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90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90B1
KR100770090B1 KR1020067003777A KR20067003777A KR100770090B1 KR 100770090 B1 KR100770090 B1 KR 100770090B1 KR 1020067003777 A KR1020067003777 A KR 1020067003777A KR 20067003777 A KR20067003777 A KR 20067003777A KR 100770090 B1 KR100770090 B1 KR 10077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door unit
air conditioner
open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847A (ko
Inventor
테츠야 야마시타
타츠히코 아카이
타카시 도이
토시유키 나츠메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전면(前面) 그릴(60)과, 의장 패널을 구비한다. 전면 그릴(60)에는 취출구(26)가 설치된다. 전면 패널(7)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26)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취출구(26)를 열도록 이동한다.
공기 조화기, 실내기, 취출구, 전면 그릴, 의장 패널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싱에 설치된 흡입구를 덮는 의장 패널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 의장 패널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는, 정면에서 볼 때 흡입구를 덮는 것에 의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시에는,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의장 패널이 이동하여 공기의 흡입을 확보한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것에 의하여, 의장성과 송풍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98129 (제1 도)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흡입구에 관해서는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취출구에 관해서는 의장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즉, 취출구는 의장 패널에 덮여 있지 않고, 취출구 또는 취출구를 폐색하는 수평 플랩이 정면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취출구나 수평 플랩이 거주자 등의 시야로 들어가, 의장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보다도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내기의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는 위치에 취출구를 배치하면, 취출구의 배치가 제한된다. 이 때문에, 기류 분포가 악화되어 송풍 성능이 저하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싱과, 의장 패널과, 패널 개폐 모터와, 개폐 기구를 구비한다. 케이싱에는 취출구가 설치된다. 의장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를 정면에서 볼 때 덮는다. 패널 개폐 모터는 의장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개폐 기구는 운전 시에는 패널 개폐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취출구를 열도록 의장 패널을 이동시킨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취출구를 의장 패널로 덮어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운전 시에는 개폐 기구가 패널 개폐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취출구를 열도록 의장 패널을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의장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취출구와 케이싱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도록 취출구를 덮는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취출구와 케이싱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도록 취출구를 덮는다. 따라서,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취출구와 케이싱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의장 패널은, 정면에서 볼 때 케이싱과 대략 같은 좌우 방향의 폭을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 패널은, 정면에서 볼 때 케이싱과 대략 같은 좌우 방향의 폭을 가진다. 이 때문에, 의장 패널은, 케이싱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의장 패널은, 정면에서 볼 때 케이싱의 좌우 방향 전체를 덮는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 패널은, 케이싱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 전체를 덮는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취출구는 케이싱의 정면에 설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취출구는 케이싱의 정면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공기의 수평 취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송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취출구가 정면에 설치되어도 의장 패널이 취출구를 덮는 것에 의하여, 의장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취출구에 설치되는 수평 플랩을 더 구비한다. 또한, 의장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와 수평 플랩을 정면에서 볼 때 덮는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의장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와 수평 플랩을 정면에서 볼 때 덮는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수평 플랩이 정면에 노출하여 의장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케이싱에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의장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흡입구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흡입구를 열도록 이동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흡입구와 취출구가 의장 패널에 의하여 덮인다. 이 때문에, 흡입구와 취출구를 정면에서 볼 때 숨길 수 있어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 시에는 흡입구와 취출구를 열도록 의장 패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의장 패널은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가진다. 제1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취출구를 열도록 이동한다. 제2 패널은, 제1 패널과 별체로 형성되며, 운전 정지 시에는 흡입구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흡입구를 열도록 이동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별체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에 의하여, 취출구와 흡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와 흡입구의 개폐에 적절한 각각의 동작을 제1 패널과 제2 패널에 행하게 할 수 있어 송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표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표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평탄한 형상이 나타나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표면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표면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는, 정면에서 볼 때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면이 나타난다. 이것에 의하여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개폐 기구는, 운전 시에는, 제1 패널을 상하 방향 상향으로 이동시켜 취출구를 여는 것과 함께, 제2 패널을 하단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회동시켜 흡입구을 연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개폐 기구는, 운전 시에는, 제1 패널을 상하 방향 상향으로 이동시켜 취출구를 여는 것과 함께, 제2 패널을 하단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회동시켜 흡입구을 연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시에는, 제1 패널이 이동하기 때문에 취출구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이 제1 패널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이 없고, 송풍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취출구에 설치되는 수평 플랩을 더 구비하고, 수평 플랩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의 하방을 닫고, 제1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와 수평 플랩을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와 흡입구가 열리면, 수평 플랩은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취출구에 설치되는 수평 플랩이 더 구비되고, 수평 플랩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의 하방을 닫고, 제1 패널은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와 수평 플랩을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와 흡입구가 열리면, 수평 플랩은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는, 제1 패널이 취출구와 수평 플랩을 정면에서 볼 때 덮기 때문에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운전 시에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이동하여 취출구와 흡입구가 열리고, 수평 플랩은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의 취출이 제1 패널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이 없고, 송풍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2는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실내기의 정면도이고, (b)는 실내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실내기의 좌측단 근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구동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전면 그릴 조립체를 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제1 개폐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개폐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내기의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7 : 전면 패널 (의장 패널)
26 : 취출구
27 : 제1 흡입구 (흡입구)
50 : 수평 플랩
60 : 전면 그릴 (케이싱)
71 : 제1 패널
72 : 제2 패널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구성 및 냉매 회로의 개략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장착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1)의 냉매 회로는, 주로 실내 열교환기(20), 어큐뮬레이터(31), 압축기(32), 사방 전환 밸브(33), 실외 열교환기(30) 및 전동 팽창 밸브(34)로 구성된다.
