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557B1 - 태스크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태스크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557B1
KR100897557B1 KR1020077011325A KR20077011325A KR100897557B1 KR 100897557 B1 KR100897557 B1 KR 100897557B1 KR 1020077011325 A KR1020077011325 A KR 1020077011325A KR 20077011325 A KR20077011325 A KR 20077011325A KR 100897557 B1 KR100897557 B1 KR 10089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terminal device
processing
device management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355A (ko
Inventor
퀴 수
시아오퀴안 차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 200510080264 external-priority patent/CN1794856A/zh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15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system implementing multitas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관리에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스케줄러 태스크에 대한 처리 방식을 선택하게 하여 이 선택에 따라서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현재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스케줄러 태스크는 사전 결정된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트리거링되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줄러 태스크는 비정상 상황에서 실행될 수 있어 단말 장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스크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CESSING TASKS IN DEVICE MANAGEMENT}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치 관리에서의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말 장치 내에 구축된 기능들이 상당히 복잡해졌기 때문에, 단말기 동작 소프트웨어에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엄청나게 높아졌다. 단말 장치로는 셀 폰, 팜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임베디드 기기(embedded device) 및 온보드(on-board)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있다. 유익한 사용 경험 및 서비스 품질을 효과적으로 보장하고 단말 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OMA(Open Mobile Alliance)는 DM(device management) V1.2 명세서(specification)를 마련하였다. OMA DM V1.2 사양서는 전체 구성, 프로토콜, 통신 단말 장치 및 장치 관리에 대한 안전성 문제에 대한 통합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동기 장치 관리 모델(한 세션 동안에 DM 관리 동작을 완료) 및 비동기 장치 관리 모델(복수의 세션 동안 DM 관리 동작 완료) 외에 어떻게 태스크를 스케줄링하는 지에 대한 모델이 제공된다. DMS(Device Management Server)는 태스크 및 그 트리거링 조건을 스케줄링하여 이들을 단말 장치측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오프 라인인 경우에도 스케줄링된 시간 또는 조건에 따라 DMS 관리 동작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모드는 장치 관리 프로세스 동안에 네트워크 자원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장치 관리에 대한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사용자의 비용을 개선한다. 종래기술의 단말 장치와 서비스 장치 사이의 관리 동작 태스크에 대한 전체 통신 프로세스 순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01. 서비스 장치가 동작 통지(operation notice)를 단말 장치에게 보낸다.
S02. 단말 장치가 서비스 장치와의 세션 접속을 확립한다.
S03. 서비스 장치가 관리 동작 태스크를 설정한다.
S04. 단말 장치가 사용자로 하여금 관리 동작 태스크를 다운로드하게 한다.
S05. 사용자가 관리 동작 태스크를 다운로드한다.
S06. 단말 장치가 태스크의 상태를 보고한다.
S07. 서비스 장치가 세션을 종료하고, 관리 동작 태스크의 세션 종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S08. 단말 장치가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 상황을 감시한다. 예를 들면,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상태는 대기 상태일 수 있다.
S09. 단말 장치가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 관리 동작 태스크를 처리한다.
S10. 단말 장치가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 상태를 보고한다.
S11. 서비스 장치가 세션을 종료한다(또는 다른 관리 커맨드의 전송을 계속한다).
전술한 통신 프로세스 흐름에서 알 수 있듯이, 통신 장치는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만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를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언제라도 단말 장치에서 비정상 이벤트(예를 들면, 단말기의 배터리가 고갈되어 단말 장치가 자동으로 꺼지거나,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단말 장치가 자동으로 꺼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끄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정상 상태의 발생으로 인해 전달된 관리 동작 태스크가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서 트리거링될 수 없고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전 결정된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서 트리거링될 수 있고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는 장치 관리에서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장치 관리에서 태스크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스케줄러 태스크에 대한 처리 방식을 선택하게 하고, 이 선택에 따라서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은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기 위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판정 조건을 설정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 및 동작을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판정 조건은 단말 장치에서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후 사전 결정된 기간 내에 실행되는 스케줄러 태스크가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인 상황을 포함한다.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은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 디폴트 처리 정책을 포함한다.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은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전달된 처리 정책 및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는 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단말기의 상태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하는 경우 또는 단말 장치가 턴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을 조정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오프 상태에 있고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 시간이 되면, 단말 장치는 자동으로 턴온되고, 스케줄러 태스크가 실행된 후에 자동으로 턴오프된다.
