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298B1 - 양면 이미지 스캐너 - Google Patents

양면 이미지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98B1
KR100893298B1 KR1020070044639A KR20070044639A KR100893298B1 KR 100893298 B1 KR100893298 B1 KR 100893298B1 KR 1020070044639 A KR1020070044639 A KR 1020070044639A KR 20070044639 A KR20070044639 A KR 20070044639A KR 100893298 B1 KR100893298 B1 KR 10089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edium
way roll
scanning line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043A (ko
Inventor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98B1/ko
Priority to US12/113,805 priority patent/US7916361B2/en
Publication of KR2008009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7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part of a loop, e.g. using a retur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1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from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2Pat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의 양면으로부터 이미지를 스캐닝할 수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투웨이롤피드, 원웨이롤피드와 이미지센서로 구성된다. 프레임은 매체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을 가지고, 트랙은 매체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출입구, 스캐닝라인과 서킷라인을 갖는다. 서킷라인은 스캐닝라인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매체를 스캐닝라인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스캐닝라인과 합류되는 합류지점과 이 합류지점을 기준으로 매체가 스캐닝라인으로부터 들어오는 입구와 매체가 스캐닝라인으로 나가는 출구를 갖는다. 원웨이롤피드는 프레임에 스캐닝라인을 따라 매체를 일방향과 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원웨이롤피드는 프레임의 일면에 서킷라인을 따라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구동장치는 프레임에 투웨이롤피드와 웬웨이롤피드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미지센서는 스캐닝라인을 따라 로딩되는 매체의 표면과 이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언로딩되는 매체의 다른 하나의 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매체의 표면과 이면으로부터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모터와 단일의 이미지센서가 적용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면 이미지 스캐너{DOUBLE SIDE IMAGE SC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의 트랙, 로딩장치, 구동장치, 이미지센서, 자기잉크문자판독기와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서 매체의 로딩 시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서 매체의 언로딩 시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서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서 구동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서 다른 예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14: 펜스
16: 트랙 18: 출입구
20: 스캐닝라인 22: 서킷라인
24: 합류지점 30: 로딩장치
32: 제1 투웨이롤피드 34: 제2 투웨이롤피드
40: 제1 원웨이롤피드 42: 제2 원웨이롤피드
44: 제3 원웨이롤피드 46: 제4 원웨이롤피드
50, 250: 구동장치 52, 252: 모터
60, 260: 제1 기어장치 70, 270: 제2 기어장치
80: 스토퍼 90, 290: 벨트전동장치
100: 디버터 110: 이미지센서
112: 아이들러 120: 자기잉크문자판독기
130: 프린터 140: 제1 센서
142: 제2 센서 144: 제3 센서
146: 제4 센서 150: 마이크로컨트롤러
본 발명은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이미 지센서에 의하여 매체의 양면으로부터 이미지를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스캐너는 문서, 도면, 사진, 필름, 수표, 증권 등의 다양한 매체를 광학적으로 스캐닝하고, 매체의 반사광이나 투과광의 강도를 계측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입력하는 화상입력장치이다. 이미지 스캐너는 이미지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컴퓨터에 인터페이스(Interface)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7149012호의 이미지 스캐너는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 위에 놓여있는 매체에 대하여 이미지센서, 예를 들어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나 아모르퍼스 반도체(Amorphous Semiconductor)를 이동시켜 매체의 표면을 스캐닝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의 이면을 스캐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매체를 뒤집어서 다시 윈도우 글래스 위에 로딩(Loading)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스캐닝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6/0256391A1호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가이드 트랙(Guide Track)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두 개의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매체를 복수의 롤피드(Roll Feed)들의 작동에 의하여 로딩(Loading)하면서 매체의 양면을 스캐닝하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 트랙의 양측에 두 개의 이미지센서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 및 조립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생산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매체의 표면과 이면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모터와 단일의 이미지센서가 적용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면과 타면을 가지며, 일면에 표면, 이면, 이송방향선단과 이송방향후단을 갖는 매체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을 가지고, 트랙은 매체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출입구와 출입구에 매체의 스캐닝을 위하여 연결되어 있는 스캐닝라인과 스캐닝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서킷라인을 가지며, 서킷라인은 스캐닝라인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매체를 스캐닝라인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스캐닝라인과 합류되는 합류지점과 이 합류지점을 기준으로 매체가 스캐닝라인으로부터 들어오는 입구와 매체가 스캐닝라인으로 나가는 출구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면에 스캐닝라인을 따라 매체가 로딩되는 일방향과 매체가 언로딩되는 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매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프레임의 일면에 서킷라인을 따라 매체가 로딩되는 일방향으로 매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와;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하나 이상의 웬웨이롤피드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수단과; 프레임의 일면에 스캐닝라인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스캐닝라인을 따라 로딩되는 매체의 표면과 이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언로딩되는 매체의 다른 하나의 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의 일면에 한 쌍의 펜스(Fence: 12, 14)들이 유연성을 갖는 매체(2)의 이송을 안내하는 트랙(Track: 16)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트랙(16)은 출입구(18), 스캐닝라인(Scanning Line: 20)과 서킷라인(Circuit Line: 22)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랙(16)의 출입구(18)는 사용자가 매체(2)를 쉽게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일측 가장자리에 근접되어 있다. 스캐닝라인(20)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매체(2)의 이미지를 스캐닝할 수 있는 구간을 제공하도록 출입구(18)와 연결되어 있다.
