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904B1 -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904B1
KR100895904B1 KR1020070094719A KR20070094719A KR100895904B1 KR 100895904 B1 KR100895904 B1 KR 100895904B1 KR 1020070094719 A KR1020070094719 A KR 1020070094719A KR 20070094719 A KR20070094719 A KR 20070094719A KR 100895904 B1 KR100895904 B1 KR 10089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up
core
core substrat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61A (ko
Inventor
이봉원
Original Assignee
에센하이텍(주)
이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센하이텍(주), 이봉원 filed Critical 에센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07009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9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기판의 상면과 하면에 절연층이 위치한 레이업기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려 적층된 상태로 투입되며 투입된 레이업기판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장치와 이 리프팅장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적층된 레이업기판 중 최상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1레이업기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이 제1레이업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2레이업기판과 분리하는 지그재그분리장치 및 분리된 제1레이업기판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이 지그재그분리장치는, 제2레이업기판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누름판과 제1레이업기판과 제2레이업기판의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 및 이 분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레이업기판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척커를 포함하는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에 따르면, 지그재그로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분리된 레이업기판을 정해진 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직선으로 적층된 코어기판도 한 장씩 분리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코어기판의 분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쇄회로기판, 코어기판, 레이업기판, 적층, 분리

Description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Layup Board and Core Board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장비에 재료기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은 한쪽면만 도체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인 단면 인쇄회로기판(SINGLE-SIDE PRINTED CIRCUIT BOARD or ONE-SIDE PRINTED CIRCUIT BOARD)과 기판의 양쪽면에 도체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인 양면 인쇄회로기판 (DOUBLE(BOTH)-SIDE PRINTED CIRCUIT BOARD)과 기판의 표면양쪽은 물론이고 내층에도 도체회로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인 다층 인쇄회로기판(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있다.
근래,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기능화가 점점 촉진되면서, 이로 인하여 회로기판에 대한 고밀도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회로기판의 고밀도화를 위하여 다층 인쇄회로기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다층 인쇄회로기판은 내부에 코어기판이 위치하며 이 코어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는 프리프레그 재질의 절연층이 위치한다.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조장비에는 코어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절연층이 위치한 상태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코어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절연층이 위치한 기판인 레이업기판은 코어기판과 절연층이 아직 접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지그재그 형태로 엇결려서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레이업기판을 구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엇갈려서 적층된 레이업기판은 수작업으로 분리하여 제조장비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며 공급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정확한 위치로 레이업기판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워 공급불량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는 코어기판의 상면과 하면에 절연층이 위치한 레이업기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려 적층된 상태로 투입되며, 투입된 레이업기판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장치; 상기 리프팅장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적층된 레이업기판 중 최상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1레이업기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제1레이업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2레이업기판과 분리하는 지그재그분리장치; 및 상기 분리된 제1레이업기판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재그분리장치는, 상기 제2레이업기판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누름판, 상기 제1레이업기판과 제2레이업기판의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위치한 제1레이업기판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척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으로 이송된 레이업기판의 후측 끝단부와 접하는 후측스토퍼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방으로 이송된 코어의 후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는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 및 상기 후방으로 이송된 레이업기판의 좌측 끝단부를 압착 고정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리프팅장치로 코어기판이 투입되는 경우, 적층된 코어기판 중 최상층에 위치한 코어기판인 제1코어기판을 진공흡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코어기판분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코어기판과 상기 제1코어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코어기판인 제2코어기판의 사이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코어기판과 제2코어기판 사이의 정전기 및 마찰을 감소시키는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에 따르면, 지그재그로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분리된 레이업기판을 정해진 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직선으로 적층된 코어기판도 한 장씩 분리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코어기판의 분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 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그재그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리프팅장치(110),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 이송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장치(110)는 지그재그형태로 엇갈려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가 위치한 상부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적층된 레이업기판 중 상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이 분리되어 이송될 때마다 상부로 이동하여 적층된 레이업기판이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는 리프팅장치(110)의 좌측과 우측에 2개가 서로 대칭으로 위치한다. 