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75Y1 - 다기능 수표 인식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표 인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75Y1
KR200198075Y1 KR20000012183U KR20000012183U KR200198075Y1 KR 200198075 Y1 KR200198075 Y1 KR 200198075Y1 KR 20000012183 U KR20000012183 U KR 20000012183U KR 20000012183 U KR20000012183 U KR 20000012183U KR 200198075 Y1 KR200198075 Y1 KR 200198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lever
roller
feed roller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12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틀시스템
Priority to KR20000012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75Y1/ko

Link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표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다기능 수표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에 다수매의 수표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정렬시킬 수 있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여 수표의 상단이 돌출될 수 있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트랙이 구성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입구에서 트랙으로 수표의 이송을 개시하는 리딩장치와, 리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를 1매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낱장이송장치와, 트랙을 따라 수표를 이송시키는 수표이송수단과, 수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의 자기문자를 판독하는 자기헤드와, 리딩장치와 낱장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리딩모터와 기어열을 갖는 제1 구동수단과, 수표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로딩모터와 벨트전동기구를 갖는 제2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서 자기헤드를 지나 수표에 기록되어 있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 판독장치와, 수표의 이면에 인쇄를 할 수 있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수표 인식기{MULTI FUNCTION CHECK RECOGNITION MACHINE}
본 고안은 수표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매의 수표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투입 및 배출할 수 있으며 1매의 수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금융기관에서 발행하는 수표에는 금액, 지급지, 발행지, 발행 번호 및 년월일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 데이터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하단에 자기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자기문자는 수표 인식기의 자기헤드에 의해 판독하고, 수표 인식기로부터 판독되는 수표의 데이터는 금융기관의 컴퓨터와 온라인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처리된다. 이러한 수표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어음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수표 인식기는 통상적으로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를 통하여 1매의 수표를 수평방향으로 투입시키게 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롤링장치가 회전되어 수표를 이송시키며, 자기헤드는 롤링장치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수표 인식기는 사용자가 본체의 입구를 통하여 1매의 수표를 수평방향으로 투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매의 수표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수표의 진입을 센서가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성에 의해 자기헤드가 수표의 이송과 상관없이 회전되는 롤링장치의 롤러에 접촉되므로, 자기헤드와 롤링장치의 마모 및 손상이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수표의 잼(Jam)이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므로, 잼이 발생된 수표는 커버를 열고 제거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1매의 수표를 처리하는데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매의 수표를 정렬시켜 투입하면, 1매의 수표를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처리하는 수표 인식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 기술의 수표 인식기에는 다수매의 수표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매의 수표를 1매로 분리해 주는 분리롤러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자기헤드와 분리롤러의 마모 및 손상으로 인한 수명의 단축은 상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처리가 완료된 수표가 본체의 출구에서 정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우리나라이외의 일부 국가에서는 수표와 어음의 데이터를 바코드로 기록하고도 있다. 따라서, 수표 인식기의 수출을 위해서는 다수매의 수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자기문자 또는 바코드의 처리에 호환할 수 있는 수표 인식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매의 수표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출되는 수표가 정렬될 수 있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기헤드와 접촉되어 있는 롤러가 공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자기헤드와 롤러의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표의 상단이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이송됨으로써 잼이 발생된 수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코드 판독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단에 다수매의 수표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정렬시킬 수 있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여 수표의 상단이 돌출될 수 있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트랙이 구성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입구에서 