서킷라인(22)은 스캐닝라인(20)에 대하여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서킷라인(22)은 스캐닝라인(20)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매체(2)를 스캐닝라인(20)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스캐닝라인(20)과 합류되는 합류지점(24)을 가지며, 합 류지점(24)을 기준으로 매체(2)가 들어오는 입구(26)와 매체(2)가 나가는 출구(28)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에 서킷라인(22)은 프레임(10)의 일면에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모퉁이는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서킷라인(22)의 형상은 스캐닝라인(20)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매체(2)를 스캐닝라인(20)으로 원활하게 돌려보낼 수 있는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의 일면에 트랙(16)을 따라 매체(2)를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로딩장치(30)를 구비한다. 로딩장치(30)는 트랙(16)의 양방향으로 매체(2)를 이송하기 위하여 스캐닝라인(20)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Two-way Roll Feed: 32, 34)와 트랙(16)의 일방향으로 매체(2)를 이송하기 위하여 서킷라인(22)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One-way Roll Feed: 40, 42, 44, 46)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투웨이롤피드(32)는 출입구(18)와 인접하는 스캐닝라인(20)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투웨이롤피드(34)는 합류지점(24)과 근접하는 스캐닝라인(2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 사이의 거리는 매체(2)의 길이보다 짧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 및 이송방향후단(2b)은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 각각에 동시에 물리게 된다. 제1 원웨이롤피드(40)는 합류지점(24)과 근접하는 서킷라인(22)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4 원웨이롤피드(46)는 합류지점(24)과 근접하는 서킷라인(2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원웨이롤피드(42)와 제3 원웨이롤피드(44)는 제1 원웨이롤피드(40)와 제4 원웨이롤피드(4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 중 서킷라인(2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원웨이롤피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원웨이롤피드(40, 42) 사이의 거리는 매체(2)의 길이보다 짧게 유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와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 각각은 매체(2)를 구름마찰에 의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Feed Roller: 32a, 34a, 40a, 42a, 44a, 46a)와 아이들롤러(Idle Roller: 32b, 34b, 40b, 42b, 44b, 46b)를 갖는다.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와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 각각의 개수 및 위치는 매체(2)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의 피드롤러(32a, 34a)와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의 피드롤러(40a, 42a, 44a, 46a)를 일괄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를 구비한다. 구동장치(50)는 모터(52), 제1 기어장치(60), 제2 기어장치(70), 벨트전동장치(9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52)는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양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기어장치(60)는 프레임(10)의 타면에 모터(52)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 각각의 피드롤러(32a, 34a)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원동기어(62), 제1 내지 제3 중간기어(64a, 64b, 64c)와 제1 및 제2 종동기어(66a, 66b)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2)의 구동력을 제1 기어장치(60)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 드(32, 34)의 피드롤러(32a, 34a)의 회전방향은 모터(52)의 구동방향과 반대방향이다. 원동기어(62)는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모터(52)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중간기어(64a)는 원동기어(6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중간기어(64b)는 제1 중간기어(64a)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중간기어(64a)에 연결되어 있고, 제3 중간기어(64c)는 제2 중간기어(64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종동기어(66a)는 제3 중간기어(64c)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투웨이롤피드(32)의 피드롤러(32a)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종동기어(66b)는 제3 중간기어(64c)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투웨이롤피드(34)의 피드롤러(34a)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기어장치(70)는 제1 기어장치(60)와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의 피드롤러(40a, 42a, 44a, 46a)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를 연결하여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의 피드롤러(32a, 34a)와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를 연동시킨다. 제2 기어장치(70)는 중간기어(72), 종동기어(74), 클러치기어(Clutch Gear: 76)와 클러치레버(Clutch Lever: 78)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기어(72)는 프레임(10)의 타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종동기어(74)는 중간기어(7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와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기어(76)는 제1 기어장치(60)의 제2 중간기어(64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중간기어(64b)의 주위를 공전하여 중간기어(72)와 종동기어(7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 록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기어(76)는 제2 중간기어(64b) 대신에 제1 중간기어(64a)에 맞물려 제1 중간기어(64a)의 회전력을 중간기어(72)와 종동기어(7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레버(78)는 제2 중간기어(64b)의 중심에 대하여 클러치기어(76)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제2 중간기어(64b)와 클러치기어(76)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기어장치(70)는 제2 중간기어(64b)에 대하여 클러치기어(76)의 공전위치를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 80)를 구비한다. 