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29B1 -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29B1
KR100903329B1 KR1020070115536A KR20070115536A KR100903329B1 KR 100903329 B1 KR100903329 B1 KR 100903329B1 KR 1020070115536 A KR1020070115536 A KR 1020070115536A KR 20070115536 A KR20070115536 A KR 20070115536A KR 100903329 B1 KR100903329 B1 KR 10090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ompressed air
welding
welding gun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318A (ko
Inventor
하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ⅰ)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드레서 바디와, ⅱ) 드레서 바디의 상단 개구부 측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접팁을 지지하면서 그 용접팁을 드레싱하는 팁 홀더와, ⅲ)드레서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팁 홀더와 연결되는 회전축 및 그 회전축에 고정되는 복수의 로터 블레이드를 가진 로터가 구비되어 로터 블레이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에어 모터유닛과, ⅳ)에어 모터유닛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스톤을 가지면서 에어 모터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의 공급 또는 배출에 의해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유닛과, ⅴ)드레서 바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에어 모터유닛 및 실린더유닛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스폿 용접건을 통해 가압되는 용접팁을 드레싱하는 종래와 달리 실린더유닛을 통해 용접팁에 대하여 팁 홀더를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압축 공기로서 회전하는 에어 모터유닛을 통해 팁 홀더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팁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고속 회전으로서 용접팁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를 제공한다.
편방향, 스폿, 용접건, 용접팁, 드레싱, 연마

Description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DRESSING DEVICE OF WELDING TIP ONE SIDE DIRECTION SPOT WELDING GU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용접팁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에 대한 팁 홀더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그 팁 홀더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을 고르게 드레싱할 수 있도록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의 아암 선단에 스폿 용접건을 갖는 스폿 용접 로봇에서, 상기 스폿 용접건은 크게 고정팁과 함께 용접 대상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동팁을 한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양방향 용접건과, 단일의 용접팁을 가진 편방향 용접건으로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의 거동에 의한 용접 작업시 상기 양방향 용접건의 상부팁 및 하부팁,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은 타점수에 따라 전극 확대 및 열화 등에 의해 전류밀도 저하로 용접불량이 발생함으로, 상기한 양방향 용접건의 상하부팁 및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을 주기적으로 연마시켜 주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팁 연마장치가 적용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팁 연마장치는 서포터(3)의 일측에 일반적인 전동 모터로서 이루어지는 구동 모터(4)가 구비되며, 그 구동 모터(4)에 의해 회전되는 팁 드레서(5)가 서포터(3)에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팁 드레서(5)에 양방향 스폿 용접건의 상부팁 또는 하부팁,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이 각각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양방향 용접건의 상부팁 또는 하부팁,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을 팁 드레서(5)에 밀착시키고 그 팁 드레서(5)를 구동 모터(4)를 통해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양방향 용접건의 상부팁 또는 하부팁, 및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은 팁 드레서(5)에 의해 드레싱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 양방향 스폿 용접건의 상부팁 및 하부팁을 드레싱하기 위해서는 상부팁 또는 하부팁이 높은 가압력(대략 200kg)으로서 팁 드레서(5)에 가압되기 때문에, 그 가압력에 대응하여 구동 모터(4)의 회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팁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을 드레싱하는 경우, 팁 드레서(5)에 대한 용접팁의 가압력(대략 20kg)이 양방향 용접건의 팁 가압력 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회전 속도가 작은 구동 모터(4)를 이용해서는 상기 용접팁의 드레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양방향 스폿 용접건의 팁 가압력을 고려할 때 구동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작아야 그 용접팁의 연마가 가능하고,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 가압력을 고려할 때 구동 모터(4)의 회전 속도가 커져야 그 용접팁의 연마가 가능하므로, 양방향 스폿 용접건을 기준으로 높은 가압력 및 작은 회전 속도로서 용접팁을 드레싱 하는 종래 기술의 용접팁 연마장치는 편방향 용접팁의 드레싱 가공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팁 연마장치에 의하면, 용접건의 진입 방향으로 팁 드레서(5)가 한 쪽 방향으로 편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편심 방향으로의 용접건 가압시 팁 드레서(5)의 편심 회전 또는 파괴로 인해 작업중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편방향 용접건의 용접팁에 대한 팁 드레서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팁 드레서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용접팁을 고르게 드레싱할 수 있도록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을 드레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드레서 바디와, ⅱ)상기 드레서 바디의 상단 개구부 측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접팁을 지지하면서 그 용접팁을 드레싱하는 팁 홀더와, ⅲ)상기 드레서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팁 홀더와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복수의 로터 블레이드를 가진 로터가 구비되어 상기 로터 블레이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에어 모터유닛과, ⅳ)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스톤을 가지면서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의 공급 또는 배출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유닛과, ⅴ)상기 드레서 바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모터유닛 및 상기 실린더유닛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는, 상기 드레서 바디의 상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한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팁 홀더에는 상기 용접팁의 칩을 제거하기 위한 블로워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공압관이 각각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압관은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공압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은 에어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그 압축 공기를 상기 에어 모터유닛 및 상기 실린더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 압축기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은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에어 모터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공압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공압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의하면, 스폿 용접건을 통해 용접팁을 가압한 상태로 그 용접팁을 드레싱하는 종래와 달리, 실린더유닛을 통해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에 대하여 팁 홀더를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압축 공기로서 회전하는 로터를 통해 팁 홀더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팁에 