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781B1 -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 Google Patents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781B1
KR101025781B1 KR1020090000345A KR20090000345A KR101025781B1 KR 101025781 B1 KR101025781 B1 KR 101025781B1 KR 1020090000345 A KR1020090000345 A KR 1020090000345A KR 20090000345 A KR20090000345 A KR 20090000345A KR 101025781 B1 KR101025781 B1 KR 10102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fixing plate
reinforcing bars
protrus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074A (ko
Inventor
오보환
천성철
이성호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09000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7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1Protective caps for the ends of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어선행공법이나 슬러리월 공법과 같이 선 시공된 벽체에 슬래브나 보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매립형 연결박스에 있어서, 직사각형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타공망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타단에 일단이 결속되는 이음 철근; 및 상기 이음 철근의 타단에 결속되는 정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 철근의 일단에 커플러를 설치함으로써 철근을 접고 펴는 과정을 생략하여 철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강도의 철근을 사용하여 철근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음 철근의 타단에 정착판을 설치함으로써 벽체 철근에 매립 강판을 고정시킬 때 벽체 횡보강근과 같은 기존 코어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설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부러진 연장부, 정착 갈고리, 그리고 연결박스 덮개가 생략되어 무게를 감소시키므로 매립 강판의 길이를 길게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어선행공법, 매립 강판, 철근, 간섭, 손상, 커플러, 정착판