스토퍼(80)는 프레임(10)의 타면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80)의 일측에 일단 내면(82a)과 타단 내면(82b)을 갖는 슬롯(Slot: 82)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기어(76)의 축(76a)은 스토퍼(80)의 슬롯(82)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클러치기어(76)의 축(76a)이 슬롯(82)의 일단 내면(82a)에 걸리면, 클러치기어(76)는 제2 중간기어(64b)와 종동기어(74)에 맞물리고, 중간기어(72)와 클러치기어(76)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클러치기어(76)의 축(76a)이 슬롯(82)의 타단 내면(82b)에 걸리면, 클러치기어(76)는 제2 중간기어(64b)와 중간기어(72)에 맞물리고, 종동기어(74)와 클러치기어(76)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벨트전동장치(90)는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전동장치(90)는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 각각의 피드롤러(40a, 42a, 44a, 46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풀리(92a, 92b, 92c, 92d)와 제1 내지 제4 풀리(92a, 92b, 92c, 92d)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94)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전동장치(90)는 벨트(94)의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벨트(94)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들러(Idler: 96)들을 구비한다. 아이들러(96)들은 제1 풀리(92a)와 제2 풀리(92b) 사이, 제3 풀리(92c)와 제4 풀리(92d) 사이의 두 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아이들러(96)들의 개수와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벨트전동장치(90)의 제1 내지 제4 풀리(92a, 92b, 92c, 92d)와 벨트(94) 각각은 타이밍풀리(Timing Pulley)와 타이밍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벨트전동장치(90)는 프레임(10)의 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의 일면에 스캐닝라인(20)으로부터 서킷라인(22)의 입구(26)로 매체(2)의 이송을 안내하고 서킷라인(22)의 출구(28)로부터 스캐닝라인(20)으로 매체(2)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디버터(Diverter: 100)를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버터(100)는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있는 축(102)을 중심으로 서킷라인(22)의 입구(26)를 개방하고 출구(28)를 폐쇄하는 제1 위치(P1)와 출구(28)를 개방하고 입구(26)를 폐쇄하는 제2 위치(P2)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버터(100)는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위치(P1)에 편향되어 있다. 스프링(104)은 축(102)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양단이 프레임(10)과 디버터(100) 각각에 걸려 있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의 일면에 스캐닝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매체(2)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장 착되어 있는 이미지센서(110)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이미지센서(110)는 펜스(12)의 일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미지센서(110)는 건너편 펜스(14)의 일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이들롤러(112)는 이미지센서(110)와 대향하는 위치의 프레임(10)의 일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이미지센서(110)의 표면에 매체(2)를 지지하여 밀착시킨다. 아이들롤러(112)는 모터(52)의 구동과 제1 기어장치(60)의 전동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피드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투웨이롤피드(34)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는 자기잉크문자판독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120)를 구비한다. 자기잉크문자판독기(120)는 매체(2)의 표면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잉크문자인식(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을 판독하기 위하여 서킷라인(22)을 따라 펜스(12)의 일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매체(2)의 일례로 우리나라의 금융기관에서 발행하는 수표의 앞면에는 금액, 지급지, 발행지, 발행 번호 및 연월일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 정보는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의 규정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수표의 앞면 하단에 자기잉크문자인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수표의 뒷면에는 거래자가 배서할 수 있는 서명란이 표시되어 있다. 수표의 앞면에 자기잉크문자인식 대신에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자기잉크문자판독기(120)는 광학문자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는 프린 터(Printer: 130)를 구비한다. 프린터(130)는 서킷라인(22)을 따라 펜스(14)의 일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트랙(16)을 따라 이송되는 매체(2)의 이면에 데이터를 인쇄한다. 