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97U -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97U
KR20120000197U KR2020100006939U KR20100006939U KR20120000197U KR 20120000197 U KR20120000197 U KR 20120000197U KR 2020100006939 U KR2020100006939 U KR 2020100006939U KR 20100006939 U KR20100006939 U KR 20100006939U KR 20120000197 U KR20120000197 U KR 20120000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air supply
storage
temperatur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이정근
강호림
조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to KR2020100006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197U/ko
Publication of KR20120000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8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for tank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B65D90/143Detachable individual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이 마련된 몸체,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 저장실에 배치되고 저장실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냉기 공급을 위한 축냉 물질을 갖는 냉기 공급장치, 냉기 공급장치의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기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차량에 적재하기 쉽고, 저장실이 마련된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다리를 가지고 있어서, 지면이 고르지 않은 비포장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농산물 등의 물품을 생산지에서 신속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MOVABLE CONTAINER FOR STORAGE OF GOOD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본 고안은 물품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보관 물품이나 저온보관 물품 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온보관 물품이나 냉동 식품, 냉장 식품 등의 저온보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갖는 탑차가 주로 이용된다. 탑차의 컨테이너는 내부에 물품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차량에 고정된다.
냉동 식품이나 냉장 식품 등의 저온보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탑차에는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냉기 공급장치는 냉매를 순환시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냉기를 저장공간에 공급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저장공간을 냉각시킨다.
냉기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고온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증발기 주위에 생성된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있다. 냉기 공급장치는 저장공간의 설정 온도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며, 저장공간에 냉기를 공급하여 저장공간의 온도를 냉장 온도 또는 냉동 온도 등 설정된 온도로 떨어트린다. 냉기 공급장치는 차량의 엔진 동력으로 작동한다.
종래의 탑차는 저장공간을 갖는 컨테이너가 차량에 고정되고 저장공간에 냉기 공급을 위한 냉기 공급장치가 차량의 엔진 동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보다는 물품을 운반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농산물 등 신선도를 유지시켜야 하는 물품의 경우, 산지에서 수확한 생산물을 탑차로 운반하기 전까지 저장창고 등 저온 보관이 가능한 장소에 임시 저장할 필요가 있다.
대량 생산 체제가 구축된 생산지의 경우 생산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저장창고를 갖추기도 하지만, 소규모 생산지의 경우에는 물품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창고를 갖추기 어려우므로, 생산물의 생산 후 운반하기까지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생산물을 저장창고에 보관하는 경우, 생산된 생산물을 저장창고로 운반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를 반출하기 위해 저장창고에 저장된 생산물을 탑차에 옮겨 실어야 하므로, 생산물의 생산 후 운반까지의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탑재가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상온보관 물품이나 저온보관 물품 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냉기 공급을 위한 축냉 물질을 갖는 냉기 공급장치, 상기 냉기 공급장치의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냉기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팽창밸브,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관은 상기 냉기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저장실과 분리된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장치는 복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축냉 모듈은,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제 1 결합면 및 제 1 삽입홈을 갖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결합면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면 및 상기 제 1 삽입홈에 대응하는 제 2 삽입홈을 갖는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 상기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상기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관은 상기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상기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 사이에 상기 제 1 삽입홈 및 상기 제 2 삽입홈이 합쳐져 만들어진 관통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는,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공 구조의 제 1 수직 지지대, 상기 제 1 수직 지지대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수직 지지대, 상기 제 2 수직 지지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수직 지지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제 1 저장실과 제 2 저장실과 제 3 저장실을 갖는 몸체, 상기 제 2 저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은 제 1 저온 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기 공급을 위한 제 1 축냉 물질을 갖는 제 1 냉기 공급장치, 상기 제 3 저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저장실의 온도를 상기 제 1 저온 온도대보다 낮은 제 2 저온 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기 공급을 위한 제 2 축냉 물질을 갖는 제 2 냉기 공급장치,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의 제 1 축냉 물질 및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의 제 2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 및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냉각 시스템, 상기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에서 분기된 한 쌍의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팽창밸브 및 제 2 팽창밸브,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증발관,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증발관은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증발관은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온도센서,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온도센서, 상기 제 1 팽창밸브로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 1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분기관에 연결되는 제 1 조절밸브, 상기 제 2 팽창밸브로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 2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분기관에 연결되는 제 2 조절밸브, 상기 제 1 온도센서 및 상기 제 2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 및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조절밸브 및 상기 제 2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차량에 적재하기 쉽고, 저장실이 마련된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다리를 가지고 있어서, 지면이 고르지 않은 비포장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농산물 등의 물품을 생산지에서 신속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생산지에 설치하여 생산된 생산물을 바로 저장할 수 있고, 생산물 저장 후 차량에 실어 바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생산에서 운반까지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는 한번 냉각시켜 놓으면 일정 시간 동안 냉기를 공급하는 축냉 물질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물품의 보관에 알맞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나 동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를 차량에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의 냉기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축냉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의 냉기 공급장치 및 냉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의 냉기 공급장치 및 냉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는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111)이 마련된 몸체(110), 몸체(110)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120), 저장실(111)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축냉 물질을 갖는 냉기 공급장치(130), 냉기 공급장치(130)의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150)을 포함한다.
