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820B1 - 냉각 저장고 - Google Patents

냉각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820B1
KR100490820B1 KR10-2003-0034577A KR20030034577A KR100490820B1 KR 100490820 B1 KR100490820 B1 KR 100490820B1 KR 20030034577 A KR20030034577 A KR 20030034577A KR 100490820 B1 KR100490820 B1 KR 10049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ld air
cold
storage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028A (ko
Inventor
니이지마히로시
세끼구찌다까시
가와사끼히로오
이께다히데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1대의 냉각 저장고에서 저장실 내에 2개의 온도대를 형성하면서 덕트 구조를 간소화한 냉각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냉각 저장고(R)에서는 단열 상자 부재(1) 내에 저장실(2)을 구성하여 축냉제(18)의 융해 잠열에 의해 저장실(2) 내를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축냉제(18)를 수납하는 축냉실(17)과, 저장실(2) 내를 복수실로 구획하는 구획판(5)과, 구획된 각 실(2A, 2B)에 축냉제(18)로 냉각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 덕트(9)와, 구획판(5)에 형성되어 각 실(2A, 2B)을 연통하는 연통구와, 하부 저장실(2B)과 축냉실(17)을 연통하는 흡입구와, 각 실의 온도에 의거하여 각 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제어 장치 및 온도 센서(22A, 22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각 저장고 {COOLING STORAGE BOX}
본 발명은, 축냉제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냉각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냉각 저장고는, 예를 들어 저온 물품 수송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된다. 이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냉각 저장고의 수송 중에는 교류 전원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냉각 저장고에 배터리를 탑재하고, 냉각 저장고의 단열 상자 부재 내에는 축냉제가 배치되고, 이 축냉제의 융해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상기 배터리로부터 급전되는 직류(DC) 송풍기에 의해 저장실로 순환하여 냉각하고 있다.
또한, 저장실 내에는 저장실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이 온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의해 저장실 내를 소정의 온도, 즉 냉동 또는 냉장의 온도로 냉각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 저장고 내는 1개의 온도대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물품이 소량이라도 냉동 및 냉장의 양자의 물품이 있는 경우에는 냉동용 및 냉장용 2대의 냉각 저장고를 배송 수단에 탑재해야만 했었다.
그래서, 냉동 및 냉장의 양자의 물품을 1대의 냉각 저장고에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1-272163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각 저장고의 저장실 내에 구획판을 설치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고, 냉동실 내를 상기 축냉제의 융해 잠열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 저장고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2개의 온도대를 갖는 냉각 저장고에서는 각 실로부터 냉기를 각각 흡입하기 위한 덕트를 구성하고 있었으므로, 구조가 복잡화되어 비용 상승을 일으키는 동시에, 특히 물류 기기와 같이 엄격한 사용 환경에서는 파손 및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1대의 냉각 저장고로 저장실 내에 2개의 온도대를 형성하면서 덕트 구조를 간소화한 냉각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에서는 단열 상자 부재 내에 저장실을 구성하고, 축냉제의 융해 잠열에 의해 저장실 내를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축냉제를 수납하는 축냉실과, 저장실 내를 복수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구획된 각 실에 축냉제로 냉각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 덕트와,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 부재로 구획된 각 실을 연통하는 연통구와, 구획된 각 실 중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과 상기 축냉실을 연통하는 흡입구와, 각 실의 온도에 의거하여 각 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획 부재로 구획되는 각 실을 다른 온도로 독립하여 제어하고, 각 실 내에 다른 온도대에서 냉각을 필요로 하는 수납물을 각각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물의 붕괴도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특히, 구획 부재로 구획되는 각 실 중 축냉실측이 아닌 실의 냉기는 구획 부재의 연통구로부터 축냉실측의 실로 유입하고, 상기 실의 냉기와 함께 흡입구로부터 축냉실로 흡입되게 되므로, 냉기를 순환하기 위한 덕트 구조가 간소화되어 비용의 저감과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에다가 연통구에 냉기 유통량 조절 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축냉실측이 아닌 실을 보다 온도가 높은 냉장실로 할 때에 외기온이 낮은 상황에 있어서 연통구의 냉기 유통량 조절 수단에 의해 냉기의 유통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장실의 과냉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양 실을 동일 온도로 사용할 때에는 연통구의 냉기 유통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소위 풀다운 특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토출 덕트는 축냉제로 냉각된 냉기를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에 공급한 후, 다른 실에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축냉실측이 아닌 실을 보다 온도가 높은 냉장실로 하고, 축냉실측의 실을 보다 온도가 낮은 냉동실로 할 때에 냉장실로의 냉기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 제어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에다가 토출 덕트의 각 