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34Y1 - 와이어 앵커 - Google Patents

와이어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34Y1
KR200465434Y1 KR2020120006915U KR20120006915U KR200465434Y1 KR 200465434 Y1 KR200465434 Y1 KR 200465434Y1 KR 2020120006915 U KR2020120006915 U KR 2020120006915U KR 20120006915 U KR20120006915 U KR 20120006915U KR 200465434 Y1 KR200465434 Y1 KR 200465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nchor
anchor
wire
b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무
Original Assignee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앵커의 시공중 작업자가 배근된 철근들에서 하향 삽입이 이루어지므로서 간단히 와이어 앵커가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그 와이어 앵커910)는,
앵커 헤드부(11)와; 헤드부(11)에서 양쪽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부(12); 및 지지부(12) 양측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뒤,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1절곡부(13a)를 형성하고,동시에 제1절곡부(13a)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2절곡부(13b)를 형성하는 걸림고리(13)를 포함하는 와이어 앵커를 제공한다.
본 고안 와이어 앵커는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잡아당겨 바닥에 고정하는 경우 바닥에 콘크리트 타설전 배근된 철근에 걸림 고정되는 와이어 앵커의 삽입,고정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하게 상부철근의 사이 개구부로 간단히 고정, 설치가 간단해진 와이어 앵커를 제공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와이어 앵커{wire anchor}
본 고안은 거푸집 시공에서 바닥을 시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후 거푸집을 수직상태로 잡아주기 위하여 바닥에 노출되는 와이어 앵커에 관한 것으로 배근상태에서 작업자가 밟아도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 와이어 앵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려진 와이어 앵커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앵커에 있어서, 둥근 고리모양의 앵커 헤드부(11)와, 헤드부(11)에서 양쪽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부(12)와, 지지부(12)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철근(20) 삽입홈(131,132)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 와이어 앵커(10)는 종,횡으로 배근된 하방 철근(20)에 걸리도록 삽입홈(131)(132)를 형성하였으나, 그 걸림고리의 삽입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철근 삽입시에 철근 근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측을 찰근(20)에 걸은 뒤 타측은 반대방향으로 철근(20)에 걸리도록 한 것으로 지지상태가 견고하여 쉽사리 넘어지지 않는 잇점이 있었으나, 이러한 와이어 앵커(10)의 철근에의 고정시 일측을 철근에 걸어 고정함과 동시에 타측은 비틀림을 주어 반대쪽에서 걸리도록 함이 간단하지 않았으며, 배근상태가 복잡한 이중 철근상태에서는 하부철근에 고정할 경우 일일이 작업자가 손으로 종,횡 배근된 상부철근의 구멍으로 집어넣어 하부철근에서 비틀림 탄력을 주면서 하방으로 눌러주어야 고정설치되므로 그 앵커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삽입구조로서 고정되는 와이어 앵커를 필요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 앵커의 시공중 작업자가 간단히 하방으로 하향 삽입하기만 하면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앵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와이어 앵커는,
앵커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서 양쪽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부와, 지지부 양측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뒤,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1절곡부를 형성하고,동시에 제1절곡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2절곡부를 이루고, 그 끝은 단부를 형성하는 걸림고리로 이루어진 와이어 앵커로서 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양생후 그 접촉력을 늘리도록 지지부가 파형 곡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와이어 앵커는,
