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765B1 - Ⅹ선 검사 설비 - Google Patents

Ⅹ선 검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765B1
KR100891765B1 KR1020060053996A KR20060053996A KR100891765B1 KR 100891765 B1 KR100891765 B1 KR 100891765B1 KR 1020060053996 A KR1020060053996 A KR 1020060053996A KR 20060053996 A KR20060053996 A KR 20060053996A KR 100891765 B1 KR100891765 B1 KR 10089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nspection
ray
moving means
inspected objec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469A (ko
Inventor
마사미츠 나카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6013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01V5/2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1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large structures, walls

Abstract

피검사물을 관리 영역 내의 X선 검사 위치로 통과시키는 동안에 X선 검사를 하는 X선 검사 설비에 있어서, 긴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차폐문이 경량화되고, 운전수의 이동 거리도 적으며, 감시 요원수도 줄일 수 있는 X선 검사 설비를 제공한다.
차폐벽(6)으로 둘러싸이고 입구측 차폐문(5a)과 출구측 차폐문(5b)을 갖는 관리 영역(3)을 가지며, 상기 관리 영역(3)에 반입된 피검사물이 상기 관리 영역(3) 내의 X선 검사 위치(18)를 이동하는 사이에 X선 검사되는 X선 검사 설비(1)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입구측 차폐문(5a)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3) 내부로 반입되는 반입 방향과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출구측 차폐문(5b)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3) 외부로 반출되는 반출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18)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다.

Description

Ⅹ선 검사 설비{X-RAY INSPEC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X선 검사 설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D-D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X선 검사 설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X선 검사 설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설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관리 영역 5a : 입구측 차폐문
5b : 출구측 차폐문 7 : 반입출 영역
8a :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 8b :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
10 : 팔레트 12a, 12b : 구동 롤러
15a :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 15b :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
20 : 컨테이너 차량 21 : 컨테이너
25 : 횡형 대차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탑재한 차량이나 자동차 등의 피검사물을 관리 영역 내의 X선 검사 위치를 통과시키고, 그 동안에 상기 피검사물에 X선을 조사하여, 컨테이너 내의 적재 화물이나 자동차 자체를 검사하는 X선 검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수출입 화물용의 컨테이너 안이나 자동차에 숨겨진 총화기, 마약 등의 사회악 물질, 또는 부정한 수출입 신고 물건 등을 적발하는 수단으로서, 컨테이너를 탑재한 차량(이하, 컨테이너 차량으로 지칭함)이나 자동차(이하, 피검사물로 지칭함)째 X선을 차폐한 관리 영역의 X선 검사 위치로 반입하고, X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해서 피검사물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가 국내에도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검사 설비는 컨테이너 화물의 내부를 차량에 탑재한 채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용의 대형 컨테이너나 자동차에서도 개봉하거나 해체하지 않고 내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물류의 효율화에도 이어지므로, 앞으로 점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X선 검사 방법으로서, 예컨대,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인 도 8의 종래의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방법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287507 호 참조). 이 종래예에 의하면, 컨테이너(33)를 탑재한 차량(32)을, 차폐실(34)을 통과시키는 동안에 차량(32)에 탑재한 컨테이너(33)를 X선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폐실(34)의 차량용 통로(35)의 아래쪽으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대차용 통로(36)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차량용 통로(35)와 대차용 통로(36)의 중앙부 부근의 전후방부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차폐문(37a, 37b)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차량용 통로(35)와 대차용 통로(36) 내에 차폐실(34)이 구획 형성되고 있다. 그 대차용 통로(36)에 레일(38)을 부설하는 동시에 그 레일(38) 상을 자유롭게 주행하는 반송대차(40)를 설치하고, 반송대차(40)에 의해 X선 검사해야 할 차량(32)의 차륜(39)을 들어올리면서 그 차량(32)을 등속도로 차폐실(34)을 통과시킴으로써 X선 검사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X선 검사 방법에 있어서, 차폐실(34)을 통과하는 컨테이너(33)를 탑재한 차량(32)에, 차폐실(34)의 윗쪽에 설치된 X선 조사 장치(31)에 의해 등간격으로 소정 시간마다 X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차폐실(34)의 아래쪽에 설치된 X선 검출기(42)에 의해 투과 X선을 검출한다. 동시에, 그 검출한 투과 X선의 주사 화상으로부터 X선 검사를 실행하는 X선 검사 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예에 따른 X선 검사에 대해서 더욱 이해를 돕기 위해서, X선 검사 설비의 사시도인 도 9를 이용하여, 그 검사의 흐름에 대해서 하기에 설명한다[이시카와지마 하리마(石川島播磨) 기술 공보 Vol.43, No.3, P.92~95 (203-5) 참조].
