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681B1 -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 Google Patents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681B1
KR100902681B1 KR1020070063335A KR20070063335A KR100902681B1 KR 100902681 B1 KR100902681 B1 KR 100902681B1 KR 1020070063335 A KR1020070063335 A KR 1020070063335A KR 20070063335 A KR20070063335 A KR 20070063335A KR 100902681 B1 KR100902681 B1 KR 10090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red
grape
white wine
gra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099A (ko
Inventor
함영태
김정인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681B1/ko
Publication of KR2008011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C12G1/02Preparation of must from grapes; Must treatment and fermentation
    • C12G1/04Sulfiting the must; Desulfi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ㆍ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에 관한 것으로, 과즙을 과육 및 과피와 따로 분리하는 공정을 통해 과육이 많고 과피가 얇으며 색소가 적어서 포도주의 색깔이 엷은 문제점을 해결한 적포도주와, 씨가 적어 떫은 맛이 덜하고 단맛이 강하며 과육이 풍부하여 즙이 많은 거봉포도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한 백포도주를 한 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a)거봉포도송이를 물로 세척한 후 제경파쇄기를 이용하여 거봉포도의 줄기를 제거하고 거봉포도알의 과육 및 과피를 파쇄하는 단계와;
(b)상기 제경파쇄기로부터 파쇄된 과육 및 과피를 과즙과 분리하여 각각 용기에 담는 단계와;
(c)상기 용기에 채워진 과육 및 과피 그리고 과즙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d)상기 과즙이 제거된 과육과 과피를 적포도주 발효조에 담는 단계와;
(e)상기 분리된 과즙을 백포도주 발효조에 담는 단계와;
(f)상기 적포도주 발효조와 백포도주 발효조를 일정 온도에서 숙성하여 적포도주와 백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봉포도(Vitis L.), 제경파쇄기, 과피, 과육, 과즙, 적포도주, 백포도주

Description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METHOD OF SIMULTANEOUSLY MANUFACTURING RED WINE AND WHITE WINE USING GEUBONG GRAPE, AND RED WINE AND WHITE WINE MANUFACTUR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공정 중 거봉포도의 과육과 과피, 과즙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를 이화학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과 4℃에서의 숙성을 거친 적, 백포도주를 이화학 분석 한 결과를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과 2에 따른 숙성 온도에 의한 포도주를 맛과 향 및 색을 기준으로 하여 블라인드 시험(Blind Test)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및 도 7은 디지털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UltrascanPRO, HunterLab, D65, USA)를 나타내는 도표
본 발명은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ㆍ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포도주의 주재료인 거봉포도의 과피와 과육, 백포도주의 주재료인 과즙을 동시에 분리하는 공정을 통하여 적, 백 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에 관한 것이다.
포도의 표면에는 포도주 효모가 분포하므로 포도즙을 그대로 자연 발효시켜도 포도주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포도주는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되고 원료는 완전히 살균되지 않으므로 아황산내성이 있는 야생효모에 의해서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 즉, 포도의 표면에는 야생포도주 효모 뿐 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효모, 젖산균, 초산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들이 많고 이런 유해한 미생물들에 의해서 포도주 발효과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깨끗이 씻은 후 으깨서 포도껍질을 제거한 포도액(must)에 아황산을 가하여 이런 유해균을 증식억제 내지 살균하고 따로 좋은 포도주 발효균를 첨가하여 발효하게 된다.
일반적인 포도주의 발효의 경우, 적당한 양의 아황산이 첨가된 후 포도주 발효균를 첨가하여 발효가 시작되면 처음에 존재하던 포도주 발효균이 소멸되고 첨가된 포도주 발효균이 증식하게 된다. 산화반응에 해당하는 발효작용에는 열이 발생 하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조절해 주어야 한다.
한편, 알코올을 식초로 만들어 신맛이 나게 하는 초산균인 아세토박터가 활동하지 못하도록 산소의 유입도 막아야 하며, 효모에 의한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들 효모가 좋아하는 산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주어야 한다.