프린터(130)는 잉크젯 프린터나 도트 프린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는 모터(52), 이미지센서(110), 자기잉크문자판독기(120)와 프린터(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제어수단은 제1 내지 제4 센서(140, 142, 144, 146)와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15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센서(140, 142, 144, 146)는 트랙(16)을 따라 이송하는 매체(2)의 감지를 위하여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140a, 142a, 144a, 146a)와, 발광소자(140a, 142a, 144a, 146a)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140b, 142b, 144b, 146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센서(140)는 제1 투웨이롤피드(32)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투웨이롤피드(32)의 피드롤러(32a)와 아이들롤러(32b) 사이를 지나는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을 감지한다. 제2 센서(142)는 이미지센서(110)의 상류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로딩되면서 이미지센서(110)를 향하여 접근되는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을 감지한다. 제3 센서(144)는 이미지센서(110)의 하류와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언로딩되면서 이미지센서(110)를 향하여 접근되는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을 감지한다. 제4 센서(146)는 서킷라인(22)의 출구(28)와 제4 원웨이롤피드(46) 사이에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을 감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제1 내지 제4 센서(140, 142, 144, 146)의 수광소자(140b, 142b, 144b, 146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52), 이미지센서(110), 자기잉크문자판독기(120)와 프린터(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이미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저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매체(2), 예를 들어 수표, 유가증권 등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의 호스트컴퓨터(Host Computer)에 온라인시스템(Online System)을 통하여 네크워킹(Networking)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6과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매체(2), 예를 들어 수표를 트랙(16)의 출입구(18)에 밀어넣게 되면, 매체(2)는 스캐닝라인(20)을 따라 진입되면서 제1 투웨이롤피드(32)의 피드롤러(32a)와 아이들롤러(32b) 사이와 제1 센서(140)의 발광소자(140a)와 수광소자(140b) 사이를 지나게 된다.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이 발광소자(140a)와 수광소자(140b) 사이를 지나면, 수광소자(140b)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150)에 입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수광소자(140b)의 오프 신호에 따라 구동장치(50)의 모터(52)를 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도 3과 도 7에 화살표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52)의 반시계방향 구동력은 제1 기어장치(60)의 원동기어(62), 제1 내지 제3 중간기어(64a, 64b, 64c), 제1 및 제2 종동기어(66a, 66b)에 의하여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 의 피드롤러(32a, 34a)에 각각 전달되고, 도 7에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드롤러(32a, 34a)는 모터(52)의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되는 피드롤러(32a)와 아이들롤러(32b)의 협동에 의하여 매체(2)의 로딩이 시작된다.
매체(2)의 로딩 시 클러치기어(76)는 제2 중간기어(64b)와 종동기어(74)에 맞물려 있게 된다. 모터(52)의 구동력은 제1 기어장치(60)의 원동기어(62), 제1 및 제2 중간기어(64b)와 제2 기어장치(70)의 클러치기어(76), 종동기어(74)에 의하여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에 전달되고, 도 7의 화살표 "D"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드롤러(46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피드롤러(46a)의 회전력은 벨트전동장치(90)의 제1 내지 제4 풀리(92a, 92b, 92c, 92d)와 벨트(94)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원웨이롤피드(40, 42, 44)의 피드롤러(40a, 42a, 44a)에 전달되고, 피드롤러(40a, 42a, 44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매체(2)는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의 피드롤러(32a, 34a)와 아이들롤러(32b, 34b)의 협동에 의하여 스캐닝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며,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은 제2 센서(142)에 의하여 감지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제2 센서(1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센서(110)를 작동시킨다. 매체(2)는 이미지센서(110)의 표면과 아이들롤러(112) 사이를 지나게 되며, 이미지센서(110)는 매체(2)의 표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이미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서킷라인(22)의 출구(28)는 디버터(10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로딩되는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은 개방되어 있는 입구(26)에 정확하고 원활하게 안내된다.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은 입구(26)를 통하여 서킷라인(22)으로 진입된 후,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의 피드롤러(40a, 42a, 44a, 46a)와 아이들롤러(40b, 42b, 44b, 46b)의 협동에 의하여 서킷라인(22)을 따라 이송된다. 매체(2)가 서킷라인(22)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자기잉크문자판독기(120)는 매체(2)의 표면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잉크문자인식을 읽어 출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자기잉크문자판독기(1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온라인시스템을 통하여 금융기관의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한다. 호스트컴퓨터는 마이크로컨트롤러(15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매체(2)의 진위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마이크로컨트롤러(150)에 전송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프린터(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매체(2)의 이면에 자기잉크문자인식의 처리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인쇄한다.
