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46Y1 - 쐐기형 인장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9746Y1 KR200449746Y1 KR2020080013383U KR20080013383U KR200449746Y1 KR 200449746 Y1 KR200449746 Y1 KR 200449746Y1 KR 2020080013383 U KR2020080013383 U KR 2020080013383U KR 20080013383 U KR20080013383 U KR 20080013383U KR 200449746 Y1 KR200449746 Y1 KR 2004497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pair
- wedges
- wedge head
-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42 ba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상호간 접근 및 이격 가능하고 접근 시 내부에서 케이블(cable)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와, 상기 한 쌍의 쐐기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쐐기헤드; 일단은 상기 쐐기헤드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이 결합되는 바디; 상기 쐐기헤드 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바디의 어느 일 표면에 형성되는 덧살부; 및 상기 덧살부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쐐기헤드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덧살부의 두께 또는 부피를 가능한 한 최소로 하면서 고리부를 쐐기헤드 쪽으로 위치 이동시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중량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전반적인 사이즈(size)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클램프, 인장, 쐐기, 전선, 케이블, 와이어, 고정
Description
본 고안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덧살부의 두께 또는 부피를 가능한 한 최소로 하면서 고리부를 쐐기헤드 쪽으로 위치 이동시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중량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전반적인 사이즈(size)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선이나 와이어(wire), 케이블(cable) 등은 대부분 지상에 설치된 전신주를 따라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경우, 각종 전선이나 와이어, 케이블(이하, 케이블로 통일함)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기(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위, 쐐기형 인장클램프라 하는 툴(tool)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에 대해 살펴보면,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수단 삽입홈(5')이 형성된 몸체판(2')과 이 몸체판(2')의 양측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몸체판(2')의 선단부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3a',3b')로 되어 있는 본체(4')와, 탄성수단 삽입홈(5')에 끼워지는 탄성수단(6')과, 탄성수단(6')의 내측에 삽입되는 핀 형상의 지지대(7')와, 탄성수단(6')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쐐기지지판(8')과, 쐐기지지판(8')에 의하여 연동되며 가이드부(3a',3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쐐기(9a',9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에서, 클램핑 대상의 케이블은 한 쌍의 쐐기(9a',9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클램핑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는 그 일측이 핀 형상으로 되어 있어 탄성수단(6')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 끝단은 'ㄱ' 형상의 걸림판(27')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몸체판(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탄성수단 삽입홈(5')의 일측 끝단에 'ㄱ' 형상의 걸림판(27')이 걸려 쐐기지지판(8') 및 한 쌍의 쐐기(9a',9b')가 본체(4')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지지판(8') 및 한 쌍의 쐐기(9a',9b')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연동시키거나 케이블이 한 쌍의 쐐기(9a',9b')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지 않은 경우 쐐기지지판(8') 및 한 쌍의 쐐기(9a',9b')가 가이드부(3a',3b') 내측에서 흔들리게 되어 지지대(7')의 걸림판(27')이 탄성수단 삽입홈(5')의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지지대(7')가 탄성수단 삽입홈(5')에서 빠져나와 분리되고 이로 인해 쐐기지지판(8')과 한 쌍의 쐐기(9a',9b')가 본체(4')의 가이드부(3a',3b')에서 빠져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의 경우, 한 쌍의 쐐 기(9a',9b')가 벌어지도록 쐐기(9a',9b')를 잡아당기게 되면 쐐기(9a',9b')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쐐기지지판(8')이 몸체판(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지지대(7')의 'ㄱ'자 형상의 걸림판(27')에 쐐기지지판(8')의 일측 끝단이 걸려 움직임이 방해됨으로써 한 쌍의 쐐기(9a',9b')가 완전히 벌어지지 않게 되어 원활한 작업이 이루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가 갖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20-2004-0016555호로서 개선된 형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에 더하여 출원번호 20-2005-0029338호로서 더욱 개선된 쐐기형 인장클램프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들의 경우에는,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모두가 실질적으로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9a',9b', 도 9 참조)의 구조나 혹은 그의 원활한 동작에 국한되어 구조가 개선되고 있을 뿐, 전반적으로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중량, 단가 및 사이즈(size)에 