실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실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와,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에 공급된 냉기를 다른 실측의 토출 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덕트를 구비하고, 이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를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형성하였으므로, 축냉실측의 실에 공급된 냉기가 직접 다른 실에 도달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다른 실에 온도 보장 히터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상기 다른 실이 과냉각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에다가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에,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풍향판을 설치하였으므로, 축냉실측의 실에 공급된 냉기가 직접 다른 실에 이르는 문제점을 한층 양호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의 발명에다가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에 버링 가공을 실시하였으므로, 냉기 유입구로부터 흡입된 냉기의 흐름을 정리하여 상기 다른 실로의 냉기 공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냉기 유입구 주변의 강도의 향상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연통구는 구획 부재에 단락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획 부재 상에 적재된 물품에 의해 연통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여, 다른 실 내로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순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토출 덕트의 각 실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실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고, 각 냉기 토출구를 경사 하방으로 지향시켰으므로, 마찬가지로 각 실에 수납된 물품에 의해 각 냉기 토출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여, 각 실 내에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순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흡입구에는 저장실측으로 돌출되는 흡입구 가드를 설치하였으므로, 마찬가지로 축냉실측의 실에 수납된 물품에 의해 흡입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여 상기 실 내에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순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구획 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떼어 낸 상태에서 저장실의 벽면에 따라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서 구획 부재를 떼어 냄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온도대 실의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떼어 냈을 때의 보관 장소를 확보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부품 관리도 용이해진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상기에다가 구획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는 부착구를 구비하고, 이 부착구의 상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획 부재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된 각 실 사이의 단열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다가 저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여닫이식의 한 쌍의 도어를 구비하고, 양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각 도어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비교적 좁은 설치 장소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양 도어의 상호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냉기 누설을 방지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단열 성능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의 발명에서는, 상기에다가 양 도어의 측면은 단차식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양 도어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단열 성능의 개선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도어의 가공도 비교적 용이하므로, 생산성의 악화도 방지된다.
청구항 1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2의 발명에다가 양 도어의 측면은 경사져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양 도어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단열 성능의 개선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외측에서 포개는 측의 도어를 폐쇄하는 힘이 양 도어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단열 성능은 한층 향상된다.
청구항 1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2,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다가 양 도어의 측면에, 각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단열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양 도어 사이의 단열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R)에 대해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R)의 사시도, 도2는 그 종단 측면도, 도3은 그 종단 정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의 냉각 저장고(R)는, 배송 베이스에 있어서 교류 전원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을 받아 압축기를 운전하여 축냉제를 동결시키는 축냉 운전을 행하는 동시에, 식품 등의 물품(수납물)을 수납한 후, 교류 전원이 절단된 상태에서 트랙 등의 배송차의 적재함에 적재되고, 상기 배송 중에는 축냉제의 융해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저장실로 순환시켜 냉각하는 냉기 보존 운전을 행하는 물류용 냉각 저장고이다.
