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833B1 -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833B1
KR100898833B1 KR1020070092840A KR20070092840A KR100898833B1 KR 100898833 B1 KR100898833 B1 KR 100898833B1 KR 1020070092840 A KR1020070092840 A KR 1020070092840A KR 20070092840 A KR20070092840 A KR 20070092840A KR 100898833 B1 KR100898833 B1 KR 10089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hape
handle
basic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542A (ko
Inventor
이용진
김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금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금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금형
Priority to KR102007009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8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1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시트판으로부터 형성하고자 하는 손잡이를 시트형태로 펼친 상태에 대응되게 사각판형 형태의 파쥐 부분과, 파쥐부분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화살촉 형태로 된 제1 및 제2결합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결합부분 각각은 파쥐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파지부분 보다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의 종단에서 다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제2부분을 갖는 기본 형상체를 펀칭에 의해 형성하는 펀칭단계와, 기본 형상체의 파쥐부분으로부터 제1부분까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대는 방향으로 환형으로 벤딩하는 제1성형단계와, 파쥐부분으로부터 제1부분까지 상호 맞접합되게 용접하는 단계와, 파쥐 부분으로부터 제1 및 제2 결합부분까지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벤딩하는 제2성형단계와, 제2부분의 저면이 장착대상 가전제품의 결합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분을 커팅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반 프레스 기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프레스, 손잡이, 벤딩, 용접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handle for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형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는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 예를 들면 냉장고의 손잡이로서 금속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대부분 주조방식으로 제조되었으나, 주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기공에 의해 표면불량 및 결함이 발생되어 후속 표면 처리공정이 요구됨으로써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적용소재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액압 성형방식인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방식에 의해 스테인레스 소재의 파이프로부터 가전제품용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식이 국내 등록특허 제059900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하이드로포밍에 의한 손잡이 제조방식은 하이드로포밍을 수행할 수 있는 고가의 특수 전용 장비에 의해서만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프레스를 이용하여서는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시간이 많이 걸리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 프레스 기계와 금형을 이용하여서도 제조할 수 있는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가. 스테인레스 시트판으로부터 형성하고자 하는 손잡이를 시트형태로 펼친 상태에 대응되게 사각판형 형태의 파쥐 부분과, 상기 파쥐부분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화살촉 형태로 된 제1 및 제2결합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분 각각은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파지부분 보다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종단에서 다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제2부분을 갖는 기본 형상체를 펀칭에 의해 형성하는 펀칭단계와; 나. 상기 기본 형상체의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까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대는 방향으로 환형으로 벤딩하는 제1성형단계와; 다.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까지 상호 맞접합되게 용접하는 단계와; 라. 상기 파쥐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분까지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벤딩하는 제2성형단계와; 마. 상기 제2부분의 저면이 장착대상 가전제품의 결합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분을 커팅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 단계는 나-1. 상기 기본 형상체의 상기 제2부분의 가 장자리부분을 홀딩한 상태로 프레싱하여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분 까지를 'U'자 형태로 벤딩하는 1차 벤딩단계와; 나-2. 상기 제1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이 상기 1차 벤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5 내지 10°로 후퇴되게 벤딩하는 2차 벤딩단계와; 나-3. 상기 기본형상체가 상호 맞접합 가능하게 상기 기본형상체의 불필요한 가장자리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나-4. 상기 기본 형상체의 절단된 가장자리선을 따라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까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대도록 환형으로 벤딩하는 3차 벤딩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분 각각의 상기 제2부분의 노출된 저면을 따르는 연장선이 상호 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되게 커팅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일반 프레스 기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스테인레스 시트판을 준비한다.
스테인레스 시트판은 SUS 430, SUS304가 적용된다.
스테인레스 시트판은 통상 롤형태로 감아 제공되는 판재를 이용하면 되고, 두께는 0.5 내지 1mm 정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준비된 스테인레스 시트판을 형성하고자 하는 속이빈 호형 손잡이에 대응되게 시트 형태로 펼친 전개도에 대응되게 사각판형 형태의 파쥐 부분과, 파쥐부분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파쥐 부분 보다 폭이 확장된 후 다시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화살촉 형상 형태로 된 제1 및 제2 결합부분을 갖는 기본 형상체를 펀칭에 의해 형성한다. 도 1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기본 형상체가 펀칭과정을 거친 이후의 스테인레스 시트판(10)을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시트판(10)에서 펀칭에 의해 생산된 기본 형상체(20)를 보여주고 있다. 참조부호 12는 기본 형상체(20)가 펀칭에 의해 토출된 이후의 스테인레스 시트판(10)에 형성된 홀이다.