단말 장치가 자동으로 턴온되기 전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단말 장치가 현재 턴온될 수 있는 지 판단된다.
태스크 실행 전에, 단말 장치는 먼저 현재의 상황이 태스크의 실행을 허용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동작하면, 단말 장치는 현재의 시간을 시작 시간으로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한다.
단말 장치가 턴온된 후, 단말 장치는 오프 상태의 기간 동안 처리되지 않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한다.
단말 장치가 시간을 조정한 후에, 단말 장치는 시간 조정으로 인한 점핑 기간 동안 처리되지 않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처리 방법은 즉시 태스크 처리, 처리 연기 또는 처리 취소를 포함하고, 대응 처리 방식은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대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태스크를 전달하고 태스크 실행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관리 서버 및 장치 관리 서버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단말 장치는 태스크 처리 상황에 따라서 대응 태스크를 처리하고,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식별하고, 처리 정책에 기초하여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며,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로 보내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설정된 태스크 실행 상황에 따라서 대응 태스크를 처리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처리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한 후,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에 보고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비정상 태스크 처리 정책이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 내에 설정된다.
장치 관리 서버는 태스크를 단말 장치에 전달하고,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결과 및 실행 결과를 처리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전달된 태스크를 처리하고 실행 결과를 보고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과, 장치 관리 서버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장치 관리 서버와 단말 장치 사이에서 상호작용 신호를 보내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과, 태스크의 실행을 감시하고, 사전에 정해진 태스크 실행 조건에 따라서 대응하는 태스크를 처리하며,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사전 처리 정책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처리한 다음 그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에 보고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은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 및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보고하거나,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은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직접 보고한다.
비정상 태스크 처리 정책이 상기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 내에 설정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판정 조건이 단말 장치 내에 설정된다. 사용자가 판정 조건 내의 비정상 상황 감시를 활성화시키면, 비정상 상황의 감시가 활성화된다.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즉 단말 장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할 때, 단말 장치는 현재의 시간을 시작 시간으로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고 판정된 태스크를 미리 처리한다. 따라서, 영향을 받을 태스크가 예측될 수 있다.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즉 단말 장치가 오프 상태에 있고 이 때가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 시간이면, 단말 장치는 자동으로 턴온되고, 태스크가 실행된 후에 자동으로 턴오프된다.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후, 즉 단말 장치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단말 장치의 시간 조정이 행해졌으면, 단말 장치는 실행되었어야 했는데 실행되지 않은 태스크가 있는 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태스크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태스크는 비정상 상황에서 감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실행되거나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시스템 및 그 대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면, 스케줄러 태스크는 사전 결정된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트리거링되어 실행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비정상 상황에서 스케줄러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장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서비스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에서의 관리 동작 태스크에 대한 전체 통신 프로세스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정상 상황 하에서 사전 결정된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서 태스크가 정상적으로 트리거링되어 실행되도록, 장치 관리에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현재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은 스케줄러 관리 동작 태스크의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대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의 현재의 상태가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 에 대한 관련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는,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된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된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다음 세 가지 상황, 즉 단말 장치의 상태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 장치의 상태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 장치가 온 상태에 있지만 태스크의 실행이 영향을 받도록 그 시간이 조정된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 장치 관리 태스크에 있어서, 태스크의 실행에 대한 두 제한, 즉 실행의 최종 시간 범위 및 실행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태스크는 이들 두 제한으로 인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태스크 유형 1 : 실행의 최종 시간 범위 내의 불필요한 태스크
태스크 유형 2 : 실행의 최종 시간 범위 내의 필요한 태스크
태스크 유형 3 : 실행의 최종 시간 범위 밖의 불필요한 태스크
태스크 유형 4 : 실행의 최종 시간 범위 밖의 필요한 태스크
본 발명의 원리,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단말 장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되며, 이것은 스케줄러 태스크의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처리 단계들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1. 판정 조건이 단말 장치에 설정된다. 판정 조건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비정상 상황을 판정하는 조건.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전기량이 5% 미만이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차단 시간에 도달하고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턴오프하는 경우.
