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25B1 -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25B1
KR100903325B1 KR1020070106633A KR20070106633A KR100903325B1 KR 100903325 B1 KR100903325 B1 KR 100903325B1 KR 1020070106633 A KR1020070106633 A KR 1020070106633A KR 20070106633 A KR20070106633 A KR 20070106633A KR 100903325 B1 KR100903325 B1 KR 10090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automatic transmission
oil
oil supply
shaf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102A (ko
Inventor
김요한
박종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공급홀에 노즐을 설치하여 출력축 내부에 오일을 직접 공급하고, 상기 출력축의 양측부에 다공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출력축을 변속기 케이스와 토크 컨버터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양측 테이퍼 롤러 베어링에 균등한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양측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균등한 윤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윤활장치를 제공한다.
자동변속기, 유성기어장치, 출력축, 테이퍼 롤러 베어링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OUTPUT SHAFT BEARING LUBRICATION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을 변속기 케이스와 토크 컨버터 하우징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양측 테이퍼 롤러 베어링에 균등한 윤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변속기는 엔진과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기어비를 선택하여 알맞은 변속 주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장치로서, 특히, 자동변속기는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 입력축에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시키는 유성기어장치와 상기 유성기어장치에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로 구성된다.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변속 시, 유성기어열의 해당 요소를 입력요소와 반력요소 및 출력요소로 각각 활용하여 차량을 구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출력요소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은 입력축 상에 구비된 트랜스퍼 드라이 브 기어로 전달되고, 이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로 전달된 구동력은 다시 출력축 상에 구비된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로 전달되며, 이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로 전달된 구동력은 차동장치로 전달되고, 이 차동장치로 전달된 구동력은 최종적으로 설정된 종감속비로 감속된 다음에 구동축을 통해 차륜으로 전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부분의 단면도로서, 상기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01)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103)에 스플라인 이음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출력축(103)은 전단이 토크 컨버터 하우징(105)에 설치되고, 후단이 변속기 케이스(107)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출력축(103)의 전,후단과 토크 컨버터 하우징(105) 및 변속기 케이스(107) 사이에는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09)(111)가 각각 개재된다.
상기에서,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09)(111)의 윤활은 미도시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토크 컨버터 하우징(105)의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 공급홀(113)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출력축(103)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통로(115)로 공급되고, 이 오일통로(115)로 공급된 오일이 상기 출력축(103)의 전단과 토크 컨버터 하우징(105) 사이 및 상기 출력축(103) 후단과 변속기 케이스(107) 사이의 갭을 통하여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09)(111)에 각각 공급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력축 베어링의 윤활은 상기 오일 공급홀(113)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이 오일 공급홀(113)에 인접한 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09)에는 원활하게 공급되나, 상기 오일 공급홀(113)과 멀리 떨어진 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11)측에는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11)의 윤활은 다소 미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09)에 비하여 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11)의 윤활이 어려워 상기 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111)만 마모되는 편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 베어링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 컨버터 하우징에 형성된 오일 공급홀 상에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로 배치되는 노즐관을 설치하고,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전후방에는 각각 오일 공급판을 구성하여 상기 오일 공급홀로부터 노즐관을 통하여 오일통로로 공급되는 오일이 상기 양측 오일 공급판에 의해 균등한 압력으로 양측 테이퍼 롤러 베어링에 공급되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일 공급판에 형성되는 공급홈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정하여 각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윤활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의 양단을 변속기 케이스와 토크 컨버터 하우징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윤활을 위한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버터 하우징에 형성된 오일 공급홀 상에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노즐관;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성되고, 오일이 이동되는 다수개의 공급홈이 형성되는 전, 후방 오일 공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관은 그 선단이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오일 공급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오일 공급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관에 끼워져 설치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공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후방 오일 공급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공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정각도는 90°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의하면, 자동변속기의 출력축을 변속기 케이스와 토크 컨버터 하우징 사이에서 회 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양측 테이퍼 롤러 베어링에 윤활용 오일의 공급압이 낮아도 한쪽 베어링에 치우치지 않고, 양측에 균등한 윤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출력축 양측에 설치되는 오일 공급판의 공급홈의 크기 또는 개수 조정을 통하여 윤활이 취약한 베어링 측에 윤활 유량을 증대시켜 윤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적용되는 전,후방 오일 공급판의 사시도이다.
먼저,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부분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1)가 자동변속기의 출력축(3)에 스플라인 이음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출력축(3)은 전단이 토크 컨버터 하우징(5)에 설치되고, 후단이 변속기 케이스(7)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출력축(3)의 전,후단과 토크 컨버터 하우징(5) 및 변속기 케이스(7) 사이에는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9)(11)가 각각 개재되어 상기 출력축(3)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변속기에서 상기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 링(9)(11)의 윤활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토크 컨버터 하우징(5)에 형성된 오일 공급홀(미도시) 상에 상기 출력축(3)의 오일통로(13) 내부로 노즐관(15)이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3)의 오일통로(13) 내부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오일 공급판(17)(19)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관(15)은 그 선단이 상기 출력축(3)의 오일통로(13) 내부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오일 공급판(17)(19)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방 오일 공급판(17)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3)의 오일통로(13) 내부 끼워져 설치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 관통홀(21)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관(15)에 끼워져 설치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각도로 4개의 공급홈(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오일 공급판(19)은 상기 출력축(3)의 오일통로(13)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각도로 4개의 공급홈(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는 90°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를 적용하면, 상기 토크 컨버터 하우징(5)의 오일 공급홀에서 공급되는 오일이 상기 노즐관(15)을 통하여 상기 출력축(3)의 오일통로(13) 내부로 직접 공급된 후, 상기 전방 및 후방 오일 공급판(17)(19)의 각 공급홈(23)(25)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오일 공급판(17)(19)의 각 공급홈(23)(25)을 통하여 배출된 오일은 상기 출력축(3)의 전단과 토크 컨버터 하우징(5) 사이 및 상기 출력축(3) 후단과 변속기 케이스(7) 사이의 갭을 통하여 상기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9)(11)에 각각 공급되어 상기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9)(11)에 균등한 윤활이 가능해 지고, 이로 인해, 베어링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 및 후방 오일 공급판(17)(19)의 각 공급홈(23)(25)의 크기 또는 개수 조정을 통하여 윤활이 취약한 베어링 측에 윤활 유량을 증대시켜 윤활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적용되는 전,후방 오일 공급판의 사시도이다.