실내기(2)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20)는, 접촉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실내기(2)에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실내 열교환기(20)에 통하게 하여 열교환이 행해진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 팬(21)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21)은, 실내기(2)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모터(22)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실외기(3)에는, 압축기(32)와, 압축기(32)의 토출 측에 접속되는 사방 전환 밸브(33)와, 압축기(32)의 흡입 측에 접속되는 어큐뮬레이터(31)와, 사방 전환 밸브(33)에 접속된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 열교환기(30)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팽창 밸브(34)는, 액 폐쇄 밸브(36)를 통하여 배관(23)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23)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20)의 일단(一端)과 접속된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33)는, 가스 폐쇄 밸브(37)를 통하여 배관(24)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24)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20)의 타단(他端)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3)에는, 실외 열교환기(30)에서의 열교환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팬(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외 팬(38)은 실외 팬 모터(39) 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의 구성〕
도 2에 실내기(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실내기(2)는, 실내의 측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의 실내기이며, 주로 본체부(4), 취출구 조립체(5), 전면(前面) 그릴 조립체(6), 전면 패널(7)을 구비한다.
[본체부]
본체부(4)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도 1 참조), 실내 팬 모터(22, 도 1 참조), 전장품(電裝品) 상자(40), 구동기(41, 도 4 참조), 본체 케이싱(42)을 가진다.
〈실내 열교환기, 실내 팬, 실내 팬 모터, 전장품 상자〉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는,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은, 측면에서 볼 때, 실내 팬(21)이 실내기(2)의 중앙에 배치되고, 역V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실내 열교환기(20)가 실내 팬(21)의 상반분(上半分)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 팬 모터(22, 도시하지 않음)는, 실내 팬(21)의 정면에서 볼 때의 우측방(右側方)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3(b)는 실내기(2)의 측면 단면도이다.
전장품 상자(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의 정면에서 볼 때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장품 상자(40)는, 내부에 제어 기판을 수용하고 있고, 제어 기판은 실내기(2)의 냉난방 운전 등에 필요한 각 구성 부품의 제어를 행한다.
〈구동기〉
구동기(4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42)의 좌측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전면 패널(7)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기(4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개폐 모터(43), 제1 구동기 기어(44), 제2 구동기 기어(45), 구동기 케이싱(46)을 가지고 있다.
패널 개폐 모터(43)는, 전장품 상자(40)에 수용되는 제어 부품과 케이블(430)에 의하여 접속되고, 전면 패널(7)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 된다.
제1 구동기 기어(44)는, 패널 개폐 모터(43)의 회전을 제2 구동기 기어(45)로 전달한다.
제2 구동기 기어(45)는, 그 일부가 구동기 케이싱(46)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전면 그릴(60, 케이싱)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된 상태로 개폐 기구(61)가 가지는 동력 전달 기어(66, 도 6 참조)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부(4)에 전면 그릴(60)을 장착하여 후술하는 고정부(62, 도 4 참조)에 구동기(41)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2 구동기 기어(45)와 동력 전달 기어(66)를 용이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제2 구동기 기어(45)는, 제1 구동기 기어(44)를 통하여 패널 개폐 모터(43)의 회전을 동력 전달 기어(66)로 전달하여, 개폐 기구(61)로 패널 개폐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기 케이싱(46)은, 상기의 패널 개폐 모터(43), 제1 구동기 기어(44), 제2 구동기 기어(45)를 수용한다. 또한, 구동기 케이싱(46)은 계지 구멍(461)과 피 고정부(462)를 가진다.