발효가 충분히 진행되어 알코올의 농도가 7∼15% 정도가 되면, 벤토나이트와 같은 화합물을 넣어 부유물을 걸러낸다. 이를 앙금분리(racking)과정이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포도주를 유리병에 담아 코르크 마개로 막은 후 어둡고 온도가 적당히 조절된 창고에서 숙성시킨다. 숙성과정에서 포도주에 남아있는 화합물들의 복잡한 반응에 의해서 맛과 향이 더해진다.
거봉포도는 1937년 일본에서 오오이(大井上)씨가 켐벨얼리(Campbell’s Early) 라는 포도의 4배체 품종인 석원조생(石原早生)에 구주계 4배체 품종인 센테니얼(Centenial)이라는 포도를 교배하여 육성한 4배체 변이 품종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안성 지방이 거봉포도의 주산지로 되어 있다. 4배체란 화학적 처리를 하여 일반 생물의 염색체를 두 배로 늘린 것을 말한다. 즉, 자연산 포도에는 38개(진정포도 아속), 혹은 40개(머스카디니아 아속)의 염색체가 있지만 4배체 포도에는 염색체가 76개, 혹은 80개가 있다. 이러한 4배채 식물의 특징은 열매와 이파리, 줄기 등이 정상적인 2배채 식물보다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거봉포도는 과육이 많고 과피가 얇으며 색소가 적어서 적포도주의 색을 내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적포도주와 백포도주의 제조과정의 일반적 차이점이, 백포도주의 경우에는 과피와 과육를 분리한 다음 과육만을 압착하여 과즙을 만들고, 적포도 주의 경우에는 과육, 과피, 과즙, 씨를 모두 탱크에 넣어 전발효시킨 후 포도껍질과 알맹이를 압착하여 과즙을 만든다는 데에서 알 수 있다.
또한, 백포도주는 주로 청포도라고 불리는 포도를 이용하여 만드는데 거봉포도의 경우 다른 포도품종에 비하여 떫은 맛이 덜하여 백포도주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백포도주의 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박목원 등, 2002)에서는, 국외에서 생산된 포도주와 비교할 때 국내에서 생식용 포도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캠벨얼리(Campbell's Early)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거봉포도 또한 생식용 포도로 많이 재배되고 있으나 적포도주에 알맞은 색이 생성되지 않아 그 제조가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선행기술을 조사해 본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2002-00876010호는, 포도에 일정량의 백설탕을 첨가하고 형식화된 방법으로 포도주를 만들어 인체에 유익한 포도주 보급을 목적으로 한 포도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거봉포도에 적합한 포도주 제조방법은 아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57707-0000호는 발효 및 숙성된 거봉포도원액을 증류한 후 증류된 포도주를 다시 숙성시키고 냉장하여 제조하는 증류식 포도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위에서 설명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시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거봉포도를 이용하여 적, 백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거봉포도의 특성상 과피가 얇고 과육이 많아,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시 백포도주는 향기가 부족하고 적포도주는 색깔이 엷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공장에서 적, 백포도주의 대량동시생산이 가능하도록 제조공정 방법을 제시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 포도주 동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포도주 제조공정과정 중 과피, 과육, 과즙 분리공정을 개발함으로써, 거봉포도의 특성상 과피가 얇고 색소가 적어 포도주로 생산을 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여 거봉포도로는 생산하지 못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 포도주 동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ㆍ백포도주 동시 제조방법은, (a)거봉포도송이를 물로 세척한 후 제경파쇄기를 이용하여 거봉포도의 줄기를 제거하고 거봉포도알의 과육 및 