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12B1 -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312B1
KR100899312B1 KR1020070047463A KR20070047463A KR100899312B1 KR 100899312 B1 KR100899312 B1 KR 100899312B1 KR 1020070047463 A KR1020070047463 A KR 1020070047463A KR 20070047463 A KR20070047463 A KR 20070047463A KR 100899312 B1 KR100899312 B1 KR 10089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contact
push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003A (ko
Inventor
신이치 미조부치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2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과제
회전형 전기 부품측의 단자 및 푸시 스위치측의 단자의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높이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양호한 표면 실장을 실현하는 것.
해결 수단
하측에 배치되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는 그 돌출부 (65a, 65b) 를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절취부 (56a, 56b) 를 통하여 케이스용 기준판 (22) 에 닿게 하여 인쇄 회로 기판면에 대한 높이를 설정하는 한편, 상측에 배치되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는 일체화된 단자 취출부 (58) 를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측면을 통하여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하면 위치까지 연장함과 함께 돌출부 (54a, 54b) 를 케이스용 기준판 (22) 에 닿게 하여 인쇄 회로 기판면에 대한 높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로써,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단자 (68a, 68b) 의 높이 정밀도가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높이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ROTARY TYPE ELECTRIC COMPONENT ATTACHED WITH PUSH SWITCH}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베어링 부재를 인코더 접점 케이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를 푸시 접점 케이스측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푸시 접점 케이스를 인코더 접점 케이스와는 반대측의 후방측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장착판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하면도이다.
도 7 은 조작축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도 6 에 있어서의 A-A 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8 은 인코더 접점 케이스와 푸시 접점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 6 에 있어서의 B-B 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축 1a : 장착부
1b : 베어링부 1c : 삽입 단부
1d : 단차부 2 : 베어링 부재
3 : 가압 부재 4 : 회전 부재
5 : 슬라이딩 이동 부재 (슬라이딩 이동 접점)
6 : 판 스프링 6c : 볼록부
7 : 축 정지
8 : 인코더 접점 케이스 (제 1 케이스)
10 : 푸시 접점 케이스 (제 2 케이스)
9a, 9b : 가동 접점 11 : 장착판
21 : 원통 베어링부 22 : 케이스용 기준판
22a∼22d : 오목부 23 : 관통공
24 : 내벽 25 : 원형 오목부
26, 27 :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28a, 28b : 스프링 고정용 볼록부
31 : 돌출부 32a, 32b : 볼록 형상체
33 : 구멍 34 : 관통공
35 : 원통부 36 : 요철부
37 : 클릭 걸어맞춤부
38 : 외주벽 39 : 스페이스
41 : 슬라이딩 이동자 51 : 관통공
52 : 원환 형상 저부
53 : 내벽 54a, 54b : 돌출부
55a, 55 : 구멍 56a, 56b : 절취부 (회피부)
57a, 57b :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58 : 단자 취출부 (단자 도출부)
58a : 단면 59 : 도전 패턴
59a∼59c : 단자 (제 1 단자)
61 : 원형 오목부 62, 63 : 고정 접점
64a, 64b : 구멍 65a, 65b : 돌출부
66a, 66b : 구멍 67 : 단자 취출부
67a : 단면 68a, 68b : 단자 (제 2 단자)
71a∼71d : 장착편 (돌기)
72 : 원형 개구부 73a∼73d : 장착 레그부
74a, 74b : 보강 부재 81a∼81d : 오목부
본 발명은,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 동작에 의해 푸시 스위치로서 기능함과 함께 조작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펄스 스위치 또는 가변 저항기로서 기능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가지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6855호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6855호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기체 (300) 에 형성된 원통형의 수납 공간에 회전체 (310) 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장착 기체 (300) 의 수납 공간의 저부 (300a) 에 형성된 원형 개구부 (301) 에 회전체 (310) 의 통상부 (311) 의 선단부를 삽입함과 함께, 통상부 (311) 의 중간부 외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양부 (312) 를 장착 기체 (300) 의 저부 (300a) 에 걸어맞춘다. 장착 기체 (300) 의 수납 공간의 상면 개구를 막도록 링 형상의 판 스프링 (320) 을 배치하고, 또한 판 스프링 (320) 의 상면에 전면(前面)판 (330) 의 선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331) 를 배치하여, 판 스프링 (320) 및 플랜지부 (331) 를 장착 기체 (300) 에 고정시키고 있다. 한편, 전면판 (330) 의 베어링부 (332) 에 베어링되는 조작축 (340) 은, 그 삽입 단부에 분할 홈 (341) 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성이 있는 한 쌍의 장착 다리 (3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다리 (342) 를 회전체 (310) 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 (313) 에 삽입하여 스냅 정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 (340) 을 장착 기체 (300) 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축선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장착 기체 (300) 의 후면에 고정 접점 케이스 (350) 가 장착된다.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장착면 측에 형성한 오목부에 고정 접점 (351, 352) 을 형성하고, 고정 접점 (351, 352) 의 상측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형의 금속판인 가동 접점 (353) 을 배치하고 있다. 가동 접점 (353) 은, 조작축 (340) 측에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측으로부터 조작축 (340) 의 원주 형상의 가압단 (343) 이 맞닿아 있다.