앵커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서 양쪽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부와, 지지부 양측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뒤,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1절곡부를 형성하고,동시에 제1절곡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2절곡부를 이루고, 그 끝은 단부를 형성하는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되, 지지부 양측에서 연장된 상기 걸림고리가 앞,뒤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배근된 전,후철근에 각각 걸려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와이어 앵커는 바닥 콘크리트 타설전 배근된 철근에 걸림 고정되는 와이어 앵커의 삽입,고정구조를 개선하여 하부철근에 와이어 앵커 하부를 삽입하면 간단히 직립상태로 고정되는 와이어 앵커를 제공하며,혹은 상부 철근과의 사이에 결속되지 않도록 한 와이어 앵커를 제공하게 되어 이러한 와이어 앵커의 제공으로 현장 작업자들이 배근상태에서 철근이나 상부철근의 위를 밟고 작업을 하더라도 이어 앵커가 밑으로 빠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와이어 앵커의 일예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철근 설치상태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설치후 콘크리트 타설된 상태 정면모습과 측면모습을 동시에 나탄탠 그림이고,
도 6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9a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 상태 정면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 상태측면도이고,
도 10a,도 10b와 도 11a,도 11b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10)는 앵커 헤드부(10a)와, 헤드부(11)에서 양쪽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부(12)와, 걸림고리(13)으로 이루어진다.
걸림고리(13)는 지지부(12) 양측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뒤,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1절곡부(13a)를 형성하고,동시에 제1절곡부(13a)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2절곡부(13b)를 이루고, 그 끝은 단부(13c)를 형성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철근 설치상태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설치후 콘크리트 타설된 상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10)의 설치상태를 설명한다.
즉, 본 고안 와이어 앵커(10)는 종래 것과 달리 제1,제2절곡부(13a)(13b)를 형성하여 2단 삽입홈을 형성하고 있고, 특히, 제2절곡부(13b)가 하방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작업자는 배근된 상부철근(21)의 개구부 사이로 단지 집어넣어 하부철근(22)에 양측 걸림고리(13)의 제2절곡부(13b)를 동시에 삽입하므로서 간단히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철근(21)과 와이어 앵커(10)의 고정을 위하여 결속철선(40)으로 묶어주면 바람직하며, 배근후 작업자가 밟고 다녀도 하방으로 빠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와이어 앵커(10)가 하부철근(22)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타설이 이루어지고, 양생이 이루어지면 거푸집과 연결된 와이어,조절대(도시생략),턴버클(30) 및 고리(부호생략)로 이루어진 와이어클램핑셋트로서 헤드부(10a)(10b)을 걸어 거푸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거푸집 철거가 이루어지면 헤드부(10a)(10b)는 절단 처리된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9a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 상태 정면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 상태 측면도이다.
이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와이어 앵커는 지지부(12) 양측에서 연장된 걸림고리(13)가 앞,뒤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배근된 전,후철근에 각각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된 와이어 앵커의 실시예와 달리 배근시 상부철근과의 결속시 결속철선(40)을 사용하지 않아도 배근상태가 견고하게 직립상태를 유지한다. 그이유는 걸림고리(13)가 앞,뒤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 하부철근에 삽입,지지되어 어느 방향으로 밀어도 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배근후 작업자가 밟고 다녀도 하방으로 빠지지 않는 특징을 가지면서도 상,하부 이중 철근의 배근시에 상부철근과의 결속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첨부 도면중 도 10a,도 10b와 도 11a,도 11b는 본 고안 와이어 앵커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 10a,도 10b에서 도시하는 와이어 앵커는,
전술한 와이어 앵커와 앵커 헤드부(11)와, 지지부(12) 양측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뒤,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1절곡부(13a)를 형성하고,동시에 제1절곡부(13a)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2절곡부(13b)를 이루고, 그 끝은 단부(13c)를 형성하는 걸림고리(13)는 동일하지만 지지부(12)는 파형 곡면을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 11a,도 11b에서 도시하는 와이어 앵커는 전술한 모든 와이어 앵커(10)에 적용됨이 가능한 것으로 홈형의 제1절곡부(13a)의 홈 간격(b)을 최대로 좁힌 와이어 앵커를 제공한다. 즉, 제2절곡부(13a)의 삽입홈의 간격(a)은 제1절곡부(13a)의 삽입홈 간격(b)보다 넓지만 배근된 철근의 직경을 넘지 않게 한다.
10:와이어 앵커, 10a,10b,11:헤드부,12:지지부, 13:걸림고리,
13a:제1절곡부, 13b:제2절곡부, 13c:단부, 20,21,22:철근,
30: 턴버클, 40:결속철선,