대한 팁 홀더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고속 회전으로서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의하면, 드레서 바디의 중심 측에 팁 홀더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은 팁 홀더의 편심 회전 및 팁 홀더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용접팁 연마장치(100)는 단일의 용접팁(1)을 지닌 편방향 스폿 용접건에 있어 상기 용접팁(1)을 드레싱 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팁(1)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하면서 고속의 회전으로서 상기 용접팁(1)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접팁 연마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드레서 바디(10)와, 팁 홀더(30)와, 에어 모터유닛(50)과, 실린더유닛(70)과,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서 바디(1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내부 공간을 지닌 원통형의 몸체로서 이루어지며, 이의 상단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팁 홀더(30)는 드레서 바디(10)의 상단 개구부(11) 측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팁 홀더(30)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에어 모터유닛(50) 및 실린더유닛(70)을 통해서 회전 및 승강될 수 있으며,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1)을 지지하면서 회전에 의해 그 용접팁(1)을 커팅하여 드레싱할 수 있는 드레싱 커터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팁 홀더(30)의 바닥면에는 용접팁(1)의 연마시 발생되는 칩을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로서 제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워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모터유닛(50)은 팁 홀더(30)에 대응하여 드레서 바디(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그 팁 홀더(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 모터유닛(50)은 팁 홀더(30)와 연결되는 회전축(51)과, 이 회전축(51)에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는 복수의 로터 블레이드(52)를 가진 로터(5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 모터유닛(50)은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로터 블레이드(52) 사이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로터(53)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51)의 상단부는 팁 홀더(30)에 형성된 결합 구멍(33)에 결합되는 바, 그 상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결합 구멍(33)의 외주면이 상호 치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유닛(70)은 에어 모터유닛(50)의 회전축(51)과 연결되면서 그 에어 모터유닛(5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의 공급 또는 배출에 의해 상기 에어 모터유닛(50)의 로터(53)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린더유닛(70)은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제1 공압관(71), 및 그 압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공압관(72)이 각각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7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 실린더(73)의 내부에는 로터(53)의 회전축(5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스톤(75)이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공압관(71)은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압축 공기 공급유닛(90)과 연결되며, 제1 공압관(71) 및 제2 공압관(72)에는 컨트롤유닛(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각각의 유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76, 7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피스톤(75)의 상면에는 로터(53)의 회전축(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로터(5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79)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로터(53)의 회전축(51)은 이의 하단부가 공압 실린더(73)의 상면을 관통하여 지지 브라켓(7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은 드레서 바디(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바, 에어를 압축하고 그 압축 공기를 에어 모터유닛(50) 및 실린더유닛(7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은 에어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배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압축기(91)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은 에어 모터유닛(50)과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에어 모터유닛(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공압관(9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공압관(92)에는 컨트롤유닛(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각각의 유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3 솔레노이드 밸브(9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B1, B2는 로터(53)의 회전축(51)의 회전을 지 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80은 스폿 용접건의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플로우트유닛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1)에는 도면에 미도시된 통상적인 부시가 설치되어 로터(53)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상기 부시를 통해 완화시킬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100)는 용접팁(1)에 대한 팁 홀더(30)의 가압력을 실질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감지 센서(20)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지 센서(20)는 실린더유닛(70)에 의한 에어 모터유닛(5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컨트롤유닛(미도시)으로 출력하는 통상적인 구조의 위치 센서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a에서와 같이 용접 로봇이 팁 드레싱 신호를 컨트롤유닛(미도시)으로 송출하게 되면,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의 공기 압축기(91)는 에어를 흡입하고, 그 에어를 압축하게 된다.
이러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컨트롤유닛은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의 제3 솔레노이드 밸브(96)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3 공압관(92)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어서, 상기 공기 압축기(91)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는 제3 공압관(92)을 통해 에어 모터유닛(50)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 공기가 로터(53)의 로터 블레이드(52) 사이로 공급되면서 그 로터(53)는 팁 홀더(3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로터(53)의 회전력은 제3 솔레노이드 밸브(96)를 통한 제3 공압관(9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1)은 팁 홀더(30)로 진입하게 되고, 컨트롤유닛은 실린더유닛(70)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76)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1 공압관(71)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다음,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는 제1 공압관(71)을 통해 공압 실린더(73)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75)은 상기 압축 공기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75)이 지지 브라켓(79)을 통해 로터(53)의 회전축(51)과 연결되기 때문에, 로터(53)는 팁 홀더(30)와 함께 회전하면서 그 피스톤(75)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팁 홀더(30)는 용접팁(1)을 소정 가압력으로서 가압하게 되고, 로터(5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용접팁(1)을 드레싱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발생되는 용접팁(1)의 칩은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블로워 홀(31)을 통해 제거된다.