계지 구멍(461)은 구동기 케이싱(46)에 설치된 개구이며, 도 4에 도시하는 본체 케이싱(42)의 계지 멈춤쇠(490)가 삽입된다. 계지 구멍(461)은 구동기 케이싱(46)에 2개 설치되어 있고, 각각 계지 멈춤쇠(490)의 크기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지 멈춤쇠(490)가 계지 구멍(46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구동기(41)는 이동 불가능하게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약간 이동 가능하게 가고정(假固定) 된다. 따라서, 가고정 후에 행해지는 본고정(本固定) 시에, 구동기(41)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피고정부(462)는 전면 그릴(60)의 고정부(62)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나사 구멍을 가진다. 피고정부(462)는, 전면 그릴(60)에 설치되는 고정부(62)에 나사 고정된다. 피고정부(462)와 고정부(62)에 의한 고정은, 계지 구멍(461)과 계지 멈춤쇠(490)에 의한 가고정과는 달리, 구동기(41)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동기(41)를 전면 그릴(60)에 확실히 고정하는 고정이다.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42)에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 전장품 상자(40), 구동기(41)가 설치된다. 본체 케이싱(42)에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 전장품 상자(40)가 고정되고, 구동기(41)가 가고정된다. 본체 케이싱(42)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실내 팬(21)의 하방(下方), 후방(後方), 좌측방(左側方)을 덮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 케이싱(4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팬 수용부(47), 배면부(背面部, 48), 좌측부 (49)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 4에 있어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실내 열교환기(20)나 실내 팬(21)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실내 팬 수용부(47)는, 실내 팬(21) 및 실내 팬 모터(22)를 수용하는 부분이며, 실내 팬(21)의 상방(上方)으로부터 장착되는 실내 열교환기(20)를 지지한다. 실내 팬 수용부(47)의 우측단 근방에는, 실내 팬(21)의 우측방에 배치되는 실내 팬 모터(22)가 고정되고, 나아가 그 우측방에는 전장품 상자(40)가 고정된다 (도 2 참조). 실내 팬 수용부(47)의 하부는, 취출구 조립체(5)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실내 팬(21)이 수용된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음). 실내 팬 수용부(47)의 하부에 취출구 조립체(5)가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 팬 수용부(47)의 실내 팬(21)이 수용되는 공간과, 취출구(26, 도 3(b) 참조)가 연통한다.
배면부(48)는, 실내 팬(21) 및 실내 열교환기(20)의 후방을 덮고, 실내기(2)의 배면 측을 닫는다.
좌측부(49)는, 구동기(41)가 가고정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좌측부(49)는, 실내 팬 수용부(47)의 좌측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실내 팬 수용부(47)에 장착되는 실내 팬(21) 및 실내 열교환기(20)의 좌측단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좌측부(49)의 좌측면에는, 구동기(41)를 가고정하는 계지 멈춤쇠(490)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멈춤쇠(490)는, 계지 구멍(461)에 대응하여 2개소 설치되어 있고, 좌측부(49)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방, 즉, 좌측부(49)의 실내 팬(21)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계지 멈춤쇠(490)는, 전면 그릴(60)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 되기 전에, 구동기(41)를 본체 케이싱(42)에 가고정한다. 계지 멈춤쇠(490)가 삽입되는 구동기(41)의 계지 구멍(4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계지 멈춤쇠(490)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계지 멈춤쇠(490)와 계지 구멍(461)에 의하여 가고정된 상태의 구동기(41)는, 약간 이동 가능하게 가고정되어 있고, 계지 멈춤쇠(490)는 구동기(41)가 후술하는 전면 그릴(60)의 고정부(62)에 의하여 고정될 때에, 구동기(41)가 고정부(62)에 의하여 고정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구동기(41)를 가고정한다.
[취출구 조립체]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조립체(5)는, 본체부(4)에 장착되어 취출구(26, 도 3(b) 참조)를 구성한다. 취출구 조립체(5)에 의하여 구성되는 취출구(26)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20)를 통하여 실내로 불어나오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이다. 취출구(26)는, 정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취출구(26)는 실내기(2)의 하부 근방에서, 실내기(2)의 전면에 설치된다.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26)는, 후술하는 전면 패널(7)의 제1 패널(71)에 의하여 닫힌다.
취출구 조립체(5)는, 수평 플랩(50) 및 플랩 모터(51, 도 4 참조)를 가지고 있다. 수평 플랩(50)은,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판상(板狀)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취출구(26)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한다. 수평 플랩(50)은,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고 있고, 플랩 모터(51)에 의하여 구동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안내 방 향을 변경한다. 또한, 수평 플랩(50)은 수평면에 평행이 되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면에 평행한 실내기(2)의 저면(底面)을 구성한다.
[전면 그릴 조립체]
전면 그릴 조립체(6)는, 전방으로부터 본체부(4)에 장착되고, 본체부(4)의 전방이나 측면을 덮는다. 전면 그릴 조립체(6)는, 전면 그릴(60) 및 개폐 기구(61)를 가진다.
〈전면 그릴〉
전면 그릴(60)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배면 전체가 개구한 박형(薄型)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진다. 전면 그릴(60)은, 정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전면 그릴(60)은, 본체부(4)의 전방, 좌우 측방(側方), 상방 및 하방를 덮도록 본체부(4)에 장착된다. 또한, 전면 그릴(60)에는 흡입부(25)와 취출부(29)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25)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실내기(2)의 내부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1 흡입구(27)와 제2 흡입구(28)를 가지고 있다. 제1 흡입구(27)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중앙 부근에서부터 상부에 걸쳐 설치되고, 실내 열교환기(20)의 전면 측과 대향한다. 제1 흡입구(27)는,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후술하는 전면 패널(7)의 제2 패널(72, 가동 패널)에 의하여 닫힌다. 제2 흡입구(28)는, 전면 그릴(60)의 긴쪽 방향으로 긴 복수의 슬릿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면 그릴(6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취출부(29)는, 전면 그릴(6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개구이며, 취출구 조립체(5)와 함께 취출구(26)를 구성한다. 취출부(29)는, 후술하는 전면 패널(7)의 제1 패널(71)에 의하여 닫힌다.
