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836B1 -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836B1
KR101179836B1 KR1020100029767A KR20100029767A KR101179836B1 KR 101179836 B1 KR101179836 B1 KR 101179836B1 KR 1020100029767 A KR1020100029767 A KR 1020100029767A KR 20100029767 A KR20100029767 A KR 20100029767A KR 101179836 B1 KR101179836 B1 KR 10117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longitudinal
hole
bi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46A (ko
Inventor
고주재
Original Assignee
고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주재 filed Critical 고주재
Priority to KR102010002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83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종, 횡와이어로프;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낙석을 방지하는 망;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의 교차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를 결속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각각의 동일 위치에 앵커공이 구비된 결속구; 상기 종와이어로프 또는 횡와이어로프 간의 사이에 결합되어 간격을 유지하고, 중앙에 앵커공이 구비된 간격유지구; 일측이 지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앵커공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교차되는 부분을 결속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망도 함께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결합에 따른 텐션이 높아져 떨어지는 낙석을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Double Wire Rope Fixing Device for Preventinga Falling Stone}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둑판 형태로 교차하는 이중 와이어로프(이하에서 종,횡와이어로프라 칭함)를 다수의 결속구와 다수의 간격유지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긴장력을 최대화하여, 망의 압착력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구조적 강성을 유연하게 하여 낙석을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는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낙석이 우려되는 암반 사면 지역에서는, 낙석방지용 망을 덮고 상면에 와이어로프를 가로와 세로로 다수 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 및 다수 개소를 고정시켜 인장판을 만들어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낙석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비하여 미연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암반 사면의 경우에는 수시로 낙석들이 발생하게 되므로,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않으면 낙석방지망을 뚫고 낙석들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낙성방지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현재 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기술은, 다수 개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그물 모양으로 인장판을 만들 때 비대칭으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며 인장판을 만들게 됨으로써, 인장판이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이에 따라 인장판을 완벽하게 고정하지 못하여 구조적 안정감을 떨어뜨려 불안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판이 낙석방지망을 밀착하며 잡아주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기술에서는 인장판과 낙석방지망 사이가 떨어져 있어 인장판이 낙석방지망을 잡아줄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떨어지는 낙석을 낙석방지망이 확실하게 잡아주지 못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가져오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횡와이어로프와 망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망의 텐션을 높여 떨어지는 낙석을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망의 긴장력을 최대화하고, 견고하게 결합한 종,횡와이어로프가 망을 압착하여 망의 압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상기 종,횡와이어로프들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낙석방지망의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종, 횡와이어로프를 구성하고,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낙석을 방지하는 망을 구성하며, 좌우 각각의 양측에 하향 절곡된 하향판이 구비되고, 상기 각 하향판의 대응 위치에 절결 형성되어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의 상측을 압착하는 상부횡관통공이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종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상향돌부를 구성하되, 상기 상향돌부의 상부 다수개소에는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고정볼트를 구성한 상판과, 좌우 각각의 양측에 상향 절곡된 상향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횡관통공과 대응하는 양 상향판 위치에 절결 형성되어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의 하측을 압착하는 하부횡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상향돌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로 절곡된 양 돌출부의 상단을 연결하고, 하부로 오목한 홈 형상을 이루어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의 하측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한 하판으로 이루어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의 교차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를 결속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각각의 동일 위치에 앵커공이 구비된 결속구를 구성하며, 양측을 