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872B1 -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872B1
KR100363872B1 KR1020000025881A KR20000025881A KR100363872B1 KR 100363872 B1 KR100363872 B1 KR 100363872B1 KR 1020000025881 A KR1020000025881 A KR 1020000025881A KR 20000025881 A KR20000025881 A KR 20000025881A KR 100363872 B1 KR100363872 B1 KR 10036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utting
lens
process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798A (ko
Inventor
이경석
Original Assignee
대명광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광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광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87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872B1/ko

Links

Landscapes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의 주연부를 원형으로 가공함은 물론, 렌즈가공시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타 렌즈의 파손과 주변장치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과 회전판 및 회전판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가공부로 구성된 렌즈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후진 되는 바이트가 구비된 커팅부와 이 커팅부의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커팅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직대 및 수직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커팅부를 승강시키는 수평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승강부는 하부에 장착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며 압착승강축이 구비된 프레임 및 압착승강축의 하부에 장착되는 진공흡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An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lens of spectacles}
본 발명은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의 주연부를 원형으로 가공하는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가공시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타 렌즈의 파손과 주변장치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렌즈 가공장치라 함은, 1차적으로 금형을 통해 렌즈를 제조한후 렌즈의 주연부를 가공하여 원형의 렌즈로 가공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습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에 구동부(61)가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6)과, 상기 구동부(61)와 회전축(611)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회전판(7)과, 상기 회전판(7)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렌즈의 하면을 승강시키는 하부 승강부(81)와 이 하부승강부(81)의 상측에 위치되어 렌즈의 상면을 잡아주는상부 누룸부(82)로 구성된 수취부(8) 및, 수취부(8)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연삭부(9)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연삭부(9)는. 프레임(6)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프레임(6)에 고정되는 베이스(91)와, 베이스(91)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부(92)로 이루어지며, 이 이동부(92)의 전방에는 양측에 연삭숫돌(G)이 장착되며 테이퍼부(931)가 포함되는 하우징(93)이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렌즈가공장치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프레임(6)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61)를 동작시켜 다수의 렌즈가 올려져 있는 회전판(7)을 회전시킨 다음, 회전판(7)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4개소의 하부 승강부(81)를 상승시켜 렌즈를 들어 올림과 동시에 상부 누름부(82)에서 렌즈를 수취한후, 상기 연삭숫돌(932)이 장착되어 있는 이동부(92)를 전진시켜 렌즈을 원형으로 연삭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삭이 진행됨에 있어서, 절삭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렌즈를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연삭숫돌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렌즈를 가공함으로서, 가공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포함되어 있는 절삭유가 사방으로 비산됨으로서 타 렌즈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주변장치로 절삭유가 투입되어 주변장치를 쉽게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연삭숫돌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렌즈의 주연부를 가공함으로서, 렌즈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가공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공용 바이트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렌즈의 주연부를 가공함으로서, 가공시 발생되는 절삭칩을 하부로만 배출되게 하여 절삭칩에 비산을 