또한, 전면 그릴(60)의 전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62)는, 가고정된 구동기(41, 구동부)의 피고정부(462)가 고정되는 부분이며, 나사 구멍을 가지고 있다. 나사 구멍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좌측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4)에 가고정된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 가고정의 단계에서는,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고정부(62)의 나사 구멍은 완전히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피고정부(462)와 고정부(62)를 고정하는 본고정의 단계에서, 가고정된 구동기(41)를 이동시켜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고정부(62)의 나사 구멍을 일치시키면 된다. 고정부(62)와 피고정부(462)는, 나사를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과 고정부(62)의 나사 구멍에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양측단 근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600 - 60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600 - 603)은, 상하로 나누어져 좌우 각각에 2개소씩, 합계 4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600 - 603)에서는, 후술하는 제1 패널 지지 부재(67), 제2 패널 지지 부재(68, 개폐 부재)의 일부가 돌출하고 있고, 전면 패널(7)의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이, 제1 패널 지지 부재(67) 및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일부에 각각 고정된다.
〈개폐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개폐 기구(61)는, 구동기(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전면 패널(7)을 이동시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이다. 개폐 기구(61)는, 기어부를 가지는 복수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로 전달하는 감속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개폐 기구(61)는, 구동기(41)로부터 전해지는 회전 운동을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의 개폐 동작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기구(61)는 전면 그릴(60)의 이면(裏面)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개폐 기구(63), 제2 개폐 기구(64) 및 동력 전달축(65)을 가지고 있다.
제1 개폐 기구(63)는, 전면 패널(7)의 좌측면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을 지지한다. 덧붙여, 여기에서 말하는 「좌우」란 실내기(2)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를 의미하고 있고, 도 6은 전면 그릴(60)을 이측(裏側)에서 본 도면이기 때문에, 도 6에서의 좌우와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는 역으로 되어 있다. 제1 개폐 기구(63)는,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개폐 시에,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으로 전하여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을 이동시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다.
제2 개폐 기구(64)는, 전면 패널(7)의 우측면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패널(71)의 우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우측단 근방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개폐 기구(64)는, 제1 패널(71)이나 제2 패널(72)의 개폐 시에,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패널(71)의 우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우측단 근방으로 전하여 제1 패널(71)의 우측단 근방과 제2 패널(72)의 우측단 근방을 이동시켜,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다.
동력 전달축(65)은,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1 개폐 기구(63) 및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부재이며,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이면에,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동력 전달축(65)의 양단은 각각 제1 개폐 기구(63) 및 제2 개폐 기구(64)와 접속되어 있고, 그 사이에 동력 전달 기어(66)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어(66)는, 제1 개폐 기구(6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전면 그릴(60)이 본체부(4)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기(41)의 제2 구동기 기어(45)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 기구(61)는, 동력 전달축(65)에 의하여, 구동기(41)로부터의 구동력을 제1 개폐 기구(63) 및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1 개폐 기구(63)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제2 개폐 기구(64)는 제1 개폐 기구(63)와 좌우 대칭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 개폐 기구(63)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제1 패널 지지 부재(67), 제2 패널 지지 부재(68)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개폐 기구(63)는, 이들 기어 및 부재를 수용하는 제1 개폐 기구 케이싱(69)을 가지고 있고, 유닛화되어 있다.
제1 개폐 기어(630)는, 동력 전달축(65)의 일단에 고정되고, 동력 전달축(65)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기(41)로부터의 구동력을 제2 개폐 기어(631)로 전달한다.
제2 개폐 기어(631)는, 제1 개폐 기어(630),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제1 기어부(670) 및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제2 기어부(680)와 맞물려 있고, 제1 개폐 기어(63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1 패널 지지 부재(67) 및 제2 패널 지지 부재(68)로 각각 전달한다.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제1 패널(71)에 장착되고, 제1 패널(71)을 지지하는 평탄한 판상의 부재이다.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1 패널(71)을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적인 형상의 직선 부분(671)과, 직선 부분(671)의 하부로부터 실내기(2)의 전방을 향하여 만곡(彎曲)하는 만곡 부분(67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만곡 부분(672)의 선단(先端)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에 설치된 슬릿(601)을 통하여 전면 그릴(60)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4 참조). 이 만곡 부분(672)의 선단에는 제1 패널(71)의 좌측단 근방이 고정된다. 또한, 직선 부분(671)에는, 제1 기어부(67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어부(67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이며, 제2 개폐 기어(631)의 회전 운동을 상하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기(41)의 회전 운동이 제1 패널(71)의 상하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제2 패널(72)에 장착되고, 제2 패널(72)을 지지하는 평탄한 판상의 부재이다.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패널(7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 게는,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완만한 원호(圓弧)를 그려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2 패널(7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 패널(72)은, 그 상단이 앞으로 기울도록 이동하고, 제2 패널(72)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 패널(72)은, 앞으로 기울고 있던 상단이 원래대로 되돌아와 제2 패널(72)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이동한다 (도 8 참조).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제2 기어부(680)와 판부(681)를 가지고 있다.