기본형상체(20)의 파지부분(21)으로부터 양단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결합부분(31)(32)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파쥐부분(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파쥐 부분(21) 보다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제1부분(31a)(32a)과, 제1부분(31a)(32a)의 종단에서 다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제2부분(31b)(32b)으로 된 화살촉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형상체(20)는 이후의 벤딩 공정시 주름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홀딩할 수 있는 부분 및 맞접합을 위한 가장자리선을 절단에 의해 맞출 수 있도록 목적하는 형상보다 전체적으로 여유부분을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은 기본 형상체(20)의 파쥐 부분(21) 및 제1부분(31a)(32a)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대어 중공을 갖는 환형 관형상이 되고, 제2 부분(31b)(32b)은 외부로 노출된 통공을 갖는 형태가 되도록 제1성형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성형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본 형상체(20)의 제2부분(31b)(32b)의 가장자리부분 즉, 도 2에서 점선으로 표기된 선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홀딩 영역(34)을 블랭크 홀더(Blank Holder)를 사용하여 홀딩 되도록 한 상태에서 1차 벤딩용 금형을 통해 프레싱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쥐부분(21)으로부터 제1 및 제2결합부분(31)(32) 까지를 'U'자 형태로 벤딩한다. 이 경우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랭크 홀더(Blank Holder)에 의해 홀딩된 홀딩 영역(34)은 벤딩되지 않아 외측으로 확장된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가 된다.
다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31b)(32b)을 제1부분(31a)(32a)을 기준으로 제2부분(31b)(32b)이 1차 벤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되게 2차 벤딩한다. 2차 벤딩시 제1부분(31a)(32a)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2부분(31b)(32b)의 사이각이 5 내지 10°가 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차 벤딩은 손잡이를 최종적으로 호형으로 벤딩 할 때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호형벤딩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미리 벤딩처리하는 것이다.
이후, 환형형태로 맞접합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한다. 즉, 도 4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점선으로 표시한 절단선(41)을 따라 후속되는 환형 형태의 벤딩 처리시 맞접합이 가능하게 절단 처리하여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만든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형상체(20)의 파지부분(21)으로부터 제1부분(31a)(32a)까지는 앞서 절단선(41)에 따라 절단된 가장자리선이 상호 맞대도록 환형으로 3차 벤딩한다.
3차 벤딩은 다단계로 예를 들면 3 내지 5차례로 가장자리선의 이격거리가 단계적으로 좁아지도록 복수개의 금형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가장자리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수행한다.
3차 벤딩처리가 완료되면 파쥐부분(21) 및 제1부분(31a)(32a)은 환형 형태로 상호 맞대게 말아져 중공을 가지며 제2부분(31b)(32b)은 외부로 노출된 통공(36)을 갖는 구조로 된다.
이후, 상호 맞대게 벤딩처리된 파지부분(21)부터 제1부분(31a)(32a)까지의 가장자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용접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고 일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유도가열방식을 적용한다. 참조부호 61은 용접처리된 이후 비드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트이고, 62를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ㄹ롤러이다.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환형형태로 성형된 기본성형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벤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파쥐 부분(21)으로부터 제1 및 제2 결합부분(31)(32)까지가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벤딩하는 제2성형단계를 수행한다.
제2 성형단계 이후에는 장착대상 가전제품과 결합하기 위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홀(80)을 제2부분(31b)(32b)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부분(31b)(32b)의 통공을 갖는 저면이 장착대상 가전제품의 결 합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결합부분(31)(32) 각각의 제2부분(31b)(32b)의 노출된 저면을 따르는 연장선이 상호 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되게 도 8의 절단선(71)을 따라 가장자리부분을 커팅한다.