이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는 지그재그형태로 엇갈려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한 장씩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11에는 상기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가 지그재그로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지그재그분리장치(120)가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 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된 레이업기판 중에서 최상층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1레이업기판(10)의 하부에 위치한 제2레이업기판(15)의 상면을 누름판(1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압착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판(121)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의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분리판(121)은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의 사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단부가 뾰족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리판(121)이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의 일단부가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척커(12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분리판(12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 제1레이업기판(10)의 일단부를 압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판(121)과 척커(123)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판(121)과 척커(123)에 의하여 고정된 제1레이업기판(1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2레이업기판(15)의 타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누름판(132)이 상기 제2레이업기판(15)의 노출된 부분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분리판(131)이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의 타단부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레이업기판(10)과 제2레이업기판(15)은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제1레이업기판(10)의 타단부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척커(13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착고정한다. 이와 같이 일단부와 타단부가 모두 고정된 제1레이업기판(10)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여 제2레이업기판(15)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레이업기판(10)을 하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들의 중앙부(C)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중앙부(C)로 이동된 제1레이업기판(10)은 제2레이업기판(15)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송장치(150)가 삽입되고 이 이송장치(150)에 실려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장치(150)가 다수의 바(bar)로 형성된 받침대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을 실어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지그재그로 적층된 레이업기판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상기 이송장치(150)에 의하여 이송되는 제1레이업기판(10)을 정해진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160) 및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로 상기 전후방형위치결정장치(160) 및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1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160)에 대하여 설 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재그분리장치(120,130)에 의하여 분리된 제1레이업기판(10)의 하부로 이송장치(150)가 이동하면 고정장치(151)가 하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을 이송장치(150)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장치(151)는 도 13 및 도 14에 T자모양의 막대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고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면, 이송장치(1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레이업기판(10)을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장치(1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장치(151)는 상부로 회동하여 제1레이업기판(1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고정이 해제된 제1레이업기판(10)은 후방끝단부가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160)의 스토퍼(161,162)에 접하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161,162)에 의하여 전후방향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61,16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의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스토퍼(161,162)에 의하여 제1레이업기판(10)의 후방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제1레이업기판(1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이송장치(150)에 실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17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170)는 후방으로 이송된 제1레 이업기판(10)의 좌측에 위치한 압착고정장치(171,172)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고정장치(171,172)는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의 좌측 끝단부를 압착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압착고정장치(171,17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압착고정장치(171,172)는 정해진 위치만큼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의 좌우방향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도 17에서는 압착고정장치(171,172)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도하게 이동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170)는 제1레이업기판(10)을 좌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레이업기판(1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이송장치(150)에 실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방위치결정장치(160) 및 좌우측위치결정장치(170)에 의하여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분리된 레이업기판을 정해진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정해진 위치로 이송된 레이업기판은 이송척킹장치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제조장치의 적층부로 최종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척킹장치는 양측에 척커가 위치하며 이 척커가 레이업기판의 양측을 척킹하여 들어올려 이송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척킹장치는 슬라이딩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이업기판을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코어기판만 적층 되어 공급되는 경우에도 적층된 코어기판을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코어기판분리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기판분리장치(140)는 하부 양측에 다수의 진공흡착노즐(141)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코어기판분리장치(140)는 하부로 이동하여 최상층에 위치한 코어기판인 제1코어기판(20)을 진공흡착한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어기판분리장치(14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코어기판(20)을 분리해낸다.
이와 같이 코어기판분리장치(140)에 의하여 분리된 제1코어기판(20)은 상기 제1레이업기판(10)과 마찬가지로 이송장치(150)에 의하여 이송되며,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160) 및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170)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된다.
즉,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지그재그로 적층된 레이업기판 뿐만 아니라 일직선으로 적층된 코어기판도 한 장씩 분리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100)는 에어노즐(11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노즐(115)은 리프팅장치(110)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어기판(20)과 상기 제1코어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코어기판인 제2코어기판(25)의 사이에 공기를 분사한다.
일직선으로 적층된 코어기판은 정전기 및 마찰에 의하여 서로 인접한 코어기 판끼리 붙어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코어기판(20)과 제2코어기판(25)의 사이로 공기를 분사하여 제1코어기판(20)과 제2코어기판(25) 사이의 정전기 및 마찰 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코어기판의 분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그재그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지그재그분리장치가 레이업기판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코어기판분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110...리프팅장치 115...에어노즐
120,130...지그재그분리장치 121,131...분리판
122,132...누름판 123,133...척커
140...코어기판분리장치 141...진공흡착노즐
150...이송장치 151...고정장치
160...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 161,162...스토퍼
170...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 171,172...압착고정장치