과피를 파쇄하는 단계와; (b)상기 제경 파쇄기로부터 파쇄된 과육 및 과피를 과즙과 분리하여 각각 용기에 담는 단계와; (c)상기 용기에 채워진 과육 및 과피 그리고 과즙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d)상기 과즙이 제거된 과육과 과피를 적포도주 발효조에 담는 단계와; (e)상기 분리된 과즙을 백포도주 발효조에 담는 단계와; (f)상기 적포도주 발효조와 백포도주 발효조를 일정 온도에서 숙성하여 적포도주와 백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와 (e)단계 후 당도가 28°Brix가 되도록 포도당을 각각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와 (e)단계 후 아황산 농도가 50ppm이 되도록 메타중아황산칼륨(K2S2O5)를 각각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와 (e)단계 후, (e1)상기 제 2항의 포도당 첨가 단계와; (e2)상기 제 3항의 메타중아황산칼륨(K2S2O2) 첨가 단계와; (e3)상기 (e2)단계 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는 단계와; (e4)상기 (e3)단계 후, 발효균주를 첨가하는 단계; 및 (e5)상기 (e4)단계 후, 실온에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포도주는,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는,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과즙이 따로 분리됨으로써 과육이 많고 과피가 얇으며 색소가 적어서 포도주의 색깔이 엷은 문제점이 해결된 적포도주와, 씨가 적어 떫은 맛이 덜하고 단맛이 강하며 과육이 풍부하여 즙이 많은 거봉포도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한 백포도주를 한 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공정 중 거봉포도의 과육과 과피, 과즙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거봉포도를 물로 세척한다(단계 S10). 그 다음, 제경파쇄기를 이용하여 거봉포도의 줄기를 제거하고 포도알 즉, 과육과 과피를 적당히 파쇄한다(단계 S20). 파쇄물을 받는 용기에 적포도주의 주재료가 되는 과육과 과피를 받아내고 과즙은 따로 분리되도록 한다(단계 S30).
그 다음, 상기 용기에 파쇄물 즉, 과육과 과피만이 가득 채워지면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것을 적포도주 발효조에 담는다(단계 S40). 상기 분리된 과즙의 무게를 측정하고 백포도주 발효통에 담는다(단계 S50). 그 다음, 원하는 당도를 맞추기 위하여 각각의 발효통에 포도당을 첨가한다(단계 S60).
그 다음, 메타중아황산칼륨(K2S2O5)를 첨가하여 일정한 아황산 농도를 맞추고(단계 S70), 약 1시간 정도 실온에 방치하고 나서(단계 S80) 포도주 발효균주를 첨가한다(단계 S90).
그 다음, 실온에서 발효시킨다(단계 S100). 발효 완료 후, 벤토나이트를 첨가하여 1차 앙금분리(racking)과정(단계 S110) 이후, 2차 앙금분리(racking)과정(단계 S120)을 거친다. 3주 정도 지나서 여과공정을 통해 병입한다(단계 S130).
그 다음, 일정 온도에서 숙성과정을 거치고 나면(단계 S140) 이화학 성분 분석을 한다.
<실시 예1>
실험에 사용한 포도는 경기도 안성시에서 수확한 거봉포도(Geubong)이다. 그리고, 포도주 발효를 위하여 첨가된 당은 포도당(무 함수 정제 포도당, 큐원)이다.
거봉포도 1140킬로그램을 깨끗한 수돗물로 2차례 세척하였다. 제경파쇄기의 파쇄물 출구부분에서 파쇄된 포도알이 분리되어 나올 때 파쇄물을 담을 용기를 출구에 정확하게 부착하였다. 이 때 사용하는 용기는, 도면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쇄물에 함께 담아지는 과즙이 세어 나올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되어진 바구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즙은 상기 제경파쇄기 출구와 파쇄물이 담긴 상기 용 기에서 빠져나와서 원래 설비된 파쇄물 받이에 수조되도록 준비하였다.
그 다음, 제경파쇄기를 작동시켜 줄기를 제거하고 과육과 과피를 적당히 파쇄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용기에는 적포도주의 주재료가 되는 과육과 과피를 받아내고 과즙은 상기 파쇄물 받이에 분리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보당을 위하여 과피와 과육의 무게를 측정하여 2개의 600리터 발효통(a) 에 담고, 과피와 과육이 제거된 포도즙을 펌프를 이용하여 750L의 발효통(b)에 담았다.