이 냉각 저장고(R)는 전방면에 개구하는 단열 상자 부재(1)로 이루어지고, 이 단열 상자 부재(1) 내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저장실(2)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저장실(2)의 전방면에는 개폐를 행하기 위한 여닫이식의 좌우 한 쌍의 도어(15A, 15B)가 설치되어 있고, 단열 상자 부재(1)의 하방에는 기계실(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 저장고(R)의 하면 4구석에는 이동용 차륜(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호 31은 기계실(3)의 전방면을 씌우는 개폐 가능한 패널이고, 이 패널(31)에는 통풍용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패널(31)로부터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접속된 온도 조절 손잡이(33A, 33B)가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장실(2) 내에는 저장실(2) 내를 상하로 구획 형성하기 위한 단열 패널에 의해 구성된 구획 부재(5)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에 의해, 구획 부재(5)의 상방에는 상부 저장실(2A)(다른 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구획 부재(5)의 하방에는 하부 저장실(2B)(축냉실측의 실)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저장실(2A) 및 하부 저장실(2B)의 각각에는 각 실(2A, 2B)의 온도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22A, 22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온도 센서(22A, 22B)는 전술한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획 부재(5)는 저장실(2)의 내벽에 부착된 단면 대략 L자형의 부착구(6)의 상면에 적재함으로써 보유 지지된다.
또한, 저장실(2)을 향해 좌측면에는 단열 상자 부재(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덕트판(7)이 부착되어 있고, 이 덕트판(7)과 단열 상자 부재(1) 사이에는 토출 덕트(9)가 구성된다. 상기 덕트판(7)에는, 구획 부재(5)의 하측에 대응하여 복수의 중간 흡입구(11)가 슬릿형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이 중간 흡입구(11)의 하부 모서리에 대응하는 토출 덕트(9) 내에는 폐색판(8)이 설치되어 토출 덕트(9) 내를 상하로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로 구획된 토출 덕트(9)가 각 실(2A, 2B)의 측방에 각각 대응하는 동시에, 상하로 구획된 토출 덕트(9)의 각각의 부분의 상부에 대응하여 냉기 토출구(10A, 10B)가 형성되어 각 실(2A, 2B) 내 상부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각 냉기 토출구(10A, 10B)에는 송풍기(12A, 1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송풍기(12A, 12B)의 흡입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구획된 토출 덕트(9) 내에 각각 연통하고 있고, 토출측은 상기 상부 저장실(2A) 및 하부 저장실(2B)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각 송풍기(12A, 12B)는 각각 상기 기계실(3) 내에 설치된 배터리(25)에 의해 운전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획 부재(5)를 향해 우측에는 상하 저장실(2A, 2B)을 서로 연통하는 슬릿형의 복수의 연통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구(13)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락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단락 부위에는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한 냉기 유통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판(1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14)에도 복수의 슬릿형 관통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판(14)을 슬라이드시켜 각 관통 구멍(14A)을 각 연통구(13)에 합치시킨 상태에서는 연통구(13)가 전체 개방이 되고, 관통 구멍(14A)과 연통구(13)를 완전히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는 연통구(13)는 슬라이드판(14)에 의해 전체 폐쇄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판(14)의 위치는 연통구(13)의 이러한 전체 개방과 전체 폐쇄 사이에서 임의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통구(13)가 단락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구획 부재(5) 상에 다량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에도, 상기 연통구(13)가 막히는 문제점이 회피된다.
