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763B1 -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763B1
KR100890763B1 KR1020080075047A KR20080075047A KR100890763B1 KR 100890763 B1 KR100890763 B1 KR 100890763B1 KR 1020080075047 A KR1020080075047 A KR 1020080075047A KR 20080075047 A KR20080075047 A KR 20080075047A KR 100890763 B1 KR100890763 B1 KR 10089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chemical resistance
test bench
curable coa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민
Original Assignee
연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763B1/ko
Priority to PCT/KR2008/007643 priority patent/WO20100138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14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3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trialcohols, e.g.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외선 경화도료에 의해 기재층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산, 알칼리, 유기용매 등의 각종 화학물에도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대용 상판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도포되는 1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코팅층; 상기 경화된 제 1 코팅층 상에 도포되는 2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실험대, 상판, 내화학성, 자외선 경화도료, 자외선코팅

Description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Chemical resistant upper plate of laboratory bench with dual layers coated with UV imidiz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재층에 자외선 경화 도료에 의한 1차 코팅층과, 또다른 자외선 경화도료에 의한 2차 코팅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우수한 물성을 구비하도록 한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험대의 상판은 산이나 알칼리, 유기용제 등 부식성이나 용해성의 강한 약품에 접촉되거나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약품성이 요구되고, 또한 고온도에 견디고 충격이나 마모에 대해서도 충분되는 내구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실험대의 상판은 일반적으로 목재를 소재로 하여 제작하고, 그 위에 상판 목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제(페인트 등)를 도포하거나, 멜라민(melamine)과 같은 합성수지판을 상판에 부착하거나, 수지성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 외에 합성수지와 규사 등 수종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소재에 의해 제작되고있다.
이러한 실험대의 상판은 화학, 제약, 의약, 식품, 생명공학, 유전공학, 기계, 전기, 전자, 건축, 토목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종래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는 주로 페놀계 수지의 압출 평판으로 합판 위에 본드로 접합한 상판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험대용 상판은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고 내식성에 약하고, 내충격성, 내약품성에 약한 단점이 있어 실험실이나 연구실용 실험대 상판으로 부적합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재층에 코아층 및 에폭시 수지 함침층으로 이루어진 HPE(High Pressure Epoxy Laminate)가 일체화된 실험대용 상판이 있으나, 이러한 실험대용 상판은 제 1,2 코아층 및 에폭시 수지함침층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순서대로 재치하여 가열/가압하여 HPE(High Pressure Epoxy Laminate)를 형성하고, 상기 HPE(High Pressure Epoxy Laminate)를 기재층에 접착하도록 되어 있어, 상판의 상부면만이 내화학성을 구비하고 있었다.
즉,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종래의 실험대용 상판은 모두 기재층에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별도의 기능성패널을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상판의 측면에 약품이 접촉될 경우, 상판의 측면에 변색이 발생되고, 기재층과 기능성 패널의 분리현상이 발생되어 들뜸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능성 패널의 일부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실험대용 상판 전체를 교 체해야 하고, 이로 인해 비용증대 및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실험대의 구조는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에 맞게 설계되어 사용되어야 하나, 종래의 실험대용 상판은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그 변형설계에 한계가 있어, 실험대를 용도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외선 경화도료에 의해 기재층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산, 알칼리, 유기용매 등의 각종 화학물에도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외선 경화도료의 도포경화에 의해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코팅막을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기재층에 쉽게 적용하여 의장적 효과를 구비할 수 있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실험대용 상판의 상부면 및 측면에도 자외선 경화도료의 도포경화에 의해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코팅막을 형성하여 화학약품으로 인한 상판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자외선 경화도료에 의해 이중 코팅막을 형성하여, 기재층과의 접착성 및 우수한 표면경도를 구비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프레이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대용 상판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도포되는 1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코팅층; 상기 경화된 제 1 코팅층 상에 도포되는 2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은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은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이 상부면 및 측면에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45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75 중량%, 광개시제 3∼8중량%를 함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 디올, 이소 홀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10∼3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70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45중량%; 및 광개시제 1∼8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착성이 우수한 1차 자외선 도료와 우수한 물성을 구비하는 2차 자외선도료를 기재층에 순차적으로 도포 경화시키고, 1,2차 자외선 도료를 우레탄 계열의 자외선도료로 하여, 기재층과의 밀착성, 제 1,2 코팅층의 일체화 및, 코팅층이 우수한 내구성, 내화학성, 내악품성을 구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외선 경화도료에 의해 이중으로 코팅층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각각의 자외선 경화도료의 특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각각의 코팅층에 대한 단점이 서로 보완되어 전체 코팅층이 우수한 물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혼합하도록 되어 있어, 코팅층의 크랙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 실록산을 더 혼합 사용하여, 전체 코팅층의 인장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실험대 상판의 적층식 구조가 