우선, 도 9에 있어서, 건물 오른쪽 방향으로부터 진입 야드(yard)(51)로 진입해 들어온 컨테이너 차량(50)의 운전수는 X선 검사 터널(차폐실)(52)의 입구측 차폐문(53a) 전방에서 컨테이너 차량(50)을 정지시키고 하차한다.
그리고, 상술한 도시되지 않은 반송대차(제 1 반송대차)가 상기 차량 전륜부를 들어올리고, 입구측 차폐문(53a)이 개방된 후, X선 검사 터널(52) 내를 매분 20m 정도의 속도로 자동 주행한다. 검사 터널(52) 중앙부에서 상기 컨테이너 차량(50)은 일단 정지되고, 제 1 반송대차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대차는 진입 야드로 복귀한다. 입구측 차폐문(53a)이 폐쇄된 후, 컨테이너 차량(50)은 검사 터널(52) 중앙부에서 제 2 반송대차에 의해 들어올려져 반출 야드(54)를 향해 자동 주행을 개시한다.
곧바로, 수평 X선 발생 장치(55a) 및 수직 X선 발생 장치(55b)로부터 컨테이너 차량(50)의 컨테이너에 X선이 조사되어, 수평 X선 검출기(56a) 및 수직 X선 검출기(56b)에 의해 투과 X선을 검출해 화상 데이터가 수집된다.
X선 조사가 종료된 후, 출구측 차폐문(53b)이 개방되고, 컨테이너 차량(50)은 반출 야드(54)로 이동된다. 컨테이너 차량(50)이 반출 야드(54)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제 2 반송대차는 정지되고, 제 2 반송대차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대차는 검사 터널(52) 중앙부로 복귀하고, 출구측 차폐문(53b)이 폐쇄된다. 그 동안에 제 1 반송대차는 다음 차량을 검사 터널(52) 중앙부로 반송한다.
우선, 진입 야드(51)에서 일단 하차한 운전수는 전용 통로를 지나가서 반출 야드(54)에서 대기한다. 출구측 차폐문(53b)이 폐쇄된 후, 차량(50)에 다시 승차하고 건물 외부로 이동한다. X선 검사 결과가 판명될 때까지는 부지내 주차장에서 대기한다. 1대의 컨테이너 차량의 X선 조사 종료 후, 중앙 제어 검사실에서 검사관이 컴퓨터 단말에 의해 X선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부정 물품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상의 사이클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X선 검사 업무가 실행된다.
상기 종래예에 따른 X선 검사 설비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차량의 진입 야드로부터, 검사 터널, 반출 야드에 이르는 검사 라인이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매우 긴 부지가 필요하게 된다. 즉, 컨테이너 차량이 진입 야드 및 반출 야드로 진입/반출하는 구역을 포함하면, 부지의 길이 방향으로 필요한 길이는 150∼200m가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 라인이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사된 X선의 1차 반사가 튀어나와서, 직접 입구측 차폐문과 출구측 차폐문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이들 문의 재질을 철제로 하면, X선의 차폐를 위해 100mm 정도의 두께를 필요로 하고, 중량은 문 1장당 30∼40톤이 된다.
한편, 본 검사 설비의 표준적인 검사 능력 사양은 1시간당 컨테이너 차량 20대의 검사가 가능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차폐문의 개폐 시간은 10초 전후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중량 때문에 개폐에 필요한 구동 모터 용량은 수십 kW가 된다.