(2) 영향을 받은 태스크의 판정 조건. 예를 들면, 8 시간의 기간이 설정되고, 비정상적인 상황이 도래한 시간으로부터 8 시간 내에 처리하도록 스케줄링된 태스크가 영향을 받은 태스크가 되는 경우.
(3) 처리 규칙. 처리 규칙은 사전 결정된 처리 정책(예를 들면, 서버에 의해 전달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처리 규칙)에 따라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 또는 디폴트 방식에 따라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전달된 처리 정책은 태스크의 즉시 처리, 처리 연기 또는 처리 취소와, 서버로의 보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형 1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를 즉시 처리하거나 또는 소정 시간 태스크를 연기하거나 또는 처리를 취소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유형 2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없다. 유형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를 즉시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를 연기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유형 4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어떠한 선택도 할 수 없고, 단말 장치가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직접 처리할 것이다.
유형 1, 2 또는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미리 처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태스크를 처리하고 있을 때,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다시 선택하게 하는 대신에 사전 결정된 정책에 기초하여 직접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다.
S102.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지 않도록 선택하면, 다음 동작은 사용자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는 때 이를 통지받지 않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도록 선택하면, 비정상 상황의 발생의 감시가 시작된다.
S103. 비정상 상황이 있는 지, 예를 들어 18:00시에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전기량이 총 용량의 5% 미만인 지 검출된다.
S104. 18:00 시는 어떠한 태스크가 앞으로 8 시간 내에 처리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는 지 검사하기 위한 시작 시간으로서 사용된다. 만약 스케줄링되어 있다면, 관련 태스크는 영향을 받는 태스크로 판정된다. 분명히, 관련 태스크는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만약 관련 태스크가 없다면, 아무런 동작도 실행되지 않는다.
S105. 관련 태스크가 발견되면, 단말 장치는 하나의 태스크를 선택할 것이다.
S106. 사용자가 사전 결정된 판정 조건 및 처리 규칙에 따라서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되는 지 판정된다.
S107.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받으면(즉, 사용자가 허가할(authorize) 필요가 있으면),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게 그 태스크에 대한 트리거 시간 범위를 선택하게 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태스크가 유형 1이면, 사용자는 즉시 그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않거나 또는 이 처리를 나중으로 연기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S108. 사용자가 이 상호작용을 할 것을 요구받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 또는 디폴트 설정에 따라서 직접 그 태스크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이 태스크는 직접 처리될 수도 있다.
S109.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 또는 디폴트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태스크가 처리된 후에, 다른 영향을 받은 태스크가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약 이러한 태스크가 있다면, 단계 S105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영향을 받은 태스크가 없다면, 모든 태스크가 처리되었으므로, 단말 장치는 종료 동작 상태로 된다.
(실시예 2)
단말 장치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처리 단계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201. 판정 조건이 단말 장치 내에 설정된다. 판정 조건은 다음을 포함한다.
(1) 검출 시작에 대한 조건.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턴온될 때마다, 검출이 활성화됨.
(2) 영향을 받은 태스크를 판정하는 결정 조건. 예를 들면, 오프 상태의 마지막 기간 동안 발견되어 처리된 태스크.
(3) 처리 규칙. 처리 규칙은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즉, 서버에 의해 전달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처리 규칙)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디폴트 방식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버에 의해 전달된 처리 정책은 태스크의 즉시 처리, 처리 연기 또는 처리 취소 및 서버로의 보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형 1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의 즉시 처리 또는 처리의 취소 또는 소정 시간까지 태스크의 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유형 2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없고, 유형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의 즉시 처리 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유형 4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어떠한 선택도 할 수 없고 단말 장치가 직접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다.
