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90B1 -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90B1
KR100903390B1 KR1020080120086A KR20080120086A KR100903390B1 KR 100903390 B1 KR100903390 B1 KR 100903390B1 KR 1020080120086 A KR1020080120086 A KR 1020080120086A KR 20080120086 A KR20080120086 A KR 20080120086A KR 100903390 B1 KR100903390 B1 KR 10090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plate
road name
piece
bracke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기
이기행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Priority to KR102008012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구성물을 이용하면서도 견고하게 도로명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는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 세워지는 지주대에 도로명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지주대에 고정되며, 한 쌍의 나란한 결합편을 지주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 쌍의 제1브래킷 및 도로명판의 일측 가장자리의 전, 후면에 대어지며, 결합편 사이에 삽입고정되는 제2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명판의 상,하단에는 테두리봉이 결합되며, 상기 제2브래킷의 상,하단에는 상기 테두리봉을 파지하는 가로편이 더 형성된다.
이로써, 종래의 구성을 크게 변형하지 아니하고 제2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제1브래킷에 구비된 결합편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지주대에 도로명판과 제1브래킷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로명판, 지주대

Description

도로명판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street-sign}
본 발명은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구성물을 이용하면서도 견고하게 도로명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소지나 도로명을 나타내는 도로명판은 일반적으로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도로가에 세워지는 지주대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도로명판을 설치하는 종래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지주대(100)는 지면에 세워지는 금속봉체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다면을 가진다. 이러한 지주대의 상부에 대략 판형상인 도로명판(110)의 측면이 대어지고, 도로명판(100)과 지주대(110)의 연결은 대략 ‘ㄴ’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된 브래킷(12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절곡된 브래킷(120)의 지지편(121)에는 지주대에 형성된 슬릿에 대응하여 돌출편(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편(121)과 반대쪽으로 절곡된 결합편(122)에는 볼트 등으로 도로명판(110)을 고정하는 관통공(124)이 형 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킷(120)은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편(122)이 마주보도록 돌출편(123)을 이용하여 슬릿에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이때, 지지편(121)과 결합편(122)의 절곡각도는 둔각으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결합편은 지지편에 대하여 더 접혀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다. 즉, 지주대(100)에 결합된 각 브래킷(120)의 결합편(121)은 탄성을 가지며 서로 접하는 것이고, 양 결합편(121)을 더 벌린 상태에서 도로명판(110)을 삽입한 후 관통공(124)에 삽입되는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도로명판(110)을 브래킷(120)에 고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지주대에 돌출편이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지지편(121)이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슬릿에서 돌출편(123)이 이탈되기 쉬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지주대에 차량의 충돌이 있거나, 도로명판에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래킷은 절곡된 지지편과 결합편의 절곡된 부분이 탄성변형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지지편의 돌출편이 슬릿에서 이탈되어 지주대에서 도로명판이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로로 길게 형성된 도로명판의 일측 가장자리만이 한 쌍의 결합편(122)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도로명판의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하여 도로명판이 기울어지기 쉬운 문제도 있다.
도로명판의 상부와 하부에 추가적으로 원통형 단면을 가지는 테두리봉(111)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도 결합편(122)의 상단과 하단이 이 테두리봉(111)에 접하여 도로명판(110)의 상하 방향의 유동이 다소 방지될 수 있으나, 결합편의 상,하단은 결합편의 두께에 의하여 테두리봉의 지지편적이 협소하여 강풍 등에 의한 큰 외력이 도로명판에 작용할 때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더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하여 브래킷이 탄성변형되어 지지편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결합편의 상,하단의 위치가 테두리봉의 하단에서 어긋나게 되어 도로명판의 상하 방향의 지지력이 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아니하고도, 도로명판을 지주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 등 외력에 의하여 도로명판이 지주대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게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도로명판의 상하 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도로명판의 전후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도로명판을 거치하는 브래킷이 지주대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도로명판을 브래킷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 세워지는 지주대에 도로명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에 고정되며, 한 쌍의 나란한 결합편을 상기 지주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 쌍의 제1브래킷 및 상기 도로명판의 일측 가장자리의 전, 후면에 대어지며, 상기 결합편 사이에 삽입고정되는 제2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명판의 상,하단에는 테두리봉이 결합되며, 상기 제2브래킷의 상,하단에는 상기 테두리봉을 파지하는 가로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삭제
또한, 상기 가로편의 가장자리는 상기 지주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외측면에는 슬릿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브래킷에는 상기 결합편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지주대의 외측면에 대어지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끼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결합편, 제2브래킷 및 도로명판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스프링 와셔 및 캡너트로 상기 도로명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구성을 크게 변형하지 아니하고 제2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제1브래킷에 구비된 결합편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지주대에 도로명판과 제1브래킷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로명판에 테두리봉이 결합되고, 제2브래킷에 가로편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로명판의 자중 또는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하여 도로명판이 상하로 유동 되는 것이 방지되어, 도로명판이 더욱 견고하게 지주대에 고정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가로편의 가장자리가 지주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람 등 외력에 의하여 도로명판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최소화 된다. 따라서 반복적인 전,후 방향 흔들림에 의한 피로 누적으로 인한 제1브래킷의 파손을 억제하여 보다 오랜 수명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지주대에 슬릿이 세로폭으로 넓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넓은 폭의 끼움편이 구비되는 경우, 지주대에 제1브래킷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슬릿과 끼움편의 고정방식으로 지주대에 제1브래킷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스프링 와셔가 포함된 볼트와 캡너트를 이용하여 제1,2브래킷과 도로명판을 고정하는 경우, 외력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캡너트가 쉽게 풀리지 아니하여 도로명판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제1브래킷의 탄성력이 증가하여 도로 명판의 고정장치가 보다 강한 외력도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에는 지주대(1), 한 쌍의 제1브래킷(2) 및 제2브래킷(3)과, 도로명판(4)이 구비된다.