아닌 도포 경화에 의해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기재층의 형상에 제한없이 다양한 형상의 상판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모서리 부위에 대한 곡면가공 및 모따기 가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수려한 외관을 구비하는 등 다양한 의장적 효과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판의 모서리 부위를 둥굴게 곡면가공할 경우, 실험자의 부주위로 인한 모서리와 약품용기의 충돌시 약품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도료의 도포 경화에 의해 기재층 상면에 우수한 물성을 구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실험, 연구, 교육에 사용되는 실험대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도료는 바코더, 붓, 로울러 시공뿐만이 아니라 스프레이 시공이 가능할 정도의 점도를 구비하고 있어, 전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자외선 경화도료의 도포 경화가 가능하므로, 화학약품의 흘러내림으로 인한 상판 측면손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판의 수명을 연장하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층의 일부 손상시 해당부위에 대해서만 다시 자외선 경화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종래의 실험대 상판에 비해 우수한 경제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험대용 상판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도포되는 1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코팅층; 상기 경화된 제 1 코팅층 상에 도포되는 2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은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은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이 기재층의 상부면 및 측면에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은 실험대의 기재로서, 합판, 파티클보드(PB), MDF, HDF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티클보드를 사용한다.
상기 제 1 코팅층은 개재층의 상부면 및 측면에 1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로울러, 솔, 붓, 바코더 및 스프레이에 의해 0.05∼0.2㎜ 두께로 기재층의 상부면 또는 상부면과 측면에 도포된다.
상기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45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75 중량%, 광개시제 3∼8중량%를 함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 디올, 이소 홀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분자량 1,500∼2,000 을 구비한다.
즉,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반응용기에 수평균 분자량 1000 폴리에스테르 디올과 이소 홀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 holon diisocyanate)를 75℃에서 10시간 반응시킨 후, 이를 약 35℃로 냉각시키고, 이에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 ethyl acrylate)를 첨가하여 75℃∼85℃를 유지하며, 반응시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700∼1,800 정도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직쇄 지방족 또는 치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수평균 분자량 300∼500 의 다관능성 모노머를 사용하며, 다관능성 모노머는 TMPTA(트리메티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또는 TPGDA(트리프로플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층의 인장성 향상을 위하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 실록산을 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벤즈알데하이드, 안트라퀘논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25℃에서 점도 약 200∼400 cps를 구비하며, 기재층에 도포경화되어 밀착성이 우수한 제 1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코팅층은 제 1 코팅층에 2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로울러, 솔, 붓 및 스프레이에 의해 0.1∼0.2㎜ 두께로 제 1 코팅층에 도포된다.
상기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10∼3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70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45중량 %; 및 광개시제 1∼8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소프론 디이소시아네이트)과, 폴리올의 혼합물(폴리에틸렌글리콜); 그리고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하이드록시프로필 멘타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이때, 상기 폴리올은 최종 코팅층의 경도를 고려하여 분자량이 400∼3,000 의 폴리올을 첨가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최종 코팅층에 유연성 및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희석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때에는 점도가 너무 높고, 70 중량%를 초과하는 때에는 최종 코팅층의 경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는 5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코팅층의 경도가 떨어지고 4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코팅층의 유연성이 저하되므로, 적정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벤즈알데하이드, 안트라퀘논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25℃에서 점도 약 2∼50 cps 를 구비하며, 도포경화시 경도 약 4∼8H 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 1,2 코팅층은 전체 코팅두께가 약 0.2∼0.4㎜ 정도를 구비하도록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용 상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대의 용도 및 장소에 맞게 기재층의 형상이 재단 가공되는 단계와; 가공된 기재층의 상부면 또는 상부면과 측면에 로울러, 솔, 붓, 바코더 및 스프레이에 의해 0.05∼0.2㎜ 두께로 1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도포되는 단계와; 기재층에 도포된 1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자외선 경화되어 제 1 코팅층이 형성되는 단계; 제 1 코팅층에 로울러, 솔, 붓, 바코더 및 스프레이에 의해 0.1∼0.2㎜ 두께로 2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도포되는 단계와; 제 1 코팅층에 도포된 2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자외선 경화되어 제 2 코팅층이 형성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공된 기재층은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없도록 정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45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75 중량%, 광개시제 3∼8중량%를 함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10∼3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70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45중량%; 및 광개시제 1∼8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 수단으로는 수은램프, 크세논램프 등을 사용하며, 350∼400㎚의 램프 파장을 이용하고, 조사선량은 700∼1,300mJ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00∼1,000 mJ 을 구비하며, 조사시간은 1초∼60초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30초 범위에서 조사한다. 