유형 1, 2 또는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미리 처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태스크를 처리할 때, 사용자에게 다시 선택하게 하는 대신에 사전 결정된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가 직접 그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다.
S202. 위 판정 조건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는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후속 동작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때 이를 통지하지 않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도록 선택하면, 비정상 상황의 발생의 감시가 시작된다.
S203.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턴온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는 20:00 시에 턴오프되었고, 이번에 22:00 시에 턴온된다.
S204. 20:00 시에서 22:00 시까지의 기간 동안 처리되었어야 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태스크가 있는 지가 판정된다. 이 기간 내에 처리되었어야 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태스크가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S205. 하나 이상의 태스크가 있으면, 이들 태스크 중 한 태스크가 선택된다.
S206. 사용자가 사전 결정된 판정 조건 및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되는 지 판정된다.
S207.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받으면,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게 그 태스크에 대한 트리거링 시간 범위를 선택하게 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태스크가 유형 1이면, 사용자는 즉시 그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않거나 또는 이 처리를 나중으로 연기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선택된 태스크가 유형 3이면, 사용자는 그 태스크를 즉시 처리하거나 태스크의 처리를 거부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S208. 사용자가 이 상호작용을 할 것을 요구받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사전 결정된 처리 정책 또는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그 태스크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이 태스크는 직접 처리될 수도 있다.
S209.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정책 또는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태스크가 처리된 후에, 처리할 다른 태스크가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약 이러한 태스크가 있다면, 단계 S205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그러한 태스크가 없다면, 모든 태스크가 처리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이 조정되기 때문에 태스크의 동작이 영향을 받는다.
S301. 판정 조건이 단말 장치에 설정된다. 판정 조건은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1) 검출 시작에 대한 조건.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이 조정될 때마다, 검출이 활성화됨.
(2) 영향을 받은 태스크의 판정 조건.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의 조정으로 인해 발생된 점핑 기간 동안에 발견된, 처리되었어야 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태스크.
(3) 처리 규칙. 처리 규칙은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즉, 서버에 의해 전달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처리 규칙)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디폴트 방식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버에 의해 전달된 처리 정책은 태스크의 즉시 처리, 처리 연기 또는 처리 취소 및 서버로의 보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형 1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의 즉시 처리 또는 처리의 취소 또는 소정 시간까지 태스크의 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유형 2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없다. 유형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의 즉시 처리 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있다. 유형 4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어떠한 선택도 할 수 없고 단말 장치가 직접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다.
유형 1, 2 또는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미리 처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태스크를 처리할 때, 사용자에게 다시 선택하게 하는 대신에 사전 결정된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가 직접 그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다.
S302. 위 판정 조건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는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후속 동작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때 이를 통지하지 않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도록 선택하면, 비정상 상황의 발생의 감시가 시작된다.
S303.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이 조정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이 20:00 시로부터 22:00 시로 조정된다.
S304. 20:00 시에서 22:00 시까지의 기간 동안 처리되었어야 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태스크가 있는 지가 판정된다. 이 기간 내에 처리되었어야 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태스크가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S305. 하나 이상의 태스크가 있으면, 단말 장치가 하나의 태스크를 선택한다.
S306. 사용자가 사전 결정된 판정 조건 및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되는 지 판정된다.
S307.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받으면(즉, 사용자 허가가 필요하면),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게 그 태스크에 대한 트리거 시간 범위를 선택하게 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태스크가 유형 1이면, 사용자는 즉시 그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않거나 또는 이 처리를 나중으로 연기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선택된 태스크가 유형 3이면, 사용자는 그 태스크를 즉시 처리하거나 태스크의 처리를 거부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S308. 사용자가 이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받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사전 결정된 처리 정책 또는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그 태스크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이 태스크는 직접 처리될 수도 있다.