여기에서, 장착 기체 (300) 의 저부 (300a) 에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도전판 (302) 이 매설되어 있다. 도전판 (302) 의 일부는 저부 (300a) 의 상면에 노출되고, 또 일부 (303) 는 측벽 (300b)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당해 돌출된 부분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부 단자 (303) 로 하고 있다. 한편, 회전체 (310) 의 차양부 (312) 의 후면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이동자 (314) 가 장착된다. 슬라이딩 이동자 (314) 는 저부 (300a) 의 상면에 노출된 도전판 (302) 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펄스 신호 또는 가변 저항 검출 신호를 단자 (303) 로부터 취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에 매설된 도전체 (354) 를 고정 접점 (352) 에 도통 접속시키고 있다. 도전체 (354) 의 일부는 측벽 (350a)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당해 돌출된 부분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부 단자 (355) 로 하고 있다. 조작축 (340) 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단 (343) 이 가동 접점 (353) 을 누르고, 가동 접점 (353) 이 고정 접점 (351) 측으로 이동한다. 가동 접점 (353) 이 고정 접점 (351) 과 접촉하면, 고정 접점 (351 과 352) 이 도통하여 외부 단자 (355) 로부터 온 신호가 들어온다. 조작축 (340) 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 (353) 의 스프링성에 의해 조작축 (340) 이 되밀려 고정 접점 (351 과 352) 이 비도통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할 때에는, 외부 단자 (303 및 355) 를 인쇄 회로 기판측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하여, 인쇄 회로 기판 이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단자 선단부를 납땜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서 표면 실장하고자 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표면 실장하기 위해서는, 장착 기체 (300) 측의 외부 단자 (303) 를 기판 설치 위치가 되는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하면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곡하여 표면 실장 가능한 형상으로 하고, 동일하게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외부 단자 (355) 를 기판 장착 위치가 되는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하면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곡하여 표면 실장 가능한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하면 위치에서 표면 실장 가능한 형상으로 한 외부 단자 (303) 및 외부 단자 (355) 를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외부 단자 (303 및 355) 의 높이 치수가 어긋나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평탄성이 악화되면, 조작축이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지 않게 되는 등의 표면 실장시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외부 단자 (355) 는 장착 기체 (300) 의 후면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외부 단자 (355) 에 대해 서는 장착 기체 (300) 와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2 부품의 치수 오차를 포함한 형태로 치수가 확정되고 있고, 고정 접점 케이스 (350) 의 외부 단자 (355) 에 대해서는 충분한 높이 정밀도가 실현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회전 전기 부품측의 단자 및 푸시 스위치측의 단자의 높이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고, 양호한 표면 실장을 실현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은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을 회전 및 가압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조작축에 대하여 동축 형상으로 걸어맞춘 회전 부재와, 상기 조작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이동 접점과, 상기 슬라이딩 이동 접점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도전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접점이 배치되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수납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후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축의 가압 조작으로 가압되는 가동 접점 및 그 가동 접점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제 2 케이스와, 상기 도전 패턴과 도통함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스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표면 실장 위치로 도출된 표면 실장용 제 1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과 도통함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스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와는 상기 조작축 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표면 실장 위치로 도출된 표면 실장용 제 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제 1 단자 도출측에 있어서 그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와 맞닿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제 2 단자 도출측에 있어서 그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스는 제 1 단자 도출측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소정 면과 맞닿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제 2 단자 도출측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소정 면과 맞닿기 때문에, 제 1 케이스와 제 1 단자로 이루어지는 높이 방향의 치수와, 제 2 케이스와 제 2 단자로 이루어지는 높이 방향의 치수를 동일한 치수로 설정하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는 동일 부재인 베어링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1 부품으로 치수를 확정할 수 있어 단자의 높이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2 단자 도출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부재측으로 