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957B1 -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 Google Patents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8957B1 KR100888957B1 KR1020080121826A KR20080121826A KR100888957B1 KR 100888957 B1 KR100888957 B1 KR 100888957B1 KR 1020080121826 A KR1020080121826 A KR 1020080121826A KR 20080121826 A KR20080121826 A KR 20080121826A KR 100888957 B1 KR100888957 B1 KR 1008889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 cold
- chamber
- cooling
- heat exch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저온저장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컨테이너부와,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저장실과,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제 1 저장실과 구획되도록 형성된 제 2 저장실과,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제 1 축냉 모듈과, 제 1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제 1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제 1 송풍장치와, 제 2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제 2 축냉 모듈과, 제 2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제 2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제 2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제 1 축냉 모듈은 냉각시 냉열을 방출하여 제 1 저장실을 제 1 온도대로 유지시키는 제 1 축냉 물질을 포함하고, 제 2 축냉 모듈은 냉각시 제 1 축냉 물질이 방출하는 냉열보다 높은 냉열을 방출하여 제 2 저장실을 제 1 온도대보다 높은 제 2 온도대로 유지시키는 제 2 축냉 물질을 포함한다. 제 2 축냉 물질은 냉기공급수단을 통해 제 1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공급받아 다시 냉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냉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저온저장 물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유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에 관한 것이다.
보냉차량(Refrigerator Car)은 냉동 식품, 냉장 식품 등의 저온저장 물품을 운반하는 차량으로 냉동 탑차와 냉장 탑차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보냉차량은 물품이 적재되는 저온 저장실을 갖는 컨테이너부와 저온 저장실을 적재 물품에 따라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기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냉기 공급장치는 냉매를 순환시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냉기를 저온 저장실로 공급함으로써 저온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냉기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고온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증발기 주위에 생성된 냉기를 저온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있다. 냉기 공급장치는 저온 저장실의 유지 온도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 되며, 저온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여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다.
적절한 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저온저장 물품의 특성상 저온 저장실의 온도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거나 허용 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면, 물품이 변질되거나 신선도가 떨어져 상품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품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보냉차량은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냉기 공급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이 요구된다.
보냉차량의 냉기 공급장치는 차량의 엔진 동력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기 공급장치가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엔진을 계속 작동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보냉차량은 하나의 냉기 공급장치에 의해 저온 저장실의 온도가 냉동 온도 또는 냉장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냉동저장 물품 또는 냉장저장 물품 등 보관 온도가 같은 물품만을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 물품이 제한될 수밖에 없고, 운반 물품의 종류가 바뀔 경우 이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진다.
또한, 종래의 보냉차량은 냉기 공급장치가 차량의 엔진 동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엔진의 부하가 증가하고 연료 소모량이 증가하며 차량의 출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화석 연료의 사용량 증가는 지구 온난화 등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엔진이 고장으로 멈추는 경우 냉각 시스템이 작동하지 못하여 물품이 변질되거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구획된 두 개의 저장실을 구비하고, 두 개의 저장실 각각의 유지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물품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냉각시 냉열을 방출하는 축냉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연료 소비를 줄이고 친환경적인 보냉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저온저장 물품을 적 재하기 위한 컨테이너부와,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저장실과,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상기 제 1 저장실과 구획되도록 형성된 제 2 저장실과, 상기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제 1 축냉 모듈과, 상기 제 1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 1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제 1 송풍장치와, 제 2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제 2 축냉 모듈과, 상기 제 2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 2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제 2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축냉 모듈은 냉각시 냉열을 방출하여 제 1 저장실을 제 1 온도대로 유지시키는 제 1 축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냉 모듈은 냉각시 상기 제 1 축냉 물질이 방출하는 냉열보다 높은 냉열을 방출하여 상기 제 2 저장실을 상기 제 1 온도대보다 높은 제 2 온도대로 유지시키는 제 2 축냉 물질을 포함한다. 제 2 축냉 물질은 냉기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공급받아 다시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상기 제 2 축냉 모듈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저장실 및 상기 제 2 저장실 각각과 구획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형성된 열교환실과, 상기 제 2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을 연결하는 제 1 연결구와, 상기 제 1 연결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연결구에 설치된 제 1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을 연결하는 제 2 연결구와, 상기 제 2 연결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연결구에 설치된 제 2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가 상기 제 2 저장실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실이 상기 제 2 저장실의 천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개폐수단 및 상기 제 2 개폐수단은 상기 제 1 연결구 및 상기 제 2 연결구 각각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날개를 갖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저장실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저장실 