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11B1 - 철근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철근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11B1
KR100889011B1 KR1020080052945A KR20080052945A KR100889011B1 KR 100889011 B1 KR100889011 B1 KR 100889011B1 KR 1020080052945 A KR1020080052945 A KR 1020080052945A KR 20080052945 A KR20080052945 A KR 20080052945A KR 100889011 B1 KR100889011 B1 KR 10088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ember
reinforcing bar
main body
guid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플라이한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이한양건설(주) filed Critical 플라이한양건설(주)
Priority to KR102008005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다수개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는, 내부에 클립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클립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배출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경사부를 타고 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결속, 클립부재, 안내부재

Description

철근결속장치 { BIND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BAR }
본 발명은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다수개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철근을 매입하여 시설하고 있다.
즉, 콘크리트용의 몰드 내에 다수의 철근을 서로 나란히 또는 직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후 그 외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철근의 고정방법으로는 가는 결속선을 이용하여 결속부에 맞도록 결속선을 절단하여, 상기 절단된 결속선을 원하는 부위에 감고 꼬아서 결속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철근결속의 경우에는 수작업에 의해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작업능률의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다양한 형상의 결속용 클립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이는 클립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한 철근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는, 내부에 클립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클립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배출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경사부를 타고 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일단 및 안내부재의 일단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장착부가 상기 가동부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동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배치되는 가이드레일홈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안내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제2경사부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는 철근결속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철근을 결속하는 클립부재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과 타단은 상호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개방구를 형성하는 개곡선 형상을 이루고, 일단과 타단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곡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부재는,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호 형상의 제1탄성부와; 일방향으로 개방되고, 타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부와 연결된 제2탄성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는 내부에 클립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을 결속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가동부재(20)와, 안내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일단에 상기 클립부재(40)가 배출되는 배출구(18)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클립부재(40)가 유입되는 유입구(15)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상기 클립부재(4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단에는 철근에 배치되는 장착부(17)가 상기 본체(10)의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베이스부재(11)와 커버부재(14)가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1)의 양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지지턱(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클립부재(40)의 이동시 상기 클립부재(40)가 좌우로 흔들림없이 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1)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지지턱(12)의 가운데에는 상기 안내지지턱(12)과 평행한 안내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13)는 상기 베이스부재(11)의 타단부터 상기 베이스부재(11)의 일단에 장착되는 상기 안내부재(30)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13)는 상기 베이스부재(11)의 타단 부근에서 하향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40)가 상기 본체(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14)의 타단에는 상기 클립부재(40)가 유입되는 유입구(15)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부재(2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와 상기 커버부재(14)는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전방으로 개방된 상기 배출구(18)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1)에는 상기 안내부재(30)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14)의 상기 이동공(16)에는 상기 가동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가동부재(20)는 상기 본체(10) 자세하게는 상기 커버부재(14)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40)를 상기 배출구(18)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부재(20)의 하부 전방 양측에는 제1하부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하부 후방 양측에는 제2하부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2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동부재(20)의 폭을 상기 이동공(16)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20)가 상기 커버부재(14)의 이동공(1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동부재(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억제하고, 하면은 전방 즉 상기 배출구(18)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 다.
상기 가동부재(2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제1하부걸림돌기(21)와 상기 상부걸림턱(23)의 사이 거리는 멀고, 상기 가동부재(20)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제2하부걸림돌기(22)와 상기 상부걸림턱(23) 사이의 거리는 짧기 때문에, 상기 가동부재(20)는 전방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20)는 스프링(25)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동부재(20)가는 항상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받고 있다.
상기 안내부재(3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8)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4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부재(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상기 본체(10)의 일단과 동일하게 철근이 배치되는 장착부(17)가 상기 가동부재(20)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가동부재(20) 방향으로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내부재(30)의 외주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부(33)는 상기 안내부재(30)의 외주면 전체에서 상기 가동부재(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30)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33)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18) 방향 즉 상기 제1경사부(33)의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 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커버부재(14)의 저면에는 상기 제2경사부(34)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이 상기 배출구(18)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30)의 양측에는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이 배치되는 가이드레일홈(31)이 상기 배출구(18)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은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부재(30)의 타단의 중심부에 상기 안내부재(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을 분리하는 분리부(32)를 형성하였다.