제2 기어부(680)는 판부(68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2 개폐 기어(631)와 맞물려 있다. 제2 기어부(680)는, 완만한 원호를 그리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이며, 제2 개폐 기어(631)의 회전 운동을 원호 운동으로 변환하여, 구동기(41)의 구동력을 제2 패널(72)로 전달한다.
판부(681)는,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및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외측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및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외측을 덮고 있다. 판부(681)의 전단(前端)은 전면 패널(7)의 전면에 설치된 슬릿(600)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이 고정되고 제2 패널(72)의 좌측단 근방을 지지한다. 판부(681)는, 제2 기어부(680)로 전달되는 구동기(4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완만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한다. 제2 패널(72)의 열림 동작에 있어서는, 판부(681)는 슬릿(600)으로부터 전면 그릴(60)의 전방으로 한층 더 돌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패널(72)을 제1 흡입구(27)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특히, 제2 패널(72)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판부(681)는 슬릿(600)으로부터 전면 그릴(60)의 전방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고, 제2 패널(72)과 전면 그릴(60)의 간극(間隙)의 측방을 막는다 (도 8 참조). 이것에 의하여, 판부(681)는 제2 패널(72)과 전면 그릴(60)의 간극의 측방으로부터 거주자 등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판부(681)는 제2 기어부(680),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등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거주자 등의 손이 제2 기어부(680)나 제1 개폐 기어(630), 제2 개폐 기어(631) 등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전면 패널]
전면 패널(7)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다. 전면 패널(7)은, 정면에서 볼 때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덮고,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한다. 전면 패널(7)은, 이음매가 없는 복수의 패널이 집합한 패널 집합체이며,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과 제3 패널(73)을 가지고 있다.
〈제1 패널〉
제1 패널(71)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하방에, 취출구(26)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취출구(26)를 덮도록 설치된다. 제1 패널(71)은, 개폐 기구(6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좌우 양단 근방이 지지되어 있고,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제1 패널(71)은,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장방형의 평판상(平板狀)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의 전면 그릴(60)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진다. 제1 패널(71)의 표측(表側)은, 요철(凹凸) 및 구멍 등의 개구부가 없는 매끄러운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패널(71)은, 취출구(26)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3(a) 및 도 8(a)와 같이, 상하 방향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패널(71)은, 정면에서 볼 때 취출구(26)보다도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패널(71)은, 취출구(26)를 닫은 상태에서는, 취출구(26)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하방의 좌우 방향 전체를 완전히 덮고, 취출구(26)와, 취출구(26)에 설치된 수평 플랩(50)을 정면에서 볼 때 덮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취출구(26)와 전면 그릴(60)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는다. 나아가, 제1 패널(71)은, 펄 입자 등의 휘도를 가지는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투명 수지층의 이측에는, 색채나 무늬 등이 넣어진 도료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료층은, 제1 패널(71)의 이측으로부터 도장을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패널(71)은 의장성이 높고, 거주자 등의 눈에 띄기 쉬운 전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2)의 의장성을 높이는 의장 패널로서 기능한다.
〈제2 패널〉
제 2 패널(72)은, 제1 패널(71)과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패널(72)은,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상방에, 제1 흡입구(27)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 흡입구(27)를 덮도록 설치된다. 제2 패널(72)은, 개폐 기구(61)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좌우 양단 근방이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흡입구(27)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를 열고, 제1 흡입구(27)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를 닫는다. 제 2 패널(72)은,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장방형의 평판상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 제1 흡입구(27)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진다. 제2 패널(72)의 표측은, 요철 및 구멍 등의 개구부가 없는 매끄러운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3(a) 및 도 8(a)와 같이, 상하 방향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패널(72)은, 정면에서 볼 때 제1 흡입구(27)보다도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 흡입구(27)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상반분을 완전히 덮고, 제1 흡입구(27)와 전면 그릴(60)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제2 패널(72)은, 제1 패널(71)과 마찬가지로, 펄 입자 등의 휘도를 가지는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입자가 혼입된 투명 수지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투명 수지층의 이측에는, 색채나 무늬 등이 넣어진 도료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료층은, 제2 패널(72)의 이측으로부터 도장을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패널(72)은 의장성이 높고, 거주자 등의 눈에 띄기 쉬운 전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2)의 의장성을 높이는 의장 패널로서 기능한다.