또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차량의 운전수는 검사 전에 진입 구역에서 하차한 후 검사를 종료한 차량에 승차하기 위해서, 반출 구역 까지의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진입측과 반출측이 차폐실을 거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수를 감시하는 감시 요원을 진입측 및 반출측의 각각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물을 입구측 차폐문과 출구측 차폐문을 갖는 관리 영역 내의 X선 검사 위치를 통과시키는 동안에 상기 피검사물에 X선을 조사하여 X선 검사하는 X선 검사 설비에 있어서, 긴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차폐문이 경량화되고, 운전수의 이동 거리도 적으며, 감시 요원수도 줄일 수 있는 X선 검사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가 채용한 수단은, 차폐벽으로 둘러싸이고 입구측 차폐문과 출구측 차폐문을 갖는 관리 영역을 가지며, 상기 관리 영역에 반입된 피검사물이 상기 관리 영역 내의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동안에 X선 조사 장치로부터 조사된 X선에 의해 X선 검사되는 X선 검사 설비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입구측 차폐문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 내부로 반입되는 반입 방향과,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출구측 차폐문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 외부로 반출되는 반출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가 채용한 수단은, 상기 반입 방향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 에 있는 동시에, 상기 관리 영역 내부로 반입된 상기 피검사물을,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또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향해서 진입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입구측 이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가 채용한 수단은, 상기 반출 방향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고, X선 검사가 종료한 피검사물을, 상기 반출 방향으로, 또 상기 출구측 차폐문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출구측 이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가 채용한 수단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장치를 둘러싸는 주 차폐벽을 갖고, 1차 반사 X선의 튀어나옴이 상기 주 차폐벽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에 상기 입구측 차폐문과 상기 출구측 차폐문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가 채용한 수단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X선 검사 설비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외부이며 상기 입구측 차폐문 및 출구측 차폐문의 근방 위치에 피검사물의 운전자가 대기하고, 감시 요원이 주재하는 대기·감시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X선 검사 설비의 검사 대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차량이나 자동차이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피검사물 을 컨테이너 차량으로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의 전체 구성을, 그 평면도를 도시한 도 1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설비(1)는 검사 건물(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3)는 X선의 영향을 외부에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차폐벽(6)으로 둘러싸여진 관리 영역을 나타내고, 입구측 차폐문(5a)과 출구측 차폐문(5b)을 갖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차폐문(5a, 5b)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피검사물이 상기 입구측 차폐문(5a)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3) 내부로 반입되는 반입 방향과, 검사 종료한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출구측 차폐문(5b)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3) 외부로 반출되는 반출 방향을 형성하고 있다.
참조부호(7)는 상기 관리 영역(3)의 입구측 차폐문(5a)과 출구측 차폐문(5b)에 인접하며 피검사물을 관리 영역(3)으로 반입하고 검사 후에 반출하기 위한 반입출 영역을 도시한다. 이 반입출 영역(7)에는 입구측 차폐문(5a) 및 출구측 차폐문(5b)에 마주 대하며,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과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으로 이루어지는 입구측 이동 수단 및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으로 이루어지는 출구측 이동 수단이 각각 입구측 선회 중심(14a) 및 출구측 선회 중심(14b)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및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의 상면에는 구동 모터(11a)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12a)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또는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 중 한쪽의 구동 롤러(12a, 12b) 상면에 팔레트(palette)(10)가 탑재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구동 롤러(12a) 상면에 컨테이너 차량을 적재한 팔레트(10)가 탑재된 상태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상태에 있어서 도 1의 B-B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미검사의 컨테이너(21)와 이것을 탑재한 차량(22)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차량(20)을 운전수가 운전하고, 도 1에 도시한 경사판(13a)을 올라가서 반입출 영역(7)으로 진입하고, 구동 롤러(12a) 상의 팔레트(10)에 적재해서 정차한다. 여기에서, 운전수는 하차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기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팔레트(10)에 적재된 미검사의 상기 컨테이너 차량(20)은 입구측 차폐문(5a) 및 출구측 차폐문(5b) 양자가 개방된 상태에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구동 롤러(12a)를 회전시킴으로써, 입구측 차폐문(5a)을 거쳐서 팔레트(10)째 관리 영역(3)으로 반입된다.
또한 동일 시점에, 다른 팔레트에 적재되어 검사 종료한 컨테이너 차량(도시하지 않음)이, 후술하는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 및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의 구동 롤러(12b)의 회전에 의해, 관리 영역(3)으로부터 출구측 차폐문(5b)을 거쳐 반입출 영역(7)으로 반출된다.
검사 종료한 컨테이너 차량(도시하지 않음)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의 구동 롤러(12b)에 의해, 팔레트째 반입출 영역(7)으로 반출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기하고 있던 운전수가 재승차하고 운전해서 경사판(13b)을 내려가 반입출 영역(7) 외부로 반출된다.
그 후,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 상의 팔레트(10)는 횡형 대차(traverser)(25)를 상승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구동 롤러(12b) 상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현가되어, 횡형 대차(25)의 주행에 의해 횡단적으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위로 이송된다.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위로 이송된 팔레트(10)는, 상기 횡형 대차(25)를 승강 기구에 의해 하강시켜, 구동 롤러(12a) 위로 이송된다.