내측으로 각각 절곡하여 2개의 종와이어로프 또는 2개의 횡와이어로프가 통과하도록 안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는 원형 형상을 갖도록 하여 안착부를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 또는 횡와이어로프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중앙에 앵커공이 구비된 간격유지구를 구성하고, 일측이 지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앵커공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라고 전제하에 상기 결속구의 하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돌부를 이용하여 상기 망을 걸어 하판의 하부와 결합하는 보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에 따르면,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교차되는 부분을 결속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망도 함께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결합에 따른 텐션이 높아져 떨어지는 낙석을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에 의해 종,횡와이어로프들의 결속력이 강화되고, 이에 상기 망의 긴장력이 최대화되어, 망의 압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결속구에 의해 종,횡와이어로프들의 비틀림이 방지되어 낙석방지망의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U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2실시예와 견격유지구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결속구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간격유지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대한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U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U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2실시예와 견격유지구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결속구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결속구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간격유지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대한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서 U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종, 횡와이어로프(2)(3);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2)(3)의 내측에 설치되어 낙석을 방지하는 망(1);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2)(3)의 교차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2)(3)를 결속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각각의 동일 위치에 앵커공이 구비된 결속구; 상기 종와이어로프(2) 또는 횡와이어로프(3) 간의 사이에 결합되어 간격을 유지하고, 중앙에 앵커공이 구비된 간격유지구; 일측이 지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앵커공을 관통하여 너트(N)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앵커볼트(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방지망을 설치할 암반 사면에 다수의 앵커볼트(4) 일측을 지면에 삽입 고정하고, PVC코팅된 망(1)을 거치한 후에, 종, 횡와이어로프(2)(3)를 다수의 결속구와 간격유지구로 상호 결합하여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이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종와이어로프(2)와 횡와이어로프(3)의 각각의 양측 끝단에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하여 낙석에 대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는, 설치되는 위치와 종,횡와이어로프(2)(3)의 설치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결속구가 사용되고, 상기 종,횡와이어로프(2)(3)의 서로 간의 간격은 다수의 간격유지구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어, 상기 결속구의 견고한 결속력과 함께 간격유지구에 의해 고른 완충력을 얻을 수 있어 낙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기 설정된 위치에 다수의 앵커볼트(4)를 설치하고, 마름모 형태를 이루는 망(1)을 씌운다.
그리고 상기 종,횡와이어로프(2)(3)를 설치하게 되는바,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것은 종와이어로프(2)라 하고,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것은 횡와이어로프(3)라 한다.
이때 상기 종와이어로프(2)와 횡와이어로프(3)가 교차하는 위치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교차하는 위치에 앵커볼트(4)와 결합하는 결속구를 이용하여 종, 횡와이어로프(2)(3)를 결속함과 함께 망(1)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속구 중 제1결속구(10)는, 1개의 종와이어로프(2)와 1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교차할 때 결속하는 것으로, 제1상판(10a)과 제1하판(10b)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상판(10a)과 제1하판(10b) 사이를 종, 횡와이어로프(2)(3)가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제1상판(10a)과 제1하판(10b)이 결합하며 종, 횡와이어로프(2)(3)를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1결속구(10)의 제1상판(10a)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의 양측에 하향 절곡된 제1하향판(11a)이 구비되고, 상기 양 제1하향판(11a)의 전방측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부 방향으로 절결되어 상부횡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양 상부횡관통공(11a')은 상부가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판(10a)의 좌우방향 중앙 전후방향에는 라운드로 상향 돌출된 제1상향돌부(14a)가 구비되는바, 상기 제1상향돌부(14a)의 내면은 종와이어로프(2)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상향돌부(14a)의 다수개소에는 제1고정볼트(15a)가 구비되어,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의 상부를 다수의 제1고정볼트(15a)가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결속구(10)의 제1하판(10b)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의 