몸체(110)의 전면에는 저장실(111)과 연결된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12)와 작업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식 사다리(113)가 설치된다. 접이식 사다리(113)의 일단은 몸체(11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미사용시 접을 수 있다. 몸체(110) 하면의 베이스(114)에는 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120)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리(120)는 몸체(110)의 베이스(114)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대(121), 수평 지지대(121)를 통해 베이스(114)에 연결되는 제 1 수직 지지대(122) 및 제 2 수직 지지대(123)를 포함한다. 수평 지지대(121)는 베이스(114)에 마련되는 삽입구멍(미도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베이스(114) 안쪽에 수용될 수도 있고 베이스(11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제 1 수직 지지대(122)는 수평 지지대(12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수직 지지대(122)는 속이 빈 중공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제 2 수직 지지대(12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2 수직 지지대(123)는 제 1 수직 지지대(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24)에 의해 제 1 수직 지지대(122)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24)의 작용으로 몸체(110)를 떠받치는 다리(12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4)로는 유압 장치나 공압 장치 등 제 2 수직 지지대(123)에 대해 직선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를 임시 저장창고로 사용할 경우, 복수의 다리(120)를 펴서 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저장실(111)의 온도가 지면의 온도에 덜 영향을 받게 되어 저장실(111)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시키는데 유리하다.
한편,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를 차량(300)으로 운반할 경우,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리(120) 길이를 늘려 차량(300)의 적재부를 몸체(11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다리(120) 길이를 줄여 몸체(110)를 차량(300)의 적재부에 안착시킨다. 이후, 제 1 수직 지지대(122)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키고 수평 지지대(121)를 베이스(114)의 삽입구멍에 밀어 넣어 복수의 다리(120)를 접음으로써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를 차량(300)에 쉽게 적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다리(12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리(12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몸체(110)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실(111)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장치(130)는 저장실(111) 내부의 후면 쪽에 배치되고 축냉 물질이 저장된 복수의 축냉 모듈(131)을 갖는다. 이러한 냉기 공급장치(130)는 축냉 물질이 냉기를 방출함으로써 저장실(111)의 온도를 냉장 온도(예컨대, 0℃ ~ 10℃)나 냉동 온도(예컨대, -10℃ ~ -25℃) 등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낮출 수 있다. 저장실(111)에는 냉기를 강제 유동시켜서 저장실(111)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기 위한 순환 팬(117)이 설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장치(130)는 냉각 시 냉기를 방출하는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냉기 공급장치(130)에 구비되는 축냉 물질은 저온 환경에서 냉각되었다가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현열 및/또는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축냉 물질로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이하 'PCM'이라 한다), 또는 그 밖에 저온에서 냉각 및/또는 고체상으로 상변화하고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냉기를 방출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PCM의 경우 상변화 온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므로, 용도에 맞게 적절한 것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실(111)이 냉장 저장실로 이용되는 경우 냉기 공급장치(130)의 축냉 물질로는 0℃ ~ -4℃의 PCM이 사용될 수 있고, 저장실(111)이 냉동 저장실로 이용되는 경우 냉기 공급장치(130)의 축냉 물질로는 -26℃ ~ -29℃의 PCM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기 공급장치(130)의 축냉 모듈(131)은 축냉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를 포함한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는 속인 빈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속에 축냉 물질이 채워진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는 평평한 제 1 결합면(134), 제 1 결합면(134)에 형성되고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 1 삽입홈(135), 결합부재(139)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홈(136),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137)을 갖는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의 제 1 결합면(134)과 상하 양쪽 끝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주름(138)이 마련된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의 표면에 마련된 주름(138)은 공기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의 구조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와 같다.