상기 횡형 대차(25)는 무단 체인(23), 스프로켓(24), 승강 기구 및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있어서, 스프로켓(2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체인(23)에 현가된 상태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횡형 대차(25)에 의해 컨테이너 차량(20)을 적재하는 팔레트(10)를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으로부터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으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팔레트(10)의 재사용이 가능해져서, 필요한 팔레트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팔레트(10)의 이송 방법은 횡형 대차(25)에 부설된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횡형 대차(25)를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켜서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 상의 팔레트(10)를 횡형 대차(25)에 현가하고,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위치 까지 이송한 후 횡형 대차(25)를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켜 팔레트(10)를 이송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했지만, 상기 이동 수단(8a, 8b) 측에 승강 기구를 부설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부설된 승강 기구의 하강에 의해,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 상의 상기 팔레트(10)를 횡형 대차(25)로 일단 옮긴다. 그 후, 이 횡형 대차(25)의 주행에 의해, 이 팔레트(10)를 반송해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승강 기구에 의해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을 상승시키고, 상기 팔레트(10)를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구동 롤러(12a) 위로 이송한다.
한편, 도 1의 관리 영역(3)에는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배열의 연장선상에 선회 중심(14a)을 갖고, 상기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으로부터 미검사의 컨테이너 차량(20)이 적재된 팔레트(10)를 받아들이는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이 배치되어 있다. 동시에,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의 배열의 연장선상에 선회 중심(14b)을 갖고, 후술하는 중계 이동 수단으로부터 검사를 완료한 컨테이너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10)를 받아들이는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이 평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의 상면에는 상술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및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과 동일 구조의 구동 롤러(12a, 12b)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구동 롤러(12a, 12b)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이 구동 롤러(12a, 12b)에 의해 팔레트(10)의 반송 을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은 미검사의 컨테이너 차량(20)을 적재한 팔레트(10)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은 검사 종료한 컨테이너 차량(20)을 반입출 영역(7)의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에 인도한 상태에 있을 때, 이들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은 각각의 선회 중심(14a, 14b)을 중심으로 하여, 후술하는 X선 검사 위치(18)에 있어서 피검사물 이동 방향과 직선 형태가 되는 위치까지 선회한다.
즉, 도 1의 지면 윗방향에서 볼 때,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은 선회 중심(14a)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은 선회 중심(14b)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후술하는 X선 검사 위치(18)에 있어서 피검사물 이동 방향과 직선 형태가 되는 위치까지 동시에 각각 선회하여,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이 직선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의 각각의 선회 중심(14a, 14b) 사이의 X선 검사 위치(18)에는 구동 롤러(12c)가 그 상면에 배치된 중계 이동 수단(19)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은 상술한 선회 종료 후에 이 중계 이동 수단(19)을 사이에 두고 직선 형태로 된다.
다음에, 상술한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의 선회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의 선회 기구 의 하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선회 중심(14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관리 영역(3) 내의 바닥면에, 상기 선회 중심(14a)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궤도(17a)를 부설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의 C-C 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궤도(17a) 상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차륜(16a)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은 선회 중심(14a)을 중심으로 선회 이동한다.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의 선회 기구에 대해서는, 선회 방향이 역방향인 점만이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상이하고, 그 밖의 기구는 상술한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의 선회 기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이 상기 X선 검사 위치(18)[중계 이동 수단(19)]를 사이에 두고 직선 형태가 되었을 때,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중계 이동 수단(18)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 상에 설치된 각각의 구동 롤러(12a, 12c, 12b)의 회전 구동에 의해, 컨테이너 차량(20)이 적재된 팔레트(10)는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으로부터 중계 이동 수단(18)을 거쳐서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 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도 5는 도 1의 D-D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회를 실행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참조부호(X2)는 수직 X선 조사 장치를 나타내고, 중계 이동 수단(18)의 구동 롤러(12c) 상을 팔레트(10)에 적재되어서 이동하는 컨테이너 차량(20)에 탑재된 컨테이너(21) 내를 검사하기 위해서, 수직 방향의 X선이 조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X선 검출 장치(D2)에 의해 컨테이너(21) 내를 투과한 수직 방향의 X선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X선 조사 장치(X1)를, 중계 이동 수단(18)의 구동 롤러(12c) 상을 팔레트(10)에 적재되어서 이동하는 컨테이너 차량(20)에 탑재된 컨테이너(21) 내를 향하여 수평방향의 X선이 조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X선 검출 장치(D1)에 의해, 컨테이너(21) 내를 투과한 수평방향의 X선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수평 및 수직 X선 조사 장치(X1, X2), 수평 및 수직 X선 검출 장치(D1, D2)를 둘러싸도록 주 차폐벽(4)이 입체적으로 구축되어서, X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주 차폐벽(4)은 수평 및 수직 X선 조사 장치(X1, X2)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21)를 향해서 조사된 수평 X선 및 수직 X선이 적어도 입구측 차폐문(5a) 및 출구측 차폐문(5b)으로 1차 반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주 차폐벽(4)을 도 1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1차 반사 X선이 튀어나오지 않는 각도 α의 범위에 입구측 차폐문(5a) 및 출구측 차폐문(5b)을 배치한 것이다. 상기 주 차폐벽(4)은 보통 콘크리트나 철로 구성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차 반사 X선이 도달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차폐문(5a, 5b) 양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그 때문에 상기 차폐문(5a, 5b)의 중량이 가벼워져서, 이들의 개폐를 구동하는 모터 용량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입구측 및 출구측의 차폐문(5a, 5b)을 근접한 구성으로 한 것 및 이들 차폐문(5a, 5b)의 경량화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의 공통화가 가능해졌다.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X선 조사 장치(X1, X2)에는 보통 고에너지 전자 선가속기가 사용될 수 있고, 그 가속 에너지는 보통 9MeV(메가 일렉트론 볼트)의 용량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X선 검출 장치(D1, D2)로서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의 표면에 X선을 광으로 교환하는 섬광기(scintillator)를 밀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X선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투과 X선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화상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팔레트(10)에 적재되어 이동하면서, X선 검사 위치(18)[중계 이동 수단(19)]에서 X선 조사에 의한 검사를 종료한 컨테이너 차량(20)은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으로 이동을 완료한다. 그러면 이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은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함께 동시에 양자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었던 원래의 위치(도 1의 위치)까지 각각의 선회 중심(14b, 14a)을 중 심으로 해서 선회한다.