양측에 상향 절곡된 상향판(11b)이 구비되는바, 이때 상기 양 상향판(11b)은 도 3과 같이 상기 양 제1하향판(11a)의 사이에 양 상향판(11b)이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횡관통공(11a')과 대응하는 양 상향판(11b) 위치에는, 하부로 절결하여 형성하되 하부가 상기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는 하부횡관통공(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하판(10b)의 좌우방향 중앙 전후방향 즉, 제1상향돌부(14a)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양측의 돌출부(14b)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15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5b)는 종와이어로프(2)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하부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 돌출부(14b)와 지지부(15b) 일부는, 양 하부횡관통공(11b')으로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3)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절결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상판(10a)과 제1하판(10b)에는 각각 제1상,하앵커공(13a)(13b)이 형성되어, 상기 제1상,하앵커공(13a)(13b)으로 앵커볼트(4)의 타측이 삽입하여 너트(N)와 체결됨으로써 제1결속구(10)가 위치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제1상판(10a)과 제1하판(10b)의 다수개소에는 제1상,하결합공(12a)(12b)이 형성되어 상기 제1상,하결합공(12a)(12b)을 이용하여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제1상판(10a)과 제1하판(10b)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하판(10b)의 하부에는 망(1)을 걸어 결합하는 2개의 제1보조판(16)이 구비되는바, 상기 제1보조판(16)은 중앙이 하부로 돌출된 제1하향돌부(17)가 구비되어, 도 3과 같이 제1하향돌부(17)에 망(1)을 걸은 후 양측에 구비된 보조결합공(18)을 이용하여 제1하판(10b)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양 보조결합공(18)은 도면과 같이 제1상,하결합공(12a)(12b)과 대응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종,횡와이어로프(2)(3)의 교차 위치에 제1상,하판(10a)(10b)으로 이루어진 제1결속구(10)를 결합하되, 망(1)을 걸은 제1보조판(16)도 결합함과 함께 지면에 고정된 앵커볼트(4)와 결합하게 됨으로써, 종,횡와이어로프(2)(3)가 견고하게 고정됨과 함께 망(1)도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하판(10b)의 하부에 제1보조판(16) 대신 U볼트(U)를 이용하여 망(1)을 걸은 후 상기 제1상,하판(10a)(10b)을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은 단순한 설계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1결속구(10)를 이용하여 낙석방지망을 설치하려면, 우선 횡와이어로프(3)를 하부횡관통공(11b')으로 관통시키며 제1하판(10b)을 위치시키고, 이때 상기 제1하앵커공(13b)으로 앵커볼트(4)의 타측이 관통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b)의 상부에 종와이어로프(2)가 통과하도록 위치시키고, 제1하향돌부(17)에 망(1)을 걸은 제1보조판(16)을 제1하판(10b)의 하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상부횡관통공(11a')으로 횡와이어로프(3)가 관통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1상향돌부(14a)의 내면으로 종와이어로프(2)가 통과하도록 하여 제1상판(10a)을 제1하판(10b)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상앵커공(13a)으로 앵커볼트(4)의 타측이 관통된 상태가 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9)와 너트(N)를 이용하여 보조결합공(18)과 제1상,하결합공(12a)(12b)을 통해 제1상,하판(10a)(10b)과 제1보조판(16)을 결합하고 앵커볼트(4)의 타측을 너트(N)로 체결하여 제1결속구(10)를 앵커볼트(4)와 결합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제1고정볼트(15a)를 이용하여 지지부(15b)와 제1상향돌부(14a) 사이를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를 압착하여 고정하고, 제1상,하판(10a)(10b)을 볼트(B)와 너트(N)로 더욱 강하게 결합하여 상부횡관통공(11a')과 하부횡관통공(11b')이 횡와이어로프(3)의 상,하측을 압착하여 고정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제1결속구(10)의 내부에서 종와이어로프(2)와 횡와이어로프(3)가 교차하는 부분이 서로 압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압착력에 의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지는 횡와이어로프(3)와 하나의 종와이어로프(2)가 바둑판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이에 맞는 제2결속구(20)로 결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지는 종와이어로프(2)와 1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바둑판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2개가 1쌍인 각각의 종,횡와이어로프(2)(3)가 바둑판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에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결속구(2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판(20a)과 제2하판(20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상판(20a)은 좌우 각각의 양측에 하향 절곡된 제2하향판(23)이 구비되고, 상기 양 제2하향판(23)의 전후방향 각각에는 2개가 1쌍인 횡와이어로프(3)가 통과하는 제2횡압착공(23a)이 구비되는바, 상기 제2횡압착공(23a)은 반원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되,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횡압착공(23a)을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3)의 상측을 제2횡압착공(23a)이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20a)의 좌우방향 중앙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의 전후방향에는 종와이어로프(2)와 대응하는 라운드로 상향 돌출된 제2상향돌부(21a)가 구비되고, 제2상판(20a)의 중앙에도 앵커볼트(4)가 삽입되는 제2상앵커공(22a)이 구비됨과 함께 제2하판(20b)과 결합하기 위한 제2상결합공(20a')이 다수개소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상향돌부(21a)의 다수개소에는,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를 압착하는 제2고정볼트(24)가 구비된다.