막아 타 렌즈의 파손과 주변장치의 고장을 예방하고자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공커터가 하강되면서 렌즈의 주연부가 가공됨으로서, 수취부를 통해 고정된 렌즈의 센터가 가공중 변경되는 방지함에 따라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가공중 렌즈가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흡착부의 진공을 유지하기가 힘듦에 따라서, 렌즈의 흡착후 진공압을 빼낸 다음 렌즈를 압착 고정함으로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렌즈의 편심을 막을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회전판 및 회전판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가공부로 구성된 렌즈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후진 되는 바이트가 구비된 커팅부와 이 커팅부의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커팅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직대 및 수직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커팅부를 승강시키는 수평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승강부는 하부에 장착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어 압착승강축이 구비된 프레임 및 압착승강축의 하부에 장착되는 진공흡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렌즈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b는 가공부를 구성하는 커팅부와 수직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가공과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6a는 가공전 바이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도 6b는 절삭깊이가 세팅된 상태의 바이트 위치를 나타내고,
도 6c는 가공후 바이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도 6d는 가공후 바이트가 후퇴된 상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7은 종래의 안경렌즈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구동부
2 : 회전판
21 : 렌즈시트
3 : 수취부
31 : 하부승강부
311 : 실린더, 312 : 프레임, 312a : 압착승강축,
313 : 진공흡착부
32 : 상부 누름부
321 : 모터
4 : 가공부
41 : 커팅부
411 : 바이트 홀더, 411a : 이동구 장착부, 412 : 연결대,
412a : 수직탭공, 413 : 이동구, 414 : 회전체, 414b : 모터,
B : 바이트
42 : 수직대
421 : 가이드부
43 : 수평대
431 : 승강스크류, 431a : 종동풀리, 432 : 승강모터,
432a : 주동풀리
44 : 개폐부
5 : 절삭칩 배출공
51 : 경사판
52 : 칩 배출닥트
53 : 개폐부
54 : 진공펌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에 구동부(11)가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구동부(11)와 회전축(111)을 통해 고정되어 있으며 주연부에는 다수의 렌즈시트(21)가 형성된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의 일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하부 승강부(31) 및 이 하부 승강부(31)들의 상측에 위치되어 모터(321)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상부 누룸부(32)로 이루어진 수취부(3)와, 이 수취부(3)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가공부(4)로 구성된 통상의 렌즈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4)는,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전방 양측에 장착되는 바이트(b)가 수평스크류(414a)의 통해 전,후진되는 커팅부(41), 이 커팅부(41)의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중앙에는 커팅부(41)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421)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대(42), 이 수직대(42)의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상기 커팅부(41)에 체결되어 승강모터(432)의 구동을 통해 회전되는 승강스크류(431)가, 전방에는 렌즈(L)의 상측을 눌러주는 상부 누룸부(32)가 설치되어 있는 수평대(43)로 구성되며;
상기 수취부(3)의 하부승강부(31)는, 하부에 장착된 실린더(311), 이 실린더(311)의 로드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중앙에는 압착승강축(312a)이 구비된 프레임(312), 및 압착승강축(312a)의 하부에 장착되는 진공흡착부(3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프레임(1)의 후방에는, 즉, 상기 커팅부(41)의 바로 하측에는 원호형상으로 관통된 절삭칩 배출공(5)이 형성되는 한편, 이 절삭칩 배출공(5)의 상측에는 칩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판(51)이 형성되고, 절삭칩 배출공(5)의 하측 주연에는 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칩 배출닥트(52)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칩 배출닥트(52)의 중간에는 가공시 폐쇄되고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개폐부(53)와, 칩 배출닥트(52)의 끝단에는 칩을 회수하는 진공펌프(54)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가공부(41)의 전방에는 가공시 폐쇄되고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개폐부(44)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모터(432)는 가공부(4)의 상측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승강모터(432)의 회전축에는 주동풀리(432a)가 장착되고, 상기 수평대(43)에 장착된 승강스크류(431)의 상측에는 상기 