S309.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정책 또는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태스크가 처리된 후에, 처리할 다른 태스크가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약 이러한 태스크가 있다면, 단계 S305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하고, 그러한 태스크가 없다면, 모든 태스크가 처리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단말 장치의 현재의 상태가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S401. 판정 조건이 단말 장치에 설정된다. 판정 조건은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1) 비정상 상황의 발생을 판정하는 조건. 즉, 태스크에 대한 트리거링 시간에, 단말 장치는 오프 상태에 있다.
(2) 영향을 받은 태스크의 판정 조건. 즉, 단말 장치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처리되었어야 하는 태스크.
(3) 장치가 자동으로 턴온되게 하는 조건.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비행 모드에 있을 때에만 단말 장치가 자동으로 턴온될 수 없다.
(4) 관련 태스크가 실행될 수 있는 판정 조건. 예를 들면, 배터리의 현재의 전기량이 그 용량의 5% 위에 있거나 신호의 세기가 제한될 때에만 실행이 허용된다.
(5) 처리 규칙. 처리 규칙은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즉, 서버에 의해 전달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처리 규칙)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디폴트 방식에 따라서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버에 의해 전달된 처리 정책은 태스크의 즉시 처리, 처리 연기 또는 처리 취소 및 서버로의 보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형 1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의 즉시 처리 또는 처리의 취소 또는 소정 시간까지 태스크의 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유형 2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없다. 유형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태스크의 즉시 처리 또는 처리 취소를 선택할 수 있다. 유형 4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어떠한 선택도 할 수 없고 단말 장치가 직접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다.
유형 1, 2 또는 3의 태스크에 대하여, 사용자는 미리 처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태스크를 처리할 때, 사용자에게 다시 선택하게 하는 대신에 사전 결정된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가 직접 그 태스크를 처리할 것이 다.
S402. 위 판정 조건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는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후속 동작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때 이를 통지하지 않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사용자가 판정 조건을 활성화하면, 비정상 상황의 발생의 감시가 시작된다.
S403.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9:00 시에 DMS에게 단말 장치의 현 위치에 대하여 보고하는 태스크를 설정하였지만, 단말 장치가 19:00 시에 오프 상태에 있다. 분명히 19:00 시에 처리되었어야 하는 태스크가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S404. 턴온 상태가 현재 만족되는 지를 단말 장치가 검사한다.
S405. 사용자가 비행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자동으로 턴온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그 후, 단말 장치는 배터리 상태가 허용하면 자동으로 턴온된다.
S406. 단말 장치가 턴온된 후에, 단말 장치는 태스크를 처리한 상황이 만족되는 지를 판단한다.
S407. 단말 장치의 배터리 상황이 허용하면 그리고 신호의 세기가 태스크 처리 요건을 만족하면 처리될 태스크들 중 하나가 선택된다.
S408. 사용자가 사전 결정된 판정 조건 및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되는 지 판정된다.
S409.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받으면(즉, 사용자 허가가 필요하면),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게 그 태스크에 대한 트리거 시간 범위를 선택하게 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태스크가 유형 1이면, 사용자는 즉시 그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않거나 또는 이 처리를 나중으로 연기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S410. 사용자가 이 상호작용을 하도록 요구받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 또는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그 태스크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는 DMS로 직접 전송된다.
S41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 또는 디폴트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태스크가 처리된 후에, 처리할 다른 태스크가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약 이러한 태스크가 있다면, 단계 S407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그러한 태스크가 없다면, 모든 태스크가 처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단계 S412가 실행된다.
S412. 단말 장치가 자동으로 턴오프된다.