트랙으로 수표의 이송을 개시하는 리딩장치와; 리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를 1매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낱장이송장치와; 트랙을 따라 수표를 이송시키는 수표이송수단과; 수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의 자기문자를 판독하는 자기헤드와; 리딩장치와 낱장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과; 수표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베이스플레이트와 관련기구장치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베이스플레이트와 구동수단들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리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낱장이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제1 롤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제2 롤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제3 롤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의 제4 롤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표 10: 본체
11: 입구 12: 출구
13: 트랙 14: 베이스플레이트
20: 리딩장치 22: 마찰롤러
24: 푸싱레버 30: 낱장이송장치
32: 이송롤러 33: 핀치롤러
34: 핀치레버유닛 37: 브래킷
39: 조절나사 40: 제1 롤링장치
42: 이송롤러유닛 43: 핀치레버유닛
50: 제2 롤링장치 52: 이송롤러유닛
52a: 이송롤러 52b: 아이들롤러
53: 핀치레버유닛 60: 제3 롤링유닛
62: 이송롤러 63: 핀치레버유닛
70: 제4 롤링장치 72: 이송롤러
73: 핀치레버유닛 80: 자기헤드
81: 바코드 판독장치 82: 프린터
90: 제1 정렬레버 91: 제2 정렬레버
100: 리딩모터 110: 로딩모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일단에 다수매의 수표(1)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정렬시킬 수 있는 입구(11)와 출구(1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11)와 출구(12)는 수표(1)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대략 'U'자 형상의 트랙(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트랙(13)의 상부는 수표(1)의 상단이 본체(1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트랙(13)은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되는 내측가이드(13a)와, 이 내측가이드(13a)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가이드(13b)를 구비한다. 트랙(13)의 내측가이드(13a)와 외측가이드(13b)는 관련기구장치들의 설치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단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4)는 본체(10)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입구(11)에서 출구(12)까지 트랙(13)을 따라 수표(1)의 이송을 개시하는 리딩장치(20)와, 이 리딩장치(20)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1)를 1매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낱장이송장치(30)와, 트랙(13)을 따라 수표(1)를 이송시키는 수표이송수단으로 제1 롤링장치(40), 제2 롤링장치(50), 제3 롤링장치(60), 제4 롤링장치(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리딩장치(20), 낱장이송장치(30)와 제1 내지 제4 롤링장치(40, 50, 60, 70) 사이의 거리는 수표(1)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수표(1)의 길이보다 짧게 유지되어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딩장치(2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21)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마찰롤러(22)와, 마찰롤러(22)의 외면에 베이스플레이트(14)의 고정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표(1)를 밀착시키는 푸싱레버(24)와, 마찰롤러(22)에 대하여 푸싱레버(24)를 바이어스시키는 토션스프링(25)으로 구성된다. 마찰롤러(22)의 외면에 수표(1)의 미끄러짐(Slipping)이나 들러붙음(Sticking)이 방지되도록 마찰기어이(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푸싱레버(24)의 끝단에는 수표(1)를 밀착시키는 평판형의 밀착면(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롤러(22)는 외측가이드(13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낱장이송장치(3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31)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이송롤러(32)와, 이송롤러(32)과 협동하여 수표(1) 1매의 이송을 허용하는 핀치롤러(33)를 갖는 핀치레버유닛(34)으로 구성된다. 이송롤러(32)는 외측가이드(13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핀치레버유닛(34)은 내측가이드(1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송롤러(32)의 외면 상단, 하단 및 중앙에 수표(1)를 밀착하는 제1 내지 제3 밀착부(32a, 32b, 32c)가 각각 형성되며, 핀치롤러(33)의 외면에는 이송롤러(32)의 제1 내지 제3 밀착부(32a, 32b, 32c) 사이에 위치되어 수표(1)를 밀착하는 제1 밀착부(33a)와 제2 밀착부(33b)가 형성된다. 이송롤러(32)의 제1 내지 제3 밀착부(32a, 32b, 32c) 사이에 핀치롤러(33)의 제1 및 제2 밀착부(33a, 33b)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위치되어 협동에 의해 수표(1)를 이송시킴으로써, 수표(1)는 원활하게 이송된다.
또한, 핀치레버유닛(34)은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핀치롤러(33)가 포스트(36a)에 장착되어 있는 레버(36)를 구비한다. 레버(36)는 이송롤러(32)에 대하여 레버(36)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37)과 코일스프링(38)에 의해 연결되고, 스프링(38)은 레버(36)를 브래킷(37)을 향하여 바이어스시킨다. 그리고, 브래킷(38)의 일측에는 레버(36)의 일단을 지지하여 이송롤러(32)와 핀치롤러(3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나사(39)가 체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롤링장치(4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41)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이송롤러유닛(42)과, 이 이송롤러유닛(42)과 협동하여 수표(1)를 이송시키는 핀치레버유닛(43)으로 구성된다. 이송롤러유닛(42)은 내측가이드(13a)의 내측에 배치되며, 핀치레버유닛(43)은 외측가이드(13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송롤러유닛(42)은 회전축(4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제1 이송롤러(42a)와 제2 이송롤러(42b)로 구성된다.
