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073Y1 - 안경렌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073Y1
KR200436073Y1 KR2020070003121U KR20070003121U KR200436073Y1 KR 200436073 Y1 KR200436073 Y1 KR 200436073Y1 KR 2020070003121 U KR2020070003121 U KR 2020070003121U KR 20070003121 U KR20070003121 U KR 20070003121U KR 200436073 Y1 KR200436073 Y1 KR 200436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ocessing apparatus
cutting member
cutting
specta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범
Original Assignee
윤석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범 filed Critical 윤석범
Priority to KR2020070003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84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the grinding wheel support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에 사용하는 렌즈를 소정 크기로 자르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렌즈를 소정 규격으로 절삭하되 렌즈의 측면이 일자로 가공된 원형으로 절삭함은 물론, 절삭된 렌즈 모서리에 형성된 첨단을 렌즈의 두께 변화에 따라 칼날이 추적하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는 렌즈의 곡면 중심을 맞춰 고속이나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렌즈홀더와, 진퇴 및 승강하며 렌즈의 측면을 깎는 절삭부재는 물론, 출입수단에 의해 출몰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위에 설치된 컷팅부재 및 회동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절삭된 렌즈 모서리에 형성된 첨단을 제거하는 칼날이 렌즈의 두께 추이(推移)를 따라 첨단을 추적하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확보함은 물론, 양질의 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제고하는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안경, 렌즈, 가공, 면치기, 절삭, 첨단

Description

안경렌즈 가공장치{LENS CUTTING TOOL}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형태에 따른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렌즈의 측면 절삭가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절삭가공 이후, 렌즈의 측면 하단 첨단제거를 위한 가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의 주요 부분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의 렌즈 측면 첨단 절삭을 위한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의 렌즈홀더 스핀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렌즈홀더 11 : 렌즈
12 : 스핀들(Spindle) 12a: 구동풀리
12b: 고속모터 13 : 저속모터
13a: 전자클러치 13b: 아이들 풀리(Idle pulley)
20 : 절삭부재 21 : 진퇴부
22 : 커버플레이트 30 : 베이스플레이트
31 : 출입수단 31a: 로드부재
31b: 가이드레일 32 : 힌지축
33 : 고정수단 33a: 거치대
40 : 컷팅부재 41 : 회전날
50 : 회동블록 51 : 편중수단
51a: 조절대 51b: 중량추
60 : 배진구
본 고안은 안경에 사용하는 렌즈를 소정 크기로 자르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렌즈를 소정 규격으로 절삭하되 렌즈의 측면이 일자로 가공된 원형으로 절삭함은 물론, 절삭된 렌즈 모서리에 형성된 첨단을 제거하되, 렌즈의 두께 변화에 따라 칼날이 추적하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lens)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질의 면을 구면(球面)으로 곱게 갈아 물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像)을 맺게 하는 것으로, 안경이나 망원경, 현미경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된다. 렌즈(lens)는 가공과정에서 소정 곡률을 형성하는 구면(球面)은 어느 정도 매끈하게 되지만,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은 울퉁불퉁하게 부정형(不定形) 상태가 된다.
따라서 렌즈(lens)는 제조공정상 측면을 말끔하게 절삭하여 소정 형태로 규격화(規格化) 시키기 위한 가공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9122호(2001. 12. 17.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 개시된 형태의 기술을 들 수 있다.
종래기술은 안경렌즈(1)의 측면을 절삭가공하여 소정의 규격품을 양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렌즈(1)의 거치상태를 고정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받침(2) 및 상부받침(3)과, 하부받침(2)에 올려진 안경렌즈(1)의 구면(球面) 중심을 받침중심에 일치시키는 보정수단(4), 그리고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절삭바이트(5)로 구성된다.
즉, 종래기술은 보정수단(4)으로부터 하부받침(2) 위 안경렌즈(1)의 위치가 보정되면, 상부받침(3)으로 하부받침(2)의 안경렌즈(1)를 붙잡은 상태에서 고속으 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절삭바이트(5)가 안경렌즈(1)의 측면을 절삭가공하면서 소정의 규격품을 양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안경렌즈(1)의 측면을 절삭가공함으로써,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첨단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즉, 절삭가공으로 인해 형성된 안경렌즈(1)의 측면 모서리 중 구면(球面) 하단에 형성된 첨단은 칼날처럼 예리하게 형성되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므로 유통 간에 불량품이 양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포장과 같은 후속 공정에서의 취급시 작업자가 손이나 기타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등 재해의 위험이 유발된다.