연장하여 당해 베어링 부재에 맞닿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1 단자 도출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1 단자를 표면 실장 위치까지 유도하는 단자 도출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조작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단자 도출측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상기 돌출부와의 간섭을 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케이스의 제 2 단자 도출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로부터 베어링 부재측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제 1 케이스의 회피부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베어링 부재에 맞닿아 치수 확정이 실시되는 한편, 제 1 케이스의 제 1 단자 도출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단자 도출부에서 제 1 단자가 표면 실장 위치까지 유도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베어링 부재를 기준으로 한 치수 수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단자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 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2 단자의 양측에서 위치 결정되므로, 제 2 단자의 높이 정밀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를 사이에 두는 장착 레그부를 갖는 장착판을 구비하고,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대향하는 전면과는 반대측의 후면으로서 상기 장착 레그부의 절곡된 위치에 상당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레그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의 후면 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오목부 내에 접어 끼워지고, 절곡된 상기 장착 레그부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보다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단자의 부상을 장착판이 억제할 수 있고, 각 부재를 확실하게 사이에 두어 고정시키므로, 부재 간의 덜컥거림을 없애고, 단자의 높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위치 결정용 돌기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보다 제 2 케이스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서 용이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음과 함께 보강 부재에 의한 장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가 각각 맞닿는 부분에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평탄면이 형성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각의 케이스의 일부를 평탄면에서 받음으로써 베어링 부재를 기준으로 한 치수 확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자 및 푸시 스위치의 단자의 높이 치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양호한 표면 실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조작축 (축선) 각도의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형 전기 부품으로서 인코더 스위치를 예시하지만, 회전형 전기 부품 중 하나인 가변 저항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조작축 (1) 이 베어링 부재 (2) 에 회전 및 가압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작축 (1) 의 일단부 (베어링 부재 (2) 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측의 단부) 에 가압 부재 (3) 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회전 부재 (4) 의 후면에 링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이동 접점인 슬라이딩 이동 부재 (5) 가 고정되고, 당해 회전 부재 (4) 가 가압 부재 (3) 의 외주부에 대해서 축선 (S)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지만 축선 (S) 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은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축 (1) 의 축선 (S) 을 회전 축선 (회전 중심축) 으로 한 회전 동작에 대해서 회전 부재 (4) 가 일체로서 회전하는 한편, 조작축 (1) 의 축선 (S)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는 조작축 (1) 및 가압 부재 (3) 가 회전 부재 (4) 에 대해서 축선 (S)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 (2) 의 하면에는 링 형상의 판 스프링 (6) 이 고정되어 있고, 회전 부재 (4) 의 후술하는 요철부와 대향 배치되고 있다. 조작축 (1) 에는 축 정지 (7) 가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 (2) 의 후면에 제 1 케이스가 되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가 장착되고,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에서 회전 부재 (4) 의 후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여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원판형상 (돔 형상) 으로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팽출된 2 장의 가동 접점 (9a, 9b) 이 2 장 겹친 상태로 제 2 케이스가 되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에 설치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점을 2 장 겹친 것은, 푸시 스위치의 작동력을 무겁게 하기 위함으로, 가동 접점은 1 장이어도 된다. 푸시 접점 케이스 (10) 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후면에 배치되지만, 그 일부는 베어링 부재 (2) 의 후면에 직접 맞닿아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가 각각 베어링 부재 (2) 의 후면에 직접 맞닿아 장착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 (2),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는 외형 치수가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중간에 회전 부재 (4) 를 수납한 상태에서 장착판 (11)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 (1) 은, 조작 노브가 장착되는 장착부 (1a) 와, 장착부 (1a) 보다 직경이 작고 베어링 부재 (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부 (1b) 와, 베어링부 (1b) 의 일단부에 일체 형성된 비원주 형상의 삽입 단부 (1c) 를 갖는다. 