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782B1 - 고정 후크 - Google Patents

고정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782B1
KR101030782B1 KR1020110010231A KR20110010231A KR101030782B1 KR 101030782 B1 KR101030782 B1 KR 101030782B1 KR 1020110010231 A KR1020110010231 A KR 1020110010231A KR 20110010231 A KR20110010231 A KR 20110010231A KR 101030782 B1 KR101030782 B1 KR 10103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etal mesh
elastic portion
fixe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식
Original Assignee
서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식 filed Critical 서대식
Priority to KR102011001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하수관이나 보호용 블록에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콘크리트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고정 후크에 관한 것으로, 고정 후크를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고정된 금속망이 내장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관거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에 ∩자 형태의 후크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후크의 선단을 원형으로 구부린 탄성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와 후크 사이에는 금속망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하며, 상기 탄성부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부와 후크 사이의 간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정 후크{Hook}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하수관이나 보호용 블록에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콘크리트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고정 후크에 관한 것으로, 고정 후크를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콘크리트 하수관이나 콘크리트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이하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칭함) 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지면에 매설되는 제품을 제작하는 경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채워 제작을 하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내측으로 철근이나 금속망을 넣은 후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작을 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크기에 따라 중량이 나가기 때문에 쉽게 이동하거나 운반하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승차나 하차 또는 제품을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을 하는 경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거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제작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측으로 철망이나 철근을 조립하여 이루어지진 금속망(20)을 넣은 후 제작을 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하고 있으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중량이 나가기 때문에 들어서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후크(30)를 설치하여 기중기 등의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후크(30)가 돌출되어 설치된 경우 후크(30)에 기중기를 걸어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후크(30)는 도 3과 같이 금속망(20)에 끼워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을 하되 상기 후크(30)가 콘크리트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기존의 후크(30)는 도 3과 같이 양쪽 선단을 금속망(20)에 걸어주되 인력으로 금속망(20)에 감아주도록 하는 것으로, 이 경우 두께가 있는 후크(30)를 힘으로 감아주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금속망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를 간단히 금속망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동에 사용되는 후크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후크가 금속망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금속망의 직교 되는 부분에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후크가 끼워진 후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후크의 이동이 방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고정된 금속망이 내장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관거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에 ∩자 형태의 후크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후크의 선단을 원형으로 구부린 탄성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와 후크 사이에는 금속망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하며, 상기 탄성부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부와 후크 사이의 간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금속망에 탄성부를 끼우면 고정돌기가 밀리면서 금속망이 후크와 탄성부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돌기가 탄성부에 의해 밀리면서 후크와 탄성부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후크가 금속망에 끼워진 채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부와 후크 사이에 금속망의 직교 되는 부분에 끼워져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크가 금속망의 대각선 방향으로 세워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아도 후크가 쓰러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운반 이동시 운반이 용이하도록 후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후크의 선단에 탄성부와 고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금속망이 상기 탄성부와 후크 사이에 끼워진 후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간단히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3은 후크 고정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후크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후크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후크의 고정 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후크의 고정 후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후크 고정 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후크의 고정 상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후크의 고정 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후크의 좌우 회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후크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 후크의 다른 살시예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후크의 다른 실시예 고정 상태 평면도
