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695B1 - 보냉차량 - Google Patents

보냉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695B1
KR100995695B1 KR1020080065007A KR20080065007A KR100995695B1 KR 100995695 B1 KR100995695 B1 KR 100995695B1 KR 1020080065007 A KR1020080065007 A KR 1020080065007A KR 20080065007 A KR20080065007 A KR 20080065007A KR 100995695 B1 KR100995695 B1 KR 10099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storage
cold
air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93A (ko
Inventor
이정근
오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08006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6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저온 보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저온 저장실과, 저온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기 공급장치와,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온 저장실에 탑재되는 축냉 장치를 포함한다. 축냉 장치는, 흡입 구멍 및 토출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흡입 구멍 및 토출 구멍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내부에 저온에서 냉각되고 냉각된 상태에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축냉 물질을 수용하는 복수의 축냉 모듈과, 하우징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를 토출 구멍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에 의해 작동하는 축냉 장치를 이용하여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냉차량{REFRIGERATOR CAR}
본 발명은 보냉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냉기 공급장치를 정지시킬 경우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여 저온 저장실을 냉각시킬 수 있는 축냉(蓄冷) 장치를 갖는 보냉차량에 관한 것이다.
보냉차량(Refrigerator Car)은 냉동 식품, 냉장 식품 등의 저온 보관 물품을 운반하는 차량으로 냉동 탑차와 냉장 탑차가 대표적이다. 보냉 차량은 물품이 적재되는 저온 저장실을 갖는 컨테이너와 저온 저장실을 적재 물품에 따라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기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냉기 공급장치는 냉매를 순환시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냉기를 저온 저장실로 공급한다. 냉기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고온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증발기 주위의 냉각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있다. 냉기 공급장치는 저온 저장실의 온도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며, 저온 저장실로 적절하게 냉기를 공급하여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다.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저온 저장 물품은 특성상 온도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거나 허용 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면 변질되거나 신선도가 떨어져 상품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온 저장 물품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보냉차량은 그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장치는 저온 저장실의 온도 변화에 따라 그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보냉 차량의 냉기 공급장치는 보냉차량의 엔진 동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차량의 엔진이 정지되면 작동되지 못한다. 그리고 보냉차량을 이용하여 저온 보관 물품을 운반하는데 있어서, 저온 보관 물품을 적재하거나 적하할 때는 보냉차량의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물품의 적재시나 적하시에는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보냉차량의 냉기 공급장치는 엔진 동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엔진이 고장으로 멈추거나 물품의 적재 또는 적하시 엔진이 정지될 경우,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되지 못하여 저온 저장실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저온 저장실의 온도가 상승하면 저온 보관 물품이 변질되거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적재 또는 적하시에 냉기 공급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엔진을 구동시키면, 연료가 낭비되고, 배기가스가 발생하여 작업장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는 축냉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이 정지되어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저온 저장실에 냉기가 공급될 수 있는 보냉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저온 보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저온 저장실과, 저온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기 공급장치와,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온 저장실에 탑재되는 축냉 장치를 포함한다. 축냉 장치는, 흡입 구멍 및 토출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흡입 구멍 및 토출 구멍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내부에 저온에서 냉각되고 냉각된 상태에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축냉 물질을 수용하는 복수의 축냉 모듈과, 하우징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를 토출 구멍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탑승실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축냉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보냉차량의 탑승실에 설치되고, 탑승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갖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콘트롤러는 온도 센서로부터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피드백 받아 축냉 장치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저온 저장실에 설치된 소켓을 더 포함하고, 축냉 장치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냉 장치는, 흡입 구멍, 복수의 축냉 모듈, 송풍장치, 토출 구멍이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되, 복수의 축냉 모듈은 흡입 구멍 및 토출 구멍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냉 장치는, 복수의 축냉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바와, 복수의 지지 바 각각의 하부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의 바닥에 구비된 바닥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축냉 모듈은 복수의 지지 바가 삽입되는 결합 구멍을 가지며, 흡입 구멍은 바닥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냉 장치는, 복수의 지지 바의 상부 끝단을 고정하기 위 해 복수의 축냉 모듈과 송풍장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고정판에는 복수의 축냉 모듈 주위의 공기를 송풍장치로 유동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축냉 모듈은,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있고 제 1 결합면 및 제 1 결합홈을 갖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와,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있고 제 1 결합면과 접하는 제 2 결합면 및 제 1 결합홈과 함께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제 2 결합홈을 갖는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의 각각의 표면에는 그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 바는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가지고 있고, 바닥판에는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복수의 유로로 유입시키기 위해 복수의 유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에 의해 작동하는 축냉 장치를 이용하여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에 의해 작동하는 냉기 공급장치가 일시적으로 정지되거나 갑작스럽게 고장나는 경우, 축냉 장치를 통해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저장된 저온 보관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은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축냉 장치를 사용하여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를 절약할 수 있고, 엔진 구동에 의한 작업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10)은 차량부(11)와 컨테이너부(12)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부(11)는 통상적인 차량 구조와 같은 것으로 엔진의 구동력으로 작동하고, 컨테이너부(12)는 저온 보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저온 저장실(13)을 갖는다. 저온 저장실(13)에는 저온 저장실(13)에 냉기를 공급하여 저온 저장실(13)을 냉각시키는 냉기 공급장치(15)의 냉기 발생장치(19),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 공급장치(15)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저온 저장실(13)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축냉 장치(21), 저온 저장실(13)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20)가 설치된다.