또한, 저장실(2)[하부 저장실(2B)]의 바닥면 전방부는 계단형으로 단락되어 있고, 상기 단락 부분에는 단열 상자 부재(1)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단열 구획판(16)이 가설되고, 이에 의해 단열 상자 부재(1)의 전방 하부에는 저장실(2)과 구획된 축냉실(17)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2B)은 구획 부재(5)의 축냉실(17)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축냉실(17) 내에는 평판형의 축냉제(18)가 좌우에 걸쳐서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축냉제(18) 내에는 기계실(3) 내에 설치된 압축기(19), 응축기(23), 응축기용 송풍기(24)와 함께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기(20)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단열 구획판(16)을 향해 우측에는 흡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21)는 상측의 저장실(2)[하부 저장실(2B)]과 하측의 축냉실(17)의 우측을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토출 덕트(9)는 축냉실(17)을 향해 좌측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도5는 상기 도어(15A, 15B)의 맞댐 부분의 확대 평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15A, 15B)는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된 단열 도어이고, 그 내면의 주위에는 단열 상자 부재(1)의 개구 주위에 밀착하는 가스킷(36)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도어(15A, 15B)가 맞대어지는 각각의 측면에는 단열재(37)가 부착되어 있다. 이 단열재(37)는 소정의 탄성을 갖고 있고, 양 도어(15A, 15B)를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어(15A, 15B)를 그들의 측면끼리로 접촉시킨다.
도어(15A, 15B)는 여닫이식이므로, 1매의 도어식인 것에 비해, 도어당 치수는 작아져 배송차의 적재함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개폐 가능해진다. 또한, 도어(15A, 15B)의 맞댐 부분에서는 각 도어(15A, 15B)의 측면이 접촉하고, 또한 단열재(37, 37)도 개재하고 있으므로, 양 도어(15A, 15B)의 맞댐 부분으로부터의 냉기 누설은 효과적으로 방지시켜 단열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부 저장실(2A)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기 온도 센서(22A)와, 하부 저장실(2B)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기 온도 센서(22B)와, 상기 온도 조절 손잡이(33A, 33B)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출력에 의거하여 송풍기(12A 및 12B)가 제어된다. 온도 조절 손잡이(33A 및 33B)는 상부 저장실(2A) 및 하부 저장실(2B) 내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온도 센서(22A, 22B)에 의한 제어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냉각 저장고(R)는 배송 베이스에 있어서 교류 전원이 접속된 상태에서 교류 전원의 공급을 받아 상기 압축기(19)를 운전하여 축냉제(18)를 동결시킨다. 그리고, 냉각 저장고(R) 내에 식품 등의 물품을 수납한 후, 교류 전원이 절단된 상태에서 트랙 등의 배송차의 적재함에 적재되고, 상기 배송 중에는 축냉제(18)의 융해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저장실(2)로 순환시켜 냉각을 행한다.
이 때, 미리 사용자가 저장실(2) 내를, 예를 들어 냉동 및 냉장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구획 부재(5)를 부착구(6)에 설치하여 상기 온도 조절 손잡이(33A, 33B)에 의해 상부 저장실(2A)을 냉장의 온도대(냉장실로서 사용)로 설정하고, 하부 저장실(2B)을 냉동의 온도대(냉동실로서 사용)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송풍기(12A 및 12B)의 운전이 제어된다.
다음에, 저장실(2) 내의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부 저장실(2A) 및 하부 저장실(2B)의 송풍기(12A 및 12B)가 각각 운전되면, 축냉실(17) 내에서 미리 동결된 축냉제(18)의 융해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송풍기(12B)에 의해 폐색판(8)보다 하방의 토출 덕트(9) 내를 상승한 후, 하부 저장실(2B) 내로 토출된다.
또한, 하부 저장실(2B) 내의 냉기는 송풍기(12A)에 의해 중간 흡입구(11…)로부터 흡입되어 폐색판(8)보다 상방의 토출 덕트(9) 내를 상승한 후, 상부 저장실(2A) 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부 저장실(2A) 내를 순환한 냉기는 구획 부재(5)의 연통구(13)[슬라이드판(14)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함]로부터 하부 저장실(2B) 내로 복귀한다. 하부 저장실(2B) 내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하부 저장실(2B) 내를 순환한 후, 상기 연통구(13)로부터 유입된 냉기와 함께 단열 구획판(16)의 흡입구(21)로부터 축냉실(17) 내로 귀환한다. 축냉실(17) 내로 귀환한 냉기는 축냉제(18) 사이를 통과하여 열교환하고, 냉각된 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토출 덕트(9)로 흡입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 때, 상부 저장실(2A) 및 하부 저장실(2B) 내의 온도는 온도 센서(22A 및 22B)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 장치는 각 실의 온도와 상기 온도 조절 손잡이(33A, 33B)에서 설정된 온도에 의해 송풍기(12A, 12B)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부 저장실(2A) 내는 냉장의 온도대인 냉장실로, 하부 저장실(2B) 내는 냉동의 온도대인 냉동실로 각각 제어되게 된다.