Claims (4)

  1. 코어기판의 상면과 하면에 절연층이 위치한 레이업기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려 적층된 상태로 투입되며, 투입된 레이업기판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장치;
    상기 리프팅장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적층된 레이업기판 중 최상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1레이업기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제1레이업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레이업기판인 제2레이업기판과 분리하는 지그재그분리장치; 및
    상기 분리된 제1레이업기판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재그분리장치는,
    상기 제2레이업기판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누름판,
    상기 제1레이업기판과 제2레이업기판의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위치한 제1레이업기판을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척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으로 이송된 레이업기판의 후측 끝단부와 접하는 후측스토퍼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방으로 이송된 코어의 후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는 전후방향위치결정장치; 및
    상기 후방으로 이송된 레이업기판의 좌측 끝단부를 압착고정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위치결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장치로 코어기판이 투입되는 경우, 적층된 코어기판 중 최상층에 위치한 코어기판인 제1코어기판을 진공흡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코어기판분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기판과 상기 제1코어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코어기판인 제2코어기판의 사이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코어기판과 제2코어기판 사이의 정전기 및 마찰을 감소시키는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KR1020070094719A 2007-09-18 2007-09-18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KR10089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19A KR100895904B1 (ko) 2007-09-18 2007-09-18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19A KR100895904B1 (ko) 2007-09-18 2007-09-18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61A KR20090029461A (ko) 2009-03-23
KR100895904B1 true KR100895904B1 (ko) 2009-05-04

Family

ID=4069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19A KR100895904B1 (ko) 2007-09-18 2007-09-18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003B1 (ko) 2013-04-02 2015-01-29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13B1 (ko) * 2009-09-16 2012-05-22 (주)제이케이씨코리아 스티프너 필름 부착장치
KR101362331B1 (ko) * 2012-10-24 2014-02-21 배석근 판넬 자동 분리장치
KR101542445B1 (ko) * 2015-02-17 2015-08-18 김창욱 폐 조립식 판넬의 재활용 장치
CN110340826A (zh) * 2019-07-22 2019-10-18 昆山华誉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叠芯定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34A (ja) 1986-06-24 1988-01-13 C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の供給方法と装置
JPH0266031A (ja) * 1988-08-30 1990-03-06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束供給装置
KR20000007658A (ko) * 1998-07-06 2000-02-07 윤종용 스테이터 코어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34A (ja) 1986-06-24 1988-01-13 C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の供給方法と装置
JPH0266031A (ja) * 1988-08-30 1990-03-06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束供給装置
KR20000007658A (ko) * 1998-07-06 2000-02-07 윤종용 스테이터 코어 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003B1 (ko) 2013-04-02 2015-01-29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61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904B1 (ko)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KR101345994B1 (ko)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JP201005618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KR101268121B1 (ko) 레이업기판 자동 분리 공급장치
KR101327404B1 (ko) 습식 라미네이터
KR102077162B1 (ko)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JP2012004209A (ja) 電子部品実装方法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並びにバックアップピン段取り方法
TWI351375B (en) Support
KR102550166B1 (ko) 기판 이송 장치
KR100940015B1 (ko) 시트적층장치
JP4042233B2 (ja) シート材料分離供給装置
KR100895905B1 (ko)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JPH0774048B2 (ja) 吸着装置
KR100619530B1 (ko) 자동 레이업 시스템
JP4361832B2 (ja) 表面実装機
KR101393484B1 (ko) 다층기판 레이업용 가이드핀 제거장치
KR101991382B1 (ko) 회로기판 점착테이프 이형지의 분리 장치
KR101643386B1 (ko) 자동광학 검사장비용 기판 공급 및 취출장치
JP7133041B2 (ja) 搬送装置
KR200463180Y1 (ko) 기판 클리닝 장치
KR100638559B1 (ko) 다층회로기판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183932Y1 (ko) 피시비 다열공급장치
CN215046922U (zh) 移料装置及加工设备
KR200405736Y1 (ko) 동박적층판 레이업장치
CN114261763A (zh) Pp自动组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