상기 선회가 완료하면, 입구측 차폐문(5a)과 출구측 차폐문(5b)이 개방되고, 검사 완료한 상기 컨테이너 차량(20)은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의 구동 롤러(12b)의 회전에 의해 팔레트째 반입출 영역(7)의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으로 인도된다. 이와 동시에,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 위에 대기하고 있던 미검사의 컨테이너 차량(20)을 적재한 팔레트가 관리 영역(3)의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으로 인도된다.
이상과 같이, 반입 방향으로부터 X선 검사 위치를 거쳐서 반출 방향에 도달하는 검사 전체 라인이 직선 형태가 아니라 왕복 형상의 검사 라인으로서 X선 검사 설비가 구성되었기 때문에, 검사 건물의 대응하는 길이는 50∼60m 정도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긴 부지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컨테이너 차량의 운전수는 미검사의 컨테이너 차량(20)을 반입출 영역(7)의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의 팔레트(10) 상에 적재한 후, 하차해서 도 3에 도시한 대기·감시실(26)로 들어가고, 검사가 종료해서 반입출 영역(7)의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에 인도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컨테이너 차량(20)의 검사가 종료해서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까지 반출되어 왔을 때, 운전수는 검사 종료한 컨테이너 차량(20)에 재승차하고, 운전해서 경사판(13b)을 내려와 반입출 영역(7) 외부로 반출한다.
이러한 대기·감시실(26)은, 도 3과 같이 상기 반입출 영역(7)의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과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 사이에서, 입구측 차폐문(5a)과 출구측 차폐문(5b)의 근방 위치에 있고, 또한 횡형 대차(25)에 의해 이송되는 팔레트(10)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횡형 대차(25)의 윗쪽 위치에 설치된다. 즉, 이 대기·감시실(26)은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는 지주에 의해 구축하는 것이 아니고, 도 1의 지면의 상하 방향의 대들보에 의해 지지하거나 또는 건물(2)의 천장으로부터 매달아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또한, 이들 운전자를 감시하는 감시 요원도 이 대기·감시실(26)에 주재해서 그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는 반드시 이 대기·감시실(26)에서 대기하고 있으므로, 감시 요원은 1명으로 충분히 대응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검사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시간적인 손실 없이 순차적으로 컨테이너(21)의 X선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입구측 차폐문(5a)과 출구측 차폐문(5b)을 동시에 개폐시켜, 컨테이너 차량(20)의 탑재된 팔레트(10)의 관리 영역(3)으로의 반입·반출을 동시에 실행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했지만, 전자의 양쪽문(5a, 5b)의 개폐 시점은 반드시 동시일 필요성은 없다.
또한,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이 미검사의 컨테이너 차량(20)이 적재된 팔레트(10)를 받아들이고,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이 검사를 마친 컨테이너 차량(20)이 적재된 팔레트(10)를 받아들이며, 상기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을 동시에 선회시키는 실시형태를 도시했지만, 전자의 양쪽 이동 수단(15a, 15b)의 선회는 반드시 동시일 필요성은 없다.
