (zh) 2016-02-22 2022-04-19 多美达瑞典有限公司 车辆空调器
AU201612249S (en) 2016-04-28 2016-05-31 Dometic Sweden Ab Air-conditioning unit
AU201712794S (en) 2016-11-23 2017-05-23 Dometic Sweden Ab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D915569S1 (en) 2017-02-17 2021-04-06 Dometic Sweden Ab Shroud assembly
AU2018331011B2 (en) * 2017-09-12 2021-04-0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AU2018366469A1 (en) 2017-11-16 2020-05-21 Dometic Sweden Ab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recreational vehicles
USD905217S1 (en) 2018-09-05 2020-12-15 Dometic Sweden Ab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219821B1 (ko) * 2019-01-31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13739256A (zh) * 2020-05-29 2021-12-0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蒸发器边板板材、蒸发器边板、其制造方法及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611Y1 (ko) * 1995-12-12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2003014249A (ja) * 2001-06-19 2003-01-15 Lg Electronics Inc 空調装置
KR200312142Y1 (ko) 2003-01-22 2003-05-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에어컨의 전면판넬과 상부판넬 개패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903Y2 (ja) 1989-06-06 1995-09-20 東芝エー・ブイ・イー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H0397113U (ko) 1990-01-19 1991-10-04
JPH0420923U (ko) 1990-06-13 1992-02-21
JPH05187706A (ja) 1992-01-08 1993-07-27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153676B2 (ja) 1993-06-24 2001-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試料混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蛍光検出装置
JP2587468Y2 (ja) 1993-07-20 1998-12-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5810658A (en) * 1995-11-30 1998-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locking device for closing or opening the suction and exhaust ports in air conditioners
JP3260614B2 (ja) * 1996-02-07 2002-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壁設置型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215048B1 (ko)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3170564B2 (ja) * 1996-10-08 2001-05-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低速運転装置
JPH10217876A (ja) * 1997-02-06 1998-08-18 Yazaki Corp ルーフ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US6000246A (en) * 1998-06-02 1999-12-14 Hsieh; Wen-Bin Stepless speed change type cloth take-up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3506361B2 (ja) 1998-06-02 2004-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装ユニットの組付接続構造
JP2000074477A (ja) * 1998-09-01 2000-03-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6062612A (en) * 1998-09-22 2000-05-16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Remotely controllable lock
JP2000039171A (ja) * 1999-08-03 2000-02-08 Hitachi Ltd 空気調和機
CN2491759Y (zh) * 2001-05-23 2002-05-15 魏强 面板整体开启顶部进风空调室内机
JP4495370B2 (ja) * 2001-08-28 2010-07-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97113U (ja) * 2003-04-11 2004-01-15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椅子式電位治療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611Y1 (ko) * 1995-12-12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2003014249A (ja) * 2001-06-19 2003-01-15 Lg Electronics Inc 空調装置
KR200312142Y1 (ko) 2003-01-22 2003-05-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에어컨의 전면판넬과 상부판넬 개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0335A (zh) 2006-11-08
JP3641722B2 (ja) 2005-04-27
SG131132A1 (en) 2007-04-26
WO2005033587A1 (ja) 2005-04-14
CN100498084C (zh) 2009-06-10
US20070012062A1 (en) 2007-01-18
KR100815031B1 (ko) 2008-03-18
EP1681517B1 (en) 2018-03-21
AU2004278588A1 (en) 2005-04-14
EP1681517A1 (en) 2006-07-19
AU2004278588B2 (en) 2008-01-10
EP1681517A4 (en) 2008-11-19
ES2666560T3 (es) 2018-05-07
KR20060064064A (ko) 2006-06-12
CN101231008A (zh) 2008-07-30
US7758409B2 (en) 2010-07-20
KR20090006877A (ko) 2009-01-15
JP2005106387A (ja) 2005-04-21
KR20080003439A (ko) 2008-01-07
JP3641723B2 (ja) 2005-04-27
JP2005106386A (ja)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5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09058145A (ja) 空気調和機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077009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098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347953B1 (ko) 삼면 토출형 공기 조화기의 전면 패널
JP3641725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756581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5214562A (ja) 空調室内機
KR20090044258A (ko) 공기조화기
CN114183816B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10125330A (ko) 공기조화장치
KR100879602B1 (ko) 공기조화기
KR10088112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