특히, 이 때 냉장실이 되는 상부 저장실(2A) 내에는 하부 저장실(2B) 내로 토출된 후의 냉기가 토출 덕트(9)를 거쳐서 공급되므로, 비교적 온도는 높아진다. 이에 의해, 상부 저장실(2A)의 온도 제어성은 향상된다.
여기서, 특히 겨울철 등의 저온 절기에는 송풍기(12A)를 정지시켜도 상부 저장실(2A) 내가 냉장 온도대보다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슬라이드판(14)을 슬라이드시켜 연통구(13…)를 전체 폐쇄로 하면, 상하 실의 냉기 유통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저장실(2A)의 과냉각을 방지 혹은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상부 저장실(2A)을 냉장실, 하부 저장실(2B)을 냉동실로서 사용하는 예에서 설명하였지만, 양 실(2A, 2B)을 냉장 혹은 냉동의 동일 온도대에서 제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양 온도 조절 손잡이(33A, 33B)를 상기 동일한 온도대에 설정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는 슬라이드판(14)에 의해 연통구(13…)를 전체 개방 상태로 하면 구획 부재(5) 상하의 냉기 유통이 양호해지므로, 상부 저장실(2A)의 풀다운 특성이나 온도 제어성이 개선된다.
여기서, 저장실(2) 내를 1개의 온도대로서 저장실(2) 내를 확장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구획 부재(5)를 떼어 내면 된다. 이 경우에는 양 온도 조절 손잡이(33A, 33B)를 동일한 온도대로 설정한다. 또, 구획 부재(5)의 유무를 검지하는 스위치를 설치하면,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22A, 22B)에 의해서만 제어에 절환 가능해진다.
여기서, 구획 부재(5)의 치수는 저장실(2)의 바닥면 및 배면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고, 떼어 낸 상태에서는 도6과 같이 저장실(2)의 배면이나 바닥면[단열 구획판(16) 상]에 따라서 수납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떼어 내었을 때의 보관 장소의 염려가 없어지므로 부품 관리도 용이해진다.
다음에,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 저장고(R)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도1 내지 도6과 동일 부호는 동일 혹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계실(3) 내에는 마찬가지로 압축기(19)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부착구(6)의 상면에는 단열재(41)가 부착되고, 구획 부재(5)는 이 단열재(41)를 거쳐서 부착구(6)에 착탈 가능하게 적재 보유 지지된다. 이러한 단열재(41)에 의해 각 실(2A, 2B) 사이의 단열 성능은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구획 부재(5)의 하면에는 좌우에 걸쳐서 안내 덕트(42)가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고, 구획 부재(5)가 부착구(6)에 적재된 상태에서, 이 안내 덕트(42)를 향해 좌단부는 상기 덕트판(7)의 중간 흡입구(11)에 대응하여 연통한다. 또한, 안내 덕트(42)를 향해 우단부에는 냉기 유입구(43)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각 냉기 유입구(43)의 주위에는 안내 덕트(42)측으로 돌출되는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안내 덕트(42)의 냉기 유입구(43)는 연통구(13)를 향해 좌측이며,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냉기 유입구(43)의 양측에는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경사 하부 우측을 향해 돌출되는 풍향판(44, 44)이 형성되어 있다(도1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또한, 이 경우 각 실(2A, 2B)의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각 냉기 토출구(10A, 10B) 및 각 송풍기(12A, 12B)는 경사 하방으로 지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실(2A, 2B) 내에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토출구(10A, 10B)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연통구(13)의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 저장실(2B) 우측면에는 덕트판(46)에 의해 하강 덕트(47)가 형성되어 있고, 이 하강 덕트(47)의 상단부는 연통구(13) 하측에 대응하여 연통하고, 하단부는 경사 우측 하방으로 지향한 냉기 유출구(48)에서 하부 저장실(2B) 내에 개구하고 있다. 냉기 유출구(48)가 이와 같이 경사 하방으로 개구함으로써 물품에 의해 막히는 문제점을 회피하고 있다.