〈제3 패널〉
제3 패널(73)은,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패널(73)은, 정면에서 볼 때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3 패널(73)은, 전면 그릴(60)과 대략 같은 폭(W)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제1 패널(71)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진다. 제3 패널(73)의 표측은, 요철 및 구멍 등의 개구부가 없는 매끄러운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패널(73)은,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단부 근방이 전면 그릴(60)의 좌우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있고, 제3 패널(73)의 전면 부분이 전면 그릴(60)의 전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극을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3 패널(73)의 전면 부분의 후방에는, 전면 그릴(60)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하방에 배치된 제1 패널(71)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취출구(26)를 열기 위하여 이동하는 제1 패널(71)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3 패널(73)은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널(71)은, 취출구(26)를 닫은 상태에서는, 취출구(26)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하방를 완전히 덮고, 제2 패널(72)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 흡입구(27)를 포함하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상방을 완전히 덮는다. 또한,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에서는, 대략 평탄한 장방형의 평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면 패널(7)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에서는 실내기(2)의 전면의 대략 전체를 덮고,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의 경계선에 생기는 이음매만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난다. 즉, 제1 패널(71)과 제3 패널(73)의 경계선 및 제2 패널(72)과 제3 패널(73)의 경계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만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난다. 나아가,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은 상하 방향으로 평 행하게 되어 있고, 전면 패널(7)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면 패널(7)이 이와 같은 평탄한 형상으로 되는 것에 의하여 미관이 향상하고 있다.
[운전 개시 시의 전면 패널의 동작]
실내기(2)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전면 패널(7)은 상기와 같이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실내기(2)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우선, 실내 팬(21)이 저회전으로 기동된다. 다음으로,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하, 전면 패널(7)의 동작을 주로 도 8(a), 도 8(b) 및 도 8(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실내기(2)의 측면도이다.
실내기(2)가 운전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고 있고,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은,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패널(71), 제2 패널(72) 및 제3 패널(73)의 표측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이 상태에서는, 개폐 기구(61)의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가동 범위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가동 범위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실내기(2)가 운전을 개시하면, 구동기(41)의 패널 개폐 모터(43)가 제어되어 회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구동기(41)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축(65)으로 전달되고, 구동력이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로 분배되어 전달된다. 그리고 제1 개폐 기구(63)와 제2 개폐 기구(64)에 의하여,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때, 제1 개폐 기구(63)에서는, 구동력이 제1 개폐 기어(630)와 제2 개폐 기어(631)를 통하여 제1 패널 지지 부재(67)로 전달된다. 제2 개폐 기어(631)로부터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제1 기어부(670)로 구동력이 전달될 때에, 회전 운동이 상방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1 패널 지지 부재(67)는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개폐 기구(64)에서도 같은 구동기(4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1)은, 상하 방향 상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취출구(26)를 연다. 제1 패널(71)이 상하 방향 상향으로 이동하면, 제1 패널(71)의 상단이 제3 패널(73)의 후방의 간극에 삽입된다. 제1 패널(71)이 나아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1)이 제3 패널(73)과 전면 그릴(60)의 사이의 간극에 수용되고, 제3 패널(73)의 후방에 숨은 상태로 된다. 즉, 제1 패널(71)의 대략 전체가, 제3 패널(73)에 겹쳐진 상태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1 패널(71)의 이동에 링크하여 제2 패널(72)도 이동한다. 이때, 제1 개폐 기구(63)에서는, 상기의 제2 개폐 기어(631)의 회전이, 동시에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제2 기어부(68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 개폐 기어(631)로 부터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제2 기어부(680)로 구동력이 전달될 때에, 회전 운동이 완만한 원호상의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2 패널 지지 부재(68)는 전방으로 완만한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이 원호상의 궤적은, 제2 패널 지지 부재(68)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하는 것과 같은 궤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개폐 기구(64)에서도 같은 구동기(4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2 패널 지지 부재(68)가 전면 그릴(6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패널(72)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하는 것)한다. 제2 패널(72)은 그 하단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회동한다. 제2 패널(72)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층 더 이동하여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그리고 제2 패널(72)의 상단과 전면 그릴(60)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고, 제1 흡입구(27)로부터 실내기(2)의 내부로 공기가 빨아들여진다. 덧붙여, 이때,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 사이의 간극의 측방은 제2 패널 지지 부재(68)에 의하여 막혀 있고,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 사이의 간극의 상방이 열려 있다. 이 때문에, 공기는 주로 전면 그릴(60)과 제2 패널(72) 사이의 간극의 상방으로부터 빨아들여진다.
전면 패널(7)이 이동하여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열리면, 수평 플랩(50, 도 2 참조)이,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 다.
또한,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구동기(41)의 패널 개폐 모터(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제1 패널 지지 부재(67)와 제2 패널 지지 부재(68)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상기와 역으로 이동하고, 전면 패널(7)은 평탄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상기의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본체부(4)의 조립공정 S1, 취출구 조립체(5)의 장착 공정 S5, 전면 그릴 조립체(6)의 장착 공정 S6, 구동기(41)의 본고정 공정 S7, 전면 패널(7)의 장착 공정 S8을 구비한다.
본체부(4)의 조립공정 S1은, 나아가 열교환기 등의 장착 공정 S2, 구동기(41)의 가고정 공정 S3, 배선의 접속 공정 S4 등을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 등의 장착 공정 S2에서는,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실내 팬 모터(22), 전장품 상자(40) 등이, 본체 케이싱(42)에 장착된다.