이외에 종래기술에 의한 안경렌즈(1)의 측면 모서리의 첨단을 작업자가 직접 제거한다 하더라도 첨단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특히, 난시용 안경렌즈(1)의 경우, 측면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측면 첨단으로 인해 안경렌즈(1)의 손상위험은 더 높아지고, 작업자의 첨단 제거작업은 더 어려워져 생산성의 저하가 배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렌즈를 소정 규격으로 절삭하되 렌즈의 측면이 일자 형태로 가공된 원형으로 절삭함은 물론, 절삭된 렌즈 모서리에 형성된 첨단을 렌즈의 두께 변화에 따라 칼날이 추적하 면서 제거할 수 있는 안경렌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렌즈의 측면 절삭가공 이후 형성된 모서리의 첨단제거를 위한 자동 기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의 두께가 일정한 일반형이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난시형에 관계없이 일괄적인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렌즈의 품질향상과 함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안경렌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는 렌즈의 곡면 중심을 맞춰 고속이나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렌즈홀더와, 진퇴 및 승강하며 렌즈의 측면을 깎는 절삭부재는 물론, 출입수단에 의해 출몰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위에 설치된 컷팅부재 및 회동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는 회동블록의 무게중심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편중수단을 구비하여, 렌즈의 두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측면 모서리의 첨단을 쉽게 제거하며, 렌즈홀더의 스핀들(Spindle)을 구동시키는 구동풀리에는 전자클러치 및 아이들 풀리(idle pulley)가 구비된 저속모터가 추가로 벨트결합되어, 렌즈의 측면 절삭공정 및 첨단 절삭공정에 따라 스핀들(Spindle)의 회전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특징이 발휘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렌즈(11)의 곡면 중심을 맞추며, 렌즈(11)의 구면(球面) 상·하단을 맞잡고 회전하는 렌즈홀더(10)와, 전진(前進) 및 후퇴(後退)는 물론, 상승(上昇) 및 하강(下降) 가능하게 설치되어, 렌즈(11)의 측면 절삭을 위한 절삭부재(20)를 구비하되, 렌즈(11)의 절삭가공에 따른 분진배출을 위한 배진구(60)가 구비된 밀폐공간 내에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동블록(50)과 컷팅부재(40)가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30)를 구비하되, 베이스플레이트(30)는 절삭부재(20)의 진퇴부(21)에 구비된 출입수단(31)에 의해 절삭부재(20)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출몰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베이스플레이트(30)는 절삭부재(20)의 진퇴부(21)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의 이송이 절삭부재(20)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 절삭부재(20)는 소정 형태의 커버 플레이트(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승 및 하강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출입수단(31)은 베이스플레이트(30)의 후단으로 연결된 로드부재(31a)와, 절 삭부재(20)의 진퇴부(21) 바닥 및 베이스플레이트(30)의 하단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31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로드부재(31a)는 절삭부재(20)의 진퇴부(21) 어느 한 곳에 설치된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0)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형태가 좋다.
컷팅부재(40)는 절삭부재(20)에 의해 가공된 렌즈(11)의 측면에 형성된 모서리의 첨단을 소정 형태로 마멸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뿔 형태의 회전날(41)과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 회전날(41)은 콤프레셔와 같은 공기압에 의해 회전되는 형태가 좋다.
회동블록(50)은 컷팅부재(40)의 몸체를 체결하여 컷팅부재(40)의 설치상태를 고정하는 동시에, 베이스플레이트(30) 상의 힌지축(32)에 설치되어 회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회동블록(50)은 베이스플레이트(3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부양되게 하여, 외력의 변화에 따라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되, 항상 컷팅부재(40)의 회전날(41) 쪽이 소정 기울기로 상향되게 한다.