핀치레버유닛(43)은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44)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송롤러유닛(42)의 제1 이송롤러(42a)와 협동하여 수표(1)를 이송하는 제1 핀치롤러(45a)가 포스트(45b)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레버(45)와, 고정축(44)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송롤러유닛(42)의 제2 이송롤러(42b)와 협동하여 수표(1)를 이송하는 제2 핀치롤러(46a)가 포스트(46b)에 장착되어 있는 제2 레버(46)를 구비한다. 그리고, 핀치레버유닛(43)의 제1 및 제2 레버(45, 46)는 제1 코일스프링(47a)과 제2 코일스프링(47b)의 탄성에 의해 고정축(44)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핀치롤러(45a, 46b)는 이송롤러유닛(42)의 제1 및 제2 이송롤러(42a, 42b)에 대하여 바이어스된다.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47a, 47b)의 양단은 제1 및 제2 레버(45, 46)와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포스트(48)에 각각 걸려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롤링장치(5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51)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이송롤러유닛(52)과, 이 이송롤러유닛(52)과 협동하여 수표(1)를 이송시키는 핀치레버유닛(53)으로 구성된다. 이송롤러유닛(52)은 내측가이드(1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핀치레버유닛(53)은 외측가이드(13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송롤러유닛(52)은 회전축(51)의 상부에 장착되는 이송롤러(52a)와 회전축(51)의 하부에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아이들롤러(52b)로 구성된다.
핀치레버유닛(53)은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54)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송롤러유닛(52)의 이송롤러(52a)와 협동하여 수표(1)를 이송하는 핀치롤러(55a)가 포스트(55b)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55)를 구비한다. 그리고, 핀치레버유닛(53)의 레버(55)는 코일스프링(56)의 탄성에 의해 고정축(54)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핀치롤러(55a)는 이송롤러유닛(52)의 이송롤러(52a)에 대하여 바이어스된다. 코일스프링(56)의 양단은 레버(45)와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포스트(57)에 각각 걸려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롤링장치(6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61)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이송롤러(62)와, 이 이송롤러(62)와 협동하여 수표(1)를 이송시키는 핀치레버유닛(63)으로 구성된다. 이송로러(62)는 내측가이드(1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핀치레버유닛(63)은 외측가이드(13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핀치레버유닛(63)은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64)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송롤러(62)의 외면 상부에 밀착되어 수표(1)를 이송하는 핀치롤러(65a)가 포스트(65b)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65)를 구비한다. 핀치레버유닛(63)의 핀치롤러(65a)는 트랙(13)에서 출구(12)를 향하여 하향으로 대략 5도 정도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수표(1)의 사행이송이 방지됨은 물론, 출구(12)의 내벽(12a)을 향하여 이송되어 정렬된다. 레버(65)는 고정축(64)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해 고정축(6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핀치롤러(65a)를 이송롤러(62)에 대하여 바이어스시킨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롤링장치(60)에 후속하는 제4 롤링장치(70)의 구성 및 작용은 도 9에 보이는 제3 롤링장치(60)와 동일한 것이므로, 제4 롤링장치(70)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3 롤링장치(60)의 구성과 작용을 참조한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제2 롤링장치(50)와 근접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 수표(1)의 자기문자를 판독하는 자기헤드(80)가 설치된다. 자기헤드(80)는 제2 롤링유닛(50)을 구성하는 이송롤러유닛(52)의 아이들롤러(52b)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아이들롤러(52b)는 자기헤드(80)와의 사이에 수표(1)가 없는 경우 회전되지 못하며 수표(1)가 있는 경우에는 수표(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아이들롤러(52b)와 자기헤드(80)의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된다. 