또한, 상기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과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으로 구성되는 진입 라인 및 상기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으로 구성되는 반출 라인이,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15b)이 선회하기 전의 배열에서는, 반드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 형상으로 배열될 필요는 없고, 설치하는 부지의 상황에 맞춰 양쪽 라인은 일직선 상이 아닌 임의의 방향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컨테이너 차량(20)을 검사하기 위해서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 및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 장치는,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의 X선 조사 장치(X1, X2) 및 X선 검출 장치(D1, D2)를 구비한 실시형태로 도시했지만, 반드시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으로부터의 검사가 필요하지는 않다.
즉, X선 검사 위치(18)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에 직각이면, 임의의 2방향으로부터의 X선 조사와 검출이 가능한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반드시 2방향으로부터의 검사가 필요하지 않고, 상기 피검사물 이동 방향에 직각인 임의의 한 방향으로부터의 X선 조사와 검출이 가능한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 상기 컨테이너 차량(20)이 탑재된 팔레트(10)를 반송하는 장치로서, 그 상면에 구동 롤러를 고정한 입구측 및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a, 8b), 중계 이동 수단(18), 입구측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15b)을 사용했지만, 이들 이동 수단 대신에 벨트 컨베이어나 체인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팔레트(10)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피검사물을 직접 상기 컨베이어 위로 탑재해서 반송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X선 검사 위치(18)에 중계 이동 수단(19)을 구성한 형태를 도시했지만,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15b) 각기의 상단면을 선회 중심(14a, 14b) 윗쪽의 적절한 길이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a, 15b)의 선회가 완료하고 양쪽 이동 수단(15a, 15b)이 상기 X선 검사 위치(18)를 사이에 두고 직선 형태가 되었을 때, 상기 이동 수단(15a, 15b)의 상기 상단면끼리 대면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중계 이동 수단(19)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 피검사물에 X선을 조사하여, 피검사물을 X선 검사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의 효과를 각각 기재하면 하기와 같다.
① 피검사물이 반입출 영역에서 관리 영역으로 반입되는 반입 방향과,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관리 영역 외부로 반출되는 반출 방향 양자가, 상기 피검사물이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왕복 형상 라인으로 되었기 때문에, 긴 부지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② 주 차폐벽을, 적어도 입구측 차폐문 및 출구측 차폐문으로의 1차 반사 X선의 튀어나옴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상기 차폐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③ 또한, 그 때문에 문 중량이 가벼워지고, 이것을 구동하는 모터 용량도 작게 할 수 있으며, 입구측 및 출구측의 차폐문이 근접하고 있으므로, 구동 모터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④ 횡형 대차에 의해 컨테이너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를,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으로부터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으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팔레트의 반복 사용이 가능해져서, 필요한 팔레트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⑤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과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 사이의 횡형 대차 윗쪽에 대기·감시실을 설치했으므로, 컨테이너 차량 운전자는 검사 개시로부터 검사 종료까지 이동하는 일 없이 이 대기·감시실에서 대기할 수 있다.
⑥ 더욱이, 감시 개소도 1개소가 되었으므로, 감시 요원은 1명으로 대응 가능해졌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의 전체 구성을, 그 모식적 평면도를 도시한 도 6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가 상기 실시형태 1과 다른 곳은 설치하는 부지의 관계로부터 반입 방향과 반출 방향의 상대적인 배치 구성에 주된 차이점이 있고, 그 외에는 거의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도 6에 있어서, 반출 라인을 진입 라인에 대하여 병렬 방향이 아니라 역방향으로 배치한 것이 상기 실시형태 1과 큰 차이점이다. 구체적으로는, X선 검사 위치(18)의 센터를 중심으로, 입구측 제 1 이동 수단(8a)과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으로 이루어지는 진입 라인을 180°회전한 회전 대칭의 위치에, 각기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으로 이루어지는 반출 라인을 배치한 것이다.
상기에 추가해서,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용 궤도(17a)가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용 궤도(17b)에, 또 입구측의 관리 영역(3a) 및 반입출 영역(7a)과 부수되는 건물이 출구측의 관리 영역(3b) 및 반입출 영역(7b)과 부수되는 건물에, 각기 180°회전한 회전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그 밖의 차이점으로서는, 도 6에 있어서, 횡형 대차(25)와 대기·감시실(26)이 없는 점이다.
단, X선 조사 장치(X1, X2) 및 X선 검출 장치(D1, D2)가 설치되고 주 차폐벽(4)에 둘러싸여진 영역은 도 1과 차이점이 없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측 차폐문(5b)은 적어도 1차 반사 X선이 튀어나오지 않는 각도 β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의 효과를 각각 기재하면, 상술한 실시형태 1의 X선 검사 설비의 효과보다 다소 떨어지지만, 아래와 같다.