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는, 제 1 결합면(134)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면(140), 한 쌍의 제 1 삽입홈(135)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2 삽입홈(141), 결합부재(139)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홈(142), 복수의 나사 구멍(143),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주름(144)을 갖는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는 제 1 결합면(134) 및 제 2 결합면(140)이 접한 상태로 복수의 결합부재(139)에 의해 하나로 묶이고, 나사(미도시)에 의해 단단히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가 결합될 때 이들 사이에는 한 쌍의 관통구멍(145)이 마련된다. 관통구멍(145)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의 제 1 삽입홈(135)과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의 제 2 삽입홈(141)이 합쳐져 만들어진다. 이들 관통구멍(145)에는 후술할 냉각 시스템(150)의 증발관(154)이 삽입된다. 증발관(154)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132) 및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133)에 수용된 축냉 물질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축냉 물질이 냉각될 수 있다.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150)은 냉매를 순환시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는 통상적인 냉각 시스템과 기본적인 구조가 같은 것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 시스템(15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51),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52),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153),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관(154)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 배관(155)으로 연결된다. 이들 구성요소 중에서 부피가 큰 압축기(151)나 응축기(152) 등은 몸체(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설치 박스(158)에 마련되는 기계실(159)에 설치될 수 있다.
냉매 배관(155)은 응축기(152)를 지나 분기되고, 분기된 배관에는 팽창밸브(153)와 증발관(154)이 각각 연결된다. 냉기 공급장치(130)는 복수의 축냉 모듈(131)을 구비함으로 축냉 모듈(131)을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관(154)은 복수가 구비된다. 응축기(152)와 팽창밸브(153)의 사이에는 조절밸브(156)가 설치된다. 조절밸브(156)는 냉기 공급장치(130)의 축냉 모듈(131)이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냉매 배관(155)의 유로를 차단하여 냉기 공급장치(130)로의 냉매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조절밸브(156)의 동작은 제어장치(16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160)는 냉기 공급장치(130)에 설치된 온도센서(147)를 통해 냉기 공급장치(130)의 온도 정보를 제공받아 증발관(154)으로의 냉매 흐름을 제어한다. 증발관(154)을 따라 냉매가 유동하여 냉기 공급장치(130)가 각각의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제어장치(160)는 압축기(151)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냉각 시스템(150)은 전원 케이블(157)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거나, 기계실(159)에 설치되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냉각 시스템(15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냉매를 이용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냉기 공급장치(130)의 축냉 물질을 냉각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는 차량(300)에 적재하기 쉽고, 저장실(111)이 마련된 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다리(120)를 가지고 있어서, 지면이 고르지 않은 장소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농산물 등의 물품을 생산지에서 신속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는 한번 냉각시켜 놓으면 일정 시간 동안 냉기를 공급하는 축냉 물질을 이용하여 저장실(111)의 온도를 보관 물품에 맞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나 동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2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200)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10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은 것으로, 다만, 몸체(110)의 내부 공간이 세 개의 저장공간(211)(212)(213)으로 구획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몸체(110)의 내부 공간은 격벽(211)(212)에 의해 세 개의 저장실(213)(214)(215)로 구획된다. 여기에서, 상온 저장실(213)은 몸체(110) 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냉장 저장실(214) 및 냉동 저장실(215)은 몸체(110) 내부의 후방 좌우에 배치된다. 몸체(110)의 외면에는 각 저장실(213)(214)(215)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16)(217)(218)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저장실(213)(214)(215)의 개수, 크기, 배치, 도어(216)(217)(218)의 개수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냉장 저장실(214)의 내부에는 냉장 저장실(214)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 공급장치(220)가 설치되고, 냉동 저장실(215)의 내부에는 냉동 저장실(215)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 공급장치(221)가 설치된다. 제 1 냉기 공급장치(220)는 냉장 저장실(214)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냉장 저장실(214)의 온도를 제 1 저온 온도대로 유지시키고, 제 2 냉기 공급장치(221)는 냉동 저장실(215)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냉동 저장실(215)의 온도를 제 1 저온 온도대보다 낮은 제 2 저온 온도대로 유지시킨다. 여기에서, 제 1 저온 온도대는 냉장 온도(예컨대, 0℃ ~ 10℃)일 수 있고, 제 2 저온 온도대는 냉동 온도(예컨대, -10℃ ~ -25℃)일 수 있다.