사이에 배치된 격벽과, 상기 제 2 축냉 모듈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를 수용하는 열교환실 및 상기 열교환실과 상기 열교환실 외부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갖는 이동식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저장실을 연결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격벽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축냉 물질은 상기 이동식 하우징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실로 이동함으로써 냉각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실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실의 공기를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상기 이동식 하우징을 상기 제 1 저장실 및 상기 제 2 저장실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식 하우징을 가 이드하고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축냉 모듈은 상기 제 2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를 갖는 축냉 물질 저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상기 제 1 축냉 모듈 및 상기 제 1 송풍장치를 수용하는 냉각실과,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냉각실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냉각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냉각실을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구를 갖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상기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축냉 모듈에 연결된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냉매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 및 상기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서로 구획된 두 개의 저장실을 구비하고, 두 개의 저장실 각각이 두 종류의 축냉 물질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물품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더라도 저장실에 냉기 공급 이 가능하다. 따라서, 물품의 적재시나 적하시에 차량 엔진이 정지하더라도 저장실에 지속적으로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저장실에 적재된 물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엔진 동력으로 작동하는 냉기 공급장치를 갖는 종래의 보냉차량에 비해 차량의 엔진 부하를 줄이고, 차량의 출력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연료 소비를 줄여 CO2 등 배기가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저장실 각각을 서로 다른 온도대로 유지시키는 두 종류의 축냉 물질 중 상대적으로 냉각 온도가 높은 축냉 물질을 상대적으로 냉각 온도가 낮은 축냉 물질의 냉열을 이용하여 냉각시킴으로써, 냉각 온도가 높은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 시스템이 필요없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와 형상 등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10)은 크게 차량부(11)와 컨테이너부(12)로 구성된다. 차량부(11)는 통상적인 차량 구조와 같은 것이다. 컨테이너부(12)의 내부 공간은 격벽(13)과 제 1 구획부재(14) 및 제 2 구획부재(15)에 의해 몇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격벽(13)은 제 1 저장실(16)과 제 2 저장실(17)을 구획하고, 제 1 구획부재(14)는 제 1 저장실(16)과 냉각실(18)을 구획하며, 제 2 구획부재(15)는 제 2 저장실(17)과 열교환실(19)을 구획한다. 도면에는 컨테이너부(1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냉각실(18), 제 1 저장실(16), 열교환실(19) 및 제 2 저장실(17)이 차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공간의 순서와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저장실(16)은 냉각실(18)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공급받아 제 1 온도대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제 1 온도대는 냉동 온도(예컨대, -10℃ ~ -25℃)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저장실(16)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냉각실(18)에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축냉 모듈(2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축냉 모듈(21)의 내부에는 냉각시 냉열을 방출하는 제 1 축냉 물질이 수용되어 있으며, 제 1 축냉 물질이 제 1 축냉 모듈(21)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냉기가 생성된다. 이렇게 냉각실(18)에 생성된 냉기는 제 1 저장실(16)로 공급됨으로써 제 1 저장실(16)이 제 1 온도대로 유지된다.
제 2 저장실(17)은 열교환실(19)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공급받아 제 1 온도대보다 높은 제 2 온도대로 유지된다. 제 2 온도대는 냉장 온도(예컨대, 0℃ ~ 10℃)로 유지될 수 있다. 열교환실(19)에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축냉 모듈(22)의 내부에는 냉각시 냉열을 방출하는 제 2 축냉 물질이 수용되어 있다. 제 2 축냉 물질은 냉각시 제 1 축냉 물질보다 높은 냉열을 방출하며,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된다. 제 2 축냉 모듈(22)에 의해 열교환실(19)에서 생성된 냉기는 제 2 저장실(17)로 공 급됨으로써 제 2 저장실(17)이 제 2 온도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10)은 서로 다른 온도대의 냉열을 방출하는 제 1 축냉 물질 및 제 2 축냉 물질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대로 유지되는 제 1 저장실(16) 및 제 2 저장실(17)을 구비함으로써, 보관 온도가 다른 두 종류의 저온저장 물품(예컨대, 냉동저장 물품과 냉장저장 물품)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저온의 냉열을 방출하는 제 1 축냉 물질에 의해 제 2 축냉 물질이 냉각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제 1 축냉 물질 및 제 2 축냉 물질은 저온 환경에서 냉각되었다가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현열 및/또는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제 1 축냉 물질 및 제 2 축냉 물질로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이하 PCM이라 한다), 또는 그 밖에 저온에서 냉각 및/또는 고체상으로 상변화하고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냉열을 방출하여 주위 공기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다양한 액체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PCM의 경우 상변화 온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므로, 용도에 맞게 적절한 것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축냉 물질로는 -35℃의 PCM이 사용될 수 있고, 제 2 축냉 물질로는 -4℃의 PCM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축냉 모듈(21)은 냉각실(18)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부재(23)에 결합된다. 제 1 축냉 모듈(21)을 지지부재(23)에 결합하기 위해 나사 기구, 와이어, 클램프 기구 등의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제 1 저장실(16)로 토출되고, 제 1 저장실(16)의 공기는 냉각실(18)로 흡입된다. 제 1 저장실(16)과 냉각실(18)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 록 제 1 구획부재(14)에는 공기 유동이 가능한 유동구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 순환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냉각실(18)에는 제 1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유동구는 컨테이너부(12)의 바닥면(24)에 가까이 배치된 흡입구(26)와 컨테이너부(12)의 내부 상면(25)에 가까이 배치된 토출구(27)를 포함한다. 이러한 흡입구(26) 및 토출구(27)의 배치는 토출구(27)를 통해 제 1 저장실(16)로 공급되는 냉기가 제 1 저장실(16) 전체를 고르게 냉각한 후 냉각실(18)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제 1 축냉 모듈(21)은 이들 흡입구(26) 및 토출구(27)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송풍장치는 흡입구(26)에 인접하게 배치된 흡입 송풍기(28)와 토출구(27)에 인접하게 배치된 토출 송풍기(29)를 포함한다.