구동기(41)의 가고정 공정 S3에서는, 본체 케이싱(42)의 좌측부(49)에 구동기(41)가 가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좌측부(49)의 계지 멈춤쇠(490)가 구동기(41)의 계지 구멍(461)에 삽입되어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기(41)가 좌측부(49)에 가고정된다. 가고정된 구동기(41)는, 전면 그릴(60)이 본체부(4)에 장착된 상태에 서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와 전면 그릴(60)의 고정부(62)가 대체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배선의 접속 공정 S4에서는, 구동기(41)의 패널 개폐 모터(43)와 전장품 상자(40)의 제어 기판이 케이블(430)에 의하여 접속된다. 덧붙여, 케이블(430)은, 구동기(41)로부터 본체 케이싱(42)을 따라 전장품 상자(40)까지 연장하여 설치된다.
다음으로, 취출구 조립체(5)의 장착 공정 S5에서는, 취출구 조립체(5)가 본체부(4)에 장착된다. 취출구 조립체(5)는, 본체부(4)의 실내 팬(21)이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취출구(26)가 연통하도록 본체부(4)에 장착된다.
전면 그릴 조립체(6)의 장착 공정 S6에서는, 전면 그릴 조립체(6)가 본체부(4)에 장착된다. 전면 그릴 조립체(6)는, 본체부(4)의 전방으로부터 본체부(4)에 씌워지고, 나사 고정이나 끼워 넣기 등에 의하여 본체부(4)에 고정된다.
구동기(41)의 본고정 공정 S7에서는, 구동기(41)가 전면 패널(7)에 본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전면 패널(7)의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에 나사가 통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구동기(41)와 전면 패널(7)이 고정된다. 이때, 구동기(41)는 본체 케이싱(42)에 가고정된 상태이며, 전면 패널(7)의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이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7)의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구동기(41)의 피고정부(462)의 나사 구멍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동기(41)를 약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62)의 나사 구멍과 피고정부(462) 의 나사 구멍을 일치시켜 용이하게 나사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7)의 장착 공정 S8에서, 전면 패널(7)이 전면 그릴(6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전면 그릴(60)의 전면의 슬릿(600 - 603)으로부터 돌출하는 개폐 기구(61)의 제1 패널 지지 부재(67)의 선단과, 제2 패널 지지 부재(68)의 선단에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이 각각 고정된다. 또한, 제3 패널(73)이 전면 그릴(60)에 고정된다.
덧붙여, 각 공정 S1 - S8은, 반드시 상기의 순서로 행해질 필요는 없고, 가능하면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특징〕
(1)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전면 패널(7)이 실내기(2)의 전면의 전체를 덮는다. 그리고 이 전면 패널(7)은, 대략 평탄한 형상을 가지며,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상하 방향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에는, 취출구(26), 수평 플랩(50) 및 제1 흡입구(27) 등과 전면 그릴(60)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고, 대략 플랫한 외관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의장성이 향상하고 있다.
(2)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면 패널(7)이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과 제3 패널(73)로 분할되어 있고,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한다. 이 때문에, 제1 패널(71) 및 제2 패널(72)에 의하여 송풍 성능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의 개폐는,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의 각각이 따로따로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때문에,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하기 위하여 적합한 동작을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별개로 행할 수 있어 송풍 성능이 보다 향상하고 있다.
(3)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취출구(26)를 덮는 제1 패널(71)이 이동하기 때문에, 취출구(26)의 배치가 제한될 우려가 적다. 예를 들면, 전면 패널(7)이 취출구(26)의 정면을 덮는 경우에 있어서 의장 패널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적절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전면 패널(7)이 송풍의 방해로 된다. 또한, 취출구(26)를 전면 패널(7)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전면 그릴(60)의 하면(下面) 등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배치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취출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특히 냉방 시의 송풍 성능이 저하하여 버린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취출구(26)를 전면 그릴(60)의 정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취출도 적절히 행할 수 있어 양호한 기류 분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정지 시에는, 정면에 설치된 취출구(26)를 제1 패널(71)에 의하여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의장성이 향상하고 있다. 나아가, 운전 시에는, 제1 패널(71)이 이동하기 때문에, 취출구(26)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이 제1 패널(71)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이 없고, 송풍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별체의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이 각각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의 개폐를 행하고 있지만, 일체의 전면 패널(7)이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의 개폐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별체의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이 이용되는 것이, 제1 패널(71)과 제2 패널(72)로 각각의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2)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면 패널(7)은, 전면 그릴(60)의 좌우 방향의 폭(W)과 대략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폭(W)보다도 약간 작은 혹은 폭(W)보다도 큰 전면 패널(7)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실내로 불어나오는 공기가 통하는 취출구(26)가 설치된 케이싱(60)과,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취출구(26)를 정면에서 볼 때 덮는 의장 패널(7)과,
    상기 의장 패널(7)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패널 개폐 모터(43)와,
    운전 시에는 상기 패널 개폐 모터(43)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취출구(26)를 열도록 상기 의장 패널(7)을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61)
    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 패널(7)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26)와 상기 케이싱(60)의 경계선이 정면에서 볼 때 나타나지 않도록 상기 취출구(26)를 덮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 패널(7)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60)과 대략 같은 좌우 방향의 폭(W)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 패널(7)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60)의 좌우 방향 전체를 덮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26)는 상기 케이싱(60)의 정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26)에 설치되는 수평 플랩(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의장 패널(7)은,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취출구(26)와 상기 수평 플랩(50)을 정면에서 볼 때 덮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0)에는 흡입구(2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의장 패널(7)은,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흡입구(27)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상기 흡입구(27)를 열도록 이동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 패널(7)은,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취출구(26)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상기 취출구(26)를 열도록 이동하는 제1 패널(71)과,