장착부 (1a) 와 베어링부 (1b) 의 직경의 상이함에 의해 형성된 단차부 (1d) 가 베어링 부재 (2) 의 상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압입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도 3 은, 베어링 부재 (2) 를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베어링 부재 (2) 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 베어링부 (21) 와, 원통 베어링부 (21) 의 일 단면에 일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용 기준판 (22) 으로 구성된다.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한 변의 길이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한 변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원통 베어링부 (2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 (1) 의 베어링부 (1b) 의 외주를 회전 및 축선 (S)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데 적합한 직경의 관통공 (23) 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 베어링부 (21) 의 내부에는 내벽 (24) 에 의해 회전 부재 (4) 의 외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데 적합한 직경의 원주형상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용 기준판 (22) 은 4 개의 코너에 소정 형상을 이루고 저면이 축선 (S) 과 수직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 (22a∼22d) 가 형성되고,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2 개의 오목부 (22b, 22c) 에는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26, 2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용 기준판 (22) 은 회전 부재 (4) 의 대경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오목부 (25) 가 판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 오목부 (25) 의 중앙에는 관통공 (23) 에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당해 개구를 사이에 둔 2 지점에는 판 스프링 (6) 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 고정용 볼록부 (28a, 28b)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용 기준판 (22) 하면의 배치를 축선 (S) 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으로 했기 때문에,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축선 (S) 을 중심으로 180 도 회전시킨 역방향의 장착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역방향의 장착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판 스프링 (6) 에 형성된 구멍 (6a, 6b) 에 원형 오목부 (25) 의 스프링 고정용 볼록부 (28a, 28b) 를 삽입함으로써, 판 스프링 (6) 이 위 치 결정됨과 함께 베어링 부재 (2) 의 후면 (원형 오목부;25) 에 고정된다. 링 형상의 판 스프링 (6) 은 중심선을 따라 약간 회전 부재 (4) 측으로 절곡된 형상이 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에 회전 부재 (4) 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 (6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 는 유저의 통 형상체를 이루고 있고, 저측의 선단부에는 가동 접점 (9a, 9b) 과 점으로 접하는 돌출부 (31) 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3) 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볼록 형상체 (32a, 32b) 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3) 는 볼록 형상체 (32a, 32b) 에 의해 회전 부재 (4) 에 대해서 회전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지만 회전 동작은 규제되도록 끼워맞출 수 있다. 가압 부재 (3) 의 중심부에 조작축 (1) 의 삽입 단부 (1c) 가 압입되는 구멍 (33)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 부재 (4) 는 가압 부재 (3) 의 외주면과 끼워맞추는 관통공 (34) 이 형성된 원통부 (35) 와, 원통부 (35) 의 일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요철부 (36) 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클릭 걸어맞춤부 (37) 를 갖는다. 원통부 (35) 는 베어링 부재 (2) 의 원주형상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 (24) 에 대해서 덜컥거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직경으로 설정된다. 클릭 걸어맞춤부 (37) 와 판 스프링 (6) 에 의해, 회전 부재 (4) 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 (6) 의 볼록부 (6c) 가 요철부 (36) 와 걸어맞춰지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클릭 기구를 구성한다. 또, 회전 부재 (4) 의 하면으로부터 외주벽 (38) 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외주벽 (38) 에서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저면과의 사이에 스페이스 (39) 가 확보되어 있다. 이 스페이스 (39) 를 이용하여 회전 부재 (4) 의 하면에 슬라이딩 이동 부재 (5) 가 코킹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이동 부재 (5) 는 3 개의 슬라이딩 이동자 (41) 를 갖는다. 슬라이딩 이동자 (41) 가 후술하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저면에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패턴 (59) 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도 2 에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를 베어링 부재 (2)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4 에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를 푸시 접점 케이스 (10) 측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상면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는 가압 부재 (3) 가 삽입통과되는 관통공 (51) 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1) 의 주위를 원환 형상으로 둘러싸는 저부 (52) 가 형성되고, 당해 원환 형상의 저부 (52) 에 상기 도전 패턴 (59) 이 형성되어 있다. 원환 형상의 저부 (52) 주위는 저부 (52) 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벽 (53) 이 형성된다. 