냉기 공급장치(15)는 저온 저장실(13)을 일정한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냉차량(10)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발생한다. 냉기 공급장치(15)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7),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밸브(18), 냉매를 증발시켜 주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빛 냉각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냉기 발생장치(19)로 구성된다.
냉기 공급장치(15)는 저온 저장실(13)에 저장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저온 저장실(13)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저온 저장실(13)의 온도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된다. 저온 저장실(13)에 저장되는 물품이 냉장 보관 물품일 경우 냉기 공급장치(15)는 저온 저장실(13)을 빙점 이상의 저온으로 냉각시키고, 저장 물품이 냉동 보관 물품일 경우 냉기 공급장치(15)는 저온 저장실(13)을 빙점 이하의 저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기 공급장치(15)의 작용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그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 저장실(13)의 온도를 5℃~7℃로 유지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냉기 공급장치(15)는 통상적인 것과 같이, 엔진의 구동력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돌발적인 사고 발생시나, 물품의 적재 또는 적하시에 엔진이 정지하면 냉기 공급장치(15)도 정지하여 저온 저장실(13)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저온 저장실(13)의 온도가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저장된 물품이 변질되거나 신선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10)은 냉기 공급장치(15)가 정지된 경우, 축냉 장치(21)가 작동하여 냉기 공급장치(15) 대신 저온 저장실(13)에 냉기를 공급한다.
축냉 장치(21)는 냉각된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고, 보냉차량(10)의 배터리(78)로부터 전원(DC24V)을 공급받아 작동하기 때문에, 엔진이 정지하더라도 작동할 수 있다. 축냉 장치(21)는 저온 저장실(13)의 일측 내벽에 고정된다. 축냉 장치(21) 및/또는 저온 저장실(13)의 일측 내벽에는 축냉 장치(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으 로는 나사기구, 와이어, 클램프 기구와 같이 축냉 장치(21)를 저온 저장실(13)의 내벽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냉 장치(21)는, 흡입 구멍(23) 및 토출 구멍(24)을 갖는 하우징(22),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하우징(22)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축냉 모듈(40), 하우징(22) 내부의 공기를 하우징(22)의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한 한 쌍의 송풍장치(72)(73)를 포함한다. 축냉 장치(21)는 하우징(22)에 캐스터(39)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이 용이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2)은 후면 및 양 측면을 형성하는 몸체(25),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26), 상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27),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34)으로 이루어진다. 전면판(26)은 몸체(25)에 나사 결합되고, 몸체(2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면판(26)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30)가 구비된다. 전면판(26)의 전방에는 보호망(31)이 배치되어 있으며, 보호망(31)은 축냉 장치(21)가 저온 저장실(13)에 위치할 때 저장 물품이 하우징(22)에 닿지 못하게 막는다.