Claims (5)

  1. 자동변속기의 출력축의 양단을 변속기 케이스와 토크 컨버터 하우징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전,후방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윤활을 위한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버터 하우징에 형성된 오일 공급홀 상에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노즐관;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성되고, 오일이 이동되는 다수개의 공급홈이 형성되는 전, 후방 오일 공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관은 그 선단이 상기 출력축의 오일통로 내부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오일 공급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오일 공급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관에 끼워 져 설치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공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오일 공급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공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각도는
    90°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KR1020070106633A 2007-10-23 2007-10-23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KR10090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633A KR100903325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633A KR100903325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02A KR20090041102A (ko) 2009-04-28
KR100903325B1 true KR100903325B1 (ko) 2009-06-16

Family

ID=4076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633A KR100903325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8927A (ja) * 2014-03-10 2017-03-30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流れ制限プラグ及びそれを有する差動機駆動ピニオ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754A (ja) * 2012-03-29 2013-10-07 Aisin Aw Co Ltd 動力伝達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861U (ja) * 1983-09-30 1985-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出力軸のベアリング潤滑機構
JPH03157553A (ja) * 1989-11-15 1991-07-05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回転部材の軸受潤滑構造
JP2000240773A (ja) * 1999-02-22 2000-09-05 Honda Motor Co Ltd 変速機の潤滑油供給構造
KR20030030464A (ko) *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861U (ja) * 1983-09-30 1985-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出力軸のベアリング潤滑機構
JPH03157553A (ja) * 1989-11-15 1991-07-05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回転部材の軸受潤滑構造
JP2000240773A (ja) * 1999-02-22 2000-09-05 Honda Motor Co Ltd 変速機の潤滑油供給構造
KR20030030464A (ko) *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8927A (ja) * 2014-03-10 2017-03-30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流れ制限プラグ及びそれを有する差動機駆動ピニオ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02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0980B2 (en) Transmission
JP5873441B2 (ja) クラッチによって連結されるフライホイール式変速機
KR101306482B1 (ko) 기어의 윤활 구조
JP2003120795A (ja) 自動変速機の潤滑装置
US7810404B2 (en) Synchronizing mechanism and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CN106801739B (zh) 手动变速器供油器
JP2016090048A (ja) 変速機のブレーキ装置
US20110281680A1 (en) Final Drive Comprising A Lubrication System
JP5048291B2 (ja) 自動変速機用潤滑油路システム
KR100903325B1 (ko)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베어링 윤활장치
DE102011086376B4 (de) Ölzufuhrvorrichtung für eine Lamellenbremse
JP2008157266A (ja) 車両用駆動装置の潤滑構造
JP5038208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潤滑構造
KR101244341B1 (ko) 자동 변속기 클러치용 클러치 플레이트
JP4205027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潤滑装置
JP4765933B2 (ja) 潤滑油供給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自動変速機
KR100360651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KR100774406B1 (ko) 수동변속기의 베어링 윤활을 위한 스페이서 구조
KR101957602B1 (ko) 트윈 클러치 시스템의 윤활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트윈 클러치 시스템
KR101631770B1 (ko) 4륜 구동차량의 드래그 토크 저감장치
KR101641000B1 (ko) 변속기 유닛의 베어링 윤활 장치
KR100692740B1 (ko) 수동 변속기의 오일 가이드 구조
KR100376428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KR100428113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100811713B1 (ko) 자동변속기 오일 가이드 및 스러스트 와셔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