내벽 (53) 은 회전 부재 (4) 의 대경부인 클릭 걸어맞춤부 (37) 의 두께와 거의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어, 원환 형상의 저부 (52) 에 배치한 회전 부재 (4) 가 축선 (S) 방향에 있어서 덜컥거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의 한 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8a) 의 양측으로 한 쌍의 돌출부 (54a, 54b)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54a, 54b) 는, 도 3 에 나타내는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코너에 형성된 오목부 (22b, 22d) 와 동일 형상을 이 루고 있어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오목부 (22b, 22d) 의 평탄면에 맞닿는다. 돌출부 (54a, 54b) 에는,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26, 27) 를 압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구멍 (55a, 55b) 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할 때에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돌출부 (54a, 54b) 를 베어링 부재 (2) 의 오목부 (22b, 22d) 에 맞닿게 함과 함께 돌출부 (54a) 의 구멍 (55a) 에 오목부 (22b) 의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26) 가 압입된다. 또,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에 있어서 돌출부 (54a, 54b) 가 형성된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8a) 와는 관통공 (51) 즉, 조작축 (1) 의 축선 (S) 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이 되는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8b) 의 양단부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로부터 연장되는 후술하는 2 개의 돌출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잘라 내어진 회피부로서의 절취부 (56a, 5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피부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로부터 연장되는 후술하는 2 개의 돌출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절취부 (56a, 56b) 대신에 관통공 또는 노치부이어도 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하면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하면에는 관통공 (51) 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57a, 57b)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54a 및 54b) 에 끼워진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8a) 에는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자 도출부인 단자 취출부 (5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취출부 (58) 의 내부를 통한 제 1 단자가 되는 각 단자 (59a∼59c) 가 표면 실장 위치가 되는 단자 취출부 (58) 의 배면측 (후방측) 의 단면 (58a) 으로부터 외부로 취출되고, 단면 (58a) 을 따라 수평으로 절곡됨과 함께 단면 (58a) 의 종단에서 단자 취출부 (58) 외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단자 취출부 (58) 의 단면 (58a) 과 평행이 된 부분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된다. 각 단자 (59a∼59c) 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저부 (52) 에 형성된 도전 패턴 (59) 과 도통하고 있다.
도 2 에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베어링 부재 (2) 측 (전면측) 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5 에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후방측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상면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상면에는 가동 접점 (9a, 9b) 이 설치되는 원형 오목부 (61) 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오목부 (61) 의 중앙부 및 주연부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 (62, 63) 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9a, 9b) 을 원형 오목부 (61) 에 설치함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9a, 9b) 의 주연부와 고정 접점 (63) 이 도통 접촉한다.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상면에는 원형 오목부 (61) 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구멍 (64a, 64b) 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구멍 (64a, 64b) 에 대해서,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하면에 형성한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57b, 57a) 가 압입되어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와 푸시 접점 케이스 (10) 가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 푸시 접점 케이스 (10) 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의 한 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서 단자 (59a∼59c) 의 도출측과는 축선 (S) 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10a) 의 양단에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 (65a, 65b)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65a, 65b) 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와 조합할 때에, 절취부 (56a, 56b) 의 옆을 통과하여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하면의 오목부 (22a, 22c) 에 맞닿는다. 돌출부 (65a, 65b) 상단면의 형상과 오목부 (22a, 22c) 의 평면 형상과는 일치시키고 있다. 돌출부 (65a, 65b) 의 상단면에 구멍 (66a, 66b) 이 형성되어 있다.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돌출부 (65a, 65b) 를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오목부 (22a, 22c) 에 맞닿게 함과 함께, 돌출부 (65b) 의 구멍 (66b) 에 대응하는 오목부 (22c) 의 케이스 고정용 볼록부 (27) 를 압입함으로써, 푸시 접점 케이스 (10) 가 위치 결정됨과 함께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에 고정된다.