대한 개선 구조는 전혀 보이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 현재까지 공지되거나 이미 사용 중에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경우에는,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들어 올리는 등의 작업을 위해 마련된 고리부가 바디의 하면과 쐐기헤드에 전반적으로 넓고 크게 형성된 덧살부의 일 영역에 관통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덧살부가 필요할 수밖에 없어 전반적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될 뿐만 아니라 재료비 증가로 인한 단가 상승의 요인을 이루며, 특히 전반적으로 사이즈(size) 가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불필요한 덧살부의 두께 또는 부피를 가능한 한 최소로 하면서 고리부를 쐐기헤드 쪽으로 위치 이동시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중량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전반적인 사이즈(size)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상호간 접근 및 이격 가능하고 접근 시 내부에서 케이블(cable)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와, 상기 한 쌍의 쐐기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쐐기헤드; 일단은 상기 쐐기헤드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이 결합되는 바디; 상기 쐐기헤드 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바디의 어느 일 표면에 형성되는 덧살부; 및 상기 덧살부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쐐기헤드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덧살부는 상기 바디의 하면에서 상기 바디의 하면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는 상기 쐐기헤드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에 대한 강성을 부여하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는 그 양단이 상기 다수의 보강리브 중 어느 두 개에 각각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불필요한 덧살부의 두께 또는 부피를 가능한 한 최소로 하면서 고리부를 쐐기헤드 쪽으로 위치 이동시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중량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전반적인 사이즈(size)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01)는, 크게 쐐기헤드(110)와 바디(130)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쐐기헤드(110)는 실질적으로 케이블(C, Cable, 도 7 참조)을 클램핑하는(고정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헤드(110)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 즉 평면 투영 시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쐐기헤드(110)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와,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 내에서 상호간 접근 및 이격 가능하고 접근 시 내부에서 케이블(C)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114,115)와, 한 쌍의 쐐기(114,115)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117)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의 외표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에 대한 강성을 부여하는 보강리브(110a,110b,110c)가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리브(110a,110b,110c)는 상호 이격된 3줄의 형태를 갖는데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줄 형태의 보강리브(110a,110b,110c)는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데, 3줄 형태의 보강리브(110a,110b,110c)는 연결형 리브(113)에 의해 상호간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한 쌍의 쐐기(114,115)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와 한 쌍의 쐐기(114,115)는 상호간 레일 구조, 즉 도브 테일(dove tail) 구조로 맞물림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쐐기(114,115)의 외측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의 내측에 형성된 레일홈부(111b,112b)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레일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쐐기(114,115)는 레일홈부(111b,112b)를 따라 경로 이탈 없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호 분할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쐐기(114,115)는 그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케이블(C)을 클램핑한다(고정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쐐기(114,115)의 내부에는 대략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블(C)이 클램핑되는 케이블 클램핑 홈부(114a,11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쐐기(114,115) 중 어느 한 쐐기(114)에는 한 쌍의 쐐기(114,115)의 동작을 위한 손잡이 고리(116)가 더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17)는 한 쌍의 쐐기(114,115)가 한 쌍의 가이드부(111,112)를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된 경우, 한 쌍의 쐐기(114,115)를 상호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한 쌍의 쐐기(114,115)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탄성바이어스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탄성부재(117)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영역에서 한 쌍의 쐐기(114,115)와 접촉된다. 