흡입 송풍기(28)가 제 1 저장실(16)의 공기를 냉각실(18)로 흡입시키고, 토출 송풍기(29)가 냉각실(18)의 공기를 제 1 저장실(16)로 토출시킴으로써, 제 1 저장실(16)과 냉각실(18) 사이에 공기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흡입구(26) 및 토출구(27) 각각에는 이물질 유입을 막고 흡입 송풍기(28) 또는 토출 송풍기(29)를 보호하기 위한 그릴(31)(3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흡입구(26) 및 흡입 송풍기(28)의 개수와 배치, 토출구(27)와 토출 송풍기(29)의 개수와 배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은 열교환실(19)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부재(33)에 결합된다. 제 2 축냉 모듈(22)은 나사 기구, 와이어, 클램프 기구 등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실(19)은 제 2 구획부재(15)에 의해 제 2 저장실(17)의 전방 천장에 배치되 며, 열교환실(19)을 구획하는 제 2 구획부재(15)는 컨테이너부(12)의 내부 상면(25) 및 격벽(13)의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저장실(17)과 열교환실(19)을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2 저장실(17)과 열교환실(19)의 사이에는 제 1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저장실(16)과 열교환실(19)을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1 저장실(16)과 열교환실(19)의 사이에는 제 2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구에는 제 1 연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개폐수단이 설치되고, 제 2 연결구에는 제 2 연결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개폐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 2 연결구와 제 2 개폐수단은 제 2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축냉 물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열교환실(19)로 공급시키는 냉기공급수단의 역할을 한다.
제 1 연결구는 제 2 구획부재(15)의 하면(34) 및 측면(35)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36) 및 토출구(37)를 포함하고, 제 2 연결구는 격벽(13)에 형성된 유입구(38)를 포함한다. 흡입구(36) 및 토출구(37)를 통해 제 2 저장실(17)과 열교환실(19) 사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고, 유입구(38)를 통해 제 1 저장실(16)과 열교환실(19) 사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흡입구(36)와 토출구(37)는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을 사이에 두고 가능한 멀리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것은 흡입구(36)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37)를 통해 토출되기 전에 제 2 축냉 모듈(22)과 가능한 오래 접하도록 하여 공기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제 1 개폐수단은 흡입구(36)에 설치된 제 1 댐퍼(41)와 토출구(37)에 설치된 제 2 댐퍼(43)를 포함하고, 제 2 개폐수단은 유입구(38)에 설치된 제 3 댐퍼(44)를 포함한다. 이들 댐퍼(41)(42)(43)는 통상적인 댐퍼와 같이 회전 가능한 복수의 날개(42)(44)(46)를 가지고 있으며, 날개(42)(44)(46)의 회전 위치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도 하고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기도 한다.