주동풀리(432a)와 밸트를 통해 연결되는 종동풀리(431a)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공부(4)를 구성하는 커팅부(41)는, 양측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이동구 장착부(411a)가 형성된 바이트 홀더(411)와, 양측 바이트 홀더(411)의 중간을 연결하며 상측 중앙에는 바이트 홀더(411)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스크류(431)가 체결되는 수직탭공(412a)이 구비된 연결대(412)와, 상기이동구 장착부(411a)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전방에 바이트(B)가 고정되고 후방 중앙에 수평탭공(413a)이 형성된 이동구(413)와, 상기 바이트 홀더(411)의 후방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전방에 상기 수평탭공(421a)과 체결되는 수평스크류(414a)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체(41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이동구 장착부(411a)의 양측길이(L1)는 상기 이동구(413)의 전장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구(413)는 이동구 장착부(411a)에 헐거운끼워맞춤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구(413)은 이동구 장착부(411a)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414)는 별도의 모터(414b)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이트(B)의 전후진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취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상기 하부승강부(31)은, 상술한 바와같이 실린더(311)와 이 실린더(311)의 로드에 장착되는 프레임(312) 및 압착승강축(312a)의 하부에 장착되는 진공흡착부(313)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진공흡착부(313)는, 상기 압착승강축(312a)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케이싱(313a)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313b)을 통해 상승되고 에어압력을 통해 하강되는 진공노즐(313c)과, 상기 진공노즐(313c)의 상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313d) 및 상기 진공노즐(313c)에 진공압을 걸어주는 진공관(313e)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에 렌즈를 수취할 경우에는, 먼저,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311)의 동작을 통해 프레임(312)이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진공흡착부(313)에 장착되어 있는 진공노즐(313c)의 상면과 압착승강축(312a)의 하면이 스프링(313b)을 통해 서로 밀착된다. 그리고, 케이싱(313a)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진공관(313e)에서 진공압이 걸리게 됨으로서, 렌즈의 하면을 흡착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와 같이 진공압이 걸린상태에서 렌즈(L)가 고속으로 회전되게 되면, 렌즈(L) 하면에 결려있는 진공압이 불규칙하게 되어 렌즈(L)가 고속회전중 편심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렌즈의 고속회전시 진공압을 균일하게 유지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렌즈(L)가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렌즈 하면에 걸려있는 진공압을 제거해야 함으로서, 상기 진공흡착부(313)의 상부에 장착된 에어공급관(313d)을 통해 에어를 공급시켜 상기 진공노즐(313c)이 상기 압착승강축(312a)으로부터 이탈되어 압착승강축(312a)에는 진공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공에 앞서, 먼저, 회전판(2)의 주연부에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렌즈시트(21)의 상측에 비 연삭된 렌즈(L)들을 올려 놓는다. 그후, 회전판(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4개소의 하부 승강부(31)를 작동시켜 렌즈(L)를 상승시킴으로서, 하부 승강부(31)와 상부 누룸부(32)의 사이에 렌즈(L)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상부 누룸부(32)와 연결된 모터(321)를 작동시켜 렌즈(L)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렌즈(L)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가공을 수행할 경우에는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연삭부(4)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커팅부(41)의 회전체(414)을 수동 또는 모터(414b)를 통해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연삭부(4)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바이트(B)를 전진시킴으로서, 렌즈(L) 주연부의 절삭깊이를 결정한다. 즉, 바이트 홀더(411)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회전체(414)가 회전되면 이와 연동되어 수평스크류(414a)도 함께 회전됨으로서, 수평스크류(414a)가 체결된 이동구(413)가 전진되어 바이트(B)의 전방이 가공할 렌즈(L)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다(도 6a 및 도 6b참조).