상기 분리부(32)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안내돌기(13)와 맞닿도록 하고, 상기 안내돌기(13)의 크기와 같거나 작게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리부(32)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에 사용되는 클립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상호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개방구(41)를 형성하는 개곡선 형상의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안내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3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클립부재(40)의 개방구(41)가 확장된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을 따라 보다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립부재(40)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50)는 제1탄성부(52)와 제2탄성부(53)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탄성부(52)는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53)는 일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51)를 형성하고 타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부(52)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클립부재(50)는 일단과 타단이 벌어질 경우 즉 상기 개방구(51)가 확장될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클립부재(40)와 비교하여 보다 많이 벌어질 수 있어 클립부재(40)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작동과정도로써, 도 7은 클립부재(40)가 철근결속장치에 배치된 상태이고, 도 8은 가동부재(20)가 클립부재(40)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상태이며, 도 9는 클립부재(40)가 안내부재(30)에 의해 확장된 상태이고, 도 10은 클립부재(40)가 철근결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태이다.
도 7(a), 도 8(a), 도 9(a) 및 도 10(a)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에서 커버부재(14)와 스프링(25)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 도 8(b), 도 9(b) 및 도 10(b)는 커버부재(14)와 베이스부재(11) 및 가동부재(20)를 단면으로 표현하고 안내부재(30) 및 클립부재(40)는 단면으로 표현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5)를 통해 클립부재(40)를 본체(10)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클립부재(4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안내돌기(13)를 사이에 두고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개방구(41)에 상기 안내돌기(13)가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클립부재(40)를 상기 본체(10)에 삽입 장착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40)를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5)에 삽입할 경우, 상기 안내돌기(13)의 타단이 상기 유입구(15)에서 전방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클립부재(40)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재(40)를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본체(10)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클립부재(40)가 상기 안내돌기(13)를 따라 상기 안내부재(30)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내지지턱(12)은 상기 클립부재(40)가 좌우로 유동됨이 없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기 안내돌기(13)는 상기 클립부재(40)와 상기 베이스부재(11)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클립부재(40)가 용이하게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안내돌기(13)가 상향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부재(40)는 전체가 상기 베이스부재(11)와 접하지 않고, 일부분만 상기 안내돌기(13)와 접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그만큼 적게 발생하여 상기 클립부재(40)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안내지지턱(12) 사이 간격은 상기 클립부재(40)의 최대 지름보다 약간 크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의 사이 간격은 상기 안내돌기(13)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부재(20)를 전방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25)이 후방으로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부재(20)의 전방은 항상 윗방향으로 올려져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40)는 상기 가동부재(20)의 걸림없이 상기 안내부재(3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가동부재(20)를 상면을 누르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20)는 상기 이동공(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부재(20)의 전방은 상기 클립부재(40)의 후방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안내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31)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가동부재(20)를 더 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안내부재(30)의 양측에 형 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클립부재(40)의 후방은 상기 가동부재(20)에 의해 상기 제1경사부(33)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30)가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부재(40)의 개방구(41)는 점점 더 확장된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40)는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가동부재(20)를 더 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40)의 후방은 상기 제1경사부(33)를 타고 넘어 상기 제2경사부(34)로 이동하고,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홈(31)으로부터 이탈되어 철근결속장치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40)의 전방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되어 있다가 상기 가이드레일홈(31)을 이탈함에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수축함으로써, 상기 클립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다시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40)의 전방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40)는 상기 제1경사면을 타고 더 상승하려고 하는데, 이때 상기 안내부재(30)에 형성된 제2경사부(34)와 상기 커버부재(14)의 저면에 형성된 제3경사부(19)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40)는 상승하지 않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18)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상기 본체(10)의 일단과 상기 안내부재(30)의 일단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장 착부(17)가 오목하게 되어 있는바, 상기 장착부(17)에 배치되어 있는 철근은 상기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클립부재(40)에 의해 결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경사부(34)와 제3경사부(19)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클립부재(40)가 보다 정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철근결속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작동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베이스부재, 12 : 안내지지턱, 13 : 안내돌기, 14 : 커버부재, 15 : 유입구, 16 : 이동공, 17 : 장착부, 18 : 배출구, 19 : 제3경사부, 20 : 가동부재, 21 : 제1하부걸림돌기, 22 : 제2하부걸림돌기, 23 : 상부걸림턱, 25 : 스프링, 30 : 안내부재, 31 : 가이드레일홈, 32 : 분리부, 33 : 제1경사부, 34 : 제2경사부, 40, 50 : 클립부재, 41, 51 : 개방구, 52 : 제1탄성부, 53 : 제2탄성부,