흡입구(36) 및 토출구(37) 각각에 설치된 제 1 댐퍼(41) 및 제 2 댐퍼(43)는 열교환실(19)에서 제 2 저장실(17)로 냉기가 공급될 때 개방되고, 제 1 저장실(16)에서 열교환실(19)로 냉기가 공급될 때 폐쇄된다. 반대로, 제 3 댐퍼(44)는 제 1 댐퍼(41) 및 제 2 댐퍼(43)의 개폐 동작과 반대로 개폐된다. 이들 댐퍼(41)(42)(43)의 개폐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의 개폐 동작은 통상적인 것과 같은 것이므로, 이들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교환실(19)과 열교환실(19) 외부 사이의 공기 순환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열교환실(19)에는 제 2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송풍장치는 유입구(38) 또는 흡입구(36)를 통해 열교환실(19) 외부의 공기를 열교환실(19)로 강제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 송풍기(47)와, 열교환실(19)의 공기를 토출구(37)를 통해 제 2 저장실(17)로 강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송풍기(48)를 포함한다. 흡입 송풍기(47)는 유입구(38) 및 흡입구(3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토출 송풍기(48)는 토출구(3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유입구(38), 흡입구(36) 및 토출구(37)의 개수와 배치, 흡입 송풍기(47) 및 토출 송풍기(48)의 개수와 배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축냉 모듈(21) 및 제 2 축냉 모듈(22)은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축냉 물질만 다를 뿐 구조는 동일하다. 제 1 축냉 모듈(21)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다. 제 2 축냉 모듈(22)의 구조도 이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축냉 모듈(21)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축냉 모듈(21)은 제 1 축냉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축냉 물질 저장수단으로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를 갖는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는 속인 빈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속에 축냉 물질이 채워진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는 평평한 제 1 결합면(52), 제 1 결합면(52)에 형성되고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 1 홈(53), 클램프(57)의 일부가 결합되는 제 1 클램프 결합홈(54),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55)을 갖는다. 또한,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의 제 1 결합면(52)과 상하 양쪽 끝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주름(56)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56)은 공기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켜 공기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의 구조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와 같다.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는, 제 1 결합면(52)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면(62), 한 쌍의 제 1 홈(53)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2 홈(63), 클램프(57)의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클램프 결합홈(64), 복수의 나사 구멍(65),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주름(66)을 포함한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는 제 1 결합면(52) 및 제 2 결합면(62)이 접한 상태로 복수의 클램프(57)에 의해 하나로 묶이고, 나사(미도시)에 의해 단단히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제 1 축냉 모듈(21)은 한 쌍의 제 1 홈(53) 및 한 쌍의 제 2 홈(63)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관통구(67)를 갖는다. 이들 관통구(67)에는 후술할 냉각 시스템(70)의 증발관(74)이 결합된다. 제 2 축냉 모듈(22)의 경우 증발관(74)이 결합되지 않으므로, 한 쌍의 관통구(67)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로 작용한다. 공기가 관통구(67)를 통과하게 되면 제 2 축냉 모듈(22)과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제 2 축냉 모듈(22)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는 클램프(57) 및 나사 이외에 다른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축냉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축냉 물질 저장수단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51) 및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61)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10)은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으로 냉각 시스템(70)을 갖추고 있다. 냉각 시스템(70)은 통상적인 냉각 시스템과 같이 냉매를 순환시켜 주위를 냉각시킨다. 냉각 시스템(7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71),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72),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73), 냉매를 증발시켜 주변을 냉각시키는 증발관(74)을 포함한다.
냉각 시스템(70)은 외부 전원이나 차량의 엔진 동력으로 작동한다. 냉각 시스템(70)이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낮은 시간대에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효과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증발관(74)은 감압장치(73)에서 복수의 제 1 축냉 모듈(21)을 거쳐 압축기(71)까지 연장되어 있다. 압축기(71), 응축기(72) 및 감압장치(73)를 거친 냉매는 증발관(74)을 따라 유동하면서 증발하여 복수의 제 1 축냉 모듈(21)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킨다. 