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96B1 - 철근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96B1
KR101250296B1 KR1020110009095A KR20110009095A KR101250296B1 KR 101250296 B1 KR101250296 B1 KR 101250296B1 KR 1020110009095 A KR1020110009095 A KR 1020110009095A KR 20110009095 A KR20110009095 A KR 20110009095A KR 101250296 B1 KR101250296 B1 KR 10125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reinforcing bar
elastic body
bind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725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11000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하고,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며, 견고하게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고, 낱개의 클립을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한 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외부로 날카로운 절단면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철근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절곡되며 톱날형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양끝단이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마감된 걸림부가 형성된 절곡클립을 이용하여 철근을 결속시키는 철근 결속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작동체, 제2작동체, 제3작동체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형성되되, 상기 제1작동체와 제2작동체의 상단에는 내부에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가 각각 구비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체와 제3작동체의 하단에는 제1작동체와 제2작동체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제3작동체의 일측에는 케이스의 외부로 관통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체의 양측에는 하향절곡된 연결바가 형성되며, 연결바의 끝단에는 절곡클립의 양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도록 철근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시키는 결속체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3작동체의 양측 일단에는 하향연장되어 결속체인을 따라 이동하며 절곡클립의 양측 체결부를 압박하여 체결부의 체결력을 높이는 와이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결속장치{.}
본 발명은 철근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하고,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며, 견고하게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고, 낱개의 클립을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한 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외부로 날카로운 절단면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철근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철근을 매입하여 시공하고 있다. 즉, 다수의 철근을 서로 나란히 또는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한다.
이러한 철근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가는 철사와 같은 결속선을 이용하여 철근을 감싼 후 절단하고, 그 절단된 결속선을 꼬아서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행하여져 왔다.
따라서, 종래의 철근결속의 경우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속도나 능률이 떨어지고, 작업 숙련도에 따라 능률에 차이가 발생되며, 철근을 결속한 각각의 결속선에는 날카로운 절단면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편하고,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며, 견고하게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고, 낱개의 클립을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한 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외부로 날카로운 절단면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철근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절곡되며 톱날형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양끝단이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마감된 걸림부가 형성된 절곡클립을 이용하여 철근을 결속시키는 철근 결속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작동체, 제2작동체, 제3작동체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형성되되, 상기 제1작동체와 제2작동체의 상단에는 내부에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가 각각 구비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체와 제3작동체의 하단에는 제1작동체와 제2작동체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제3작동체의 일측에는 케이스의 외부로 관통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체의 양측에는 하향절곡된 연결바가 형성되며, 연결바의 끝단에는 절곡클립의 양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도록 철근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시키는 결속체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3작동체의 양측 일단에는 하향연장되어 결속체인을 따라 이동하며 절곡클립의 양측 체결부를 압박하여 체결부의 체결력을 높이는 와이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체인은 연결바의 끝단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된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피링의 외부를 감싸도록 수평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부가 형성되어 'ㄷ'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수직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각각의 가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판스프링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일측에 절곡클립의 걸림부가 안착되도록 경사부가 형성된 클립견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수평부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부가 형성된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가이드프레임절반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체는 제1탄성체보다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클립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체의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내부에 삽입되어 제1작동체가 상하작동을 하도록 가이드레일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의 내부 하단과 고정돌기 사이에는 제3탄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작동체의 하단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링크가 케이스의 내부와 축결합되어 이루어진 시저스형 작동링크가 형성되고, 상기 시저스형 작동링크의 하단이 절곡클립의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탄성체는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보다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에 의하면, 사용이 간편하고,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며, 견고하게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고, 낱개의 클립을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한 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외부로 날카로운 절단면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를 보여주는 대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판스프링과 클립견인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이드프레임과 연결링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이드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결속체인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곡클립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결속체인에 