① X선 검사 위치에 이르는 반입 방향과 반출 방향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대칭의 검사 라인으로 되었기 때문에, 도 6과 같은 변형 형상을 갖는 부지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② 주 차폐벽을, 적어도 입구측 차폐문 및 출구측 차폐문으로 1차 반사 X선이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차폐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③ 또한, 그 때문에 문 중량이 가벼워지고, 이것을 구동하는 모터 용량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의 전체 구성을, 그 모식적 평면도를 도시한 도 7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이 상기 실시형태 1과 다른 곳은 설치하는 부지의 관계로부터 반출 방향을 X선 검사 위치(18)[중계 이동 수단(19)]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고정 배치한 점에 차이가 있고, 그 외에는 거의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도 7에 있어서, 출구측 제 1 이동 수단(8b)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반출 방향을, X선 검사 위치(18)[중계 이동 수단(18)]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고정 배치한 점이 상기 실시형태 1과 큰 차이점이다. 그 결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용 궤도(17b)가 불필요하게 되고, 횡형 대차(25)와 대기·감시실(26)이 없는 것 및 출구측 차폐문(5b)이 적어도 1차 반사 X선이 튀어나오지 않는 각도α 및 β의 범위 외로 배치되는 것이 상기 실시형태 1과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의 효과를 조항으로 기재하면, 상술한 실시형태 1의 X선 검사 설비의 효과보다 떨어지지만, 아래와 같다.
① 반출 방향을, X선 검사 위치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고정 배치했기 때문에, 도 7과 같은 L자형 형상의 부지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② 주 차폐벽을, 적어도 입구측 차폐문으로 1차 반사 X선이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입구측 차폐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③ 또한, 그 때문에 입구측 문 중량이 가벼워지고, 이것을 구동하는 모터 용량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피검사물의 반입 방향이, X선 검사 위치(18)[중계 이동 수단(19)]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또는 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했지만, 양자는 직각 또는 직선 형태로 배치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X선 검사 위치(18)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어 배치할 수 있다.
단,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이 X선 검사 위치(18)[중계 이동 수단(19)]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선 형태로 배치되지 않을 경우에,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18)에 반입되어 X선 검사를 받을 때는, 적어도 입구측 제 2 이동 수단(15a)과 출구측 제 2 이동 수단(15b) 중 한쪽이, X선 검사 위치(18)에 있어서의 피검사물 이동 방향과 직선 형태로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이동 수단(15a, 15b)의 이동은 선회 이동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평행 이동 등 임의의 이동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에 따르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입구측 차폐문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 내부로 반입되는 반입 방향과,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출구측 차폐문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 외부로 반출되는 반출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으므로, 상기 반입 방향으로부터 X선 검사 위치 및 반출 방향에 이르는 검사 전라인이 1개의 직선 형상 라인으로 할 필요가 없어져 긴 부지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에 따르면, 상기 반입 방향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는 동시에, 상기 관리 영역 내부로 반입된 상기 피검사물을,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또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향해서 진입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입구측 이동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특별히 정했으므로, 상기 피검사물을 X선 검사 위치에 반입하는 구성을 구체화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에 따르면, 상기 반출 방향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고, X선 검사가 종료한 피검사물을, 상기 반출 방향으로, 또 상기 출구측 차폐문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출구측 이동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특별히 정했으므로, X선 검사의 종료한 상기 피검사물을 X선 검사 위치로부터 반출하는 구성을 구체화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에 따르면, 상기 X선 조사 장치를 둘러싸는 주 차폐벽을 갖고, 상기 입구측 차폐문과 상기 출구측 차폐문 중 적어도 한쪽이, 1차 반사 X선의 튀어나옴이 상기 주 차폐벽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차 반사 X선의 도달이 차단된 차폐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이 문의 중량도 경량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X선 검사 설비에 따르면, 상기 관리 영역의 외부이며 상기 입구측 차폐문 및 출구측 차폐문의 근방 위치에, 피검사물의 운전자가 대기하고, 감시 요원이 주재하는 대기·감시실을 설치했으므로, 컨테이너 차량이나 자동차의 운전자는 검사 개시로부터 검사 종료까지 이동하는 일없이 이 대기·감시실에서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 개소도 1개소가 되었으므로, 감시 요원은 1명으로 대응 가능해졌다.