OMA DM 사양서는 DM 시스템의 전체 구성, 프로토콜 및 통신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장치 관리에서의 보안 문제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를 통해, 스케줄러 태스크를 전송하기 위한 DM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 관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은 상호 접속된 단말 장치들(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장치 관리 서버(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장치 관리 서버는 DM 프로토콜을 통해 통 신 장치들과 통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 및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이들은 순서대로 접속된다. 장치 관리 서버는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은 DM 프로토콜을 통해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과 통신한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 및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장치 관리 서버는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은 DM 프로토콜을 통해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과 통신한다.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은 단말 장치로 태스크를 할당하고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결과 및 실행 결과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은 DM 프로토콜을 통해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전송되고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고,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실행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스케줄러 태스크는 태스크 인스톨/설정, 태스크 상황 감시, 트리거링된 태스크 제어를 포함한다. 이 모듈은 또한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결과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은 단말 장치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러 태 스크의 (시간, 이벤트 등을 포함하는)실행 상태에 기초하여 태스크의 실행 동안에 비정상 상황을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비정상 태스크를 처리하는 정책은 모듈에서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태스크에 대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처리는 중지되고, 그 결과가 DM 서버에 보고된다).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때,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은 사전 결정된 규칙 또는 디폴트 처리 정책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에 보고한다.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과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 및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장치 관리 서버에 처리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는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과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처리 결과를 직접 장치 관리 서버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장치 관리 서버와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은 장치 관리 서버와 단말 장치 사이에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즉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러 태스크를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로 전송하고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의 태스크 실행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의 상호작용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범위 및 균등물 내에 포함된다면,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장치 관리에서 태스크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상기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상기 스케줄러 태스크에 대한 처리 방식을 선택하게 하고 그 선택에 따라서 상기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기 위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판정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 및 동작을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판정 조건은 상기 단말 장치 에서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후 사전 결정된 기간 내에 실행되는 상기 스케줄러 태스크가 상기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인 상태를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처리 규칙은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 디폴트 처리 정책을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은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전달된 처리 정책 및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처리 정책을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는 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턴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시간을 조정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동작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현재의 시간을 시작 시간으로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턴온된 후,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오프 상태의 기간 동안 처리되지 않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시간을 조정한 후에,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시간 조정으로 인한 점핑 기간 동안 처리되지 않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판정하는
    태스크 처리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처리 방법은 즉시 태스크 처리, 처리 연기 또는 처리 취소를 포함하고, 대응 처리 방식은 상기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해 제공되는
    태스크 처리 방법.
  14.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태스크를 전달하고 태스크 실행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치 관리 서버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는 태스크 처리 조건에 따라서 대응 태스크를 처리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이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식별하고, 처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줄러 태스크를 처리하며, 처리 결과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로 보내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설정된 태스크 실행 조건에 따라서 대응 태스크를 처리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이 상기 스케줄러 태스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때 상기 처리 정책에 따라 상기 영향을 받은 스케줄러 태스크를 식별하고 처리한 후,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보고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에 비정상 태스크 처리 정책이 설정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는 태스크를 단말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호작용 결과 및 실행 결과를 처리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프레임워크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18. 단말 장치에 있어서,
    장치 관리 서버에 의해 전달된 태스크를 처리하고 실행 결과를 보고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과,
    상기 장치 관리 서버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상기 장치 관리 서버와 상기 단말 장치 사이에서 상호작용 신호를 보내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과,
    태스크의 실행을 감시하고, 사전에 정해진 태스크 실행 조건에 따라서 대응하는 태스크를 처리하며,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처리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처리한 다음 그 처리 결과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에 보고하는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은 상기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태스크 처리 모듈 및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보고하거나,
    상기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은 상기 처리 결과를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직접 보고하는
    단말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태스크 비정상 처리 모듈에서 비정상 태스크 처리 정책이 설정되는
    단말 장치.