Description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BUIT-IN STEEL SHEET FOR IRON REINFORCING ROD JOINT}
본 발명은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음 철근의 양단에 커플러와 원형 정착판을 각각 형성하여 철근 손상 및 간섭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선행공법은 코어 부분의 콘크리트가 먼저 시공되고, 그 뒤를 따라 보, 기둥으로 구성된 라멘조가 올라오는 공법으로 코어 벽체만 먼저 시공하고 나중에 슬래브와 보를 연결하여 벽체와 일체시키는 공법이다.
어떻게 슬래브 이음 철근을 배치하고 코어에 연결되는 보의 철근을 정착시킬 매립 철물을 설치하는가는 코어선행공법의 한 요소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슬래브와의 이음 철근은 향후 슬래브와 연결될 때 높이가 일치하여야 하고 벽체 거푸집 설치 및 해체에 장애가 되지 않아야 하며, 꺽어 놓았다가 다시 펼 때 손상을 입지 않기 위해 낮은 설계강도의 철근을 사용해야한다. 또한 다시 펴는 과정에서 철근이 손상될 것에 대비하여 필요한 철근량보다 통상 20%정도 더 많이 배 근한다.
선행되는 코어 벽체에 향후 슬래브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벽체에 매립 박스를 두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립형 연결박스는 선행 벽체에 박스를 묻고 그곳에 이음 철근을 접어 두었다가 펼쳐서 슬래브 철근과 연결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매립형 연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매립형 연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 연결박스(30)는 그 일단에 정착 갈고리(21)가 형성되도록 U자형 또는 90도 갈고리로 형성되고, 그 타단에 연장부(23)가 형성된 이음 철근(20)과, 이음 철근(2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이음 철근(20)의 연장부(23)가 내부에 수납되는 강판 박스(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강판 박스(30)는 내부에 물과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것을 막도록 전면에 덮개(31)를 구비한다.
이러한, 매립형 연결박스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벽체 주철근(1)에 매립형 연결박스(30)를 결속선에 의해 고정시킨 다음, 벽체 주철근(1)의 전면에 벽체 거푸집(3)을 설치 후 벽체 거푸집(3)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코어 선 시공한다.
그런 다음 후속 슬래브 또는 보 공정에서 강판 박스(30)의 덮개(31)를 제거하고, 구부려진 연장부(23)를 펴서 슬래브 또는 보의 주근과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매립형 연결박스는 연장부가 강판 박스 내에서 접혀 져 있다가 후속 슬래브 공정의 주철근과 이음을 위해서 다시 펴는 과정에서 철근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건설관련 각종 시방서에서는 철근을 구부렸다 펴는 행위를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으며 콘크리트표준시방서 해설에서는 큰 반경으로 구부리고 다시 펼 때는 가열을 하여 철근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시키도록 규정하고 있다. 철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강도가 낮은 철근을 사용하여 철근 개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펴는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될 것을 우려하여 통상 20%정도 더 많은 철근을 배치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매립형 연결박스는 설치시 이음 철근의 정착을 위해 설치한 정착 갈고리가 벽체 횡보강근과 같은 기존 코어 철근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부러진 연결부를 포함한 철근의 무게로 인해 매립형 연결박스의 길이가 제한되어진다.
이러한 부분은 지하층 외벽이 먼저 시공되는 슬러리월 공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음 철근의 일단에 커플러를 설치함으로써 철근을 접고 펴는 과정을 생략하여 철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고 펴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높은 설계강도의 철근을 사 용할 수 있으므로, 철근 개수를 줄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음 철근의 타단에 정착판을 설치함으로써 벽체 철근에 매립 강판을 고정시킬 때 벽체 횡보강근과 같은 기존 코어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설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매립 강판의 전면에 덮개를 없애고 타공망을 적용함으로써 콘크리트 이어치기 시에 불연속성을 제거하도록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 구부러진 연장부, 정착 갈고리, 그리고 매립 박스 덮개를 제거하여 무게를 줄임으로써 매립강판의 길이를 길게 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코어선행공법이나 슬러리월 공법과 같이 선 시공된 벽체에 슬래브나 보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매립형 연결박스에 있어서, 직사각형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타공망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타단에 일단이 결속되는 이음 철근; 및 상기 이음 철근의 타단에 결속되는 정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에서 또, 상기 커플러는 전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커플러 관통홀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한 후 상기 돌출부를 외측으로 가압 변형하여 상기 커플러 관통홀에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커플러는 전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커플러 관통홀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한 후 상기 커플러 관통홀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에 따르면, 이음 철근의 일단에 커플러를 설치함으로써 철근을 접고 펴는 과정을 생략하여 철근의 손상 방지할 수 있고, 높은 설계강도의 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철근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철근 손상을 고려하여 통상 20% 더 배근하는 여유분 철근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음 철근의 타단에 정착판을 설치함으로써 벽체 철근에 매립 강판을 고정시킬 때 벽체 횡보강근과 같은 기존 코어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설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립 강판의 본체에 타공망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이어치기시에 불연속성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기존기술에서 구부러진 연장부, 정착 갈고리, 그리고 매립 박스 덮개를 제거하여 무게를 줄임으로써 매립강판의 길이를 길게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타공망을 연결하기 이전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타공망을 연결한 후 캡을 채운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타공망을 연결한 후 캡채우고 기 배근된 벽체에 설치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100)은, 본체(110)와, 이음 철근(130)과, 커플러(120) 및 정착판(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직사각형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타공망(11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타공망(111)은 등간격으로 가지며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본체(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커플러(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플러 관통홀(113)이 형성되되, 커플러 관통홀(113)은 필요에 따라 2단으로 배열되며, 커플러 관통홀(113)은 타공망(111)의 미형성 부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커플러(120)는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커플러로 본체(110)의 커플러 관통홀(113)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면에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커플러(120)는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로 콘크리트가 인입되지 않도록 캡(123)이 구비되며, 벽체 거푸집(3)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시 타설 완료 후 거푸집 해체 시점에서 철근 연결 부위가 노출되도록 그 타단이 벽체 거푸집(3)과 면접된다.
그리고, 커플러(120)를 본체(110)의 커플러 관통홀(113)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커플러(120)의 돌출부(121)를 커플러 관통홀(113)에 삽입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기역자" 형태로 변형시켜 변형부위가 커플러 관통홀(113)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커플러 관통홀(113)에 돌출부(121)를 삽입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의 외측 을 커플러 관통홀(113)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음 철근(130)은 커플러(120)의 타단에 이의 일단이 결속된다. 여기에서, 이음 철근(130)은 커플러(120)와 하기에서 설명할 정착판(14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정착판(140)은 통상의 원형, 타원형, 각형 중 어느 하나의 정착판으로 이음 철근(130)의 타단에 결속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플러(120)와 이음 철근(130)을 상호 결합시키고, 커플러(120)의 돌출부(121)를 커플러 관통홀(113)을 통해 배출시킨 후 상기 돌출부(121)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거나 또는 용접하여 커플러(120)를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음 철근(130)에 정착판(140)을 결합시킨다. 이때, 이음 철근(130)과 정착판(140)을 먼저 결합시키거나 커플러(12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100)의 이음 철근(130)을 벽체 주철근(1)에 결속선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벽체 주철근(1)의 전면에 벽체 거푸집(3)을 설치 후 벽체 거푸집(3)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코어 선 시공한다. 이때, 커플러(120)는 벽체 거푸집(3)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시 철근 연결 부위가 노출되도록 벽체 거푸집(3)과 면접시킨다.
그런 다음,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벽체 거푸집(3)을 제거하면 커플러(120)가 노출된다. 이때, 본체(110)의 타공망(111)에 의해 콘크리트 이어치기시 의 불연속성이 제거된다.
그리고, 후속 슬래브 또는 보 공정에서 커플러의 캡(123)을 제거한 후 커플러(120)에 슬래브 또는 보의 주근을 연결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매립형 연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매립형 연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타공망을 연결하기 이전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타공망을 연결한 후 캡을 채운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타공망을 연결한 후 캡채우고 기 배근된 벽체에 설치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주철근 3 : 벽체 거푸집
110 : 본체 120 : 커플러
130 : 이음 철근 140 : 정착판