즉, 조사선량이 700mJ 미만이거나, 조사시간이 1초 미만일 경우,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으며, 조사선량이 1,300mJ 을 초과하거나, 조사시간이 60초를 초과할 경우, 코팅층이 변색되거나 취 약성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측면에도 자외선을 조사시켜 1,2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도포된 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자외선을 조사시킨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험대용 상판은 접착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 도료에 의해 기재층에 제 1 코팅층이 형성되고, 우수한 표면경도 및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자외선 경화도료에 의해 제 2 코팅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밀착성, 내구성, 내화학성, 내악품성을 구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중량%, TMPTA(트리메티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18 중량%, TPGDA(트리프로플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48 중량%,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4 중량%에 의해 점도 350 cps 의 1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23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7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3중량%; 및 광개시제 7 중량% 에 의해 점도 2 cps의 2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
두께 40㎜의 파티클보드의 모서리를 가공하고, 가공된 파티클보드의 상부면 및 측면에 실시예 1 에 의해 형성된 1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0.1㎜ 두께로 로울러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제 1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 1 코팅층 표면에 실시예 2 에 의해 형성된 2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0.2㎜ 두께로 스프레이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제 2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1,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조사거리 10㎝에서 조사선량 700mJ로 10초 동안 광경화시켜 제 1,2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제 1 코팅층의 형성후 약 10 분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도포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시험체에 대한 경도를 측정한 결과 4H로, 실험대의 기준경도 H 보다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체를 형성하고, 이에 대하여 내약품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 과 같다.
도 3 은 내약품성에 대한 시험성적서로, 상온에서 염산, 질산, 황산, 수산화나트륨, 에틸알콜, 톨루엔, 벤젠을 스포이트에 의해 시험체에 2방울씩 각각 떨어뜨린 후, 약 5 시간 후에 변색, 부식, 부풀음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용 상판은 국내 기준치 염산 30%(기준 :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보다 높은 염산 35%에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질 산은 국내기준치 60% 보다 2% 높은 62%에서, 황산은 국내기준치 95% 보다 3% 높은 98%에서, 수산화나트륨은 국내기준치 30w/v% 보다 5% 높은 35%에서, 그리고 에틸알콜, 톨루엔, 벤젠은 국내기준치 99.5% 에서도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이중 자외성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실험대용 상판은 우수한 내화학성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험대 상판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을 구비한 실험대에 대하여 물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 및 도 5 와 같다. 테스트는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S G 4012 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도 4 및 도 5 는 실험대에 대한 시험성적서로서, 각각의 시험항목에 대하여 모두 시험결과는 모두 시험기준보다 우수한 결과값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대한 내약품성 시험성적서
도 4 및 도 5 는 실험대에 대한 시험성적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재층 (20) : 제 1 코팅층
(30) : 제 2 코팅층 (40) : 상판
(41) : 상부면 (42) : 측면
(43) : 모따기 처리된 부분

Claims (16)

  1.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실험대용 상판에 있어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도포되는 1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코팅층;
    상기 경화된 제 1 코팅층 상에 도포되는 2차 자외선 경화도료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은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이 기재층의 상부면 및 측면에도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45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75 중량%, 광개시제 3∼8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 디올, 이소 홀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분자량 1,500∼2,00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는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7.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수평균 분자량 300∼500 의 다관능성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 실록산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25℃에서 점도 200∼400 cp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10∼3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70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45중량%; 및 광개시제 1∼8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혼합물,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폴리올은 분자량이 400∼3,00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25℃에서 점도 2∼50 cps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1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2 코팅층은 총두께 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14.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실험대용 상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험대의 용도 및 장소에 맞게 기재층의 형상이 재단 가공되는 단계;
    가공된 기재층의 상부면 또는 상부면과 측면에 0.05∼0.2㎜ 두께로 1차 자외선 경화도료를 도포되는 단계;
    기재층에 도포된 1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자외선 경화되어 제 1 코팅층이 형성되는 단계;
    제 1 코팅층에 0.1∼0.2㎜ 두께로 2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도포되는 단계;
    제 1 코팅층에 도포된 2차 자외선 경화도료가 자외선 경화되어 제 2 코팅층이 형성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제조방법.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1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45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75 중량%, 광개시제 3∼8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10∼3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70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45중량%; 및 광개시제 1∼8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제조방법.
  16.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자외선 경화도료는 조사선량 700∼1,300 mJ, 조사시간 1초∼60초 광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 상판 제조방법.