이때, 지주대(1)는 도로가에 세워지는 것으로 통상 내부가 빈 원통형 봉 또는 다각봉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도로명판(4)은 길게 형성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로명판(4)에는 바람 등에 의하여 금속판이 휘어지지 아니하도록 상, 하단에 테두리봉(41)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즉, 테두리봉(41)은 원형 또는 다각형 봉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도로명판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도로명판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로명판을 지주대에 고정하기 위하여, 지주대에 고정되며 한 쌍의 나란한 결합편을 상기 지주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제1브래킷(2) 및 상기 도로명판의 일측 가장자리의 전, 후면에 대어지며, 상기 결합편 사이에 삽입고정되는 제2브래킷(3)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지주대(1)의 상부 외측, 즉 도로명판이 고정되는 위치에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브래킷(2)은 중앙부분이 세로로 절곡되어 절곡선(23)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절곡선(23)에 의하여 지주대(1)에 고정되는 지지편(22)과, 이 지지 편(22)이 지주대(1)의 외측에 고정될 때 지주대(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편(21)이 형성된다.
이때, 제1브래킷(2)이 지주대에 고정되기 위하여 지지편의 가장자리에는 슬릿(11)에 삽입되는 끼움편(2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끼움편(221)은 슬릿(11)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절곡되어 슬릿(11)에 삽입된 후 지주대(1)의 내측면에 대어진다.
이때, 슬릿(11)의 세로폭(111)을 넓게 형성하고, 그에 따라 끼움편(221)의 폭도 넓고 길게 형성하여, 지주대의 내측면에 대어지는 끼움편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지주대와 제1브래킷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릿(11)과 끼움편(221)의 고정방식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지주대에 제1브래킷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슬릿과 끼움편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지지편을 지주대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거나, 지주대와 지주면을 관통하는 구멍에 볼트를 통하여 고정하는 등의 구성으로 제1브래킷을 지주대에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제1브래킷(2)은 한 쌍이 지주대(1)에 고정되는 것으로, 각 결합편(21)이 지주대(1)의 외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지주대(1)에 결합된다.
이때, 제1브래킷의 결합편(21)과 지지편(22)이 형성하는 절곡각도(A)는, 제1브래킷이 서로 대칭되게 지주대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편(21)이 서로 나란하게 마 주보도록, 지주대(1)의 단면에 따라 적당한 둔각을 이루는 것이다.