    상기 제1 패널(71)과 별체로 형성되며,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흡입구(27)를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는 상기 흡입구(27)를 열도록 이동하는 제2 패널(72)
    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71) 및 상기 제2 패널(72)의 표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71) 및 상기 제2 패널(72)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표면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61)는, 운전 시에는, 상기 제1 패널(71)을 상하 방향 상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취출구(26)를 여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패널(72)을 하단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회동시켜 상기 흡입구(27)을 여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26)에 설치되는 수평 플랩(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평 플랩(50)은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취출구(26)의 하방을 닫고, 상기 제1 패널(71)은 운전 정지 시에는 상기 취출구(26)와 상기 수평 플랩(50)을 정면에서 볼 때 덮고,
    운전 시에, 상기 제1 패널(71)과 상기 제2 패널(72)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취출구(26)와 상기 흡입구(27)가 열리면, 상기 수평 플랩(50)은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KR1020067003777A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70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0874A JP3641724B2 (ja) 2003-09-30 2003-09-30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JP-P-2003-00340874 200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847A KR20060061847A (ko) 2006-06-08
KR100770090B1 true KR100770090B1 (ko) 2007-10-24

Family

ID=3441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777A KR100770090B1 (ko) 2003-09-30 2004-09-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27819B2 (ko)
EP (1) EP1681516B1 (ko)
JP (1) JP3641724B2 (ko)
KR (1) KR100770090B1 (ko)
CN (2) CN1875225B (ko)
AU (1) AU2004278587B2 (ko)
ES (1) ES2567572T3 (ko)
WO (1) WO2005033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00608B (zh) * 2005-07-19 2010-05-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JP2007107728A (ja) * 2005-10-11 2007-04-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CN100368736C (zh) * 2006-01-25 2008-02-13 海信集团有限公司 柜式空调室内机
JP5611360B2 (ja) * 2010-09-14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の送風機、室外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8967832B2 (en) * 2010-10-11 2015-03-03 Broan-Nutone Llc Lighting and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KR102040800B1 (ko) * 2013-04-1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18091506A (ja) * 2016-11-30 2018-06-14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組立方法
JP2020060350A (ja) * 2018-10-12 2020-04-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20170423A1 (ja) * 2019-02-22 2020-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11655896B2 (en) * 2021-03-24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ealing egress for fluid heat exchange in the wall of a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940U (ko) 1986-12-26 1988-07-07
JPH0420923U (ko) * 1990-06-13 1992-02-21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935B2 (ja) 1988-03-25 1994-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740903Y2 (ja) 1989-06-06 1995-09-20 東芝エー・ブイ・イー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H0798129A (ja) 1993-09-30 1995-04-11 Matsushita Seiko Co Ltd 分離型空気調和機
US5810658A (en) 1995-11-30 1998-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locking device for closing or opening the suction and exhaust ports in air conditioners
KR100187231B1 (ko) 1995-12-30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111082A (ja)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059885U (ja) 1998-12-15 1999-07-13 船井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前面パネル及びその製造装置
US6715684B1 (en) * 1999-09-06 2004-04-06 Olympus Optical Co., Ltd. Code reading apparatus
WO2002103248A2 (en) 2001-06-19 2002-12-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0437049B1 (ko) 2002-04-19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940U (ko) 1986-12-26 1988-07-07
JPH0420923U (ko) * 1990-06-13 1992-02-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78587B8 (en) 2005-04-14
AU2004278587B2 (en) 2007-11-29
CN1875225A (zh) 2006-12-06
EP1681516B1 (en) 2016-01-20
CN2773521Y (zh) 2006-04-19
US7827819B2 (en) 2010-11-09
JP2005106395A (ja) 2005-04-21
WO2005033586A1 (ja) 2005-04-14
ES2567572T3 (es) 2016-04-25
AU2004278587A1 (en) 2005-04-14
EP1681516A4 (en) 2009-09-02
US20090139252A1 (en) 2009-06-04
JP3641724B2 (ja) 2005-04-27
CN1875225B (zh) 2010-05-05
KR20060061847A (ko) 2006-06-08
EP1681516A1 (en)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03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7009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WO2011016171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098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3641725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5214562A (ja) 空調室内機
US756581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10125330A (ko) 공기조화장치
KR101880482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WO2022062561A1 (zh) 一种具有前面板空调的中框
CN118149386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50104731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