Claims (5)

  1. 차폐벽으로 둘러싸이고 입구측 차폐문과 출구측 차폐문을 갖는 관리 영역을 가지며, 피검사물인 컨테이너 차량이나 자동차가 상기 관리 영역에 반입되어 상기 관리 영역 내의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동안에 X선 조사 장치로부터 조사된 X선에 의해 X선 검사되는 X선 검사 설비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입구측 차폐문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 내부로 반입되는 직선형의 반입 경로와,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출구측 차폐문을 거쳐서 상기 관리 영역 외부로 반출되는 직선형의 반출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의 반입 경로는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는 동시에, 상기 관리 영역 내부로 반입된 상기 피검사물을,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또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향해서 진입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입구측 이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의 반출 경로는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X선 검사 위치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직선상에 있고, X선 검사가 종료한 피검사물을, 반출 방향으로, 또 상기 출구측 차폐문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출구측 이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장치를 둘러싸는 주 차폐벽을 갖고, 1차 반사 X선의 튀어나옴이 상기 주 차폐벽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에, 상기 입구측 차폐문과 상기 출구측 차폐문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외부이며 상기 입구측 차폐문 및 출구측 차폐문의 근방 위치에, 피검사물의 운전자가 대기하고, 감시 요원이 주재하는 대기·감시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설비.
KR1020060053996A 2005-06-17 2006-06-15 Ⅹ선 검사 설비 KR100891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7363 2005-06-17
JP2005177363A JP2006349546A (ja) 2005-06-17 2005-06-17 X線検査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69A KR20060132469A (ko) 2006-12-21
KR100891765B1 true KR100891765B1 (ko) 2009-04-07

Family

ID=3751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996A KR100891765B1 (ko) 2005-06-17 2006-06-15 Ⅹ선 검사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349546A (ko)
KR (1) KR100891765B1 (ko)
CN (1) CN1880948A (ko)
TW (1) TW2007007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6773B (zh) * 2011-03-30 2013-03-13 马军 X射线探伤机检测试验台
KR101374634B1 (ko) * 2012-08-10 2014-03-17 주식회사 쎄크 인라인 엑스-레이 차폐 도어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검사시스템
CN102879408B (zh) * 2012-09-27 2014-11-12 南京奥特电气股份有限公司 管道焊缝探伤驱动装置
JP5975572B2 (ja) * 2013-01-28 2016-08-23 株式会社Ihi検査計測 X線検査装置及び方法
JP5996451B2 (ja) * 2013-02-06 2016-09-21 株式会社Ihi検査計測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JP5996452B2 (ja) * 2013-02-12 2016-09-21 株式会社Ihi検査計測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JP6162496B2 (ja) * 2013-06-19 2017-07-12 株式会社Ihi検査計測 X線検査用車両の搬送装置
JP2018159661A (ja) * 2017-03-23 2018-10-11 三菱電機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汚染検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2648A (ja) * 1987-05-26 1989-04-11 Sci Appl Internatl Corp 爆発物検出装置
JPH02101254U (ko) * 1989-01-30 1990-08-13
JPH05306972A (ja) * 1992-04-30 1993-11-19 Toshiba Corp 断層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2648A (ja) * 1987-05-26 1989-04-11 Sci Appl Internatl Corp 爆発物検出装置
JPH02101254U (ko) * 1989-01-30 1990-08-13
JPH05306972A (ja) * 1992-04-30 1993-11-19 Toshiba Corp 断層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9298B (ko) 2009-05-01
CN1880948A (zh) 2006-12-20
TW200700718A (en) 2007-01-01
KR20060132469A (ko) 2006-12-21
JP2006349546A (ja)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765B1 (ko) Ⅹ선 검사 설비
RU2291415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авиационных грузов ил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6563903B2 (en) Container inspection apparatus
KR100700476B1 (ko) 검사 장치 부착 크레인
WO2021259238A1 (zh) 输送装置、以及检查系统
KR100713967B1 (ko) 비접촉 화물 검사 및 컨테이너 운반을 위한 다기능 이동플랫폼
KR101767385B1 (ko) 순환식 이송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검색 시스템
JP4370126B2 (ja) コンテナ検査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検査方法
WO2019205873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JP5996451B2 (ja)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JP4274980B2 (ja) コンテナ貨物の検査装置
JP2012018000A (ja)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JP5996452B2 (ja)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JP5902108B2 (ja)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JP4252481B2 (ja) コンテナ貨物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4252479B2 (ja) コンテナ貨物の検査装置
JP2015131511A (ja) 搬送装置の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4274981B2 (ja) コンテナ内貨物の検査装置
JP4252480B2 (ja) コンテナ貨物の検査装置
WO2021196922A1 (zh) 用于安检设备的辐射屏蔽装置
KR20150061679A (ko) 파이프의 비파괴 검사 장치
CN114384596B (zh) 车辆安检系统、车辆安检系统组合和安检方法
JP5975572B2 (ja) X線検査装置及び方法
JP2007292521A (ja) キャスター車輪付き運搬台車用のx線検査装置
KR20220150128A (ko) 컨테이너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