도 1, 도 4,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은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와 아이들롤러(46b)를 지나 제4 센서(146)에 의하여 감지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제4 센서(14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52)의 구동방향을 전환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하여 도 4와 도 9의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던 모터(52)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모터(52)의 시계방향 구동력은 제1 기어장치(60)의 원동기어(62), 제1 내지 제3 중간기어(64a, 64b, 64c), 제1 및 제2 종동기어(66a, 66b)에 의하여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의 피드롤러(32a, 34a)에 각각 전달되고, 도 9와 도 10의 화살표 "E"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드롤러(32a, 34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기어장치(60)의 제1 및 제2 중간기어(64a, 64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중간기어(64b)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제2 기어장치(70)의 클러치기어(76)는 제2 중간기어(64b)의 주위를 공전한다. 클러치기어(76)의 공전에 의하여 슬롯(82)의 일단 내면(82a)에 걸려있던 축(76a)은 슬롯(82)의 일단 내면(82a)으로부터 타단 내면(82b)으로 이동되어 타단 내면(82b)에 걸리며, 클러치기어(76)의 공전위치가 구속된다. 축(76a)이 타단 내면(82b)에 걸려있는 위치에서 종동기어(74)와 클러치기어(76)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중간기어(72)와 클러치기어(76)가 맞물린다. 제2 중간기어(64b)의 회전력은 클러치기어(76)와 중간기어(72)를 통하여 종동기어(74)에 전달되고, 종동기어(74), 벨트전동장치(90)의 제1 내지 제4 풀리(92a, 92b, 92c, 92d),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의 피드롤러(40a, 42a, 44a, 46a)는 모터(52)의 구동방향과 관계없이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은 디버터(100)에 접촉되고, 디버터(100)는 매체(2)의 이송력에 의하여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출구(28)를 개방함과 동시에 입구(26)를 폐쇄하여 매체(2)가 스캐닝라인(20)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은 제2 투웨이롤피드(34)의 피드롤러(34a)와 아이들롤러(34b)를 지나 제3 센서(144)에 의하여 감지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제3 센서(14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센서(110)를 작 동시킨다. 매체(2)는 이미지센서(110)의 표면과 아이들롤러(112) 사이를 지나게 되며, 이미지센서(110)는 매체(2)의 이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이미지센서(1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매체(2)는 이미지센서(110), 제2 센서(142), 제1 센서(140), 제1 투웨이롤피드(32)의 피드롤러(32a)와 아이들롤러(32b) 사이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언로딩된다.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이 트랙(16)의 출입구(18)를 지나면, 매체(2)의 이송방향후단(2b)은 제1 센서(140)에 의하여 감지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150)는 제1 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사용자는 트랙(16)의 출입구(18)를 통하여 빠져나와 있는 매체(2)의 이송방향선단(2a)을 잡아당겨 트랙(16)으로부터 매체(2)를 완전히 빼낸다.