이 냉기 유출구(48)는 흡입구(21)의 상방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 흡입구(21)에는 저장실(2)측으로 돌출된 흡입구 가드(49)가 부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단열 구획판(16) 상에 다량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에도 흡입구(21)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 경우의 저장실(2) 내의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부 저장실(2A) 및 하부 저장실(2B)의 송풍기(12A 및 12B)가 각각 운전되면, 축냉실(17) 내에서 미리 동결된 축냉제(18)의 융해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송풍기(12B)에 의해 폐색판(8)보다 하방의 토출 덕트(9) 내를 상승한 후, 하부 저장실(2B) 내를 향해 경사 하방으로 토출된다.
또한, 하부 저장실(2B) 내로 토출된 냉기는 내부를 순환한다. 그리고, 하부 저장실(2B) 내 우측 상부에 도달한 냉기는 송풍기(12A)에 의해 냉기 유입구(43)로부터 구획 부재(5)의 안내 덕트(42) 내로 흡입되고, 그곳을 통과하여 중간 흡입구(11)에 이르고, 폐색판(8)보다 상방의 토출 덕트(9) 내를 상승한 후, 상부 저장실(2A) 내를 향해 경사 하방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기 유입구(43)가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이격돠어 있으므로,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하부 저장실(2B) 내로 토출된 냉기가 직접 상부 저장실(2A)에 이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풍향판(44, 44)이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냉기 유입구(43)로는 하부 저장실(2B) 내를 어느 정도 순환시킨 후의 냉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냉기 유입구(43)는 버링 가공되어 있으므로, 안내 덕트(42)로 유입하는 냉기의 흐름도 정리되어 상부 저장실(2A)에의 냉기 공급은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 저장실(2A) 내를 순환한 냉기는 구획 부재(5)의 연통구(13)[슬라이드판(14)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함]로부터 하강 덕트(47) 내로 들어가 냉기 유출구(48)로부터 하부 저장실(2B) 내로 복귀한다. 한편, 하부 저장실(2B) 내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하부 저장실(2B) 내를 순환한 후, 상기 냉기 유출구(48)로부터 유입한 냉기와 함께 단열 구획판(16)의 흡입구 가드(49)를 경유하여 흡입구(21)로부터 축냉실(17) 내로 귀환한다. 축냉실(17) 내로 귀환한 냉기는 축냉제(18) 사이를 통과하여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토출 덕트(9)에 흡입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또한, 온도 제어 방식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연통구(13)의 단락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구획 부재(5)를 떼어 내어 저장실(2) 바닥면의 단열 구획판(16) 상에 적재된 경우에는 이 연통구(13)의 단락 형상이 흡입구 가드(49)에 합치하여 연통구(13)가 흡입구(21)에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R)에서는 단열 상자 부재(1) 내에 저장실(2)을 구성하여, 축냉제(18)의 융해 잠열에 의해 저장실(2) 내를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축냉제(18)를 수납하는 축냉실(17)과, 저장실(2) 내를 복수실(2A, 2B)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5)와, 구획된 각 실(2A, 2B)에 축냉제(18)로 냉각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 덕트(9)와, 구획 부재(5)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 부재(5)로 구획된 각 실(2A, 2B)을 연통하는 연통구(13…)와, 구획된 하부 저장실(2B)과 축냉실(17)을 연통하는 흡입구(21)와, 각 실(2A, 2B)의 온도에 의거하여 각 실(2A, 2B)에의 냉기 공급량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제어 장치 및 송풍기(12A, 12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획 부재(5)로 구획되는 각 실(2A, 2B)을 다른 온도로 