절곡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시저스형 작동링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를 통해 설치가 완료된 절곡클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를 보여주는 대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판스프링과 클립견인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이드프레임과 연결링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이드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결속체인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곡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결속체인에 절곡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시저스형 작동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를 통해 설치가 완료된 절곡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차례로 형성된 제1, 2, 3작동체(20)(30)(40)와, 제2작동체(30) 작동에 의해 작동하여 철근(90)을 감싸도록 절곡클립(80)의 양끝단을 절곡시키는 결속체인(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절곡클립(80)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절곡되며 연장되고, 연장된 양측이 서로 체결되도록 톱날형의 체결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끝단은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마감된 걸림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작동체(20)와 제2작동체(30)는 상단에 각각 삽입부(22)(32)가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부(22)(32)에는 제1탄성체(24)와 제2탄성체(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작동체(30)와 제3작동체(40)의 하단에는 제1작동체(20)와 제2작동체(30)의 삽입부(22)(32)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돌기(36)(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작동체(40)의 일측에는 케이스(10)의 외부로 관통되어 돌출된 손잡이(4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44)를 하측으로 누를 시 삽입부(22)(32)에 삽입돌기(36)(42)가 각각 삽입되며 삽입된 거리만큼 제2작동체(30)와 제3작동체(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34)의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제1탄성체(24)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이 적용되어 제2작동체(30)가 먼저 하강한 후 제3작동체(40)가 하강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제2작동체(30)의 양측 일단에는 제2작동체(30)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후 하향절곡되어 연장된 연결바(38)가 형성되고, 연결바(38)의 끝단에는 결속체인(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체인(50)은 연결바(38)에 의해 제2작동체(30)와 연결되어 제2작동체(30)가 하강시 하측으로 이동하되, 그 끝단이 결속시킬 철근(9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절곡클립(80)의 체결부(82)가 형성된 양측을 절곡시켜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결속체인(50)은 판스프링(52), 가이드프레임(54), 연결링크(56)와 클립견인부재(5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판스프링(52)은 상단이 연결바(38)의 끝단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4)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52)의 외부를 감싸도록 수평부(54a)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부(54b)가 형성되어 'ㄷ'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판스프링(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54) 사이에는 연결링크(56)가 가이드프레임(54)의 수직부(54b)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54)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54a)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부(54b)가 형성된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가이드프레임절반체(54c)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클립견인부재(58)는 판스프링(5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프레임(54) 중 제일 하단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54)의 수직부(54b)와 축결합되고, 판스프링(52)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58a)이 형성되며, 일측에 절곡클립(80)의 걸림부(84)가 안착되도록 경사부(58b)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상기 제3작동체(40)의 양측 일단에는 하향연장된 와이어(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46)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클립(80)과 가이드프레임(54)의 수직부(54b) 사이로 하향연장되며, 결속체인(50)이 절곡클립(80)의 양측 체결부(82)를 절곡시켜 체결하면 결속체인(50)을 따라 이동하며 절곡클립(80)의 양측 체결부(82)를 압박하여 체결부(82)의 체결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는 위와 같이 체결된 절곡클립(80)에 장력을 발생시켜 철근(90)을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절곡클립(80)의 중심에는 관통공(86)이 형성되고, 결속체인(50)과 와이어(46)에 의해 절곡클립(80)이 결속된 후 체결부(84)가 형성된 절곡클립(80)의 양측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공(86)을 벌리는 시저스형 작동링크(70)가 케이스(10)의 내부에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저스형 작동링크(70)는 제1작동체(20)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단이 제1작동체(20) 하단의 양측면에 접하고,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링크가 케이스(10)의 내부와 축결합되어 이루어져 제1작동체(20)가 하강하면 시저스형 작동링크(70)가 X자형으로 벌어지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클립(80)의 관통공(86)을 벌리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시저스형 작동링크(7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작동체(20)는 양측에 고정돌기(26)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6)가 내부에 삽입되어 제1작동체(20)가 상하작동을 하도록 가이드레일(12)이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2)의 내부 하단과 고정돌기(26) 사이에는 제3탄성체(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탄성체(60)는 제2작동체(30)와 제3작동체(40)가 차례로 작동하여 절곡클립(80)을 체결시킨 후 제1작동체(20)가 작동하도록 제1탄성체(24)와 제2탄성체(34)보다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큰 것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는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절곡클립(80)을 수납하여 하나씩 차례로 철근 결속장치에 장착시키는 클립수납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된 철근 결속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절곡클립(80)을 결속체인(50)에 장착한 후 절곡클립(80)의 내부에 결속시킬 철근(90)이 위치하도록 한다.
철근(90)을 절곡클립(80)의 내부로 삽입한 후 손잡이(44)를 하측으로 작동시키면 먼저 제2작동체(30)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결속체인(50)이 제2작동체(30)와 같이 하강을 하되, 그 끝단이 철근(9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면서 이동하여 절곡클립(80)의 체결부(82)가 서로 체결되도록 절곡시킨다.
상기 제2작동체(30)가 하강을 마치게 되면 연속적으로 와이어(46)가 제3작동체(40)와 같이 하강하며 와이어(46)의 끝단이 절곡클립(80)의 양측 체결부(82)를 압박시켜 체결부(82) 간의 유격이 없이 견고히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3작동체(40)가 하강을 마치게 되면 또 다시 연속적으로 제1작동체(20)가 가이드레일(12)을 따라 하강하며 시져스형 작동링크(70)를 작동시켜 체결된 절곡클립(80)의 관통공(86)을 벌리고, 이때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절곡클립(80)이 팽팽해져 철근(90)과의 결속을 높혀준다.