그후, 상기 가공부(4)의 상측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모터(4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평대(43)의 후방에 장착된 승강스크류(431)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서, 상기 승강스크류(431)가 체결된 커팅부(41)가 상기 수직대(42)의 가이드부(421)를 따라 하강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팅부(412)를 구성하는 연결대(421)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탭공(412a)에 상기 승강스크류(431)가 체결되어 있음에 따라, 승강스크류(431)가 역회전되면 연결대(421)를 포함하는 커팅부(41)가 전체적으로 하강되며, 이로 인하여 바이트 홀더(411)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바이트(B)의 끝단이 회전되는 렌즈(L)의 주연부를 커팅하는 것이다(도 5c참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트(B)가 상승되면서 가공이 진행되는 시점에서는 절삭칩이 하부로만 배출되고, 배출된 절삭칩은 프레임(1)에 장착된 경사판(51)을 따라 절삭칩 배출공(5)을 통과한 후, 칩 배출닥트(52)와 진공펌프(54)를 통해 외부에서 취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공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타 렌즈와 주변장치로 튀지 않게 됨으로서, 타 렌즈의 표면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주변장치의 고장을예방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바이트(B)가 하강되면서 가공이 진행됨으로서, 수취부(3)에 의해 고정된 렌즈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공 정밀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공이 끝난후에는 상기 커팅부(41)의 회전체를 수동 또는 모터(414b)를 통해 역회전시켜 바이트를 후진시킨 다음, 상기 승강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수평대(43)에 장착된 승강스크류(431)를 정회전시킴으로서 바이트(B)가 장착된 커팅부(41)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통해 1회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다(도 5d 및 도 5a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은 렌즈(L)를 가공할 때 마다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가공이 진행되는 순간에는 상기 칩 배출닥트(52)의 중간에 장착된 개폐부(53)가 폐쇄되며, 상기 가공부(41)의 전방에 장착된 개폐부(44)도 폐쇄됨으로서, 가공중의 렌즈(L)와 비가공된 렌즈(L)가 진공펌프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절삭칩의 비산으로 인한 타 렌즈의 파손과 주변장치의 고장을 예방함으로서, 가공된 렌즈의 불량률을 최소화함은 물론, 주변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 렌즈를 가공하는 순간에 수취부에 고정된 렌즈의 이동을 막음으로서, 가공정밀도가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고속으로 회전되는 렌즈의 편심을 막음으로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1. 중앙에 구동부(11)가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구동부(11)와 회전축(111)을 통해 고정되어 있으며 주연부에는 다수의 렌즈시트(21)가 형성된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의 일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하부 승강부(31) 및 이 하부 승강부(31)들의 상측에 위치되어 모터(321)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상부 누룸부(32)로 이루어진 수취부(3)와, 이 수취부(3)의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가공부(4)로 구성된 통상의 렌즈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4)는,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전방 양측에 장착된 바이트(b)가 수평스크류(414a)의 회전을 통해 전,후진되는 커팅부(41)와, 이 커팅부(41)의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중앙에는 커팅부(4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 수직대(42), 및 수직대(42)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커팅부(41)에 체결되어 승강모터(432)와 연동되는 승강스크류(431)와 상부 누룸부(32)가 설치되어 있는 수평대(43)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승강부(31)은, 하부에 장착된 실린더(311), 이 실린더(311)의 로드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중앙에는 압착승강축(312a)이 구비된 프레임(312), 및 압착승강축(312a)의 하부에 장착되는 진공흡착부(313)로 구성되고;
    상기 커팅부(41)의 하측인 상기 프레임(1)의 후방에는 원호형상의 절삭칩 배출공(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4)를 구성하는 커팅부(41)는, 양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이동구 장착부(411a)가 형성되어 있는 바이트 홀더(411)와, 양측에 위치된 바이트 홀더(411)의 중간을 연결하며 상측에는 상기 승강스크류(431)가 체결되는 수직탭공(412a)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대(412)와, 상기 이동구 장착부(411a)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전방에 바이트(b)가 고정되고 후방에 수평탭공(413a)이 형성된 이동구(413)와, 상기 바이트 홀더(411)의 후방에 장착되고 전방에는 상기 수평탭공(421a)에 체결되는 수평스크류(414a)가 구비된 회전체(4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 장착부(411a)의 양측길이(L1)는 상기 이동구(413)의 전장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구(413)는 이동구 장착부(411a)에 헐거운끼워맞춤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14)는 별도의 모터(414b)와 연결되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터(432)는, 가공부(4)의 상측 후방에 장착되며, 승강모터(432)의 회전축에는 주동풀리(432a)가 장착되고, 상기 수평대(43)에 장착된 승강스크류(431)의 상측에는 상기 주동풀리(432a)와 밸트를 통해 