제 1 축냉 물질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증발관(74)은 관통구(67)를 통해 제 1 축냉 모듈(2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축냉 모듈(21)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7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비를 이용하여 냉각실(18)로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냉열 방출 효율이 떨어진 제 1 축냉 물질을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 또는, 증발관(74) 대신 제 1 축냉 모듈(21)에 액상 물질이 유동할 수 있는 튜브를 결합하고 이를 냉각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 1 축냉 모듈(21)에 결합된 튜브로 초저온의 액체를 순환시키면 제 1 축냉 물질을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저장실(16) 및 제 2 저장실(17)이 개별 냉각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저장실(16) 및 제 2 저장실(17)이 개별 냉 각될 때, 제 1 댐퍼(41) 및 제 2 댐퍼(43)가 개방되어 제 2 저장실(17)과 열교환실(19)은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댐퍼(44)가 폐쇄되어 제 1 저장실(16)과 열교환실(19)은 분리된다.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냉각실(18)에 생성된 냉기는 토출 송풍기(29)의 작용으로 토출구(27)를 통해 제 1 저장실(16)의 천장을 따라 토출된다. 이렇게 토출된 냉기는 제 1 저장실(16)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어 제 1 저장실(16)을 냉각시키고 흡입구(26)를 통해 다시 냉각실(18)로 흡입되며, 제 1 저장실(16)은 제 1 온도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제 2 축냉 모듈(22)에 의해 열교환실(19)에 생성된 냉기는 토출 송풍기(48)의 작용으로 토출구(37)를 통해 제 2 저장실(17)의 천장을 따라 토출되어 제 2 저장실(17)을 제 2 온도대로 냉각시킨다. 제 2 저장실(17)의 공기는 흡입구(36)를 열교환실(19)로 흡입되어 냉각된 후, 다시 제 2 저장실(17)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냉각실(18)에서 생성된 냉기가 제 1 저장실(16)의 천장 쪽으로 공급되고, 열교환실(19)에서 생성된 냉기가 제 2 저장실(17)의 천장 쪽으로 공급되므로, 제 1 저장실(16) 및 제 2 저장실(17)에 각각의 냉기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그리고 물품이 높이 적재되더라도 각각의 냉기가 물품들 사이로 유동하여 적재된 물품들이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제 2 축냉 물질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 2 축냉 모듈(22)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열교환실(19)로 공급하여 제 2 축냉 물질을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 제 1 저장 실(16)의 냉기를 열교환실(19)로 공급하기 위해, 제 3 댐퍼(44)가 개방되어 제 1 저장실(16)과 열교환실(19)이 연결된다. 이때, 제 1 댐퍼(41) 및 제 2 댐퍼(43)는 폐쇄되어 제 2 저장실(17)과 열교환실(19) 사이의 공기 유동은 차단된다.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냉각실(18)에서 생성된 냉기는 토출구(27), 제 1 저장실(16) 및 유입구(38)를 통해 열교환실(19)로 공급된다. 그리고 열교환실(19)로 유입된 냉기는 제 2 축냉 모듈(22)을 냉각시키고 유입구(38)를 통해 제 1 저장실(16)로 유동한 후, 흡입구(26)를 통해 다시 냉각실(18)로 유입된다. 이때, 냉각실(18)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28) 및 토출 송풍기(29)와, 열교환실(19)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47)를 작동시키면, 공기의 순환을 활발하게 이루어져 제 2 축냉 모듈(22)의 냉각 속도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축냉 모듈(22)을 냉각시킬 때, 냉각실(18)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28) 및 토출 송풍기(29)의 출력을 높여 냉각실(18)에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 1 온도대보다 낮은 제 3 온도대(예컨대, -126℃ ~ -130℃)로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축냉 모듈(21)의 냉각 성능을 높여 열교환실(19)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 3 온도대로 유지시키면 제 2 축냉 모듈(22)의 냉각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10)은 제 2 저장실(17)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 2 축냉 모듈(22)이 제 1 저장실(16)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냉각되므로, 제 2 축냉 모듈(22)을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 시스템이 필요없고, 에너지 사용이 효율적이다.
한편, 제 1 축냉 모듈(21)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축냉 물질의 온도가 상승하여 냉각 효율이 떨어지면, 냉각 시스템(70)을 작동시켜 제 1 축냉 물질을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시스템(70)은 차량 운행 중인 경우 차량의 엔진 동력에 의해 작동되고, 차량 운행 정지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보냉차량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76)은 도 1에 도시된 보냉차량(10)과 같이 크게 차량부(11)와 컨테이너부(12)로 구성되며, 컨테이너부(12)의 내부 공간이 격벽(77) 및 구획부재(14)에 의해 제 1 저장실(16), 제 2 저장실(17) 및 냉각실(18)로 구획된다. 이러한 보냉차량(76)은 도 1에 도시된 보냉차량(10)과 비교할 때, 제 2 저장실(17)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이 제 2 저장실(17)의 천장에 고정 설치된 것이 아니라, 이동식으로 설치된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이외에 제 1 저장실(16)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나, 제 1 축냉 모듈(21)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70) 등은 도 1 에 도시된 보냉차량(10)과 같으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컨테이너부(12)의 내부 공간이 컨테이너부(1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냉각실(18), 제 1 저장실(16), 제 2 저장실(17)의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공간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저장실(17)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은 열교환실(81)을 갖는 이동식 하우징(82), 열교환실(81)에 설치된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 이동식 하우징(8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동식 하우징(82)에 결합된 복수의 휠(83)을 포함한다. 제 2 축냉 모듈(22)은 냉각시 냉열을 방출하는 제 2 축냉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축냉 모듈(22)은 하우징(82)의 하면(84)에 고정된 지지부재(91)에 결합된다.