효과적인 냉기 공급을 위해 제 1 냉기 공급장치(220)는 냉장 저장실(214)의 측면에 하나가 배치되고, 제 2 냉기 공급장치(221)는 두 개가 냉동 저장실(215)의 전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된다. 냉장 저장실(214)에는 냉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 팬(222)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냉동 저장실(215)에도 순환 팬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냉기 공급장치(220)나 제 2 냉기 공급장치(221)는 냉각 시 냉열을 방출하는 축냉 물질이 저장된 복수의 축냉 모듈(131)을 갖는다. 여기에서,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의 축냉 모듈(131)에 저장된 제 1 축냉 물질은 0℃ ~ -4℃의 PCM일 수 있고,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의 축냉 모듈(131)에 저장된 제 2 축냉 물질은 -26℃ ~ -29℃의 PCM일 수 있다. 축냉 모듈(131)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230)은 압축기(231), 응축기(232), 한 쌍의 팽창밸브(233)(234) 및 한 쌍의 증발관(235)(236)을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는 냉매 배관(236)으로 연결된다. 이들 구성요소 중에서 부피가 큰 압축기(231)나 응축기(232)는 기계실(159)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시스템(230)은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와 제 2 냉기 공급장치(221)를 모두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매 배관(237)을 통해 제 1 냉기 공급장치(220) 및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와 연결된다.
냉매 배관(236)은 응축기(232)를 지나 분기되고, 분기된 분기관(238)(239)은 제 1 냉기 공급장치(220) 및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에 각각 냉매를 공급한다. 각 분기관(238)(239)에는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에 연결되는 제 1 증발관(235)과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에 연결되는 제 2 증발관(236)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에 냉매를 공급하는 분기관(238)에는 제 1 조절밸브(240) 및 제 1 팽창밸브(233)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에 냉매를 공급하는 분기관(239)에는 제 2 조절밸브(241) 및 제 2 팽창밸브(234)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 1 조절밸브(240)는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의 축냉 모듈(131)이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분기관(238)의 유로를 차단하여 제 1 냉기 공급장치(220)로의 냉매 공급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제 2 조절밸브(241)는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의 축냉 모듈(131)이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분기관(239)의 유로를 차단하여 제 2 냉기 공급장치(221)로의 냉매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제 1 조절밸브(240) 및 제 2 조절밸브(241)의 동작은 제어장치(25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250)는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에 설치된 제 1 온도센서(223)를 통해 제 1 냉기 공급장치(220)의 온도 정보를 제공받고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에 설치된 제 2 온도센서(224)를 통해 제 2 냉기 공급장치(221)의 온도 정보를 제공받아 제 1 증발관(235) 및 제 2 증발관(236)으로의 매 흐름을 제어한다. 제 1 냉기 공급장치(220) 및 제 2 냉기 공급장치(221)가 각각의 설정 온도까지 냉각되면, 제어장치(250)는 압축기(231)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2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되는 복수의 저장실(213)(214)(215)을 구비함으로써, 상온보관 물품, 냉장보관 물품, 냉동보관 물품 등 보관 온도가 다른 물품을 동시에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200 : 컨테이너 100 : 몸체
111 : 저장실 112, 216, 217, 218: 도어
113 : 사다리 114 : 베이스
120 : 다리 121 : 수평 지지대
122, 123 : 제 1, 2 수직 지지대 124 : 액츄에이터
130 : 냉기 공급장치 131 : 축냉 모듈
132, 133 : 제 1, 2 축냉 물질 저장체 147, 223, 224 : 온도센서
150, 230 : 냉각 시스템 151, 231 : 압축기
152, 232 : 응축기 153, 233, 234 : 팽창밸브
154, 235, 236 : 증발관 155, 237 : 냉매 배관
156, 240, 241 : 조절밸브 159 : 기계실
160, 250 : 제어장치 211, 212 : 격벽
213 : 상온 저장실 214 : 냉장 저장실
215 : 냉동 저장실

Claims (7)

  1.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냉기 공급을 위한 축냉 물질을 갖는 냉기 공급장치; 및
    상기 냉기 공급장치의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냉기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팽창밸브,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관은 상기 냉기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저장실과 분리된 기계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장치는 복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축냉 모듈은,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제 1 결합면 및 제 1 삽입홈을 갖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결합면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면 및 상기 제 1 삽입홈에 대응하는 제 2 삽입홈을 갖는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 상기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상기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관은 상기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상기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 사이에 상기 제 1 삽입홈 및 상기 제 2 삽입홈이 합쳐져 만들어진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는,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공 구조의 제 1 수직 지지대, 상기 제 1 수직 지지대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수직 지지대, 상기 제 2 수직 지지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수직 지지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5. 내부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는 제 1 저장실, 내부 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제 1 저온 온도대로 유지되는 제 2 저장실, 내부 온도가 상기 제 1 저온 온도대보다 낮은 제 2 저온 온도대로 유지되는 제 3 저장실을 갖는 몸체;