그 다음, 상기 발효조(a)에 포도즙의 당도가 28°Brix(비중:1.117, 당분: 314g/L)가 되도록 포도당을 첨가하였다. 즉, 포도의 당분이 18°Brix(비중:1.072, 당분:195 g/L)이므로 부족한 10°Brix를 채워주기 위해 1리터당 119그램의 포도당을 더 넣어 주었다.
그 다음, 갈변과 오염 방지를 위하여 1리터의 포도액 당 50밀리그램의 메타중아황산칼륨(K2S2O5)를 첨가하여 아황산 농도가 50ppm이 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였다.
그 다음, 레드 스타(RED STAR)회사의 프리미에르 쿠베(Premier Cuvee)라는 상용화 된 발효균주를 첨가하여 실온(10~20℃)에서 발효시켰다. 이 균주는 사카로미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 로부터 분리된 것으로서 발효시기상 실내 온도와 최저 최고 기온차 등에 의한 발효온도, 시음회를 통한 맛, 색 등을 고려하여 발효균주로서 이용하기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사용하였다.
발효 완료 후, 벤토나이트를 첨가하여 1차로 앙금분리(racking)를 하고 2차로 한 번 더 앙금분리(racking)를 하였다. 이 때, 여과기(SA, BUON VINO T29210)와 여과지(30× 50× 45cm, 공극도(pore size)0.5㎛)를 이용하였다. 3주 정도 지난 후, 여과된 포도주를 750밀리리터의 병에 병입한 후 코르크마개로 막고 수축필름을 씌어 4℃에 보관하였다. 상기 발효조 (a)와 (b)내의 시료의 숙성은 실험실 단위의 4 ℃ 냉장실에서 실시하여 백포도주와 적포도주 각각의 이화학 분석을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를 이화학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과 4℃에서의 숙성을 거친 적, 백포도주를 이화학 분석 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과 2에 의한 숙성 온도에 따른 포도주를 맛과 향 및 색을 기준으로 하여 블라인드 시험(Blind Test)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디지털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UltrascanPRO, HunterLab, D65, USA)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1. 포도주의 당도(°Brix) 및 알코올 함량 측정 및 결과
발효 중 포도주의 당도는 상온에서 핸드 굴절 측정기(hand refractometer)(ATAGO, N-1α,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포도주 100 밀리리터를 1차 증류한 후 증류액을 15℃에서 증류수(dH2O)를 이용하여 100 밀리리터로 양을 조정하고, 주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종래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와 본 발명에 의한 적포도주, 백포도주의 당도는 각각 8, 8.3, 8.6°Brix를 나타냄으로써 거의 비슷했다. 또한, 알코올 함량이 14, 14, 16을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의 당도와 알코올 함량을 유지하는 적포도주와 백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산도 및 수소이온농도지수(pH) 측정 및 결과
총산도(Total acidity) 측정은 주석산(tartaric acid) 비교 양으로 측정하였다. 10밀리리터의 시료에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용액(1% in methanol)을 5방울 첨가한 후에 교반기 위에서 뷰렛(burette)를 이용하여 0.1 노르말 농도의 수산화나트륨(0.1N NaOH)수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시료가 분홍색으로의 변색을 15초 정도 유지하도록 하는 수산화나트륨(NaOH)수용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수소이온농도는 측정기(pH meter)(ORION, 420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종래의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와 본 발명에 의한 적포도주, 백포도주의 산도가 각각 5, 5, 5.5로 나타남으로써, 종래의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가 갖는 산도를 유지하면서 적포도주와 백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효율성을 확인하 였다.