이러한 커팅과정을 거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a)가 완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제조과정에 따라 펀칭과정을 거친 후의 스테인레스 시트판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테인레스 시트판을 펀칭에 의해 생성된 시트형태의 기본 형상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본 형상체를 1차 벤딩처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1차 벤딩처리된 기본 형상체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의 경계부분을 기준으로 제2부분을 후방으로 2차 벤딩처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단선을 따라 기본 형상체의 가장자리영역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기본 형상체의 가장자리영역이 상호 맞대게 환형형태로 벤딩처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기본 형상체를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용접과정을 거친 기본 형상체를 전체적으로 호형 형태로 벤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2부분에 고정용 홀을 형성하고, 도 8의 절단선을 따라 제2부분을 직선상으로 얼라인되게 커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Claims (3)

  1. 가. 스테인레스 시트판으로부터 형성하고자 하는 손잡이를 시트형태로 펼친 상태에 대응되게 사각판형 형태의 파쥐 부분과, 상기 파쥐부분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화살촉 형태로 된 제1 및 제2결합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분 각각은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파지부분 보다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종단에서 다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제2부분을 갖는 기본 형상체를 펀칭에 의해 형성하는 펀칭단계와;
    나. 상기 기본 형상체의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까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대는 방향으로 환형으로 벤딩하는 제1성형단계와;
    다.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까지 상호 맞접합되게 용접하는 단계와;
    라. 상기 파쥐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분까지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벤딩하는 제2성형단계와;
    마. 상기 제2부분의 저면이 장착대상 가전제품의 결합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분을 커팅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나-1. 상기 기본 형상체의 상기 제2부분의 가장자리부분을 홀딩한 상태로 프레싱하여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분 까지를 'U'자 형태로 벤딩하는 1차 벤딩단계와;
    나-2. 상기 제1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이 상기 1차 벤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5 내지 10°로 후퇴되게 벤딩하는 2차 벤딩단계와;
    나-3. 상기 기본형상체가 상호 맞접합 가능하게 상기 기본형상체의 가장자리부분을 따라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나-4. 상기 기본 형상체의 절단된 가장자리선을 따라 상기 파쥐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까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맞대도록 환형으로 벤딩하는 3차 벤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분 각각의 상기 제2부분의 노출된 저면을 따르는 연장선이 상호 직선상으로 나란하게 되게 커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20070092840A 2007-09-12 2007-09-12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89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40A KR100898833B1 (ko) 2007-09-12 2007-09-12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40A KR100898833B1 (ko) 2007-09-12 2007-09-12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42A KR20090027542A (ko) 2009-03-17
KR100898833B1 true KR100898833B1 (ko) 2009-05-22

Family

ID=4069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840A KR100898833B1 (ko) 2007-09-12 2007-09-12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8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741A (en) 1979-10-12 1981-05-18 Hirohama Kinzoku Kogyo Kk Production of handle unit
JPS62244539A (ja) * 1986-04-15 1987-10-24 Hashida Giken Kogyo Kk 排気管の製造法
KR970073775A (ko) * 1997-09-01 1997-12-10 조청조 금속 파이프 제조방법
KR19990036164A (ko) * 1995-12-20 1999-05-25 바그너 라이너 안경힌지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741A (en) 1979-10-12 1981-05-18 Hirohama Kinzoku Kogyo Kk Production of handle unit
JPS62244539A (ja) * 1986-04-15 1987-10-24 Hashida Giken Kogyo Kk 排気管の製造法
KR19990036164A (ko) * 1995-12-20 1999-05-25 바그너 라이너 안경힌지제조방법
KR970073775A (ko) * 1997-09-01 1997-12-10 조청조 금속 파이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42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6498B2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板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7637135B2 (en) Method for producing from a metal sheet a hollow profile which is longitudinally slotted and provided with several longitudinal segments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KR101260484B1 (ko) 중공 부재의 코어리스 성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898411B2 (ja) インサートカラーの成形方法
ATE403024T1 (de) Waschmaschinentrommel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07090406A (ja) 丸鋼管の製造設備
JP2000039850A (ja) 液晶パネル保持枠及びその製造方法
JP7054057B2 (ja) ベンド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4341B1 (ko)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다각형 폐단면 구조 부품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다각형 폐단면 구조 부품
CA2880661C (en) Method of producing steel pipe
KR100898833B1 (ko) 가전제품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819713B1 (ko) 덕트용 엘보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5389587B2 (ja) 薄肉曲がり管部材の成形方法及び薄肉曲がり管部材の製造装置
JP6560804B1 (ja) 波板形成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る製造品
JP3689679B2 (ja) 円筒形金属缶の製造方法
JP5457151B2 (ja) 溶接用部材の製造方法
KR20030063286A (ko) 비계용 파이프 연결핀의 성형장치
TW201442797A (zh) 環形鋼板的製造方法
JP2004195504A (ja) 鋼管の成形装置、成形方法、及び製造設備列
JP2014138942A (ja) 立体縁付き金属部品の製造用金型
JP7060359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3094B2 (ja) 横孔を有するパイプ状金物の製造方法
KR101049642B1 (ko) 멀티 스테이지 공법을 이용한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제 튜브제조방법
JP2005153210A (ja) 樹脂ボードの端末構造及び端末処理方法
JP2011062913A (ja) 切り紙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