위와 같이 제2작동체(30), 제3작동체(40), 제1작동체(20)의 순서로 작동이 이루어지면 다시 제1, 2, 3탄성체(24)(34)(60)에 의해 작동 전의 위치로 복원되며 작동을 마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는 사용이 간편하고,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며, 견고하게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고, 낱개의 클립을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한 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외부로 날카로운 절단면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 케이스 12 : 가이드레일
20 : 제1작동체 22, 32 : 삽입홈
24 : 제1탄성체 26 : 고정돌기
30 : 제2작동체 34 : 제2탄성체
36, 42 : 삽입돌기 38 : 연결바
40 : 제3작동체 44 : 손잡이
46 : 와이어 50 : 결속체인
52 : 판스프링 54 : 가이드프레임
54a : 수평부 54b : 수직부
54c : 가이드프레임절반체 56 : 연결링크
58 : 클립견인부재 58a : 고정홈
58b : 경사부 60 : 제3탄성체
70 : 시저스형 작동링크 80 : 절곡클립
82 : 체결부 84 : 마감부
86 : 관통공 90 : 철근

Claims (6)

  1. 삭제
  2.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절곡되며 톱날형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양끝단이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마감된 걸림부가 형성된 절곡클립을 이용하여 철근을 결속시키는 철근 결속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작동체, 제2작동체, 제3작동체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형성되되, 상기 제1작동체와 상기 제2작동체의 상단에는 내부에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가 각각 구비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체와 상기 제3작동체의 하단에는 상기 제1작동체와 상기 제2작동체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작동체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관통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체의 양측에는 하향절곡된 연결바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는 상기 절곡클립의 양측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시키는 결속체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3작동체의 양측 일단에는 하향연장되어 결속체인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양측 체결부를 압박하여 상기 체결부의 체결력을 높이는 와이어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체인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된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외부를 감싸도록 수평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부가 형성되어 'ㄷ'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수직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도록 경사부가 형성된 클립견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상기 수직부가 형성된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가이드프레임절반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보다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클립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체의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작동체가 상하작동을 하도록 가이드레일이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 하단과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는 상기 제3탄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작동체의 하단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링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축결합되어 이루어진 시저스형 작동링크가 형성되고, 상기 시저스형 작동링크의 하단이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보다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장치.
KR1020110009095A 2011-01-28 2011-01-28 철근 결속장치 KR10125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95A KR101250296B1 (ko) 2011-01-28 2011-01-28 철근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95A KR101250296B1 (ko) 2011-01-28 2011-01-28 철근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25A KR20120087725A (ko) 2012-08-07
KR101250296B1 true KR101250296B1 (ko) 2013-04-09

Family

ID=4687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95A KR101250296B1 (ko) 2011-01-28 2011-01-28 철근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0093B (zh) * 2013-09-06 2016-04-06 青岛林川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保证水平钢筋间距的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055U (ko) * 1989-04-27 1990-11-27
JPH069731U (ja) * 1992-05-13 1994-02-08 清水建設株式会社 自動鉄筋結束装置
WO1994029549A1 (en) * 1993-06-11 1994-12-22 Technische Handelsonderneming Gadon B.V. A device for securing superimposed reinforcing rods
KR200352561Y1 (ko) *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055U (ko) * 1989-04-27 1990-11-27
JPH069731U (ja) * 1992-05-13 1994-02-08 清水建設株式会社 自動鉄筋結束装置
WO1994029549A1 (en) * 1993-06-11 1994-12-22 Technische Handelsonderneming Gadon B.V. A device for securing superimposed reinforcing rods
KR200352561Y1 (ko) *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25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406B1 (ko)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US10017942B2 (en) Rebar wall set-up bar
JP4820307B2 (ja) ラダーマクラギ
KR101250296B1 (ko) 철근 결속장치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120095763A (ko) 천장틀의 설치구조
KR200465434Y1 (ko) 와이어 앵커
KR101179836B1 (ko)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200462346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CN109513857B (zh) 用于制备钢筋笼的治具及其组合件的组立架与制造方法
JP2012161197A (ja) 営巣防止網支持具
JP4739031B2 (ja) 既存建物におけるスラブの補強構造
KR20036021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794100B1 (ko) 건식 공법으로 제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1434346B1 (ko) 비계 결합 장치
DE102020203116A1 (de) Verbindungsvorrichtung
KR200452337Y1 (ko) A형 안전펜스
JP5601982B2 (ja) 鉄筋結束用具
KR200411330Y1 (ko)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JP2016148182A (ja) 仮設足場用補強材
CN219316373U (zh) 一种建筑模板脚手架紧固件
JP4541340B2 (ja) フック掛け鉄筋の組筋板
KR100680281B1 (ko) 길이조절식 작업발판
KR20190000979A (ko) 케이블 트레이
KR20190092684A (ko) 철도레일 처짐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