즉, 도 3에서, 지주대(1)의 단면이 팔각형일 때, 제1브래킷(2)의 절곡선에 의한 절곡각도(A)는 대략 112.5°로 형성되어, 한 쌍의 결합편(21)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절곡각도가 112.5°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로써 각 제1브래킷에 의한 결합편은 절곡선 부분의 탄성에 의하여 서로 밀게 되어 끼움편이 슬릿에서 쉽게 이탈되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지주대의 단면이 육각형이나 원형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상기 절곡 각도는 적당히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2에서, 제2브래킷(3)은 얇은 판형으로 도로명판(4)의 일측 가장자리의 전,후면에 대어지며, 이러한 도로명판(4)의 일측은 상기 결합편(21) 사이에 삽입되어 도로명판(4)이 지주대(1)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제2브래킷(3)은 제1브래킷의 결합편(21)과 도로명판(4) 사이에 개재되어, 도로명판(4)을 견고하게 파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나란한 결합편(21) 사이에 도로명판(4)과 제2브래킷(3)이 삽입됨에 따라 결합편(21)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편(2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경우, 각 제1브래킷에 구비되는 지지편(22)은 각 결합편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지주대(1)를 가압하 게 된다. 이로써 지지편(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끼움편(221)을 슬릿(11)에 더욱 가압하게 되므로 제1브래킷(2)이 지주대(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명판(4)은, 도로명판의 두께 뿐만 아니라 전, 후에 대어진 제2브래킷(3)의 두께로 인하여, 크게 탄성변형되는 결합편(21)에서 의하여 가압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브래킷을 이용한 도로명판의 고정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래킷을 크게 변형시키지 아니하고 제2브래킷을 추가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는 것이어서, 추가적인 비용이 크게 소요되지 아니하면서도 도로명판을 지주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2에서, 도로명판(4)의 상,하단에는 테두리봉(41)이 결합되며, 제2브래킷(3)의 상,하단에는 상기 테두리봉을 파지하는 가로편(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가로편(31)은 제2브래킷(3)의 상,하단에서 도로명판(4)의 전면 또는 후면에 수직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브래킷의 결합편(21)의 상하 길이는 도로명판(4)의 상,하 테두리봉의 길이에서 가로편(31)의 두께에 해당되는 만큼 짧게 형성된다. 이로써 도로명판의 고정장치(10)가 조립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래킷(3)의 가로편(31)은 제1브래킷의 결합편(21)과 도로명판의 테두리봉(41) 사이에 위치되는 것 이다.
즉, 도로명판(4)의 상부를 관찰하였을 때, 가로편(31)의 하면은 결합편(21)의 일단에 대어져 지지되는 것이고, 가로편(31)의 상면은 테두리봉(41)에 대어진다. 이는 도로명판의 하부에 대어진 가로편에서 상면에 결합편의 타단이 대어지고, 이 가로편의 하면에 테두리봉이 대어지는 점에서 상,하에 구비되는 가로편은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로써, 가로편(31)은 도로명판의 테두리봉(41)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도로명판(4)이 자중 또는 바람 등 외력에 의하여 지주대(1)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가로명판의 테두리봉와 가로편의 지지면적을 더 크게 확보하기 위하여 테두리봉의 외부를 감싸도록 가로편이 절곡되거나 휘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테두리봉이 원형인 단면을 가지는 경우, 가로편도 원형 테두리봉에 면접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로편(31)의 가장자리(311)는 지주대(1)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대(1)의 일측에 대어지는 가로편(31)은, 지주대(1)의 단면 형상에 따라 가장자리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지주대(1)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지주대(1)는 팔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고, 지주대(1)의 외측면 과 접하는 가로편의 가장자리(311)는 지주대(1)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제2브래킷(3)에서 112.5°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도로명판의 고정장치가 조립되면 가로편의 가장자리(311)가 지주대(1)와 면접촉되는 것이다.
물론, 지주대가 원형인 경우에는 가장자리가 직선인 가로편과 선접촉하며 도로명판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편의 가장자리 또한 지주대의 외주면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어 면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2브래킷(3)에서 각 가로편(31)이 지주대(1)에 접촉되어, 제2브래킷(3)에 고정된 도로명판(4)이 바람 등 외력에 의하여 전,후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복적인 전,후 방향 흔들림에 의한 피로 누적으로 인한 제1브래킷의 파손을 억제하여 보다 오랜 수명이 보장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결합편(21), 제2브래킷(3) 및 도로명판(4)을 관통하는 관통공(P)에 볼트(B1)가 결합되어 도로명판(4)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로명판(4)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공(P)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결합편(21), 제2브래킷(3)에도 관통공(P)을 형성한 후, 이 관통공(P)에 볼트(B1)와 스프링 와셔(B2) 및 캡너트(B3)를 사용하여 도로명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와셔(B2)가 구비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하여 도로명판(4)이 진동되더라도 캡너트(B3)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기간 동안 도로명판이 견고하 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볼트(B1)에 결합된 캡너트(B3)의 조임으로, 다중으로 겹치는 제1,2브래킷() 및 도로명판(4)이 결속되며, 도로명판의 전면에 결합된 결합편과, 후면에 결합된 결합편이 일체로 결속됨에 따라 각 제1브래킷의 절곡선 부분의 탄성이 강해져 도로 명판의 고정장치가 보다 강한 외력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로명판의 고정장치의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장치