Claims (9)

  1. 코어선행공법이나 슬러리월 공법과 같이 선 시공된 벽체에 슬래브나 보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매립형 연결박스에 있어서,
    직사각형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타공망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타단에 일단이 결속되는 이음 철근; 및
    상기 이음 철근의 타단에 결속되는 정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전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커플러 관통홀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한 후 상기 돌출부를 외측으로 가압 변형하여 상기 커플러 관통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전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커플러 관통홀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한 후 상기 커플러 관통홀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9. 삭제
KR1020090000345A 2009-01-05 2009-01-05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KR10102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345A KR101025781B1 (ko) 2009-01-05 2009-01-05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345A KR101025781B1 (ko) 2009-01-05 2009-01-05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74A KR20100081074A (ko) 2010-07-14
KR101025781B1 true KR101025781B1 (ko) 2011-04-04

Family

ID=4264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345A KR101025781B1 (ko) 2009-01-05 2009-01-05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53B1 (ko) * 2013-05-10 2014-11-21 서보산업 주식회사 부착 강도 증가를 위한 연결면 성형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20230019520A (ko) * 2021-08-02 2023-02-09 홍성식 철근 연결용 폼 세이버 장치 및 폼 세이버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06B1 (ko) 2014-12-16 2019-03-11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
KR101685114B1 (ko) * 2016-01-26 2016-12-20 주식회사 아승이앤씨 매입철물과 커플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460A (ja) * 1992-09-21 1994-04-19 Kajima Corp 地下連続壁と地下躯体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460A (ja) * 1992-09-21 1994-04-19 Kajima Corp 地下連続壁と地下躯体の接合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53B1 (ko) * 2013-05-10 2014-11-21 서보산업 주식회사 부착 강도 증가를 위한 연결면 성형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20230019520A (ko) * 2021-08-02 2023-02-09 홍성식 철근 연결용 폼 세이버 장치 및 폼 세이버 제작 방법
KR102552218B1 (ko) * 2021-08-02 2023-07-06 홍성식 철근 연결용 폼 세이버 장치 및 폼 세이버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74A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836B1 (ko) 전단키를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KR100920204B1 (ko) 교량용 프리캐스트 기초부의 시공 방법
KR101025781B1 (ko) 커플러와 정착판을 구비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29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414054B1 (ko) Phc 말뚝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의 제조방법과 phc 말뚝의 두부보강방법
CN101956403B (zh) 带有预制混凝土封边板的地下室外剪力墙后浇带的施工方法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KR1006241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KR100735681B1 (ko) 트러스덱을 영구거푸집으로 겸용하는 두꺼운 벽 공법
JP2015045202A (ja) アーチ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82751B1 (ko) 철골보와 슬러리월 접합용 스마트박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3092010A (ja) 補強土壁の補修方法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JP732995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構造
KR20120091934A (ko) 헤드 철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층간 중간이음 공법
CN109457956A (zh) 一种变形缝处的施工装模方法及结构
CN216405835U (zh) 管状连接件及保温外模板现浇混凝土墙体
KR20150018366A (ko) 콘크리트 플랜지와 강재 웨브 접합형 거더 시공방법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CN212802275U (zh) 一种高抗裂性能的后植锚固筋安装结构
CN218758762U (zh) 一种装配式墙体预埋机电点位加固件
KR101110913B1 (ko) 슬래브 접합부의 다웰바 설치프레임
SE541721C2 (en) Pool of polypropylene, containing a bottom, walls and a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