도 5 를 참조하여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하면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10a) 에 단자 취출부 (67) 를 형성하고 있다. 단자 취출부 (67) 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에 장착할 때에,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단자 취출부 (58) 와는 축선 (S) 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이 되는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취출부 (67) 의 내부를 통한 각 단자 (68a, 68b) 가 표면 실장 위치가 되는 단자 취출부 (67) 의 배면측 (후방측) 의 단면 (67a) 으로부터 외부로 취출되고, 단면 (67a) 을 따라 수평으로 절곡됨과 함께 단면 (67a) 의 종단에서 단 자 취출부 (67) 외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되접어 꺾여있다. 단자 (68a, 68b) 는 단자 취출부 (67) 의 단면 (67a) 과 평행하게 된 부분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된다. 각 단자 (68a, 68b) 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원형 오목부 (61) 에 형성된 고정 접점 (62, 63) 과 도통하고 있다. 또한,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후면에는 인쇄 회로 기판측의 구멍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용 돌기 (69, 71) 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판 (1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위치 결정용 돌기가 되는 장착편 (71a∼71d) 을 가짐과 함께 중앙부에는 베어링 부재 (2) 의 원통 베어링부 (21) 의 직경보다 크고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한 변보다 짧은 개구부 (72) 를 갖는다. 장착판 (11) 의 대향하는 2 개의 측면으로부터는 장착 레그부 (73a∼73d) 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장착 레그부 (73a∼73d) 가 형성되는 각 측면에는, 그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보강 부재 (74a, 74b) 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판 (11) 을 그 개구부 (72) 에 베어링 부재 (2) 의 원통 베어링부 (21) 를 통하여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상면 (전면) 에 걸고, 베어링 부재 (2) 의 후면에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 레그부 (73a∼73d) 를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하면측 (후면측) 에 절곡하여 전체를 일체화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판 (11) 에서 베어링 부재 (2),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상하로부터 강고하게 끼움으로써, 부재 간의 덜컥거림을 없앨 수 있고, 높이 방향 (축선 (S) 방향) 의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 (74a, 74b) 를 형성함으로 써, 인쇄 회로 기판으로의 표면 실장 시의 설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 은 장착판 (11) 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하면도 (저면도) 이다. 장착 레그부 (73a∼73d) 가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후면측으로 절곡되어, 각각 대응하는 오목부 (81a∼81d) 에 집어넣고 있다. 장착 레그부 (73a∼73d) 를 오목부 (81a∼81d) 에 집어넣음으로써,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후면측으로 절곡된 장착 레그부 (73a∼73d) 가, 각 단자 (59a∼59c 및 68a, 68b) 보다 축선 (S) 방향에 있어서 후방측, 즉 본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동일하게, 축선 (S) 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 부재 (74a, 74b) 도 각 단자 (59a∼59c 및 68a, 68b) 보다 인쇄 회로 기판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높이를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장착 레그부 (73a∼73d) 및 보강 부재 (74a, 74b) 가 각 단자 (59a∼59c 및 68a, 68b) 보다 인쇄 회로 기판측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 레그부 (73a∼73d) 및 보강 부재 (74a, 74b) 가 각 단자 (59a∼59c 및 68a, 68b) 보다 먼저 실장 기판인 인쇄 회로 기판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은 조작축 (1) 을 생략한 도 6 에 나타내는 A-A 선 사시 단면도이고, 도 8 은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와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나타내는 도 6 에 있어서의 B-B 선 사시 단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돌출부 (65b) 가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절취부 (56b) 의 옆을 통과하여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오목부 (22c) 에 맞닿아 있다. 도 7 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다른 일방의 돌출 부 (65a) 도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절취부 (56a) 의 옆을 통과하여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오목부 (22a) 에 맞닿아 있다. 한편,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10a) 에 일체로서 형성한 단자 취출부 (67) 의 단면 (67a) 을 따라 수평으로 절곡된 단자 (68b;68a) 가, 표면 실장 시에 인쇄 회로 기판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푸시 접점 케이스 (10) 는, 그 돌출부 (65a, 65b) 의 선단부가 맞닿아 있는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오목부 (22a, 22c)) 을 기준으로 하여 1 부품 (푸시 접점 케이스;10) 으로 치수를 확정할 수 있다.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단자 (68a, 68b) 에 대해서는, 1 부품으로 치수를 확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2 부품으로 치수를 확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높이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접점 케이스 (10) 에 있어서 단자 (68a, 68b) 의 도출측과 케이스용 기준판 (22;오목부 (22a, 22c)) 에 대한 맞닿음측이 동일한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10a) 이기 때문에, 치수 확정이 용이하여 단자의 높이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단자 (68a, 68b) 의 양측에 대향 상태로 배치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 (65a, 65b) 를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오목부 (22a, 22c)) 에 맞닿게 하기 때문에, 기울이지 않고 평행하게 맞닿게 할 수 있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돌출부 (65a, 65b) 가 맞닿는 맞닿음면 (오목부;22a, 22c) 은 맞닿음 방향 (축선 (S) 방향) 에 대해서 수직한 평탄면이므로, 비스듬하게 맞닿는 경우에 비해 높은 위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돌출부 (54b) 가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평탄면인 오목부 (22d) 저면에 맞닿아 있다. 