본 발명은 금속철사나 철근 등을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금속망(20)을 내부에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 성형시킨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10)에 ∩자 형태의 후크(30)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후크(3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기중기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후크(30)에 끼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10)은 거푸집에 금속망(20)을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금속망(20)은 메쉬망, 철근의 배근, 철망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형태에 따라 접어서 사용하게 되며, 상기 금속망(20)은 콘크리트에 부어지기 전에 거푸집에 설치된 후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에 위치하여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10)은 다양한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지하에 묻히게 되는 하수관이나 일부 노출되는 관거 또는 호안블럭이나 식생블럭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는 후크(30)가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30)는 선단에 탄성부(40)와 고정돌기(50)를 형성하되 상기 탄성부(40)와 후크(30)와의 사이에 금속망(20)을 간단히 끼워주도록 함으로써 후크(30)를 금속망(20)에 고정시키는 수고를 덜어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후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를 갖도록 하되 양쪽 선단을 원형으로 말아서 탄성부(40)를 형성시키는 한편 탄성부(40)의 외측으로 탄성부(40)와 후크(30)와의 사이에 끼워진 금속망(2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돌기(50)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자 형태를 갖는 후크(30)의 선단부는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을 갖게 말아주어 탄성부(40)를 형성한 후 상기 탄성부(40)를 형성하고 난 금속봉은 탄성부(40)와 후크(30) 사이로 꺽여진 부분이 위치하도록 고정돌기(50)를 형성시키도록 하며, 상기 후크(30)와 탄성부(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6과 같이 직각의 형태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의 간격은 금속망(20)을 이루는 금속봉의 직경보다 크도록 하여, 금속망(20)을 이루는 금속봉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의 고정돌기(50)는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로 돌출되게 하되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끼워진 금속망(20)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40)는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금속망(20)이 끼워질 때 고정돌기(50)가 외측으로 밀린 후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금속망(20)을 이루는 금속봉이 끼워지면 고정돌기(50)가 금속봉의 상부를 눌러주어 금속봉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40)를 이루는 원형의 직경과 모양은 일부 변화할 수 있으며, 고정돌기(50) 또한 그 형태가 변할 수 있으나,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금속망(20)을 구성하는 금속봉이 고정돌기(50)를 외측으로 밀면서 끼워진 후 고정돌기(50)가 탄성부(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금속망(20)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후크(30)를 금속망(20)에 끼워주는 경우 도 12와 같이 후크(30)가 좌우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를 부울 때 상기 후크(30)를 잡아서 세워준 상태로 콘크리트를 부어 주어야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도 13 및 도 14와 같이 탄성부(40)의 방향이 후크(30)와 일직선이 되는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도 15와 같이 금속망(20)에 끼워줄 때 금속망(20)의 금속봉이 서로 교차되는 부문에 탄성부(40)와 후크(30) 사이의 공간이 끼워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형태의 후크(30)를 금속망(20)에 끼워주는 경우 금속망(30)이 전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후크(30)를 금속망(20)에 끼워준 후에는 후크(30)를 잡지 않고 콘크리트를 부어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후크(30)의 선단에 탄성부(40)와 고정돌기(50)를 형성시킴으로써 후크(30)를 금속망(20)에 고정시킬 때 별도의 고정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후크(30)의 탄성부(40)와 고정돌기(50)를 이용하여 금속망(20)을 끼워줌으로써 고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후크(30)의 고정시 별도의 공구나 작업 없이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설치된 금속망(2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도 7과 같이 금속망(20)의 하측으로 탄성부(40)가 위치되게 한 후 탄성부(40)와 후크(30) 사이에 금속망(20)의 금속봉이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후크(30)를 상부로 당기게 되면, 고정돌기(50)가 금속망(20)에 의해 밀리면서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가 벌어져 금속망(20)의 금속봉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의 공간에 밀려들어가게 되고, 고정돌기(50)는 금속망(20)으로부터 밀리지 않아 탄성부(40)의 탄성력으로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의 공간으로 도 8과 같이 돌출되게 된다.
그러면, 금속망(20)의 금속봉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위치되고, 금속망(20)의 상부는 고정돌기(50)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30)는 금속망(20)에 고정되게 된다.
즉, 후크(30)를 금속망(20)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금속망(20)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위치되게 한 후 후크(30)를 상부로 당기게 되면 도 8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가 금속망(20)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후크(30)의 선단부를 금속망(20)에 감아서 고정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편하게 후크(3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후크(30)를 금속망(20)을 구성하는 동일 금속봉에 설치하는 경우 도 12와 같이 후크(30)가 좌우로 회동하게 되므로, 후크(30)를 잡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켜야만 후크(30)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탄성부(40)를 후크(30)와 일자 형태가 되도록 제작하면, 탄성부(40)와 후크(30) 사이의 공간에 금속망(20)의 금속봉이 교차되는 부분에 끼워줄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교차되는 부분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후크(30)는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30)가 금속망(20)에 끼워진 후에는 세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후크(30)를 잡지 않고도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제작할 수 있다.
10 : 콘크리트 구조물 20 : 금속망
30 : 후크 40 : 탄성부
50 : 고정돌기