한 쌍의 커버(27)는 몸체(25)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몸체(25)에 결합된다. 한 쌍의 커버(27)는 지면과 평행한 수평판(28) 및 수평판(28)에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판(29)으로 이루어진다. 경사판(29)에는 하우징(22) 내부의 공기를 하우징(22)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 구멍(24)은 하우징(22)의 상부 전방을 향하고 있어서 토출 구멍(24)을 통해 저온 저장실(13)로 송풍되는 냉기가 저온 저장실(13)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토출 구멍(24)에는 이 물질의 유입을 막고 토출 구멍(24) 후방에 설치되는 송풍팬(74)을 보호하기 위한 팬 그릴(32)이 배치된다. 한 쌍의 커버(27)는 하우징(22)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장치(33)에 의해 몸체(25)에 힌지 결합된다. 커버(27)의 개수는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축냉 모듈(40)이 설치되는 공기 냉각실(35)과 한 쌍의 송풍장치(72)(73)가 설치되는 냉기 송풍실(36)로 구분될 수 있고, 공기 냉각실(35)과 냉기 송풍실(36)의 사이에는 한 쌍의 고정판(37)이 배치된다. 한 쌍의 고정판(37)은 후술할 복수의 지지 바(Support Bar, 61)의 상부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25)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고정판(37)은 공기 냉각실(35)과 냉기 송풍실(36)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구멍(38)을 갖는다. 공기 냉각실(35)은 전면판(26)이 몸체(25)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공기 냉각실(35)이 외부로 드러나면 축냉 모듈(40)의 교체나 수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2)의 바닥판(34)에는 외부 공기를 하우징(22)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흡입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 구멍(23), 복수의 축냉 모듈(40), 한 쌍의 송풍장치(72)(73), 토출 구멍(24)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어서, 한 쌍의 송풍장치(72)(73)가 작동하면 흡입 구멍(23)으로 흡입된 공기는 복수의 축냉 모듈(40)을 거쳐 한 쌍의 송풍장치(72)(73)로 유동한 후, 토출 구멍(24)을 통해 다시 하우징(22)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흡입 구멍(23)에서 토출 구멍(24) 까지 하우징(22)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는 대부분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기 때문에, 흡입 구멍(23)에서 토출 구멍(24) 까지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축냉 모듈(40)은 공기 냉각실(35)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흡입 구멍(23)으로 흡입된 공기는 복수의 축냉 모듈(40)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각 고정판(37)의 연결 구멍(38)을 통해 냉기 송풍실(36)로 유동한다. 흡입된 공기와 각 축냉 모듈(40) 사이의 열교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축냉 모듈(40)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복수의 축냉 모듈(4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축냉 모듈(4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판(34)에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고, 바닥판(34)에 경사지게 세워지거나, 바닥판(34)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축냉 모듈(40)은 복수의 지지 바(61)를 갖는 지지 유닛(60)에 결합되어 공기 냉각실(35)에 고정된다. 지지 유닛(60)은 복수의 지지 바(61) 이외에 복수의 지지 바(61)에 결합된 고정링(62), 복수의 지지 바(61)의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 고정된 제 1 브라켓(63) 및 제 2 브라켓(64)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바(61)는 그 중앙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65)가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브라켓(63) 및 제 2 브라켓(64)에는 복수의 지지 바(61)의 유로(65)와 연결되는 통과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62)은 축냉 모듈(40)의 하부 끝단면을 떠받쳐서 축냉 모듈(40)을 제 1 브라켓(63)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복수의 축냉 모듈(40)은 축냉 물질을 수용하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51)로 구성된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51)는 속인 빈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속에 축냉 물질이 채워진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51) 각각의 일측에는 축냉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각 주입구는 축냉 물질 주입 후 마개(42)(52)로 밀폐된다. 축냉 물질로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PCM), 물 또는 그 밖에 저온에서 냉각되어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주위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른 축냉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변화물질은 상변화 온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므로, 축냉 장치(21)가 설치되는 저온 저장실(13)에 필요한 온도에 맞춰 적절한 상변화 온도를 갖는 상변화물질이 채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냉 물질로 상변화 온도가 -12℃인 상변화물질이 이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는 평평한 제 1 결합면(43), 지지 바(6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결합면(43)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결합홈(44), 클램프(48)의 일부가 끼워지는 제 1 클램프 삽입홈(45),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46)을 갖는다. 