상기 제2하판(20b)은, 상기 제2횡압착공(23a)과 대응하는 위치에 라운드로 하향 돌출된 제2하향돌부(21b)가 구비되는바, 상기 제2하향돌부(21b)는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하판(20b)의 중앙에는, 상기 제2상앵커공(22a)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하앵커공(22b)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제2상결합공(20a')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하결합공(20b')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2결속구(20)는, 상기 제2하앵커공(22b)으로 앵커볼트(4)를 삽입시키며 2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각각 제2하향돌부(21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하판(20b)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상앵커공(22a)으로 앵커볼트(4)를 삽입시키며 2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각각 제2횡압착공(23a)의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종와이어로프(2)가 제2상향돌부(21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2상판(20a)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2상,하결합공(20a')(20b')을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하여 제2상,하판(20a)(20b)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앵커볼트(4)에 너트(N)를 체결하여 제2상,하판(20a)(20b)을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상,하판(20a)(20b)을 볼트(B)와 너트(N)로 강하게 체결함에 따라, 제2하향돌부(21b)와 제2횡압착공(23a) 사이에 위치하는 횡와이어로프(3)는 제2횡압착공(23a)에 의해 압착되며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결속구(20)의 내부에서 1개의 종와이어로프(2)와 2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서로 압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압착력에 의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볼트(24)를 이용하여 종와이어로프(2)를 압착하여 고정하면, 제2결속구(20)로 1개의 종와이어로프(2)와 2개의 횡와이어로프(3)를 결속시킴과 동시에 고정하는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2개가 1쌍인 종와이어로프(2)와 1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제3결속구(30)를 이용하여 결속하게 된다.
상기 제3결속구(30)는, 제3상,하판(30a)(30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상판(30a)은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상향 돌출되고 종와이어로프(2)와 대응하는 라운드로 이루어진 제3상향돌부(3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상판(30a)의 중앙에는 앵커볼트(4)가 삽입하는 제3상앵커공(32a)이 구비되고, 다수개소에 제3하판(30b)과 결합하기 위한 제3상결합공(30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상향돌부(31a)의 다수개소에는 제3고정볼트(33)가 구비되어,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를 제3고정볼트(33)가 압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3하판(30b)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측의 좌우방향으로 하향 돌출되고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로 이루어진 제3하향돌부(31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하판(30b)의 중앙에는 앵커볼트(4)가 삽입하는 제3하앵커공(32b)이 구비되고, 상기 제3상결합공(30a')과 대응하는 제3하결합공(30b')이 다수개소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3결속구(30)는, 제3하앵커공(32b)으로 앵커볼트(4)를 삽입함과 함께 제3하향돌부(31b)의 상부에 횡와이어로프(3)가 통과하도록 제3하판(30b)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3상앵커공(32a)으로 앵커볼트(4)를 삽입함과 함께 제3상향돌부(31a)의 하부에 각각 종와이어로프(2)가 통과하도록 제3상판(30a)을 위치시킨 후 다수의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상기 제3상,하결합공(30a')(30b')으로 제3상,하판(30a)(30b)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평면상의 제3하판(30b)과 제3상향돌부(31a) 사이를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는 제3상향돌부(31a)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평면상의 제3상판(30a)과 제3하향돌부(31b) 사이를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3)는 제3하향돌부(31b)에 의해 압착된다.
또한 상기 제3결속구(30)의 내부에서 종와이어로프(2)와 횡와이어로프(3)가 교차하는 부분이 서로 압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압착력에 의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4)에 너트(N)를 체결하여 제3결속구(30)를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제3고정볼트(33)를 이용하여 종와이어로프(2)를 더욱 견고하게 압착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2개가 1쌍인 종,횡와이어로프(2)(3)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제4결속구(40)를 사용하게 되는바, 상기 제4결속구(40)는 제4상,하판(40a)(40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결속구(20)와 동일한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4결속구(40)는, 제4상판(40a)에 2개로 이루어진 제4상향돌부(41a)가 형성되어 2개가 1쌍인 종와이어로프(2)를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4상판(40a)은 좌우 각각의 양측에 하향 절곡된 제4하향판(44)이 구비되고, 상기 양 제4하향판(44)의 전후방향 각각에는 2개가 1쌍인 횡와이어로프(3)가 통과하는 제4횡압착공(44a)이 구비되는바, 상기 제4횡압착공(44a)은 반원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되,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4횡압착공(44a)을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3)의 상측을 제4횡압착공(44a)이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4상판(40a)의 좌우방향 양측의 전후방향에는 2개가 1쌍인 종와이어로프(2)가 통과하는 제4상향돌부(41a)가 구비되는바, 상기 제4상향돌부(41a)는 반원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상판(40a)의 중앙에는 앵커볼트(4)가 삽입되는 제4상앵커공(42a)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제4하판(40b)과 결합하기 위한 제4상결합공(40a')이 다수개소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4상향돌부(41a) 각각의 다수개소에는,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를 압착하는 제4고정볼트(43)가 구비된다.