Claims (7)

  1. 삭제
  2. 내부에 클립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클립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배출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클립부재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경사부를 타고 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본체의 일단 및 안내부재의 일단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장착부가 상기 가동부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동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배치되는 가이드레일홈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안내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제2경사부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80052945A 2008-06-05 2008-06-05 철근결속장치 KR10088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45A KR100889011B1 (ko) 2008-06-05 2008-06-05 철근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45A KR100889011B1 (ko) 2008-06-05 2008-06-05 철근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011B1 true KR100889011B1 (ko) 2009-03-19

Family

ID=4069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45A KR100889011B1 (ko) 2008-06-05 2008-06-05 철근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9367A (en) * 1981-06-15 1982-12-22 Otogane Kikai Kk Reinforced bundling tool
JPH08189190A (ja) * 1994-12-02 1996-07-23 Hoshi Nagatake 結束バンド自動結束装置
KR20030078053A (ko) * 2003-09-05 2003-10-04 김진호 철근결속기
KR200352561Y1 (ko)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9367A (en) * 1981-06-15 1982-12-22 Otogane Kikai Kk Reinforced bundling tool
JPH08189190A (ja) * 1994-12-02 1996-07-23 Hoshi Nagatake 結束バンド自動結束装置
KR20030078053A (ko) * 2003-09-05 2003-10-04 김진호 철근결속기
KR200352561Y1 (ko)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890B2 (en) Switching mechanism for stapling modes of a stapler
JP5562105B2 (ja) スプレーガン用のスプレースイッチ
EP3069769A1 (en) Locking-unlocking structure for guiding forward lifting of lifting body by repeating pushing action
KR100889011B1 (ko) 철근결속장치
KR200449746Y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JPWO2014162376A1 (ja) クランプ
KR101170467B1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JP2017110437A (ja) 床付き布枠
KR102229589B1 (ko) 딘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
CN209978327U (zh) 一种连接结构及空调器
KR102468006B1 (ko) 벽체시공 수도관 지지 기구
JP2021177803A (ja) クランプ
CN212897573U (zh) 一种装配式钢结构连接结构
CN213174482U (zh) 一种梁钢筋保护层厚度定位组合件
KR20130053792A (ko) 반자동 삽
JP4541340B2 (ja) フック掛け鉄筋の組筋板
KR100570337B1 (ko) 철근 결합용 타커
JP7215700B1 (ja) 光ファイバの光パワー減衰治具
JP3894921B2 (ja) フック掛け鉄筋の組筋板
KR101095908B1 (ko) 걸림링크
KR20190115386A (ko) 원터치형 철근 결속 커플러와 그 제조 방법
JP7223443B2 (ja) 足場板固定装置
KR101250296B1 (ko) 철근 결속장치
KR200349933Y1 (ko) 철근 결합용 타커
KR20100008181U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