또한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의 제 1 결합면(43)과 상하 양쪽 끝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주름(47)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47)은 공기와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켜 공기 냉각 효율을 증가시킨다.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51)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와 같은 구조로 이 루어지는 것으로, 제 1 결합면(43)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면(53), 복수의 제 1 결합홈(44)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결합홈(54), 클램프(48)의 다른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클램프 삽입홈(55), 복수의 나사 구멍(56),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주름(57)을 갖는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51)는 제 1 결합면(43) 및 제 2 결합면(53)이 접한 상태로 복수의 클램프(48)에 의해 서로 묶이고, 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때 제 1 결합홈(44) 및 제 2 결합홈(54)은 지지 바(61)가 삽입되는 결합 구멍(58)을 형성한다.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41)와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5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는 클램프(48) 및 나사 이외에 다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냉 모듈(40)은 축냉 물질을 수용하는 두 개의 통체(제 1,2 축냉 물질 저장체)로 구성되지 않고, 축냉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축냉 모듈(40)이 결합된 지지 유닛(60)은 하우징(22)에 나사 결합된다. 하우징(22)의 바닥판(34)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63)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멍(67)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34)에는 이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37)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64)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멍(69)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37)에도 이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판(34)에는 지지 유닛(60)이 결합될 때 제 1 브라켓(63)의 통과 구멍(66)과 연결되는 보조 흡입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송풍장치(72)(73)가 작동할 때, 흡입 구멍(23) 뿐만 아니라 보 조 흡입 구멍(71)으로도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보조 흡입 구멍(23)으로 흡입된 공기는 지지 바(61)의 유로(6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제 2 브라켓(64)의 통과 구멍(66) 및 고정판(37)의 연결 구멍(38)을 통해 냉기 송풍실(36)로 유동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송풍장치(72)와 제 2 송풍장치(73)는 냉기 송풍실(36)로 유동한 공기를 토출 구멍(24)을 통해 하우징(22)의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토출 구멍(24) 각각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커버(27) 각각에 결합된다. 제 1 송풍장치(72)와 제 2 송풍장치(73) 각각은 송풍 팬(74)과 송풍 팬(74)을 회전시키는 팬모터(75)로 구성된다. 팬모터(75)는 접속 단자(76)가 결합된 전원 케이블(77)을 통해 보냉차량(10)의 배터리(78)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접속 단자(76)는 배터리(78)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저온 저장실(13)의 일측에 설치된 소켓(79)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풍장치(72)(73)의 설치 개수는 두 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송풍장치(72)(73)가 전원 케이블(77)을 통해 배터리(7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축냉 장치(21)는 한 쌍의 송풍장치(72)(73)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2)의 내부 또는 하우징(22) 외부에는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배터리는 이 탑재수단에 의해 하우징(22)에 고정될 수 있다.
축냉 장치(21)는 보냉차량(10)의 탑승실(14)에 설치된 콘트롤러(80)와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트롤러(80)는 탑승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 부(81), 제어부(82) 및 디스플레이부(83)를 포함한다. 조작부(81)에는 온/오프 스위치, 전원공급 스위치, 모드 변환 스위치 등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82)는 배터리(78) 및 온도 센서(20)와 연결되며, 온도 센서(20)로부터 저온 저장실(13)의 온도를 피드백 받고 배터리(78)와 제 1 송풍장치(72) 및 제 2 송풍장치(7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한다. 디스플레이부(83)는 저온 저장실(13)의 온도나 축냉 장치(21)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축냉 장치(21)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저온 저장실(13)의 온도에 맞춰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축냉 장치(21)에 대한 제어 모드의 선택은 조작부(81)를 통해 이루어진다.