연결되는종동풀리(431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부(31)의 진공흡착부(313)는, 상기 압착승강축(312a)의 하부에 장착되며, 케이싱(313a)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313b)을 통해 상승되고 에어압력을 통해 하강되는 진공노즐(313c)과, 이 진공노즐(313c)의 상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313d), 및 상기 진공노즐(313c)에 진공압을 걸어주는 진공관(313e)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 형성된 절삭칩 배출공(5)의 상측에는 칩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판(51)이 형성되고, 절삭칩 배출공(5)의 하측 주연에는 프레임(1)의 외부로 돌출되는 칩 배출닥트(52)가 장착되며, 이 칩 배출닥트(52)에는 가공시 폐쇄되고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개폐부(53)와 칩을 회수하는 진공펌프(5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41)의 전방에는 가공시 폐쇄되고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개폐부(4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KR1020000025881A 2000-05-15 2000-05-15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KR10036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881A KR100363872B1 (ko) 2000-05-15 2000-05-15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881A KR100363872B1 (ko) 2000-05-15 2000-05-15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798A KR20010104798A (ko) 2001-11-28
KR100363872B1 true KR100363872B1 (ko) 2002-12-11

Family

ID=4581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881A KR100363872B1 (ko) 2000-05-15 2000-05-15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62B1 (ko) * 2008-04-14 2010-03-31 박희만 전기 저항 용접기용 팁 드레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06B1 (ko) * 2006-11-07 2007-11-22 주식회사 동구기업 글라스 렌즈의 회전식 자동 연마장치
KR100844090B1 (ko) * 2006-12-21 2008-07-04 주식회사 동구기업 글라스 렌즈의 회전식 자동 연마장치
JP5111006B2 (ja) * 2007-08-03 2012-12-2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CN107900860B (zh) * 2017-12-06 2019-09-24 湖南文理学院 一种汽车用刹车片倒角研磨设备
CN112025463A (zh) * 2020-08-31 2020-12-04 温岭市东菱电机有限公司 一种泵体加工用上端面内外壁面打磨机床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6238U (ko) * 1975-06-06 1976-12-13
KR900008166U (ko) * 1988-10-28 1990-05-01 박경 판유리 변형 면취기용 진공 흡착기
JPH0487701A (ja) * 1990-07-31 1992-03-19 Menicon Co Ltd 非球面レンズの製造装置
JPH0655302A (ja) * 1992-04-30 1994-03-01 Wernicke & Co Gmbh 眼鏡レンズの縁加工装置
JPH1128650A (ja) * 1997-07-09 1999-02-02 Nikon Corp レンズ研削装置及びレンズ製造方法及びレンズ
KR200168120Y1 (ko) * 1999-08-14 2000-02-15 대명광학주식회사 안경렌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6238U (ko) * 1975-06-06 1976-12-13
KR900008166U (ko) * 1988-10-28 1990-05-01 박경 판유리 변형 면취기용 진공 흡착기
JPH0487701A (ja) * 1990-07-31 1992-03-19 Menicon Co Ltd 非球面レンズの製造装置
JPH0655302A (ja) * 1992-04-30 1994-03-01 Wernicke & Co Gmbh 眼鏡レンズの縁加工装置
JPH1128650A (ja) * 1997-07-09 1999-02-02 Nikon Corp レンズ研削装置及びレンズ製造方法及びレンズ
KR200168120Y1 (ko) * 1999-08-14 2000-02-15 대명광학주식회사 안경렌즈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62B1 (ko) * 2008-04-14 2010-03-31 박희만 전기 저항 용접기용 팁 드레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798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1343A (ja) ウェーハ支持方法及びウェーハ支持装置
KR100363872B1 (ko) 건식의 안경렌즈 가공장치
TW201434082A (zh) 研磨裝置及研磨方法
CN111872794A (zh) 一种绿色电池外壳打磨装置
KR200436073Y1 (ko) 안경렌즈 가공장치
CN214418165U (zh) 一种机械加工用车削打磨一体机
KR20130064266A (ko) 반도체 칩 픽업용 이젝션장치
CN213765414U (zh) 一种金属环打磨生产用定位装置
JP2018167367A (ja) 研削装置
KR20010027479A (ko) 스트립 에지의 나이프 버 제거장치
KR100816775B1 (ko) 스핀 형성장치
KR100350076B1 (ko) 안경렌즈 몰드 테이핑기
KR100678836B1 (ko) 유리기판 수평절단기의 지지패드 자동교체장치
KR100567035B1 (ko) 정밀 구심 연마장치
CN216028841U (zh) 一种具有可调节式真空吸盘的晶圆切割机
KR200151979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를 위한 칩 본더의 칩 이젝팅 장치
JPH0517175A (ja) 曲げガラスの切断機
JP3007816B2 (ja) ばり取り具を備えた切断装置
KR100310995B1 (ko) 글래스패널용연마장치
CN215748288U (zh) 一种电子元器件的制造设备
CN218341784U (zh) 一种快换型打磨抛光机
CN220161510U (zh) 一种激光划片防尘防碎片的装置
CN116237848B (zh) 一种壳体铸件毛刺打磨工装
CN220178897U (zh) 一种光学玻璃磨边装置
CN210025474U (zh) 切膜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