3. 색도 측정
종래의 거봉을 이용한 포도주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발효 완료된 적, 백포도주의 색도 즉, 밝기 L*(lightness), 적도 a*(redness), 황도 b*(yellowness) 를 디지털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UltrascanPRO, HunterLab, D65, USA)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평균을 내었고 그 결과는 도 3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종래의 거봉을 이용한 포도주의 경우, 밝기 L*(명도)는 일반 백포도주에 가깝지만 약간의 적색 a*(redness)과 강한 노란색 b*(yellowness)을 띄어 탁한 느낌의 로제 포도주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적포도주의 적도 a*(redness)는 46.44로써, 종래의 거봉을 이용한 포도주의 a*(redness) 값 6.53 에 비하여 39.91이나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밝기L*는 86.95에서 44.00로 감소하였으며, 황도 b*(yellowness)는 35.77에서 12.27로 약 3분의 1로 감소함으로써 기존의 거봉을 이용한 포도주에서 나오는 로제 포도주 풍을 해소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백포도주의 a*(redness) 값은 종래의 거봉을 이용한 포도주에 비하여 6.88 만큼 낮은 -0.35 값을 나타냈다. 도 6의 색차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a*(redness) 값이 음의 값을 나타냄은 육안으론 포도주의 붉은빛을 전혀 확인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백포도주의 황도(yellowness)가 6.10으로써 종래의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주(35.77)에 비해 29.67 만큼 감소함으로써 로제 풍이 아닌 백포도주의 맑은 빛깔이 더욱 잘 띄게 되 었다.
<실시 예2>
실시 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숙성 단계를 공장자체 발효 탱크 내에서 4℃ 내지 10℃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에 의한 숙성 온도에 따라 얻은 각 포도주를 맛과 향 그리고 색을 기준으로 블라인드 시험(Blind Test)을 하였다. 각 시료마다 5가지 사항(아주좋다(5점), 좋다(3점), 보통이다(0), 나쁘다(-3점), 아주 나쁘다(-5점))을 선택하여 이를 합산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난 그래프와 같다. 결과를 보면 고정 온도 4℃에서 숙성 보관하였을 경우 맛과 향 그리고 색이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국내의 포도주 선호도에 있어서 시고 떫은맛이 강한 것보다는 비교적 시고 떫은 맛이 덜하며 부드럽고 단맛이 강한 포도주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씨가 적어 떫은맛이 덜하고 다른 품종보다 비교적 단맛이 강하며 과육이 풍부하여 즙이 많은 안성 거봉포도 품종을 이용한 백포도주의 제조 가능성과, 즙이 줄어든 과피와 과육을 이용하여 과피로부터 추출되어 나오는 색소를 최대한 이용한 적포도주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ㆍ백 포도주 동시 제조방법에 의하면, 거봉포도주 제조시 과즙만을 따로 분리하는 공정을 통하여 과육이 풍부하여 즙이 많아 백포도주 제조에 유리한 거봉포도의 장점을 크게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봉포도의 과육 및 과피만을 따로 분리하는 공정을 통해 과피의 색소를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과피가 얇아 적포도주 제조가 불리한 거봉포도를 가지고도 적포도주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백포도주와 적포도주 제조에 필요한 주재료들의 분리공정을 동시에 함으로써 원재료인 거봉포도를 최대한 이용하고 효율적인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봉포도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한 최적의 포도주를 생산함으로써 외국산 포도 및 포도주 수입의 대체와 더불어 한국산 토종 고급 포도주의 수출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효과와 더불어 최근 WTO/DDA 협상이나 FTA 협정 체결로 위기감을 느끼는 포도 생산 농가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의욕을 주면서 포도 생산 농가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외국 포도산업과 당당한 경쟁력을 갖추고 해외 수출을 확대하여 개방화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 포도주 동시 제조방법에 있어서,
    (a)거봉포도송이를 물로 세척한 후 제경파쇄기를 이용하여 거봉포도의 줄기를 제거하고 거봉포도알의 과육 및 과피를 파쇄하는 단계와;
    (b)상기 제경파쇄기로부터 파쇄된 과육 및 과피를 과즙과 분리하여 각각 용기에 담는 단계와;
    (c)상기 용기에 채워진 과육 및 과피 그리고 과즙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d)상기 과즙이 제거된 과육과 과피를 적포도주 발효조에 담는 단계와;
    (e)상기 분리된 과즙을 백포도주 발효조에 담는 단계와;
    (f)상기 각각의 발효조에 포도당을 첨가하는 단계와;
    (g)상기 각각의 발효조에 메타중아황산칼륨(K2S2O2)을 첨가하는 단계와;
    (h)이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는 단계와;
    (i)상기 각각의 발효조에 발효균주를 첨가하는 단계와;
    (j)실온에서 발효시키는 단계; 및
    (k)상기 적포도주 발효조와 백포도주 발효조를 일정 온도에서 숙성하여 적포도주와 백포도주를 동시에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 동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당도가 28°Brix가 되도록 포도당을 각각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 백포도주 동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아황산 농도가 50ppm이 되도록 메타중아황산칼륨(K2S2O2)를 각각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ㆍ백포도주 동시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포도주.