이송롤러유닛(52)의 아이들롤러(52b)는 자기헤드(80)에 의한 자기문자의 판독에 유리하도록 백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롤링장치(50)와 근접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는 외측가이드(13b)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표(1)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장치(81)가 설치되어 있다. 바코드 판독장치(81)는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센서(81a)와, 수표(1)의 바코드로부터 반사되는 발광센서(81a)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센서(81b)로 구성된다. 이때, 발광센서(81a)의 광신호는 이송롤러(62)를 향하여 발신되며, 수광센서(81b)는 이송롤러(62)를 향하여 배치된다. 이송롤러(62)는 바코드 판독장치(81)에 의한 바코드의 판독에 유리하도록 백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롤링장치(60)와 제4 롤링장치(70) 사이의 베이스플레이트(14)의 상면에는 수표(1)의 이면에 인쇄를 하는 프린터(82)가 설치된다. 프린터(82)는 내측가이드(1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잉크젯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의 출구(12)와 트랙(13)의 후단 사이에 트랙(13)으로부터 배출되는 수표(1)를 출구(12)에 정렬시키는 수표정렬수단이 제공된다. 수표정렬수단은 제1 정렬레버(90)와 제2 정렬레버(91)로 구성된다. 제1 정렬레버(90)는 트랙(13)의 후단에 근접하여 고정축(9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축(90a)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90b)의 탄성에 의해 도 1에 보이는 출구(12)의 내벽(12a)을 향하여 바이어스된다. 제2 정렬레버(91)는 제1 정렬레버(90)를 지나는 수표(1)를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출구(12)의 내벽(12a)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축(91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축(91a)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91b)의 탄성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제2 정렬레버(91)의 끝단에는 수표(1)를 밀착시키는 평판형의 밀착면(9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정렬레버(90)의 길이는 제2 정렬레버(91)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정렬레버(90)는 트랙(13)으로부터 수표(1)가 배출되는 힘에 의해 고정축(90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 정렬레버(91)를 향하여 수표(1)의 배출을 안내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딩장치(20)의 마찰롤러(22)와 낱장이송장치(30)의 이송롤러(32)는 제1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제1 구동수단은 리딩모터(100)와, 리딩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101)로 구성된다. 기어열(101)은 리딩모터(100)의 구동축(100a)에 장착되는 구동기어(102)와, 구동기어(102)와 맞물려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103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중간기어(103)와, 제1 중간기어(103)와 맞물려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104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중간기어(104)와, 제2 중간기어(104)와 맞물려 회전되며 회전축(21)의 하단에 장착되는 마찰롤러기어(105)를 구비한다. 그리고, 마찰롤러기어(105)와 맞물려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106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3 중간기어(106)와, 제3 중간기어(106)와 맞물려 회전되며 회전축(31)의 하단에 장착되는 이송롤러기어(107)를 구비한다. 마찰롤러기어(105)와 이송롤러기어(10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수표 인식기는 제1 내지 제4 롤링장치(40, 50, 60, 70)의 회전축(41, 51, 61, 71)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제2 구동수단은 로딩모터(110)와, 이 로딩모터(110)의 구동축(110a)에 장착되는 구동기어(111)와, 구동기어(111)와 맞물려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112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종동기어풀리(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축(41, 51, 61, 71)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 2, 3 및 제4 풀리(113, 114, 115, 116)와, 종동기어풀리(112)와 제1 내지 제4 풀리(113∼116)를 연결하는 벨트(117)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딩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111)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풀리(112)가 회전되면, 종동기어풀리(112)와 제1 내지 제4 풀리(113∼116)를 연결하고 있는 벨트(117)의 벨트전동에 의해 제1 내지 제4 롤링장치(40, 50, 60, 70)의 회전축(41, 51, 61, 71)이 병행하여 회전된다.