도 11과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서 다른 예의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예의 구동장치(250)는 프레임(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투웨이롤피드(32, 34)의 피드롤러(32a, 34a)와 제1 내지 제4 원웨이롤피드(40, 42, 44, 46)의 피드롤러(40a, 42a, 44a, 46a)를 일괄적으로 회전시킨다. 구동장치(250)는 모터(252), 제1 기어장치(260), 제2 기어장치(270), 벨트전동장치(290)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252), 제1 기어장치(260)의 원동기어(262), 제1 내지 제3 중간기어(264a, 264b, 264c), 제1 및 제2 종동기어(266a, 266b)는 모터(52), 제1 기어장치(60)의 원동기어(62), 제1 내지 제3 중간기어(64a, 64b, 64c), 제1 및 제2 종동 기어(66a, 66b)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벨트전동장치(290)의 제1 내지 제4 풀리(292a, 292b, 292c, 292d), 벨트(294), 복수의 아이들러(296)들은 벨트전동장치(90)의 제1 내지 제4 풀리(92a, 92b, 92c, 92d), 벨트(94), 복수의 아이들러(96)들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기어장치(270)는 원동기어(272), 제1 중간기어(274), 제1 종동기어(276), 제1 원웨이클러치베어링(One-way Clutch Bearing: 278), 제2 중간기어(280), 제2 종동기어(282)와 제2 원웨이클러치베어링(2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동기어(272)는 프레임(10)의 타면에 제1 기어장치(260)의 제1 및 제2 중간기어(264a, 264b)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2 중간기어(264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중간기어(274)는 원동기어(272)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동기어(272)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종동기어(276)는 제1 중간기어(274)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8)은 모터(252)의 반시계방향 구동 시 제1 종동기어(276)의 회전력이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에 전달되도록 제1 종동기어(276)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252)의 시계방향 구동 시 제1 종동기어(276)의 회전력은 제1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8)에 의하여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에 전달되지 못하고, 제1 종동기어(276)는 공회전(Idling)된다. 제2 중간기어(280)는 프레임(10)의 타면에 원동기어(27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 종동기어(282)는 제2 중간기어(28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 러(46a)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원웨이클러치베어링(284)은 모터(252)의 시계방향 구동 시 제2 종동기어(282)의 회전력이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에 전달되도록 제2 종동기어(282)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252)의 반시계방향 구동 시 제2 종동기어(282)의 회전력은 제2 원웨이클러치베어링(284)에 의하여 제4 원웨이롤피드(46)의 피드롤러(46a)에 전달되지 못하고, 제2 종동기어(282)는 공회전된다.
이와 같은 모터(252), 제1 기어장치(260), 제2 기어장치(270)와 벨트전동장치(290)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25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될 때 트랙(16)을 따라 매체(2)의 로딩 또는 언로딩이 원활하게 실시된다. 다른 예의 구동장치(250)는 제1 및 제2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8, 284)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252)의 구동방향과 관계없이 트랙(16)의 서킷라인(22)을 따라 매체(2)를 이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미지 스캐너에 의하면, 단일의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매체의 표면과 이면으로부터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모터와 단일의 이미지센서가 적용되는 간단한 구조에 의 하여 조립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일면과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에 표면, 이면, 이송방향선단과 이송방향후단을 갖는 매체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을 가지고, 상기 트랙은 상기 매체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에 상기 매체의 스캐닝을 위하여 연결되어 있는 스캐닝라인과 상기 스캐닝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서킷라인을 가지며, 상기 서킷라인은 상기 스캐닝라인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상기 매체를 상기 스캐닝라인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상기 스캐닝라인과 합류되는 합류지점과 이 합류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매체가 상기 스캐닝라인으로부터 들어오는 입구와 상기 매체가 상기 스캐닝라인으로 나가는 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스캐닝라인을 따라 상기 매체가 로딩되는 일방향과 상기 매체가 언로딩되는 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상기 매체가 로딩되는 일방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웬웨이롤피드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스캐닝라인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캐닝라인을 따라 로딩되는 상기 매체의 표면과 이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언로딩되는 상기 매체의 다른 하나의 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일방향과 타방향 중 어느 하나의 구동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모터의 구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상기 모터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기어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와 상기 제1 기어장치 사이에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에 전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캐닝라인을 따라 상기 매체가 로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기어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스캐닝라인을 따라 상기 매체가 언로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기어장치와 연동되는 제2 기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장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원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상기 원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중간기어와;
    상기 제1 중간기어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중간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중간기어와;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상기 제2 중간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3 중간기어와;
    상기 제3 중간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는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어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기어와;
    상기 제2 중간기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중간기어의 주위를 공전하여 상기 중간기어와 상기 종동기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기어와;