상기 제4하판(40b)은, 상기 제4횡압착공(44a)과 대응하는 위치에 라운드로 하향 돌출된 제4하향돌부(41b)가 구비되는바, 상기 제4하향돌부(41b)는 횡와이어로프(3)와 대응하는 라운드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4하판(40b)에는, 상기 제4상앵커공(42a)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하앵커공(42b)이 구비되고, 상기 제4상결합공(40a')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하결합공(40b')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4결속구(40)는, 상기 제4하앵커공(42b)으로 앵커볼트(4)를 삽입시키며 2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각각 제4하향돌부(41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4하판(40b)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4상앵커공(42a)으로 앵커볼트(4)를 삽입시키며 2개의 횡와이어로프(3)가 각각 제4횡압착공(44a)의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2개의 종와이어로프(2)가 제4상향돌부(41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4상판(40a)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4상,하결합공(40a')(40b')을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하여 제4상,하판(40a)(40b)을 결합하고, 상기 앵커볼트(4)에 너트(N)를 체결하여 제4결속구(4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4상,하판(40a)(40b)을 볼트(B)와 너트(N)로 강하게 체결함에 따라 제4하향돌부(41b)와 제4횡압착공(44a) 사이에 위치하는 횡와이어로프(3)는 제4횡압착공(44a)에 의해 압착되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4결속구(40)의 내부에서 종와이어로프(2)와 횡와이어로프(3)가 교차하는 부분이 서로 압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압착력에 의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고정볼트(43)를 이용하여 종와이어로프(2)를 고정하면, 제4결속구(40)로 종,횡와이어로프(2)(3)를 결속시킴과 동시에 고정하는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간격유지구(5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1쌍인 종,횡와이어로프(2)(3) 각각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원형 형상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하여 양측에 안착부(52)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안착부(52)는, 통과하는 종,횡와이어로프(2)(3)가 위치 이탈하지 않도록 내측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안착부(52)를 통과하는 종,횡와이어로프(2)(3)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양 종,횡와이어로프(2)(3)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50)의 중앙에도 앵커볼트(4)가 삽입하는 앵커공(53)이 구비됨은 물론이며, 상기 안착부(52)를 형성한 후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과 상측 부분을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하여 안착부(52)에 안착된 종,횡와이어로프(2)(3)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결합공(51a)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과 같이 U볼트(U)를 이용하여 간격유지구(50)를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간격유지구(50)는, 앵커공(53)에 앵커볼트(4)를 삽입하며 간격유지구(50)를 설치하되, 상기 양 안착부(52)에 각각 2개가 1쌍인 종와이어로프(2) 또는 횡와이어로프(3)를 통과시킨 후, 간격결합공(51a)을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하여 안착부(52)를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2) 또는 횡와이어로프(3)를 압착하여 견고하게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구(50)의 안착부(52)를 하부로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하로 분리하여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음도 물론인바, 이에 대한 단순한 설계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종와이어로프(2) 또는 횡와이어로프(3)가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에서 리턴하여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와이어로프에 여유장을 주어 충격흡수력을 극대화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여주며 와이어클립을 사용하지 않아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경제성을 높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망 2,3 - 종,횡와이어로프 4 - 앵커볼트
B - 볼트 N - 너트 U - U볼트
10 - 제1결속구 10a - 제1상판 11a - 제1하향판
11a' - 상부횡관통공 12a - 제1상결합공 13a - 제1상앵커공
14a - 제1상향돌부 15a - 제1고정볼트
10b - 제1하판 11b - 상향판 11b' - 하부횡관통공
12b - 제1하결합공 13b - 제1하앵커공 14b - 돌출부
15b - 지지부 16 - 제1보조판 17 - 제1하향돌부
18 - 보조결합공

Claims (6)

  1. 삭제