즉 도 2의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한 쌍의 쐐기(114,115)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면 한 쌍의 쐐기(114,115)가 상호간 이격되는데, 이 경우 탄성부재(117)는 압축된다. 하지만, 도 6에서 도 2와 같이 한 쌍의 쐐기(114,115)를 당겼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17)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한 쌍의 쐐기(114,115)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쐐기헤드(110)의 어느 일측에는 본 실시예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01)를 들어 올리는 용도로서 활용될 수 있는 고리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리부(120)는 쐐기헤드(110)의 측면에 형성되는데, 특히 그 양단이 3줄 형태의 보강리브(110a,110b,110c) 중에서 2개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종래와 달리 고리부(120)의 위치를 변경시켜 제작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쐐기헤드(110)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거나 사이즈가 거대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 절감에 따른 단가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바디(130)는 본 실시예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01)를 핸들링하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바디(130)는 일단에서 쐐기헤드(110)와 연결된다. 물론, 바디(130)와 쐐기헤드(11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편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디(130)의 노출단부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테일(131a,132)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 쌍의 테일(131a,132)에는 핀(133)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핀(133)의 단부에는 스프릿 핀(1340)이 고정되어 핀(133)이 한 쌍의 테일(131a,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러한 바디(130)에는 쐐기헤드(110) 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디(130)의 어느 일 표면에 덧살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덧살부(140)는 바디(130)의 하면에서 바디(130)의 하면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고 바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13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덧살부(미도시)가 바디(130)의 하면과 쐐기헤드(110)에 전반적으로 넓고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반적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될 뿐만 아니라 재료비 증가로 인한 단가 상승의 요인을 이루고, 특히 전반적으로 사이즈(size)가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야기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덧살부(140)가 바디(130)의 하면에서 바디(130)의 하면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고 바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13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덧살부(140)를 바디(130)에 형성시키기는 하되, 덧살부(140)를 극히 최소로 형성하고, 또한 덧살부(140)와는 무관하게 즉 덧살부(140)와는 이격된 위치에 고리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고리부(120) 형성을 위해 불필요하게 덧살부(140)를 쐐기헤드(110) 측으로 연장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덧살부(140)의 두께 또는 부피를 가능한 한 최소로 하면서 고리부(120)를 쐐기헤드(110) 쪽으로 위치 이동시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중량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전반적인 사이즈(size)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쐐기형 인장클램프 110 : 쐐기헤드
111,112 : 가이드부 114,115 : 쐐기
117 : 탄성부재 120 : 고리부
130 : 바디 140 : 덧살부
Claims (3)
-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상호간 접근 및 이격 가능하고 접근 시 내부에서 케이블(cable)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와, 상기 한 쌍의 쐐기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쐐기헤드;일단은 상기 쐐기헤드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이 결합되는 바디;상기 쐐기헤드 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바디의 어느 일 표면에 형성되는 덧살부; 및상기 덧살부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쐐기헤드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덧살부는 상기 바디의 하면에서 상기 바디의 하면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에 대한 강성을 부여하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며,상기 고리부는 그 양단이 상기 다수의 보강리브 중 어느 두 개에 각각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383U KR200449746Y1 (ko) | 2008-10-07 | 2008-10-07 | 쐐기형 인장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383U KR200449746Y1 (ko) | 2008-10-07 | 2008-10-07 | 쐐기형 인장클램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968U KR20100003968U (ko) | 2010-04-15 |
KR200449746Y1 true KR200449746Y1 (ko) | 2010-08-06 |
Family
ID=4424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3383U KR200449746Y1 (ko) | 2008-10-07 | 2008-10-07 | 쐐기형 인장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746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6895A (ko) * | 2011-02-23 | 2012-08-31 |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