KR1020077011325A 2005-06-30 2006-06-26 태스크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 KR100897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 200510080264 CN1794856A (zh) 2005-06-30 2005-06-30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
CN200510080264.3 2005-06-30
CNA2006100666516A CN1859217A (zh) 2005-06-30 2006-04-17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CN200610066651.6 2006-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55A KR20070084355A (ko) 2007-08-24
KR100897557B1 true KR100897557B1 (ko) 2009-05-15

Family

ID=3729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325A KR100897557B1 (ko) 2005-06-30 2006-06-26 태스크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75141B2 (ko)
JP (1) JP5086097B2 (ko)
KR (1) KR100897557B1 (ko)
CN (1) CN1859217A (ko)
WO (1) WO20070031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749A (ko) * 2017-04-28 2019-07-23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서비스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59217A (zh) 2005-06-30 2006-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KR20070108432A (ko) * 2006-01-23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관리 스케줄링 방법
KR101342372B1 (ko) * 2006-01-23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 단말에서의 장치관리 스케줄링 방법
US8104037B2 (en) 2006-01-23 2012-01-24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device management scheduled based on threshold
KR101349805B1 (ko) 2006-01-25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랩 메커니즘을 이용한 장치관리 스케줄링 방법 및 그단말
JP2009539149A (ja) * 2006-04-17 2009-11-12 華為技術有限公司 装置管理におけるタスク処理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機器
US8794496B2 (en) * 2006-09-11 2014-08-05 Covidien Lp Rotating knob locking mechanism for surgical stapling device
KR101324222B1 (ko) 2008-09-04 2013-11-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US8276147B2 (en) * 2009-10-16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Low synchronization means of scheduler finalization
CN103430146A (zh) * 2011-03-08 2013-12-0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计算系统中的任务控制
CN103095932B (zh) * 2011-11-01 2014-10-22 北京瓦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省电的方法和装置
KR101470744B1 (ko) * 2013-07-05 2014-12-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프로세스 관리 방법
US9329937B1 (en) * 2013-12-31 2016-05-03 Google Inc. High availability architecture
US9887857B2 (en) * 2014-05-1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cheduling management operation on devices in a home network
CN106708481B (zh) * 2015-07-30 2021-06-29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任务执行的方法
CN107920360B (zh) * 2016-10-08 2022-07-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网络问题的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639A (ko) * 2005-04-01 2006-10-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3569A (en) * 1987-09-14 1989-03-17 Yamaha Corp Synchronizing signal fetching circuit
JP3019934B2 (ja) * 1991-05-01 2000-03-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US5650940A (en) * 1991-10-25 1997-07-22 Kabushiki Kaisha Toshiba Process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upervision
US5748892A (en) * 1996-03-25 1998-05-05 Citri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ient managed flow control on a limited memory computer system
JP3045981B2 (ja) * 1997-08-26 2000-05-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及びパラメータ設定方法
US6418309B1 (en) 1997-10-22 2002-07-09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settings of a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s device during a meeting
AU2001242789A1 (en) 2000-03-27 2001-10-08 Sanyo Electric Co., Ltd. Data distribution terminal, menu server, and distribution reservation system using them
US6748447B1 (en) * 2000-04-07 2004-06-08 Network Applia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network
JP2002041311A (ja) * 2000-07-28 2002-02-08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2077377A (ja) * 2000-08-29 2002-03-15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消費電力抑制方法
JP2002236626A (ja) * 2000-12-06 2002-08-23 Site Rock Corp サイト監視方法、および、サイト監視システム
JP2002259650A (ja) * 2001-03-02 200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ケジュール調整方法、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JP2002291027A (ja) * 2001-03-27 2002-10-04 Ntt Docomo Inc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端末の電源off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JP2002314711A (ja) * 2001-04-12 2002-10-25 Hitachi Maxell Ltd 携帯式小型電気機器
JP2003032172A (ja) 2001-07-13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353528A1 (en) 2002-04-11 2003-10-15 Alcatel A method for exchanging text messages of limited size, a short message server, a terminal and a program module therefore
US20030214657A1 (en) * 2002-05-14 2003-11-20 Stringham Gary Glen Task scheduling and automated task performance in printers
US7685269B1 (en) * 2002-12-20 2010-03-23 Symantec Operating Corporation Service-level monitoring for storage applications