이 경우 감지 센서(20)는 로터(53)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컨트롤유닛으로 출력하게 되는데, 용접팁(1)에 대한 팁 홀더(30)의 가압력은 감지 센서(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그 개방 정도가 가변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7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용접팁(1)의 드레싱 완료되면, 컨트롤유닛은 도 5b에서와 같이 실린더유닛(70)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76)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1 공압관(71)의 유로를 폐쇄시키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77)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2 공압관(72)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공압 실린더(73)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제2 공압관(72)을 통해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75)은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75)이 하강함에 따라 용접팁(1)에 대한 팁 홀더(30)의 가압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유닛은 압축 공기 공급유닛(90)의 제3 솔레노이드 밸브(96)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3 공압관(92)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모터유닛(50)의 로터(53)는 그 회전이 정지되고, 마찬가지로 팁 홀더(30)의 회전 또한 정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폿 용접건을 통해 용접팁(1)을 가압한 상태로 그 용접팁(1)을 드레싱하는 종래와 달리, 실린더유닛(70)을 통해 용접팁(1)에 대하여 팁 홀더(30)를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압축 공기로서 회전하는 에어 모터유닛(50)을 통해 팁 홀더(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팁(1)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고속 회전으로서 용접팁(1)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팁 연마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Claims (8)

  1. 편방향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을 드레싱하기 위한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드레서 바디;
    상기 드레서 바디의 상단 개구부 측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접팁을 지지하면서 그 용접팁을 드레싱하는 팁 홀더;
    상기 드레서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팁 홀더와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복수의 로터 블레이드를 가진 로터가 구비되어 상기 로터 블레이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에어 모터유닛;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스톤을 가지면서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의 공급 또는 배출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유닛; 및
    상기 드레서 바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모터유닛 및 상기 실린더유닛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서 바디의 상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한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팁 홀더에는 상기 용접팁의 칩을 제거하기 위한 블로워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공압관이 각각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압관은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공압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 모터유닛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은,
    에어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그 압축 공기를 상기 에어 모터유닛 및 상기 실린더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 압축기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유닛은,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에어 모터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공압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공압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KR1020070115536A 2007-11-13 2007-11-13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KR10090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536A KR100903329B1 (ko) 2007-11-13 2007-11-13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536A KR100903329B1 (ko) 2007-11-13 2007-11-13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318A KR20090049318A (ko) 2009-05-18
KR100903329B1 true KR100903329B1 (ko) 2009-06-16

Family

ID=4085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536A KR100903329B1 (ko) 2007-11-13 2007-11-13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73B1 (ko) * 2011-06-28 2013-01-04 문상세 스폿 용접팁 드레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969A (ja) * 1993-12-06 1995-06-20 Natsume:Kk 電極チップの研磨装置
JP2513943Y2 (ja) * 1991-05-09 1996-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ポ―タブル型チップドレッサ用カッタ
US6672942B1 (en) * 1999-07-07 2004-01-06 Fujikin Incorporated Grinding machine for welding electrodes
KR20070037134A (ko) * 2005-09-30 2007-04-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943Y2 (ja) * 1991-05-09 1996-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ポ―タブル型チップドレッサ用カッタ
JPH07155969A (ja) * 1993-12-06 1995-06-20 Natsume:Kk 電極チップの研磨装置
US6672942B1 (en) * 1999-07-07 2004-01-06 Fujikin Incorporated Grinding machine for welding electrodes
KR20070037134A (ko) * 2005-09-30 2007-04-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318A (ko) 200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26427B (zh) 圆柱工件打磨机
EP1905543B1 (en) Coolant supply apparatus for grinding machine
JP3763975B2 (ja) トップリング制御装置及びポリッシング装置
KR100903329B1 (ko)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연마장치
KR20070096720A (ko) 모따기 기구를 구비하는 렌즈 연삭장치
JP3502839B2 (ja) 遠心バレル研磨装置
JP5160162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の有無検出装置
CN109397031A (zh) 一种回转式石材加工设备
CN208125327U (zh) 一种用于自驱动转子平衡机的自动定位机构
CN206382984U (zh) 一种防止损坏且增加磨片使用寿命的打磨装置
JP7464412B2 (ja) 加工装置
KR100814579B1 (ko)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배출 가압장치
KR100363872B1 (ko)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CN209304347U (zh) 自动换砂片系统
JP2017157646A (ja) 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JP2004025375A (ja) 超仕上げ盤
JP3017449B2 (ja) 竪型ミル
KR100458751B1 (ko) 타이어 버핑분진 제거장치
CN1810446B (zh) 磨削方法及磨削装置
CN109531420A (zh) 自动换砂片系统及方法
JP2000153456A (ja) 研削盤及び研削方法
JPH0614714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220418015U (zh) 一种固体示踪剂干燥装置
KR20070037134A (ko)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CN206662917U (zh) 一种边角焊缝打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