  6.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봉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
KR1020070063335A 2007-06-26 2007-06-26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KR10090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35A KR100902681B1 (ko) 2007-06-26 2007-06-26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35A KR100902681B1 (ko) 2007-06-26 2007-06-26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099A KR20080114099A (ko) 2008-12-31
KR100902681B1 true KR100902681B1 (ko) 2009-06-15

Family

ID=4037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35A KR100902681B1 (ko) 2007-06-26 2007-06-26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023B1 (ko) 2013-04-30 2013-07-04 영동군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의 색도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 양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62A (ko) * 2001-11-21 2002-01-10 유황렬 거봉 포도를 이용한 증류식 포도주의 제조방법
JP2005110556A (ja) 2003-10-07 2005-04-28 Suntory Ltd 濃縮ブドウ果汁およびブドウ酒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62A (ko) * 2001-11-21 2002-01-10 유황렬 거봉 포도를 이용한 증류식 포도주의 제조방법
JP2005110556A (ja) 2003-10-07 2005-04-28 Suntory Ltd 濃縮ブドウ果汁およびブドウ酒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023B1 (ko) 2013-04-30 2013-07-04 영동군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의 색도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 양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099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5498B (zh) 一种脱涩柿子酒的生产方法
JP4975484B2 (ja) トマト果汁含有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349443B (zh) 一株酿酒酵母菌株及其制备杨梅果酒的方法
CN101602990A (zh) 原浆樱桃酒的酿造方法
CN110872549B (zh) 一种发酵型桑葚果酒的制备方法
CN105695226A (zh) 一种紫心火龙果发酵酒的酿造方法
CN108251251A (zh) 一种猕猴桃酒及其生产工艺
KR20140089163A (ko) 고로쇠 수액 및 꽃잎을 포함하는 전통주 제조 방법
CN107858244A (zh) 一种紫薯发酵酒及其制备方法
CN107304395A (zh) 一种蓝莓果酒的二次发酵工艺
CN103305388A (zh) 一种高度香蕉果酒及其酿造方法
CN102604776A (zh) 一种黑莓保健果酒的酿造方法
CN109913329A (zh) 一种葡萄白兰地的酿造工艺
KR100874717B1 (ko) 혼합 과실 캠벨 포도주
JP2008194040A (ja) 山参培養根を利用した酒類の製造方法
KR100902681B1 (ko) 거봉포도를 이용한 적,백포도주의 동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 백포도주
CN103571697A (zh) 一种月柿酒的酿造方法
CN107523455A (zh) 一种类冰葡萄酒的制备方法
KR100526393B1 (ko) 감 과실주의 제조방법
CN113583776A (zh) 一种威士忌梅酒的生产工艺方法
Dimero et al. Processing and development of dragon fruit wine
KR100361647B1 (ko) 저급딸기를 이용한 딸기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5746B1 (ko) 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 방법
CN108949401A (zh) 一种葡萄酒的制备方法
CN111961554A (zh) 一种加强型柿子露酒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