Claims (3)

  1. 와이어 앵커에 있어서,
    앵커 헤드부(11);
    헤드부(11)에서 양쪽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부(12); 및
    지지부(12) 양측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뒤,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1절곡부(13a)를 형성하고,동시에 제1절곡부(13a)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홈형의 제2절곡부(13b)를 형성하는 걸림고리(13)를 포함하는 와이어 앵커.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6915U 2012-06-14 2012-08-01 와이어 앵커 KR2004654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5036 2012-06-14
KR2020120005036 2012-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434Y1 true KR200465434Y1 (ko) 2013-02-19

Family

ID=5136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15U KR200465434Y1 (ko) 2012-06-14 2012-08-01 와이어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3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89B1 (ko) 2012-02-13 2013-11-14 배용웅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101506460B1 (ko) 2014-06-05 2015-03-27 오한구 와이어 앙카
KR20150004474U (ko) * 2014-06-05 2015-12-15 이재혁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200079948A (ko) 2018-12-26 2020-07-06 정옥순 지지력이 향상된 와이어 앙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6545U (ko) * 1988-02-26 1989-09-19
KR20040104949A (ko) * 2004-11-23 2004-12-13 (주)대하강업 스페이서
KR200375841Y1 (ko) 2004-11-23 2005-03-11 (주)대하강업 스페이서
KR101030782B1 (ko) * 2011-02-01 2011-04-27 서대식 고정 후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6545U (ko) * 1988-02-26 1989-09-19
KR20040104949A (ko) * 2004-11-23 2004-12-13 (주)대하강업 스페이서
KR200375841Y1 (ko) 2004-11-23 2005-03-11 (주)대하강업 스페이서
KR101030782B1 (ko) * 2011-02-01 2011-04-27 서대식 고정 후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89B1 (ko) 2012-02-13 2013-11-14 배용웅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101506460B1 (ko) 2014-06-05 2015-03-27 오한구 와이어 앙카
KR20150004474U (ko) * 2014-06-05 2015-12-15 이재혁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0485078Y1 (ko) * 2014-06-05 2017-11-27 이재혁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200079948A (ko) 2018-12-26 2020-07-06 정옥순 지지력이 향상된 와이어 앙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194B1 (ko) Pc부재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US10017942B2 (en) Rebar wall set-up bar
KR200465434Y1 (ko) 와이어 앵커
US7467777B2 (en) Devices for securing reinforcing bars within forms for concrete
US20090308005A1 (en) Anchor for use in joining concrete slabs
US20130174499A1 (en) Reinforcing Bracket for Lifting Anchors in Reinforced Concrete Walls
JP4308811B2 (ja) ボイド型枠配置具及びボイド型枠配置方法
KR101188632B1 (ko) 경량구조체, 이를 적용한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647366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ボイド押え部材及びボイド定着装置
KR20150000433U (ko) 와이어 앵커
KR101935460B1 (ko) 기둥부재와 pc빔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KR20150048993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200485078Y1 (ko)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JPH1010266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5565A (ja) 法枠用の鉄筋固定具並びにこれ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および法面補強構造体
KR102131736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CN209195010U (zh) U型螺栓预埋套管施工装置
KR101031021B1 (ko) 모든 작용하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말뚝머리 보강용 기계적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102080976B1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의 시공방법
KR100411706B1 (ko)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와 그 시공방법
KR100976767B1 (ko) 앙카용 지지부재
JP5964068B2 (ja) 法枠成形用の枠構造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法枠施工方法
KR102217031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JP2954170B1 (ja) 梁鉄筋の組立工法
KR200254870Y1 (ko) 배근작업이 용이한 철근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