제 2 축냉 모듈(22)의 상세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교환실(81)은 이동식 하우징(82)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를 통해 열교환실(81) 외부와 연결된다. 이 연결구를 통해 제 2 축냉 모듈(22)에 의해 열교환실(81)에서 생성된 냉기가 열교환실(81)의 외부로 토출되고, 외부 공기가 열교환실(81)로 흡입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구는 이동식 하우징(82)의 하면(84)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흡입구(86)와 이동식 하우징(82)의 상면(85)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토출구(87)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은 흡입구(86)와 토출구(85) 사이에 배치되며, 지지부재(91)에 의해 흡입구(86)로부터 다소 이격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86) 및 토출구(87)가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을 사이에 두고 가능한 멀리 위치함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전에 제 2 축냉 모듈(22)과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제 2 축냉 모듈(22)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복수의 토출구(87) 각각에는 이물질 유입을 막고, 열교환실(81)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 2 저장실(17)로 고르게 공급하기 위한 디퓨저(88)가 설치되어 있다. 디 퓨저(88)는 공기의 토출을 위한 복수의 토출유로(89)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토출유로(89) 각각은 열교환실(81)의 공기를 외부로 퍼트릴 수 있도록 이동식 하우징(82)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으나, 토출유로(89)는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실(81)에서 생성된 냉기가 디퓨저(88)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토출됨으로써, 냉기가 제 2 저장실(17) 전체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더욱이, 이동식 하우징(82)은 제 2 저장실(17)에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벽(77)이나 제 2 저장실(17)을 구획하는 다른 내벽 쪽에 가까이 배치되기 때문에, 냉기가 이동식 하우징(82)의 상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조가 균일한 냉기 공급을 위해 유리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동식 하우징(82)은 나사 기구, 클램프 기구, 벨트 장치 등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격벽(77)에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실(81)과 열교환실(81) 외부 사이의 공기 순환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열교환실(81)에는 제 2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송풍장치는 복수의 디퓨저(88) 각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토출 송풍기(92)를 포함한다. 이들 토출 송풍기(92)는 디퓨저(88)와 제 2 축냉 모듈(22)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 2 축냉 모듈(22) 주위의 공기를 디퓨저(88)를 통해 신속하게 토출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교환실(81)과 열교환실(81)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위한 흡입구(86), 토출구(87), 디퓨저(88) 및 토출 송풍기(92)의 개수와 배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축냉 모듈(22)에 포함된 제 2 축냉 물질은 제 1 축냉 물질에 비해 높은 온도의 냉열을 방출하며, 제 2 저장실(17)은 제 2 축냉 모듈(22)에 의해 제 1 저장실(16)의 제 1 온도대보다 높은 제 2 온도대로 유지된다. 제 2 축냉 물질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면 제 2 축냉 물질은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76)은 제 2 축냉 모듈(22)을 냉각시키기 위해 제 1 축냉 모듈(21)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제 2 축냉 모듈(22)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으로 이동식 하우징(82)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93) 및 개구(93)를 개폐하는 도어(94)를 포함한다.
개구(93)는 제 1 저장실(16)과 제 2 저장실(17)을 연결하도록 격벽(77)에 형성되어 있고, 도어(94)는 격벽(77)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어(94)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95)가 결합되어 있다. 이동식 하우징(82)이 개구(93)를 통해 제 2 저장실(17)에서 제 1 저장실(16)로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제 2 축냉 모듈(22)이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어(94)는 여닫이식 이외에 개구(9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미닫이식, 회전식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하우징(82)의 이동을 위해 이동식 하우징(82)에는 복수의 휠(8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휠(83)은 컨테이너부(12)의 바닥면(24)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 홈(96)을 따라 이동한다. 레일 홈(96)은 격벽(77)을 중심으로 제 1 저장실(16) 및 제 2 저장실(17) 양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일 홈(96)은 이동식 하우징(82)이 직선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식 하우징(8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 고, 이동식 하우징(82)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즉, 휠(83)이 레일 홈(96)을 따라 직선 이동하다가 레일 홈(96)의 일단 또는 타단에 도달하면, 휠(83)의 움직임이 차단됨으로써 이동식 하우징(82)이 정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휠(83)은 레일 장치, 슬라이드 이동장치, 회전장치 등 이동식 하우징(82)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다양한 이동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 홈(96)은 가이드 바, 가이드 레일 등 이동식 하우징(82)을 가이드하고 이동식 하우징(8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다른 여러가지 가이드 수단으로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76)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1 저장실(16) 및 제 2 저장실(17)이 제 1 축냉 모듈(21)과 제 2 축냉 모듈(22)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대로 개별 냉각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개구(93)는 도어(94)에 의해 폐쇄되어 제 1 저장실(16)과 제 2 저장실(17)은 완전히 분리된다.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토출구(27)을 통해 냉각실(18)의 천장 쪽으로 토출되어 제 1 저장실(16) 전체에 고르게 공급된 후, 제 1 저장실(16)의 바닥 쪽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26)를 통해 다시 냉각실(18)로 흡입된다. 