KR102291567B1 (ko) | 2021-05-12 | 2021-08-2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전선 설치공법, 쐐기형 인장클램프 설치, 철거공법 |
KR102430457B1 (ko) | 2021-04-12 | 2022-08-05 | 김경남 | 양방향 쐐기형 인장 클램프 |
KR102610496B1 (ko) | 2023-05-08 | 2023-12-0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자동 안전개폐후크가 장착된 내장력형 쐐기형 인장 클램프 양방향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설치, 쐐기형 인장 클램프 설치, 철거 간접 활선공법 |
KR102715072B1 (ko) | 2024-02-28 | 2024-10-1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한 전선이탈방지형 안전구조 풀림방지 기능 쐐기형 인장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 공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41522B (zh) * | 2012-09-21 | 2017-09-22 | 株式会社永木精机 | 抓线器 |
KR101588516B1 (ko) * | 2014-04-04 | 2016-01-26 | 윤송현 |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제조방법 |
KR101484046B1 (ko) * | 2014-08-26 | 2015-01-19 | (주)한국주조 |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2772A (ko) * | 2002-01-19 | 2003-07-28 | 정영진 | 철근 받침장치 |
KR20040005444A (ko) * | 2002-07-10 | 2004-01-16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
KR20040035325A (ko) * | 2002-10-22 | 2004-04-29 | 유범상 | 시각 장애인용 충전기 및 그 동작방법 |
KR200362772Y1 (ko) | 2004-06-14 | 2004-09-22 | 최봉기 | 쐐기형 인장클램프 |
KR200405444Y1 (ko) | 2005-10-14 | 2006-01-11 | 제룡산업 주식회사 | 쐐기형 인장 클램프 |
KR200435325Y1 (ko) | 2006-09-27 | 2007-01-16 | 이디아이인터내셔날(주) | 전력선 고정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
-
2008
- 2008-10-07 KR KR2020080013383U patent/KR20044974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2772A (ko) * | 2002-01-19 | 2003-07-28 | 정영진 | 철근 받침장치 |
KR20040005444A (ko) * | 2002-07-10 | 2004-01-16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
KR20040035325A (ko) * | 2002-10-22 | 2004-04-29 | 유범상 | 시각 장애인용 충전기 및 그 동작방법 |
KR200362772Y1 (ko) | 2004-06-14 | 2004-09-22 | 최봉기 | 쐐기형 인장클램프 |
KR200405444Y1 (ko) | 2005-10-14 | 2006-01-11 | 제룡산업 주식회사 | 쐐기형 인장 클램프 |
KR200435325Y1 (ko) | 2006-09-27 | 2007-01-16 | 이디아이인터내셔날(주) | 전력선 고정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6895A (ko) * | 2011-02-23 | 2012-08-31 |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
KR102430457B1 (ko) | 2021-04-12 | 2022-08-05 | 김경남 | 양방향 쐐기형 인장 클램프 |
KR102291567B1 (ko) | 2021-05-12 | 2021-08-2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전선 설치공법, 쐐기형 인장클램프 설치, 철거공법 |
KR102610496B1 (ko) | 2023-05-08 | 2023-12-0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자동 안전개폐후크가 장착된 내장력형 쐐기형 인장 클램프 양방향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설치, 쐐기형 인장 클램프 설치, 철거 간접 활선공법 |
KR102715072B1 (ko) | 2024-02-28 | 2024-10-1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한 전선이탈방지형 안전구조 풀림방지 기능 쐐기형 인장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 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968U (ko)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9746Y1 (ko) | 쐐기형 인장클램프 | |
JP6873873B2 (ja) | コードロック | |
US20180320757A1 (en) | Guide device for long object, and guide rail | |
US20090000682A1 (en) | Corrugated tube | |
CN1236527C (zh) | 带有弹簧的拼合式电接插件 | |
KR200362772Y1 (ko) | 쐐기형 인장클램프 | |
JP4144869B2 (ja) |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
US8499403B2 (en) | Brush | |
JPH0396738A (ja) | エネルギ導体支持鎖 | |
CN106477167A (zh) | 扎带 | |
KR20080090884A (ko) |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이를구비한 슬라이더 조립체 | |
JP2021512260A (ja) | クランプ装置 | |
TW201719050A (zh) | 繩索扣具、及繩索扣住裝置 | |
CN109219365B (zh) | 绳扣 | |
JP6997826B2 (ja) | ケーブル管理アセンブリ | |
US9232833B2 (en) | Double locking buckle | |
JP7083025B2 (ja) | エレメント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 |
US6347432B1 (en) | Locking device for handle assembly | |
US9334924B2 (en) | Cable positioning apparatus | |
AU2002251878A1 (en) | Spring-loaded wedge dead end connector | |
WO2002062122A2 (en) | Spring-loaded wedge dead end connector | |
JP2008010156A (ja) | ワイヤーハーネス用布線治具 | |
EP1209267A2 (en) | Weft insertion apparatus for rapier loom | |
JP5896622B2 (ja) | 電線固定構造 | |
JP2011111169A (ja) | パレット、パレット成形金型及びパレット成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