KR1020080075047A 2008-07-31 2008-07-31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KR10089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47A KR100890763B1 (ko) 2008-07-31 2008-07-31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PCT/KR2008/007643 WO2010013874A1 (en) 2008-07-31 2008-12-24 Chemical resistant upper plate of laboratory bench with dual uv-cure coating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47A KR100890763B1 (ko) 2008-07-31 2008-07-31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763B1 true KR100890763B1 (ko) 2009-03-31

Family

ID=4069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47A KR100890763B1 (ko) 2008-07-31 2008-07-31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0763B1 (ko)
WO (1) WO201001387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21B1 (ko) 2008-04-28 2010-08-31 박종익 학생용 책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374B1 (ko) * 2010-10-11 2011-04-11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모서리가 방습처리된 미장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717267B1 (ko) * 2016-08-01 2017-03-1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배기식 클린 시약장
KR101720118B1 (ko) * 2016-08-01 2017-03-2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시약장 상측에 유해가스 정화를 위해 이온클러스터와 하이브리드필터를 내장한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
KR102010795B1 (ko) * 2018-08-08 2019-10-14 (주)세운티.엔.에스 Uv 경화형 필름을 부착시킨 건축 및 산업용 단열재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385736B1 (ko) * 2021-07-12 2022-04-15 광동산업(주) 실험대 상판의 구성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0078A1 (en) * 2017-12-06 2019-06-13 Orsatec Gmbh Uv curable mounting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613A (ja) 1996-08-01 1998-02-17 Risho Kogyo Co Ltd 実験台用表面材
JPH10323233A (ja) 1997-05-26 1998-12-08 Hooa Home:Kk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4295B1 (ko) 2000-04-12 2002-12-16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63994B1 (ko) 2005-02-25 2006-03-29 연우산업주식회사 실험대용 내화학성 상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556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0762766B1 (ko) * 2005-12-27 2007-10-04 (주)디피아이 홀딩스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도막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613A (ja) 1996-08-01 1998-02-17 Risho Kogyo Co Ltd 実験台用表面材
JPH10323233A (ja) 1997-05-26 1998-12-08 Hooa Home:Kk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4295B1 (ko) 2000-04-12 2002-12-16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63994B1 (ko) 2005-02-25 2006-03-29 연우산업주식회사 실험대용 내화학성 상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21B1 (ko) 2008-04-28 2010-08-31 박종익 학생용 책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374B1 (ko) * 2010-10-11 2011-04-11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모서리가 방습처리된 미장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717267B1 (ko) * 2016-08-01 2017-03-1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배기식 클린 시약장
KR101720118B1 (ko) * 2016-08-01 2017-03-2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시약장 상측에 유해가스 정화를 위해 이온클러스터와 하이브리드필터를 내장한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
KR102010795B1 (ko) * 2018-08-08 2019-10-14 (주)세운티.엔.에스 Uv 경화형 필름을 부착시킨 건축 및 산업용 단열재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385736B1 (ko) * 2021-07-12 2022-04-15 광동산업(주) 실험대 상판의 구성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3874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763B1 (ko) 이중 자외선 경화 코팅층을 구비하는 내화학성 실험대용상판과 그 제조방법
KR101247714B1 (ko) 플라스틱 기재용 도료 조성물, 그것에 의해 형성된 도막 및 그 형성체
ES2209230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materiales compuestos en lamina con empleo de pegamento con endurecimiento de varias etapas.
JP645833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積層体
TWI532808B (zh) Resin composition
KR101696331B1 (ko) 투광성 경질 기판 적층체의 가공 방법 및 판상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40062133A (ko)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재의 가고정 방법
ITTO940659A1 (it) Composizione adesiva induribile con raggi u. v. , particolarmente per laminazione.
KR101118570B1 (ko) Uv 경화형 코팅 조성물
JP6123428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による硬化膜、及び該硬化膜を有する積層体
JP2017061676A (ja) 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4850A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TW201708485A (zh) 組成物
JP4948850B2 (ja) 多層塗膜、該多層塗膜を備える基材、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690404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アクリル系樹脂部材用接着剤組成物
KR20130140725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
KR101403986B1 (ko)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JP2012206378A (ja) ハードコート樹脂成型体
JP2018087284A (ja) 光学物品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物品
KR100762766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도막의 형성 방법
KR101622301B1 (ko) 고기능성 라미나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704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5077973B2 (ja) ウレア結合及び光重合性不飽和結合含有アクリレート系誘導体の製造方法、電離放射線感応型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5132946B2 (ja) モールドプリン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賦型物
US20230067047A1 (en) Light and moisture curabl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