그리고 제 2 축냉 모듈(22)에 의해 열교환실(81)에 생성된 냉기는 복수의 디퓨저(88)를 통해 제 2 저장실(17)의 상부 방향으로 토출되어 제 2 저장실(17) 전체에 고르게 공급된 후, 이동식 하우징(82)의 하면(84)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86)를 통해 열교환실(81)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냉각된 공기가 각 저장실(16)(17)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각 저장실(16)(17)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제 2 축냉 물질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 2 축냉 모듈(22)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면 제 2 축냉 모듈(22)을 제 1 축냉 모듈(21)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통해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94)를 회전시켜 개구(93)를 개방시키고 이동식 하우징(82)을 제 2 저장실(17)에서 제 1 저장실(16)로 이동시킨다. 이동식 하우징(82)을 이동시킬 때 냉각실(18)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28) 및 토출 송풍기(29)와, 이동식 하우징(82)의 내부에 설치된 토출 송풍기(92)는 정지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위치 이동한 이동식 하우징(82)은 제 1 저장실(16)로 이동한 후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좋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식 하우징(82)이 제 1 저장실(16)에 위치하면, 도어(94)로 개구(93)를 폐쇄하고 냉각실(18)의 흡입 송풍기(28) 및 토출 송풍기(29)를 작동시켜 냉각실(18)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 1 저장실(16)로 공급한다. 제 1 저장실(16)로 공급된 냉기는 이동식 하우징(82) 내부의 열교환실(81)로 유동함으로써 제 2 축냉 물질을 냉각시킨다. 이때, 열교환실(81)의 토출 송풍기(92)를 작동시키면 제 1 저장실(16)로 공급된 냉기와 제 2 축냉 모듈(22) 사이의 열교환 속도가 증가하여 제 2 축냉 물질의 냉각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축냉 물질의 냉각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앞서 설명한 것처럼, 냉각실(18)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28) 및 토출 송풍기(29)의 출력을 높여 냉각실(18)에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 1 온도대보다 낮은 제 3 온도대(예컨대, -126℃ ~ -130℃)로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축냉 모듈(21)의 냉각 성능을 높여 제 1 저장실(16)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 3 온도대로 유지시키면 제 2 축냉 모듈(22)의 냉각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2 냉각 물질이 충분히 냉각되면, 개구(93)를 개방하고 이동식 하우징(82)을 다시 제 2 저장실(17)로 이동시켜 제 2 저장실(17)을 제 2 온도대로 냉각시킬 수 있다. 제 1 축냉 모듈(21)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축냉 물질은 냉각 효율이 떨어지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냉각 시스템(70)을 이용하여 냉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개별 냉각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보냉차량의 축냉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제 1 축냉 모듈을 이용하여 제 2 축냉 모듈을 냉각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개별 냉각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이동식 하우징을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제 1 축냉 모듈을 이용하여 제 2 축냉 모듈을 냉각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76 : 보냉차량 11 : 차량부
12 : 컨테이너부 13, 77 : 격벽
14, 15 : 제 1, 2 구획부재 16, 17 : 제 1, 2 저장실
18 : 냉각실 19, 81 : 열교환실
21, 22 : 제 1, 2 축냉 모듈 26, 36, 86 : 흡입구
27, 37, 87 : 토출구 28, 47 : 흡입 송풍기
29, 48, 92 : 토출 송풍기 38 : 유입구
41, 43, 45 : 제 1, 2, 3 댐퍼 51, 61 : 제 1, 2 축냉 물질 저장체
57 : 클램프 67 : 관통구
70 : 냉각 시스템 74 : 증발관
82 : 이동식 하우징 83 : 휠
88 : 디퓨저 93 : 개구
94 : 도어 96 : 레일 홈
Claims (12)
- 저온저장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컨테이너부를 갖는 보냉차량에 있어서,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저장실과;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상기 제 1 저장실과 구획되도록 형성된 제 2 저장실과;냉각시 냉열을 방출하는 제 1 축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제 1 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 1 축냉 모듈과;상기 제 1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 1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제 1 송풍장치와;냉각시 상기 제 1 축냉 물질이 방출하는 냉열보다 높은 냉열을 방출하는 제 2 축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저장실을 상기 제 1 온도대보다 높은 제 2 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 2 축냉 모듈과;상기 제 2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 2 저장실로 강제 송풍시키는 제 2 송풍장치와;상기 제 1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 2 축냉 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제 2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는 냉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축냉 모듈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저장실 및 상기 제 2 저장실 각각과 구획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형성된 열교환실과;상기 제 2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을 연결하는 제 1 연결구와;상기 제 1 연결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연결구에 설치된 제 1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고,상기 냉기공급수단은,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열교환실을 연결하는 제 2 연결구와, 상기 제 2 연결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연결구에 설치된 제 2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축냉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가 상기 제 2 저장실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실이 상기 제 2 저장실의 천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개폐수단 및 상기 제 2 개폐수단은 상기 제 1 연결구 및 상기 제 2 연결구 각각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날개를 