수동 모드인 경우, 축냉 장치(21)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 탑승자는 엔진의 고장시, 저장 물품의 적재 또는 적하시, 조작부(81)를 조작하여 축냉 장치(21)를 탑승실(14)에서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자동 모드인 경우, 축냉 장치(21)는 제어부(82)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이때 제어부(82)는 온도 센서(20)로부터 저온 저장실(13)의 온도를 피드백 받아, 저온 저장실(13)의 온도가 7℃ 이상 상승하면 축냉 장치(21)를 작동시키고, 저온 저장실(13)의 온도가 5℃ 이하로 떨어지면 축냉 장치(21)를 정지시킨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트롤러(80)에 의해 제 1 송풍장치(72) 및 제 2 송풍장치(73)에 배터리(78)의 전원이 공급되면, 하우징(22) 바닥의 흡입 구멍(23) 및 보조 흡입 구멍(7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복수의 축냉 모듈(40) 사아사이의 공간 및 지지 바(61)의 유로(65)를 따라 상승한다. 이렇게 복수 의 축냉 모듈(40)의 내외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복수의 축냉 모듈(40)과 열교환하여 냉각되고 고정판(37)의 연결 구멍(38)을 통해 냉기 송풍실(36)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기 송풍실(36)의 냉기는 한 쌍의 송풍장치(72)(73)를 통과한 후 토출 구멍(24) 및 팬 그릴(32)을 통해 저온 저장실(13)로 토출되어 저온 저장실(13)을 냉각시킨다.
한편, 복수의 축냉 모듈(40)이 주위 공기와 열교환되어 이들 각각에 수용된 상변화물질이 액체로 상변화되면 이를 다시 냉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냉 장치(21)를 보냉차량(10)의 저온 저장실(13)에서 꺼내어 상변화물질의 상변화 온도(-12℃)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 창고(85)의 냉동실(86)로 운반하여 상변화물질을 다시 냉각시킨다. 통상적으로 냉동 창고(85)의 냉동실(86)은 -25℃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축냉 장치(21)를 냉동실(86)에 일정 시간 보관하면 상변화물질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다. 냉동 장고(85)에 전원공급장치(87)가 설치된 경우, 축냉 장치(21)의 전원 케이블(77)을 전원공급장치(87)에 연결하여 제 1 송풍장치(72) 및 제 2 송풍장치(73)를 작동시키면 상변화물질의 냉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10)은 축냉 물질의 현열 및/또는 잠열에 의해 작동하는 축냉 장치(21)를 이용하여 저온 저장실(13)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에 의해 작동하는 냉기 공급장치(15)가 일시적으로 정지되거나 갑작스럽게 고장나는 경우, 축냉 장치(21)를 작동시켜 저온 저장실(13)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저장된 저온 보관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냉차량(10)은 상기에서 설명된 냉장 탑차 뿐만 아니라 냉동 탑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냉 장치(21)에 사용되는 축냉 물질은 다양한 상변화 온도를 갖는 상변화물질이나 물 등 냉각이 가능하고 현열 및/또는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액체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축냉 장치를 개략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축냉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축냉 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보냉차량의 축냉 장치에 구비된 축냉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보냉차량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냉차량의 축냉 장치를 냉각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냉차량 13 : 저온 저장실
14 : 탑승실 15 : 냉기 공급장치
20 : 온도 센서 21 : 이동식 축냉 장치
22 : 하우징 23 : 흡입 구멍
24 : 토출 구멍 25 : 몸체
26 : 전면판 27 : 커버
31 : 보호망 32 : 팬 그릴
34 : 바닥판 35 : 공기 냉각실
36 : 냉기 송풍실 37 : 고정판
38 : 연결 구멍 39 : 캐스터
40 : 축냉 모듈 41, 51 : 제 1, 2 축냉 물질 저장체
42, 52 : 마개 43, 53 : 제 1, 2 결합면
44, 54 : 제 1, 2 결합홈 45, 55 : 제 1, 2 클램프 삽입홈
47, 57 : 주름 60 : 지지 유닛
61 : 지지 바 62 : 고정 링
63, 64 : 제 1, 2 브라켓 65 : 유로
66 : 통과 구멍 71 : 보조 흡입 구멍
72, 72 : 제 1, 2 송풍장치 74 : 송풍팬
75 : 팬모터 77 : 전원 케이블
78 : 배터리 79 : 소켓
80 : 콘트롤러 85 : 냉동 창고

Claims (10)

  1. 저온 보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저온 저장실과 상기 저온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기 공급장치를 갖는 보냉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저온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온 저장실에 탑재되는 축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축냉 장치는, 흡입 구멍 및 토출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흡입 구멍 및 상기 토출 구멍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내부에 저온에서 냉각되고 냉각된 상태에서 주위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축냉 물질을 수용하는 복수의 축냉 모듈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토출 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와,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바와, 상기 복수의 지지 바의 상부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과 상기 송풍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 주위의 공기를 상기 송풍장치로 유동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바 각각의 하부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바닥판을 갖고,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 바가 삽입되는 결합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냉차량의 탑승실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상기 축냉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보냉차량의 탑승실에 설치되고, 탑승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갖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저온 저장실의 온도를 피드백 받아 상기 축냉 장치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냉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온 저장실에 설치된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냉 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장치는, 상기 흡입 구멍,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 상기 송풍장치, 상기 토출 구멍이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은 상기 흡입 구멍 및 상기 토출 구멍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냉 모듈은,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있고 제 1 결합면 및 제 1 결합홈을 갖는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와, 그 내부에 축냉 물질을 수용하고 있고 제 1 결합면과 접하는 제 2 결합면 및 상기 제 1 결합홈과 함께 상기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제 2 결합홈을 갖는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와, 상기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상기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냉 물질 저장체 및 상기 제 2 축냉 물질 저장체의 각각의 표면에는 그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바는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수의 유로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유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차량.