컷팅부재(40)의 설정 기울기는 회동블록(50)에 체결되는 컷팅부재(40)의 몸체를 힌지축(32)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게 설치한 형태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회동블록(5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편중수단(51)을 구비하여, 편중수단(51)의 중량에 의해 회동블록(50)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소정 기울기만큼 회동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컷팅부재(40)의 회전날(41)이 상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편중수단(51)은 회동블록(50) 후단에 일체로 구비된 조절대(51a)와, 이 조절대(51a)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위치조절이 가능한 중량추(51b)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편중수단(51)의 조절대(51a)는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량추(51b)는 위치에 따라 회동부재(50)와 컷팅부재(40)를 소정 각도로 기울이는 동시에, 회동되는 힌지축(32)을 기점으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컷팅부재(40)의 회전날(41)이 렌즈(11)의 측면 하단 모서리 첨단에 맞닿을 수 있도록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가공하는 렌즈(11)의 측면 두께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압력하에 컷팅부재(40)의 회전날(41)이 렌즈(11)의 측면 하단 모서리 첨단과의 접촉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일반형은 물론, 난시형 렌즈(11) 또한 측면 절삭가공 이후,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첨단의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발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을 동일한 베이스플레이트(30) 면상에 적어도 두 군(群)으로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렌즈(11)에 대해 동시에 측면 절삭가공 이후 하단 모서 리에 생긴 첨단을 제거할 수 있도록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으로 이루어진 군(群)이 복수로 구비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플레이트(30)는 힌지축(32)의 회동방지를 위한 고정수단(33)이 구비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고정수단(33)은 기울어진 컷팅부재(40) 또는 회동블록(50)의 후단을 들어올리는 거치대(33a)가 구비된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렌즈(11)의 측면 모서리 첨단을 제거하는 공정이 완료되었을 때, 베이스플레이트(30)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의 설치상태를 고정수단(33)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즉, 로드부재(31a)에 의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출몰시 컷딩부재(40)의 회전날(41) 등 구성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렌즈홀더(10)의 스핀들(Spindle)(12)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구동풀리(12a)쪽에 저속모터(13)가 벨트결합되어 병행되게 함으로써, 렌즈(11)의 측면 절삭가공시 고속회전은 물론, 측면 모서리 첨단제거를 위한 저속회전도 가능하게 하여, 각 공정에 적합한 스핀들(Spindle)(12)의 회전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처럼 저속모터(13)의 구동축 상에는 전자클러치(13a)와 아이들 풀리(idle pulley) (13b)를 구비하고 저속모터(13)의 아이들 풀리(13b)와 고속모 터(12b)의 구동풀리(12a)를 연결시켜, 렌즈(11)의 가공부위에 따라 렌즈홀더(10)의 스핀들(12)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대한 선택을 전자버튼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 간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는 렌즈(11) 측면을 절삭가공하여 소정의 크기로 규격화하고, 연이어 측면 절삭가공으로 인해 생긴 하단 모서리 첨단을 제거하는 것으로 각 공정별 구성 간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작동신호 및 해당신호는 작업자가 제어부를 통해 인가하는 신호를 말하며, 본 고안에 대한 위 설명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전기 및 전자 관련 회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태라는 점을 전제로 하며, 이것은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함을 밝혀둔다.
먼저, 도 2a에서처럼 본 고안은 렌즈홀더(10)에 가공하고자 하는 렌즈(11)를 올려둔 상태에서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렌즈홀더(10)는 렌즈(11)의 구면(球面) 중심과 이를 받치는 곡면 중심을 일치시킨 뒤, 렌즈(11)의 구면(球面) 상·하단을 맞잡고 스핀들(Spindle)(12)에 구동력이 인가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한다. 이때, 각 스핀들(Spindle)(12)은 고속모터(12b)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5에서처럼 고 속모터(12b)의 구동풀리(12a)에 벨트결합된 저속모터(13)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속모터(12b)의 구동풀리(12a)에 의해 저속모터(13)의 아이들 풀리(Idle pulley)(13b)만 공회전하게 된다.
이후, 절삭가공 렌즈(11)의 규격 즉, 입력된 렌즈(11)의 지름 사이즈와 같은 작동신호에 의해 절삭부재(20)를 포함하는 진퇴부(21)가 적정 위치로 전진하거나 후퇴되면서, 렌즈홀더(10)에 맞물려 회전하는 렌즈(11) 측면에 절삭부재(20)의 끝단이 맞닿게 된다. 이때, 절삭부재(20)의 끝단에 의한 렌즈(11)의 측면 절삭은 입력된 지름 사이즈만큼 이루어지고, 절삭부재(20)는 상하구동을 반복하면서 렌즈(11)의 측면을 일자처럼 매끈하게 가공하는 한편, 렌즈(11)의 측면 모서리에 예리한 첨단을 형성하게 된다.