JP4852226B2 (ja) 2002-12-27 2012-0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監視システム
CN1512383A (zh) 2002-12-27 2004-07-1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计算机可执行的自发性引导学习系统及方法
US7443767B2 (en) * 2003-01-09 2008-10-28 Avay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a schedule
US20040148419A1 (en) 2003-01-23 2004-07-29 Chen Yancy T.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user entertainment
US20040178987A1 (en) 2003-03-13 2004-09-16 Chen Yancy T. Remote-controlled variable-function or multi-fun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40181706A1 (en) 2003-03-13 2004-09-16 Chen Yancy T. Time-controlled variable-function or multi-function apparatus and methods
JP2004318763A (ja) * 2003-04-21 2004-11-11 Nec Corp ジョブ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4255317B2 (ja) * 2003-06-03 2009-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運用監視方法及び実施システム並びに処理プログラム
JP2005031771A (ja) * 2003-07-08 2005-02-03 Hitachi Ltd ジョブスケジューリング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7197635B2 (en) * 2003-09-04 2007-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dated time at a data processing system
US8405846B2 (en) * 2003-09-10 2013-03-2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device job history
CN1622522A (zh) * 2003-11-28 2005-06-0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信息设备管理方法及系统
CN1331046C (zh) 2004-03-24 2007-08-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完成定时任务的方法
KR100641238B1 (ko) * 2004-07-0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장치관리 명령스케줄링 방법
TWI276063B (en) 2004-09-10 2007-03-11 Lite On It Corp Method for promoting success probability of system when executing time-related reservation task
US20060080656A1 (en) * 2004-10-12 2006-04-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instructions for patch management
US20060101290A1 (en) * 2004-11-06 2006-05-11 Yu-Ming Ma Method for multiple scheduled computer powers-on
ATE418836T1 (de) 2005-03-21 2009-01-1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obiles klientgerät und system mit unterstützung von fernverwaltungsgeräten
KR100764791B1 (ko) 2005-04-08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장치관리 스케줄링방법
US7827560B2 (en) 2005-05-11 2010-1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and method for time controlled program execution
CN101194466A (zh) 2005-06-30 2008-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CN101013969B (zh) 2005-06-30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CN1794856A (zh) 2005-06-30 2006-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
CN1859217A (zh) 2005-06-30 2006-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639A (ko) * 2005-04-01 2006-10-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749A (ko) * 2017-04-28 2019-07-23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서비스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68940B1 (ko) 2017-04-28 2021-06-28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서비스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9217A (zh) 2006-11-08
US20070011681A1 (en) 2007-01-11
JP2008524731A (ja) 2008-07-10
US8875141B2 (en) 2014-10-28
KR20070084355A (ko) 2007-08-24
US9348647B2 (en) 2016-05-24
US20150012922A1 (en) 2015-01-08
JP5086097B2 (ja) 2012-11-28
WO2007003106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557B1 (ko) 태스크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
KR101024435B1 (ko) 장치 관리에서 스케쥴링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2883464A (zh) 一种Gx接口资源释放方法及装置
CN104898435B (zh) 家庭服务系统及其故障处理方法、家电设备、服务器
CN107845008B (zh) 信息接收控制方法及装置
CN110633094B (zh) 一种电力终端远程升级方法、主站以及电力系统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CN110809262B (zh) 一种基于coap协议的物联网设备运维管理方法
EP3263407B1 (en)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dem for vehicle in order to prevent battery dischar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1013969B (zh)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KR20080111525A (ko) 장치 관리에서의 태스크 처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WO2011035639A1 (zh) 升级保护方法及装置
CN105763365B (zh) 一种异常处理方法及装置
CN101883104A (zh) 一种监控轮切方法及其装置和系统
JP5028979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エージェント
CN100586076C (zh) 一种网管系统中接口挂起的方法
CN101194466A (zh) 一种设备管理中处理任务的方法、系统及装置
CN105681436A (zh) 控制端与物联网设备之间基于alljoyn协议的通信方法
US9313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fail protec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ower controller
EP3550931B1 (en) Use of a user equipment connected to a mobile network, in which the user equipment uses an access point name for home operator services
KR101217657B1 (ko) Autosar 기반의 can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EP2424292A1 (en) Method and system with improved disaster recovery capability
JP2024006302A (ja) 燃料電池ユニットの管理システム
CN118054929A (zh) 流量优化方法、装置、控制器、交换机及存储介质
EP43678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related signaling in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