한편, 로딩모터(110)의 회전수는 회전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회전수검출수단은 종동기어풀리(112)의 하면에 장착되는 엔코더(Encoder: 120)와, 이 엔코더(120)에 대하여 광신호를 발신하여 수신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121)로 구성된다. 엔코더(120)의 회전수는 포토커플러(121)에 의해 검출되고, 포토커플러(121)의 검출신호에 의해 로딩모터(1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수표 인식기는 수표(1)의 유무를 감지하여 일련의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감지수단은 트랙(13)의 선단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1 센싱유닛(130)과, 제1 롤링장치(40)와 제2 롤링장치(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센싱유닛(131)과, 제2 롤링장치(50)와 제3 롤링장치(60)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센싱유닛(132)으로 구성된다. 이들 제1 내지 제3 센싱유닛(130∼132)은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센서와, 발광센서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센싱유닛(130)은 본체(10)의 입구(11)에서 수표(1)의 유무를 감지하여 리딩모터(100)와 로딩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2 센싱유닛(131)은 제1 롤링장치(40)를 지나 트랙(13)으로 진입되는 수표(1)의 유무를 감지하여 자기헤드(8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3 센싱유닛(132)은 수표(1)의 유무를 감지하여 리딩모터(100)의 구동과 바코드 판독장치(81)의 구동을 제어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입구(11)에 다수매의 수표(1)를 정렬시켜 투입하면, 수표(1)는 리딩장치(20)의 마찰롤러(22)와 푸싱레버(24)의 밀착면(24a) 사이에 개재되어 정렬되며, 푸싱레버(24)의 밀착면(24a)에 의해 마찰롤러(22)에 밀착된다. 수표(1)의 투입은 제1 센싱유닛(130)에 의해 감지되고, 제1 센싱유닛(130)의 감지신호에 의해 리딩모터(100)가 구동된다. 리딩모터(100)의 구동력은 기어열(101)에 의해 리딩장치(20)의 회전축(21)과 낱장이송장치(30)의 회전축(31)에 전달된다. 따라서, 리딩장치(20)의 회전축(21)과 마찰롤러(22)가 병행하여 회전되면서 첫번째 수표(1)의 이송을 개시하며, 이송이 개시된 수표(1)의 1매만이 낱장이송장치(30)의 이송롤러(32)와 핀치롤러(33)의 협동에 의해 트랙(13)에 진입된다. 리딩모터(100)는 수표(1)가 본체(10)의 입구(11)에서 트랙(13)에 진입하는 시간 동안 구동된 후 정지된다.
또한, 리딩모터(100)의 구동과 병행하여 로딩모터(110)가 구동되고, 이 로딩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제1 내지 제4 롤링장치(40, 50, 60, 70)의 회전축(41, 51, 61, 71)이 회전된다. 제1 내지 제4 롤링장치(40, 50, 60, 70)의 회전축(41, 51, 61, 71)은 종동기어풀리(112), 제1 내지 제4 풀리(113∼116)를 연결하고 있는 벨트(117)의 벨트전동에 의해 동일 속도로 회전되므로, 수표(1)는 제1 내지 제4 롤링장치(40, 50, 60, 70)에 의해 정속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수표(1)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 센싱유닛(131)에 의해 수표(1)의 이송이 감지되면, 제2 센싱유닛(131)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기헤드(80)가 구동되고, 자기헤드(8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1)의 자기문자가 판독된다. 이때, 수표(1)에 바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면, 수표(1)의 바코드는 자기헤드(80)에 의해서 판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수표(1)의 이송이 제3 센싱유닛(132)에 의해 감지되면, 제3 센싱유닛(132)의 감지신호에 의해 바코드 판독장치(81)가 구동되고, 바코드 판독장치(81)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1)의 자기문자가 판독된다. 첫번째 수표(1)가 제3 센싱유닛(132)을 통과하게 되면, 제3 센싱유닛(132)의 감지신호에 의해 리딩모터(100)가 구동되어 두번째 수표(1)의 이송을 개시한다. 그리고, 프린터(82)는 제3 롤링장치(60)를 지난 수표(1)의 이면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며, 인쇄되는 정보는 본 고안의 수표 인식기가 연결되는 컴퓨터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랙(13)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수표(1)의 선단은 제1 정렬레버(90)와 접촉되며, 제1 정렬레버(90)는 수표(1)의 배출되는 힘에 의해 고정축(90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 정렬레버(91)로 수표(1)의 이송을 안내한다. 제2 정렬레버(91)는 수표(1)의 배출되는 힘에 의해 고정축(91a)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토션스프링(91b)의 탄성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수표(1)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 정렬레버(91)의 밀착면(91c)에 의해 출구(12)의 내벽(12a)에 밀착되어 정렬된다. 이러한 수표(1)의 판독동작은 제1 센싱유닛(130)에 의해 본체(10)의 입구(11)에 수표(1)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수표 인식기에 의하면, 본체의 입구와 출구에 다수매의 수표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으며, 본체의 출구에 배출되는 수표는 정렬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헤드와 접촉되어 있는 아이들롤러가 공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자기헤드와 아이들롤러의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수명이 연장된다. 그리고, 수표의 상단이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이송됨으로써 잼이 발생된 수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바코드 판독 기능과 인쇄 기능이 구비되어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일단에 다수매의 수표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정렬시킬 수 있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수표의 상단이 돌출될 수 있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트랙이 구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서 상기 트랙으로 상기 수표의 이송을 개시하는 리딩장치와;
    상기 리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수표를 1매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낱장이송장치와;