절삭가공 중에 발생되는 분진은 배진구(60)를 통해 소정 형태의 구성 속으로 수집된다. 절삭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22)는 상하로 구동되는 절삭부재(20)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함은 물론, 베이스플레이트(30)가 구비된 진퇴부(21) 속으로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절삭부재(20)에 의한 렌즈(11)의 측면 절삭이 마무리되면, 도 2b에서처럼 렌즈(11) 측면 모서리 중 하단에 형성된 첨단을 제거하는 작동이 연계된다. 즉, 해당신호가 인가되면 진퇴부(21)의 위치가 그대로 유 지된 상태에서 절삭부재(20)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절삭부재(20)에 일체된 커버플레이트(22) 또한 상승 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30)가 구비된 진퇴부(21)의 내부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어 출입수단(31)의 구동력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0)는 진퇴부(21) 밖으로 밀려나오고, 고정수단(33)에 의한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의 거치상태가 해지되면서 컷팅부재(40)의 회전날(41)이 렌즈(11)의 하단 모서리 첨단에 맞닿게 된다.
즉, 출입수단(31)의 로드부재(31a)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30)에 구동력이 가해지면, 가이드레일(31b)을 따라 베이스플레이트(30)가 미끄러지면서 진퇴부(21) 밖으로 밀려나오되, 입력된 렌즈(11)의 지름 사이즈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30) 위 고정수단(33)인 거치대(33a)를 받치는 실린더의 공기나 유체가 빠지면서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의 고정상태가 해지된다.
나아가, 편중수단(51) 즉, 조절대(51a)에 체결된 중량추(51b)의 무게에 의해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회전날(41)은 렌즈(11)의 하단 모서리 첨단에 맞닿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가되는 해당신호에 의해 컷팅부재(40)는 공기압에 의해 회전날(41)이 회전되고, 동시에 렌즈(11)가 맞물린 렌즈홀더(10)의 스핀들(Spindle)(12) 또한 해당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렌즈홀더(10)의 스핀들(Spindle)(12)은 렌즈(11)의 측면을 절삭할 때와는 달리 저속회전으로 전환되어, 회전날(41)에 의한 렌즈(11)의 측면 하단 모서리에 대한 첨단제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신호가 인가되면, 고속모터(12b)의 전원은 끊어져 구동풀리(12a)의 회동력이 없는 반면, 저속모터(13)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동시에 전자클러치(13a)에 의해 저속모터(13)의 구동축과 아이들 풀리(Idle pulley)(13b)가 일체되어, 저속모터(13)에 의해 구동풀리(12a)는 물론, 렌즈홀더(10)의 스핀들(Spindle)(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부터 렌즈(11)의 측면 하단 모서리 첨단제거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양질의 렌즈(11)를 생산하는 특징이 발휘된다.
그리고, 편중수단(51) 즉, 조절대(51a)에 체결된 중량추(51b)의 무게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힌지축(32)을 기점으로 컷팅부재(40)의 회전날(41)이 렌즈(11)의 측면 하단 모서리 첨단을 가압하게 함으로써, 렌즈(11)의 측면 두께변화와 관계없이 어떤 형태의 렌즈(11)던 회전날(41)이 렌즈(11)의 측면 하단 모서리 첨단을 따라 연동 되면서 일정하게 해당 첨단을 제거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렌즈 가공장치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동을 통해 렌즈(11)의 측면을 절삭해서 규격화함은 물론, 측면 절삭으로 인한 첨단 또한 제거하여 양질의 렌즈(11)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렌즈의 규격화를 위한 측면 절삭가공은 물론, 측면 절삭으로 인한 모서리 첨단 또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양질의 렌즈 가공을 위한 공정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절삭된 렌즈 모서리에 형성된 첨단을 제거하는 칼날이 렌즈의 두께 추이(推移)를 따라 첨단을 추적하면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렌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확보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렌즈의 측면 절삭가공 및 하단 모서리의 첨단제거를 위한 구성이 복수로 구비된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동시 다발적인 작업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 또한 뛰어나다.

Claims (9)

  1. 렌즈(11)의 곡면 중심을 맞추며, 상기 렌즈(11)를 붙잡고 회전하는 렌즈홀더(10)와, 진퇴(進退) 및 승강(昇降) 가능하며, 상기 렌즈(11)의 측면에 맞닿는 절삭부재(20)가 구비된 안경렌즈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20)의 진퇴부(21)에 구비된 출입수단(31)에 의해 출몰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와;
    상기 렌즈(11)의 측면 첨단을 가공하는 회전날(41)이 구비된 컷팅부재(40);
    상기 컷팅부재(40)가 체결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상의 힌지축(32)에 설치된 회동블록(5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블록(50)은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편중수단(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중수단(51)은,
    상기 회동블록(50) 후단에 구비된 조절대(51a)와;
    상기 조절대(51a)에 나사 식으로 체결되며, 위치조절이 가능한 중량추(51b) 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10)는 스핀들(Spindle)(12)의 구동풀리(12a)에 전자클러치(13a) 및 아이들 풀리(idle pulley)(13b)가 벨트결합된 저속모터(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3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에 연결되며,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부재(31a)와;
    상기 절삭부재(20)의 진퇴부(2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재(40) 및 회동블록(50)은 적어도 두 군(群)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20)는 진퇴부(21)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는 상기 힌지축(32)의 회동방지를 위한 고정수단(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3)은 상기 컷팅부재(40)의 후단을 들어올리는 거치대(33a)가 구비된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가공장치.