1 : 지주대 11 : 슬릿 111 : 세로폭
2 : 제1브래킷 21 : 결합편 22 : 지지편
221 : 끼움편 23 : 절곡선 A : 절곡각도
3 : 제2브래킷 31 : 가로편 311 : 가장자리
4 : 도로명판 41 : 테두리봉 P : 관통공
B1 : 볼트 B2 : 스프링 와셔 B3 : 캡너트

Claims (5)

  1. 삭제
  2. 지면에 세워지는 지주대(1)에 도로명판(4)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에 고정되며, 한 쌍의 나란한 결합편(21)을 상기 지주대(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 쌍의 제1브래킷(2); 및
    상기 도로명판(4)의 일측 가장자리의 전, 후면에 대어지며, 상기 결합편(21) 사이에 삽입고정되는 제2브래킷(3);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명판(4)의 상,하단에는 테두리봉(41)이 결합되며,
    상기 제2브래킷(3)의 상,하단에는 상기 테두리봉(41)을 파지하는 가로편(3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가로편(31)의 가장자리(311)는 상기 지주대(1)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주대(1)의 외측면에는 슬릿(11)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브래킷(2)에는 상기 결합편(21)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지주대(1)의 외측면에 대어지는 지지편(22)과, 상기 지지편(22)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릿(11)에 끼워지는 끼움편(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결합편(21), 제2브래킷(3) 및 도로명판(4)을 관통하는 관통공(P)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P)에 삽입되는 볼트(B1)와, 상기 볼트(B1)에 결합되는 스프링 와셔(B2) 및 캡너트(B3)로 상기 도로명판(4)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KR1020080120086A 2008-11-28 2008-11-28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KR10090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086A KR100903390B1 (ko) 2008-11-28 2008-11-28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086A KR100903390B1 (ko) 2008-11-28 2008-11-28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390B1 true KR100903390B1 (ko) 2009-06-18

Family

ID=4098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086A KR100903390B1 (ko) 2008-11-28 2008-11-28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66B1 (ko) 2009-07-06 2010-01-22 주식회사 가인그린텍 안내판 설치용 지지어셈블리
KR100971144B1 (ko) 2009-07-14 2010-07-20 전주시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의 탄성 지지장치
KR101883133B1 (ko) * 2018-01-08 2018-07-27 이성행 타공판을 이용한 차면용 휀스
CN110043101A (zh) * 2019-03-22 2019-07-23 华信咨询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慧综合杆装置
KR102309930B1 (ko) * 2020-09-21 2021-10-06 이종길 안내판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495Y1 (ko) * 1999-05-19 2002-04-18 금승철 도로표지
KR200350747Y1 (ko) 2004-02-19 2004-05-13 이종길 안내표지판 설치구조
KR100522892B1 (ko) 2004-11-15 2005-10-1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 설치구조
KR200436770Y1 (ko) * 2007-07-27 2007-10-0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495Y1 (ko) * 1999-05-19 2002-04-18 금승철 도로표지
KR200350747Y1 (ko) 2004-02-19 2004-05-13 이종길 안내표지판 설치구조
KR100522892B1 (ko) 2004-11-15 2005-10-1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 설치구조
KR200436770Y1 (ko) * 2007-07-27 2007-10-0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66B1 (ko) 2009-07-06 2010-01-22 주식회사 가인그린텍 안내판 설치용 지지어셈블리
KR100971144B1 (ko) 2009-07-14 2010-07-20 전주시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의 탄성 지지장치
KR101883133B1 (ko) * 2018-01-08 2018-07-27 이성행 타공판을 이용한 차면용 휀스
CN110043101A (zh) * 2019-03-22 2019-07-23 华信咨询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慧综合杆装置
KR102309930B1 (ko) * 2020-09-21 2021-10-06 이종길 안내판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90B1 (ko) 도로명판의 고정장치
KR101113785B1 (ko) 랙 구조물용 로드빔
JP3176991U (ja) 折板屋根ハゼ取付金具
KR20170050252A (ko)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 클램프
KR101006536B1 (ko) 표지판 고정장치
JP6040302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架台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JP6389405B2 (ja) 防護柵の施工方法及び施工用治具
JP5702612B2 (ja) 支柱キャップ及び防護柵
JP3182622U (ja) 取付金具
JP7369599B2 (ja) 柵構造物
JP3003824U (ja) 足場用ブラケット
KR200412739Y1 (ko) 가설구조물용 핸드레일 지지브라켓
JP3071288U (ja) 立看板支持装置
JP6504731B2 (ja) 防護柵用横ビーム取付金具
JP2014190050A (ja) 落雪防止装置
JP3187168U (ja) 折板屋根用取付金具
JP5944776B2 (ja) 側溝ブロック又は擁壁ブロックのフェンス支柱の取付構造
KR102130368B1 (ko) 내진형 배전함
KR200449695Y1 (ko) 트레일러의 사이드 가드프레임
JP3184187U (ja) 太陽電池パネルの外れ止め受け金具
JP5259321B2 (ja) 型枠角締め金具
JP3199629U (ja) 足場用手摺取付金具
JP2003213638A (ja) 支柱用キャップとその取付方法
KR200196920Y1 (ko) 현수막 게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