    상기 제2 중간기어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기어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클러치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장치는 상기 제2 중간기어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기어의 공전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배치되어 있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에 일단 내면과 타단 내면을 갖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기어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축을 가지며, 상기 축이 상기 슬롯의 일단 내면에 걸리면 상기 클러치기어는 상기 제2 중간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중간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축이 상기 슬롯의 타단 내면에 걸리면 상기 클러치기어는 상기 제2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중간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의 맞물림은 해제되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들은 벨트전동장치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원웨이롤피드는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들은 벨트전동장치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기어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상기 제1 기어장치의 제1 및 제2 중간기어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원동기어와;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원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장 치의 원동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1 중간기어와;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1 중간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1 종동기어와;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1 종동기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반시계방향 구동 시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1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시계방향 구동 시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1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지 않는 제1 원웨이클러치베어링과;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원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2 중간기어와;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2 중간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2 종동기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시계방향 구동 시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2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반시계방향 구동 시 상기 제2 기어장치의 제2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지 않는 제2 원웨이클러치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투웨이롤피드는 상기 스캐닝라인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며, 상기 모터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투웨이롤피드들 중 상기 출입구와 근접하는 첫 번째 투웨이롤피드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첫 번째 투웨이롤피드를 지나는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선단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류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로딩되면서 상기 이미지센서를 향하여 접근되는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선단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하류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언로딩되면서 상기 이미지센서를 향하여 접근되는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선단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서킷라인의 출구와 상기 복수의 원웨이롤피드들 중 상기 합류지점과 근접하는 마지막 번째 원웨이롤피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선단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 상기 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4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터를 타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2 센서의 신호와 상기 제3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롤 작동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양면 이미지 스캐너.
KR1020070044639A 2007-05-08 2007-05-08 양면 이미지 스캐너 KR10089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639A KR100893298B1 (ko) 2007-05-08 2007-05-08 양면 이미지 스캐너
US12/113,805 US7916361B2 (en) 2007-05-08 2008-05-01 Double side image sc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639A KR100893298B1 (ko) 2007-05-08 2007-05-08 양면 이미지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43A KR20080099043A (ko) 2008-11-12
KR100893298B1 true KR100893298B1 (ko) 2009-04-17

Family

ID=3996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639A KR100893298B1 (ko) 2007-05-08 2007-05-08 양면 이미지 스캐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16361B2 (ko)
KR (1) KR100893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0544B2 (en) * 2008-05-27 2011-08-02 Trent University Microcontroller-based imaging system utilizing a CMOS image sensor arr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712A (ja) 2000-07-13 2002-03-27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US20050254105A1 (en) 2004-05-17 2005-11-17 Xerox Corporation Image scanning apparatus that scans both sides of an input sheet
KR100561373B1 (ko) 2004-11-26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스캐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7843A (ko) * 2005-05-14 2006-11-17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양면 이미지 스캐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9012B2 (en) 2001-11-09 2006-12-12 Po-Hua Fang Image scanner
US8040575B2 (en) 2005-05-14 2011-10-18 Wisecube Co., Ltd. Double side image scan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712A (ja) 2000-07-13 2002-03-27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US20050254105A1 (en) 2004-05-17 2005-11-17 Xerox Corporation Image scanning apparatus that scans both sides of an input sheet
KR100561373B1 (ko) 2004-11-26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스캐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7843A (ko) * 2005-05-14 2006-11-17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양면 이미지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78777A1 (en) 2008-11-13
KR20080099043A (ko) 2008-11-12
US7916361B2 (en)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358E1 (en) Data reading apparatus
US7530568B2 (en) Double-sided document transport device
JP2000344428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CN109416859B (zh) 接触式推送器/进给轮实现方式
EP1431931B1 (en) Variable pressure document infeed transport apparatus for use in a self-service terminal
US8654364B2 (en) Documen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even small-sized documents can be properly transported
KR100893298B1 (ko) 양면 이미지 스캐너
US8500119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797287B2 (ja) 複合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U2004203128B2 (en) Data reading apparatus
JP3472538B2 (ja) 紙幣搬送装置
KR101095256B1 (ko) 매체출납장치
KR200198075Y1 (ko) 다기능 수표 인식기
JP5608814B2 (ja) 紙葉類識別装置
KR101436043B1 (ko) 지로용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로용지 임시 저장방법
KR20070037026A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56188A (ja) 冊子処理装置
JP2698057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4526419B2 (ja) シート読み取り仕分け装置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JP2968463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2605870Y2 (ja) 情報読取り装置におけるシェーディング板セット機構
US20100295232A1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with optimised reversing track layout and single image capacity
JPH0633854U (ja) カード発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