KR2020070003121U 2007-02-23 2007-02-23 안경렌즈 가공장치 KR200436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121U KR200436073Y1 (ko) 2007-02-23 2007-02-23 안경렌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121U KR200436073Y1 (ko) 2007-02-23 2007-02-23 안경렌즈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073Y1 true KR200436073Y1 (ko) 2007-05-10

Family

ID=4163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121U KR200436073Y1 (ko) 2007-02-23 2007-02-23 안경렌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07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22B1 (ko) * 2011-10-24 2014-04-14 김경태 렌즈 측면 절삭 장치
KR101590748B1 (ko) 2015-05-06 2016-02-01 민병직 난시 및 근시용 안경렌즈의 면취기
KR101590749B1 (ko) 2015-05-06 2016-02-18 민병직 난시 및 근시용 안경렌즈의 면취기
KR101597910B1 (ko) 2014-12-03 2016-02-25 민병직 안경렌즈 면취 가공기
KR101655720B1 (ko) 2016-02-02 2016-09-07 민병직 일축 면가공기
CN108705403A (zh) * 2018-08-07 2018-10-26 望江县天长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镜片削边装置
CN115056275A (zh) * 2022-05-31 2022-09-16 广东喜珍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的切片切割装置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22B1 (ko) * 2011-10-24 2014-04-14 김경태 렌즈 측면 절삭 장치
KR101597910B1 (ko) 2014-12-03 2016-02-25 민병직 안경렌즈 면취 가공기
KR101590748B1 (ko) 2015-05-06 2016-02-01 민병직 난시 및 근시용 안경렌즈의 면취기
KR101590749B1 (ko) 2015-05-06 2016-02-18 민병직 난시 및 근시용 안경렌즈의 면취기
KR101655720B1 (ko) 2016-02-02 2016-09-07 민병직 일축 면가공기
CN108705403A (zh) * 2018-08-07 2018-10-26 望江县天长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镜片削边装置
CN108705403B (zh) * 2018-08-07 2024-03-22 望江县天长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镜片削边装置
CN115056275A (zh) * 2022-05-31 2022-09-16 广东喜珍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的切片切割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073Y1 (ko) 안경렌즈 가공장치
US5626511A (en) Combination lens edger, polisher, and safety beveler, tool therefor and use thereof
US6428397B1 (en) Wafer edg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US4394099A (en) Plastic lens contour cutting machine
CN201881228U (zh) 多边形晶片磨削机
KR101134738B1 (ko) 보호테이프의 절단방법 및 보호테이프 절단장치
KR200483921Y1 (ko) 경질 취성판의 둘레가장자리 가공장치
US7338350B2 (en) Combination router-end mill cutter tool, edger with combination tool, and method of edging eyeglass lenses
EP1799383B1 (en) Multi-blade router tool, edger with multi-blade router tool, and method of edging eyeglass lenses
KR20130041162A (ko)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의 처리 방법
US20120045975A1 (en) Lens-processing device
CN101437652B (zh) 通过切割将镜片成形的方法
CN107225456B (zh) 一种板材去毛刺打磨装置
EP3135431B1 (en) Lens-centering method for spherical center-type processing machine, lens-processing method, and spherical center-type processing machine
CN210435918U (zh) 一种导光板抛光设备
JP2003001724A (ja) タイヤの機械加工およびバリ取りを行なう機械
CN210632998U (zh) 用于光学镜片的固定装置及铣削系统
KR100747752B1 (ko) 드릴비트용 연삭시스템
CN2688445Y (zh) 自动瓷管磨机
KR200300240Y1 (ko) 정밀 구심연마장치
CN116141128B (zh) 一种附带面层清洁机构的压铸件去毛刺装置
CN213532604U (zh) 边料去除单元及具备边料去除单元的划线装置
CN216608382U (zh) 光学元件边缘圆角加工装置
KR100610407B1 (ko) 렌즈 연마기
CN217254383U (zh) 磨边倒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