    상기 제 2 저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를 상기 제 1 저온 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기 공급을 위한 제 1 축냉 물질을 갖는 제 1 냉기 공급장치;
    상기 제 3 저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저장실의 온도를 상기 제 2 저온 온도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기 공급을 위한 제 2 축냉 물질을 갖는 제 2 냉기 공급장치;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의 제 1 축냉 물질 및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의 제 2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 및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냉각 시스템; 및
    상기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에서 분기된 한 쌍의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팽창밸브 및 제 2 팽창밸브,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증발관,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증발관은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증발관은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온도센서;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온도센서;
    상기 제 1 팽창밸브로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 1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분기관에 연결되는 제 1 조절밸브;
    상기 제 2 팽창밸브로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 2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분기관에 연결되는 제 2 조절밸브; 및
    상기 제 1 온도센서 및 상기 제 2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제 1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 및 상기 제 2 냉기 공급장치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조절밸브 및 상기 제 2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KR2020100006939U 2010-06-30 2010-06-30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KR201200001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39U KR20120000197U (ko) 2010-06-30 2010-06-30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39U KR20120000197U (ko) 2010-06-30 2010-06-30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97U true KR20120000197U (ko) 2012-01-05

Family

ID=5804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39U KR20120000197U (ko) 2010-06-30 2010-06-30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1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161A (zh) * 2018-05-31 2018-11-23 无锡海核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极地环境的气调冷藏集装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161A (zh) * 2018-05-31 2018-11-23 无锡海核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极地环境的气调冷藏集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217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US10502460B2 (en) Refrigerator
US8037704B2 (e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US20150316309A1 (e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air temperature control
KR20130071577A (ko) 냉장고
US20200378676A1 (en) Passive refrigeration system for the cold chain industry
WO2015168548A1 (en) Multi-temperature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100907338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KR20180064059A (ko)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CN106918178B (zh) 低温物品储藏用移动式集装箱
KR100888957B1 (ko)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KR20120000196U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다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KR20120000197U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이동식 물품 보관 컨테이너
US10330351B2 (en) Refrigerator
JP2004053227A (ja) 冷却貯蔵庫
JP3948876B2 (ja) 冷却貯蔵庫
CN209944846U (zh) 储藏箱和储藏箱控制系统
KR100975376B1 (ko) 이동식 축냉 장치
JP2012056631A (ja) 移動式保冷コンテナ
CN219756736U (zh) 一种可移动的蔬果保鲜库体
KR20180063429A (ko) 이동이 편리한 물품 보관용 축냉식 컨테이너
US118139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cargo at an ultra-low temperature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KR101161615B1 (ko)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응축기를 단일 실외기 케이스에 장착하여 냉동 및 냉장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운용하는 냉동냉장 겸용 냉동탑차
CN114719541A (zh) 储物装置及制冷设备
KR10220400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