    상기 트랙을 따라 상기 수표를 이송시키는 수표이송수단과;
    상기 수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수표의 자기문자를 판독하는 자기헤드와;
    상기 리딩장치와 상기 낱장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과;
    상기 수표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과 병행하여 회전되고, 외면에 마찰기어이를 갖는 마찰롤러와;
    상기 마찰롤러의 외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표를 밀착시키는 푸싱레버와;
    상기 마찰롤러에 대하여 상기 푸싱레버를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이송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과 병행하여 회전되고, 외면 상단, 하단 및 중앙에 상기 수표를 밀착하는 제1 내지 제3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제1 내지 제3 밀착부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협동에 의해 상기 수표를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밀착부를 갖는 핀치롤러와, 이 핀치롤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갖는 핀치레버유닛과;
    상기 이송롤러에 대하여 상기 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을 향하여 상기 레버를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레버의 일단을 지지하여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핀치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에 체결되는 조절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이송수단은 상기 트랙을 따라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 롤링장치, 제2 롤링장치, 제3 롤링장치 및 제4 롤링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링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자기헤드가 접촉되는 아이들롤러를 갖는 이송롤러유닛과;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이송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수표를 이송하는 핀치롤러와, 이 핀치롤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갖는 핀치레버유닛과;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이송롤러에 대하여 상기 핀치롤러를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출구와 상기 트랙의 후단 사이에 상기 트랙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표를 상기 출구에 정렬시키는 수표정렬수단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수표정렬수단은 상기 출구의 내벽을 향하여 회전운동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는 제1 정렬레버와 제2 정렬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렬레버는 상기 제2 정렬레버를 향하여 상기 수표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정렬레버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를 지나 상기 수표에 기록되어 있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코드 판독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를 지나 상기 수표의 이면에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표 인식기.
KR20000012183U 2000-04-28 2000-04-28 다기능 수표 인식기 KR200198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2183U KR200198075Y1 (ko) 2000-04-28 2000-04-28 다기능 수표 인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2183U KR200198075Y1 (ko) 2000-04-28 2000-04-28 다기능 수표 인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75Y1 true KR200198075Y1 (ko) 2000-10-02

Family

ID=1965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12183U KR200198075Y1 (ko) 2000-04-28 2000-04-28 다기능 수표 인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47B1 (ko) * 2006-04-27 2007-05-08 주식회사 유니크톱 수표압인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47B1 (ko) * 2006-04-27 2007-05-08 주식회사 유니크톱 수표압인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0512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symbols printed on documents or the like
US5136144A (en) Depository apparatus for envelopes and single sheets
US6296405B1 (en) Duplex check printer using a print mechanism pivoted between document paths
US4516866A (en) Printing apparatus
US3850299A (en) Card transport and capture mechanism
US5173596A (en) Paper card reader/validator
JPH07187454A (ja) 文書整合システム
US5328281A (en) Recording medium feed mechanism for a printer and method of medium feed control
US838797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EP0535543B1 (en) Paper sheet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ash handling apparatus
KR200198075Y1 (ko) 다기능 수표 인식기
JPH10338367A (ja) シート送り装置
US4228953A (en) Dual belt drive
JPH0637481Y2 (ja) カード送り装置
US5465954A (en) Paper money conveying equipment
KR19990024928A (ko) 지로용지 처리장치
JP2753050B2 (ja) 冊子類の改頁装置
JPH11195091A (ja) カード送り装置
KR100341926B1 (ko) 사무 자동화 기기용 지로 용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63714B1 (ko) 매체 판독소인기의 인쇄장치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KR100277997B1 (ko) 현금자동 지급기의 인자장치
JPS6025626Y2 (ja) 通帳自動印字装置
JPH10329962A (ja) シート送り装置
EP0736208B1 (en) Peripheral unit for processing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