도 7 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다른 일방의 돌출부 (54a) 도 케이스용 기준판 (22) 의 평탄면인 오목부 (22b) 저면에 맞닿아 있다. 한편,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 (8a;도 2) 에 일체로서 형성된 단자 취출부 (58) 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측면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하여 표면 실장 위치에 단면 (58a) 이 위치하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단자 취출부 (58) 의 단면 (58a) 으로부터 도출되어 당해 단면 (58a) 을 따라 수평으로 절곡된 단자 (59c;59b, 59a) 가 표면 실장 시에 인쇄 회로 기판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는, 돌출부 (54a, 54b) 의 선단부가 맞닿아 있는 베어링 부재 (2)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오목부 (22b, 22d)) 을 기준으로 하여 1 부품 (인코더 접점 케이스;8) 으로 치수를 확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으로의 맞닿음 위치인 돌출부 (65a, 65b) 의 선단으로부터 표면 실장 위치가 되는 단자 (68a, 68b) 의 하단부까지의 거리 (W1) 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두께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68a, 68b) 의 두께만으로 규정된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케이스용 기준판 (22) 에 대한 맞닿음 위치인 돌출부 (54a, 54b) 의 선단으로부터 표면 실장 위치가 되는 단자 (59a∼59c) 의 하단부까지의 거리 (W2) 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두께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59a∼59c) 의 두께만으로 규정된다. 상기 W1 과 W2 가 동일 거리가 되도록, 돌출부 (54a, 54b, 65a, 65b) 까지 포함하여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및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면이 되는 표면 실장 위치에 대한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단자 (59a∼59c) 와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단자 (68a, 68b) 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하측에 배치되는 푸시 접점 케이스 (10) 는 그 돌출부 (65a, 65b) 를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의 절취부 (56a, 56b) 를 통하여 케이스용 기준판 (22) 에 닿게 하여 인쇄 회로 기판면에 대한 높이를 설정하는 한편, 상측에 배치되는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는 일체화된 단자 취출부 (58) 를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측면을 통하여 푸시 접점 케이스 (10) 의 하면 위치까지 연장함과 함께 돌출부 (54a, 54b) 를 케이스용 기준판 (22) 에 닿게 하여 인쇄 회로 기판면에 대한 높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로써,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와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적층하는 구조이어도,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와 그 단자 (59a∼59c) 로 이루어지는 높이 방향의 치수 (W2) 와, 푸시 접점 케이스 (10) 와 그 단자 (68a, 68b) 로 이루어지는 높이 방향의 치수 (W1) 를 동일 치수로 설정함과 함께, 인코더 접점 케이스 (8) 와 푸시 접점 케이스 (10) 를 베어링 부재 (2) 의 동일 면에 맞닿게 하기 때문에, 쌍방의 케이스 (8, 10) 의 단자 (59a∼59c, 68a, 68b) 는 동일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1 부품으로 치수를 확정할 수 있어 높이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인쇄 회로 기판면에 대한 조작축 (1) 의 각도를 수직 상태 등의 원하는 각도로, 정밀도 좋게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으로서 돔 형상의 금속제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가동 접점의 형상이나 재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금속판을 랜싱하여 구성한 것이나, 돔 형상의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의 정상부의 하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것을 가동 접점으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로서의 기능과 회전형 전기 부품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6)

  1.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을 회전 및 가압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조작축에 대하여 동일 축 상에 걸린 회전 부재와,
    상기 조작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이동 접점과,
    상기 슬라이딩 이동 접점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도전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접점이 배치되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수납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후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축의 가압 조작으로 가압되는 가동 접점 및 그 가동 접점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제 2 케이스와,
    상기 도전 패턴과 도통함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스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표면 실장 위치로 도출된 표면 실장용 제 1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과 도통함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스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와는 상기 조작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표면 실장 위치로 도출된 표면 실장용 제 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제 1 단자 도출측에 있어서 그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베 어링 부재와 맞닿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제 2 단자 도출측에 있어서 그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2 단자 도출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부재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베어링 부재에 맞닿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1 단자 도출측의 케이스 외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1 단자를 표면 실장 위치까지 유도하는 단자 도출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조작축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단자 