Claims (3)

  1. 격자 형태의 금속망(20)이 콘크리트에 내장되는 한편 상기 금속망(20)에 고정된 후크(3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자 형태의 후크(30)를 금속망(20)에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후크(30)의 선단부에는 원형을 갖게 말아주어 탄성부(40)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40)의 외측으로 고정돌기(5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50)는 탄성부(40)와 후크(30)와의 사이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후크(30)는 탄성부(40)와 후크(30)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돌기(50)의 상측으로 금속망(20)의 금속봉을 놓고 후크(30)를 상부로 당기면 고정돌기(50)가 후퇴하면서 금속망(20)이 후크(30)와 탄성부(40) 사이에 위치된 후 고정돌기(50)가 금속망(20)의 상부로 원위치 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후크.
  3. 제1항에 있어서, 후크(30)의 선단부에 형성시킨 탄성부(40)와 고정돌기(50)는 후크(30)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40)는 금속망(20)의 교차 부분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후크.
KR1020110010231A 2011-02-01 2011-02-01 고정 후크 KR10103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31A KR101030782B1 (ko) 2011-02-01 2011-02-01 고정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31A KR101030782B1 (ko) 2011-02-01 2011-02-01 고정 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782B1 true KR101030782B1 (ko) 2011-04-27

Family

ID=4405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231A KR101030782B1 (ko) 2011-02-01 2011-02-01 고정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34Y1 (ko) * 2012-06-14 2013-02-19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와이어 앵커
KR102115818B1 (ko) 2019-12-18 2020-05-27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격자망 양중용 클램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609U (ja) 1981-08-05 1983-02-10 オリエンタルコンクリ−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ト体用吊りフツク
US5896722A (en) 1998-08-19 1999-04-27 Swenson; Richard A. Weldless spacer
JP2008184790A (ja) 2007-01-30 2008-08-14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止め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609U (ja) 1981-08-05 1983-02-10 オリエンタルコンクリ−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ト体用吊りフツク
US5896722A (en) 1998-08-19 1999-04-27 Swenson; Richard A. Weldless spacer
JP2008184790A (ja) 2007-01-30 2008-08-14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止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34Y1 (ko) * 2012-06-14 2013-02-19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와이어 앵커
KR102115818B1 (ko) 2019-12-18 2020-05-27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격자망 양중용 클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471B1 (ko) 파형의 보강철근을 이용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외측패널을 포함하는 더블월
KR101030782B1 (ko) 고정 후크
KR101168167B1 (ko) 콘크리트말뚝의 두부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0261168A (ja) コーナー用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20125013A (ko) 고정 후크
CN102367699A (zh) 一种大面积混凝地坪的施工方法
KR101025781B1 (ko)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JP2001020295A (ja) アンカーボルト保持具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101839520B1 (ko) 하프 슬래브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KR101126561B1 (ko) 착탈식 파일 안전캡이 구비된 두부 보강장치
CN203373744U (zh) 土钉墙锚杆360度定位器
JP2008115565A (ja) 法枠用の鉄筋固定具並びにこれ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および法面補強構造体
CN110984178A (zh) 一种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606925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3184050U (ja) 耐震用ブロック体
KR101415823B1 (ko) 부상방지 격자망 제거식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KR20190002319U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JP2017075492A (ja) コンクリート舗装用鉄筋の敷設方法
JP3071917U (ja) 斜面補強工法における型枠連結具
CN215055308U (zh) 一种绝缘子支柱加固模具
JP6606538B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製品
JP2010053546A (ja) 鉄筋連結具
JP6365998B1 (ja) 補強鋼管を用いた中空柱状物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柱状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