  2.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종, 횡와이어로프를 구성하고,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낙석을 방지하는 망을 구성하며, 좌우 각각의 양측에 하향 절곡된 하향판이 구비되고, 상기 각 하향판의 대응 위치에 절결 형성되어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의 상측을 압착하는 상부횡관통공이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종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상향돌부를 구성하되, 상기 상향돌부의 상부 다수개소에는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고정볼트를 구성한 상판과, 좌우 각각의 양측에 상향 절곡된 상향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횡관통공과 대응하는 양 상향판 위치에 절결 형성되어 통과하는 횡와이어로프의 하측을 압착하는 하부횡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상향돌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로 절곡된 양 돌출부의 상단을 연결하고, 하부로 오목한 홈 형상을 이루어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의 하측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한 하판으로 이루어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의 교차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 횡와이어로프를 결속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각각의 동일 위치에 앵커공이 구비된 결속구를 구성하며, 양측을 내측으로 각각 절곡하여 2개의 종와이어로프 또는 2개의 횡와이어로프가 통과하도록 안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는 원형 형상을 갖도록 하여 안착부를 통과하는 종와이어로프 또는 횡와이어로프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중앙에 앵커공이 구비된 간격유지구를 구성하고, 일측이 지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앵커공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결속구 또는 간격유지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의 하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돌부를 이용하여 상기 망을 걸어 하판의 하부와 결합하는 보조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29767A 2010-04-01 2010-04-01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17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67A KR101179836B1 (ko) 2010-04-01 2010-04-01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67A KR101179836B1 (ko) 2010-04-01 2010-04-01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46A KR20110110446A (ko) 2011-10-07
KR101179836B1 true KR101179836B1 (ko) 2012-09-04

Family

ID=4539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67A KR101179836B1 (ko) 2010-04-01 2010-04-01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21B1 (ko) * 2018-07-16 2019-05-21 주식회사 성화휀스 스프링 탈락 방지구조의 낙석방지 구조물
KR102399523B1 (ko) 2022-01-05 2022-06-13 김남섭 아연도금된 pc강선으로 제작된 능형망을 이용한 이중 낙석방지망 설치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80Y1 (ko) * 2014-02-14 2014-06-16 김경자 낙석방지망 고정장치
KR102262043B1 (ko) 2019-03-19 2021-06-08 육종현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84Y1 (ko) * 2002-05-16 2002-09-05 주식회사동아개발 낙석 방지용 와이어의 고정장치
KR200442867Y1 (ko) * 2008-05-13 2008-12-17 안연남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84Y1 (ko) * 2002-05-16 2002-09-05 주식회사동아개발 낙석 방지용 와이어의 고정장치
KR200442867Y1 (ko) * 2008-05-13 2008-12-17 안연남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21B1 (ko) * 2018-07-16 2019-05-21 주식회사 성화휀스 스프링 탈락 방지구조의 낙석방지 구조물
KR102399523B1 (ko) 2022-01-05 2022-06-13 김남섭 아연도금된 pc강선으로 제작된 능형망을 이용한 이중 낙석방지망 설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46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836B1 (ko)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390176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의 완충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101326292B1 (ko) 와이어로프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 시설
KR101145502B1 (ko)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
US20110297907A1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net body of guard fence
KR101261853B1 (ko) 낙석방지망 와이어로프 충격완충 고정장치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JP5760156B1 (ja) 衝撃吸収柵
JP4278170B1 (ja) 落石誘導防護構造体
KR101198710B1 (ko) 충격흡수형 낙석방지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022345B2 (ja) 落石防護柵
JP2012092614A (ja) 連結棒付き蛇篭及び蛇篭連結体
KR102585122B1 (ko) 낙석완충장치를 구비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5672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0975418B1 (ko) 생태 보호 울타리
KR200462346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058736B1 (ko) 단부충격흡수형 낙석방지책
KR200442867Y1 (ko)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 고정용 클램프
KR100581091B1 (ko) 도로의 낙석방지펜스
JP7152007B2 (ja) 落石防護柵
KR101215773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JP3881328B2 (ja) 土砂崩れ防止用金網ユニットおよび鉄筋固定プレート
KR101146879B1 (ko) 스키장 안전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100958754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슬라이딩 공법
KR101997904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