갖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저장실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저장실 사이에 배치된 격벽과;상기 제 2 축냉 모듈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를 수용하는 열교환실과, 상기 열교환실과 상기 열교환실 외부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갖는 이동식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상기 냉기공급수단은,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저장실을 연결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격벽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며,상기 이동식 하우징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실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축냉 물질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구는,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실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실의 공기를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식 하우징을 상기 제 1 저장실 및 상기 제 2 저장실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식 하우징을 가이드하고 상기 이동식 하우징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축냉 모듈은 상기 제 2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를 갖는 축냉 물질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축냉 모듈 및 상기 제 1 송풍장치를 수용하는 냉각실과;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냉각실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냉각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장실과 상기 냉각실을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구를 갖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축냉 모듈에 연결된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냉각수단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냉매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 및 상기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제 1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1826A KR100888957B1 (ko) | 2008-12-03 | 2008-12-03 |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1826A KR100888957B1 (ko) | 2008-12-03 | 2008-12-03 |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8957B1 true KR100888957B1 (ko) | 2009-03-17 |
Family
ID=4069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1826A KR100888957B1 (ko) | 2008-12-03 | 2008-12-03 |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895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6536B1 (ko) | 2010-12-22 | 2012-08-23 | 조병재 | 냉장 및 냉동실을 분리한 냉동차 |
KR20200025223A (ko) | 2018-08-29 | 2020-03-10 | 주식회사 이에스티 | 공냉 시스템을 갖는 컨테이너 차량 |
CN116279076A (zh) * | 2023-03-31 | 2023-06-23 | 浙江锦宇汽车制造有限公司 | 一种冷藏车 |
EP3762668B1 (en) * | 2018-03-06 | 2023-11-15 | Arkema France | Refrigerator box and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8464A (ja) * | 1994-08-24 | 1996-03-05 | Nippon Furuhaafu Kk | コンテナの中仕切り構造 |
JPH0920170A (ja) * | 1995-07-07 | 1997-01-21 | Isuzu Motors Ltd | 車両用荷室の構造 |
JPH1059057A (ja) | 1996-08-22 | 1998-03-03 | Zexel Corp | 貨物温調庫 |
JP2006056431A (ja) * | 2004-08-20 | 2006-03-02 | Yanmar Co Ltd | 冷凍コンテナ |
-
2008
- 2008-12-03 KR KR1020080121826A patent/KR1008889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8464A (ja) * | 1994-08-24 | 1996-03-05 | Nippon Furuhaafu Kk | コンテナの中仕切り構造 |
JPH0920170A (ja) * | 1995-07-07 | 1997-01-21 | Isuzu Motors Ltd | 車両用荷室の構造 |
JPH1059057A (ja) | 1996-08-22 | 1998-03-03 | Zexel Corp | 貨物温調庫 |
JP2006056431A (ja) * | 2004-08-20 | 2006-03-02 | Yanmar Co Ltd | 冷凍コンテナ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6536B1 (ko) | 2010-12-22 | 2012-08-23 | 조병재 | 냉장 및 냉동실을 분리한 냉동차 |
EP3762668B1 (en) * | 2018-03-06 | 2023-11-15 | Arkema France | Refrigerator box and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
KR20200025223A (ko) | 2018-08-29 | 2020-03-10 | 주식회사 이에스티 | 공냉 시스템을 갖는 컨테이너 차량 |
CN116279076A (zh) * | 2023-03-31 | 2023-06-23 | 浙江锦宇汽车制造有限公司 | 一种冷藏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6217B1 (ko) |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 |
KR101869165B1 (ko) | 냉장고 | |
US11340006B2 (en) |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0888957B1 (ko) |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 |
KR100907338B1 (ko) |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 |
KR100995695B1 (ko) | 보냉차량 | |
KR101855689B1 (ko) |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 |
US20190331395A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 |
KR20060041721A (ko) | 가열/냉각 시스템 | |
KR102176725B1 (ko) | 냉장고 | |
KR100650548B1 (ko) | 냉동차량용 냉각기 | |
KR100490820B1 (ko) | 냉각 저장고 | |
JP2013245842A (ja) | 保冷庫 | |
KR20080090941A (ko) | 냉장고 | |
KR200341847Y1 (ko) |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 |
KR100975376B1 (ko) | 이동식 축냉 장치 | |
KR101123715B1 (ko) | 냉장고 | |
JP3948876B2 (ja) | 冷却貯蔵庫 | |
JP2004012059A (ja) | 蓄冷板方式による冷凍・冷蔵庫温度管理車 | |
JP2002090028A (ja) | 冷蔵庫 | |
KR102415895B1 (ko) | 스마트 모빌리티용 외장형 냉장고 및 이를 구비한 소형 전기자동차 | |
KR20120000197U (ko) |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 |
KR101507832B1 (ko) | 냉장고 | |
CN220206138U (zh) | 制冷设备的箱体结构和制冷设备 | |
KR100526618B1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