KR1020080065007A 2008-07-04 2008-07-04 보냉차량 KR10099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07A KR100995695B1 (ko) 2008-07-04 2008-07-04 보냉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07A KR100995695B1 (ko) 2008-07-04 2008-07-04 보냉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93A KR20100004693A (ko) 2010-01-13
KR100995695B1 true KR100995695B1 (ko) 2010-11-19

Family

ID=4181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007A KR100995695B1 (ko) 2008-07-04 2008-07-04 보냉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419B1 (ko) * 2010-11-05 2013-09-23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냉동탑차용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US20150316301A1 (en) * 2014-05-02 2015-11-05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US9821700B2 (en) 2014-05-02 2017-11-21 Thermo King Corporation Integrated charging unit for passive refrigeration system
US20150316309A1 (en) * 2014-05-02 2015-11-05 Thermo King Corporatio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air temperature control
US20170321912A1 (en) * 2016-05-06 2017-11-09 Viking Cold Solutions, Inc. Forced air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CN106379425B (zh) * 2016-11-04 2019-04-02 北京农业信息技术研究中心 一种冷链车厢的温度传感器部署方法及系统
FR3099556B1 (fr) * 2019-08-02 2021-07-30 Claude Reboul Unité mobile de refroidissement
KR102220380B1 (ko) * 2020-03-26 2021-02-25 (주)에프엠에스코리아 탈착 가능한 차량용 피씨엠 냉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650A (ja) * 2002-03-01 2003-09-10 Daikin Ind Ltd 車載蓄冷/蓄熱ユニット、車載蓄冷/蓄熱ユニ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蓄冷/蓄熱ユニットの予冷/予熱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650A (ja) * 2002-03-01 2003-09-10 Daikin Ind Ltd 車載蓄冷/蓄熱ユニット、車載蓄冷/蓄熱ユニ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蓄冷/蓄熱ユニットの予冷/予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93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695B1 (ko) 보냉차량
KR100916217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US7254956B2 (en) Self-contained refrigeration unit
US20020129613A1 (en) Cryogenic refrigeration unit suited for delivery vehicles
EP0687873B1 (en) A portable chilling unit
US8037704B2 (e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WO2008051960A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heat exchange modules with indirect expansion cooling and in-tube electric heating
KR100907338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KR100888957B1 (ko) 2단 저장실을 갖는 보냉차량
JPH0375472A (ja) 蓄冷型保冷庫
KR100975376B1 (ko) 이동식 축냉 장치
JPH102649A (ja) 車載用保冷庫
WO2000037867A1 (fr) Armoire refrigeree isolee
US20210307200A1 (en) Cooling Unit
JP6395142B2 (ja) 冷凍冷蔵車
JP2003214752A (ja) 冷凍車および冷凍車用物流容器
JP2005187201A (ja) 倉庫型冷蔵庫
JP3948876B2 (ja) 冷却貯蔵庫
JP2012056631A (ja) 移動式保冷コンテナ
JP2004012059A (ja) 蓄冷板方式による冷凍・冷蔵庫温度管理車
JP5743247B1 (ja) 空調ユニット
EP4238793A1 (en) Hydrogen gas system for combined refrigeration and power
JP2020046095A (ja) 可搬型冷蔵庫
WO2003029720A1 (en) Cryogenic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H01174874A (ja) 車載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