도출측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상기 돌출부와의 간섭을 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단자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를 사이에 두는 장 착 레그부를 갖는 장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대향하는 전면과는 반대측의 후면으로서 상기 장착 레그부의 절곡된 위치에 상당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레그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의 후면 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오목부 내에 접어 끼워지고, 절곡된 상기 장착 레그부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보다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돌출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위치 결정용 돌기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보다 상기 제 2 케이스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가 각각 맞닿는 부분에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KR1020070047463A 2006-05-18 2007-05-16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KR100899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9180A JP4891654B2 (ja) 2006-05-18 2006-05-18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JP-P-2006-00139180 2006-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003A KR20070112003A (ko) 2007-11-22
KR100899312B1 true KR100899312B1 (ko) 2009-05-27

Family

ID=3884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463A KR100899312B1 (ko) 2006-05-18 2007-05-16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91654B2 (ko)
KR (1) KR100899312B1 (ko)
CN (1) CN101075504B (ko)
TW (1) TW200809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6513A (zh) * 2016-12-03 2017-05-31 广东奥马冰箱有限公司 风道开关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0202A (ja) * 2008-06-24 2010-01-14 Alps Electric Co Ltd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5147781B2 (ja) * 2009-05-13 2013-02-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CN102522246B (zh) * 2011-12-30 2015-03-04 余正明 一种车载音响用编码器
CN104362023B (zh) * 2014-10-14 2016-06-29 东莞高仪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双位开关功能的编码器
CN107104016B (zh) * 2017-06-16 2019-11-12 东莞福哥电子有限公司 一种高精度3d摇杆装置
JP2021138253A (ja) * 2020-03-04 2021-09-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CN112635228B (zh) * 2020-12-16 2022-09-23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棘轮差动式按键机构及具有该机构的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85A (ko) * 1997-09-22 1999-04-26 가타오카 마사타카 푸시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
KR100219980B1 (ko) 1994-12-14 1999-09-01 모리시타 요이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806A (ja) * 1983-01-07 1984-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2001043778A (ja) * 1999-08-02 2001-02-16 Smk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スイッチ
CN2390273Y (zh) * 1999-09-07 2000-08-02 崧腾企业股份有限公司 旋转式编码器的改良结构
JP2002373553A (ja) * 2001-06-15 2002-12-26 Alps Electric Co Ltd 面実装型の回転型電気部品
JP4136625B2 (ja) * 2002-11-27 2008-08-20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回転式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980B1 (ko) 1994-12-14 1999-09-01 모리시타 요이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
KR19990029985A (ko) * 1997-09-22 1999-04-26 가타오카 마사타카 푸시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6513A (zh) * 2016-12-03 2017-05-31 广东奥马冰箱有限公司 风道开关结构
CN106766513B (zh) * 2016-12-03 2019-03-26 广东奥马冰箱有限公司 风道开关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9894A (en) 2008-02-16
KR20070112003A (ko) 2007-11-22
JP2007311556A (ja) 2007-11-29
TWI312525B (ko) 2009-07-21
JP4891654B2 (ja) 2012-03-07
CN101075504A (zh) 2007-11-21
CN101075504B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312B1 (ko)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JP4353964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356195B1 (ko)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JP462430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763711B2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3923714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56117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5852669B2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の軸受構造
KR100803959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JP2004103253A (ja) 押下スイッチ及び多方向入力装置
JP4601583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5281538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2011100567A (ja) 入力装置
JP2001325860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JP2004265687A (ja) 回転型電気部品
JP4813455B2 (ja) 自動復帰型電子部品及びその組立方法
JP5180725B2 (ja) 回転型摺動子連結体及び回転式電子部品
JP4937994B2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JP4471817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4601718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7220438A (ja) 電気部品
JP2005183135A (ja) 複合型回転式電子部品及び二段押圧型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3788764B2 (ja) 押圧スイッチ付スライド式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