독립하여 제어하고, 각 실(2A, 2B) 내에 다른 온도대에서 냉각을 필요로 하는 물품을 각각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획 부재(5)에 의해 저장실(2) 내를 상하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수납 물품의 붕괴도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특히, 구획 부재(5)로 구획되는 상부 저장실(2A)의 냉기는 구획 부재(5)의 연통구(13…)로부터 하부 저장실(2B)로 유입하여 상기 하부 저장실(2B)의 냉기와 함께 흡입구(21)로부터 축냉실(17)로 흡입되게 되므로, 냉기를 순환하기 위한 귀환용 덕트를 형성할 필요도 없어져 덕트 구조가 간소화되어, 비용의 저감과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통구(13)에는 슬라이드판(14)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저장실(2A)을 냉장실로 할 때, 외기온이 낮은 상황에 있어서 연통구(13)의 냉기 유통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장실의 과냉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양 실(2A, 2B)을 동일 온도에서 사용할 때에는 연통구(13)의 냉기 유통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소위 풀다운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11 내지 도12와 같이 구획 부재(5)에 안내 덕트(42)를 형성하여 안내 덕트(42)의 냉기 유입구(43)를 하부 저장실(2B)의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형성하면, 하부 저장실(2B)에 공급된 냉기가 직접 상부 저장실(2A)에 도달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실(2A)에 온도 보장 히터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상기 상부 저장실(2A)이 과냉각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 덕트(42)의 냉기 유입구(43)에, 하부 저장실(2B)의 냉기 토출구(10B)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풍향판(44)을 설치하면, 하부 저장실(2B)에 공급된 냉기가 직접 상부 저장실(2A)에 이르는 문제점을 한층 양호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 덕트(42)의 냉기 유입구(43)에 버링 가공을 실시하면, 냉기 유입구(43)로부터 흡입된 냉기의 흐름을 정리하여 상부 저장실(2A)에의 냉기 공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냉기 유입구(43) 주변의 강도 향상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냉실(17)로부터의 냉기를 토출 덕트(9)에서 우선 하부 저장실(2B)로 토출하고, 이 하부 저장실(2B)의 냉기를 상부 저장실(2A)로 토출하도록 하였지만,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그에 한정되지 않고, 도7과 같이 일련의 토출 덕트(9)에 의해 양 실(2A, 2B)과 축냉실(17)을 연통시켜도 좋다[폐색판(8) 없음]. 또한, 도8과 같이 덕트판(7A)에 의해 축냉실(17)과 각 실(2A, 2B)을 독립하여 연통하는 토출 덕트(9A, 9B)를 형성해도 좋다.
단, 상기 실시예와 같이 토출 덕트(9)에 의해 축냉제(18)로 냉각된 냉기를 하부 저장실(2B)에 공급한 후, 상부 저장실(2A)에 공급하는 구조로 하면, 상부 저장실(2A)을 보다 온도가 높은 냉장실로 하고, 하부 저장실(2B)을 보다 온도가 낮은 냉동실로 할 때, 냉장실에의 냉기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 제어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와 같이 양 도어(15A, 15B)의 측면을 단차식 형상으로 하면, 양 도어(15A, 15B)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단열 성능의 개선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도어(15A, 15B)의 가공도 비교적 용이하므로, 생산성의 악화도 방지된다.
또한, 도10과 같이 양 도어(15A, 15B)의 측면을 경사지게 해도, 마찬가지로 양 도어(15A, 15B)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단열 성능의 개선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외측에서 포개는 도어(15B)를 폐쇄하는 힘이 양 도어(15A, 15B)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단열 성능은 한층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류에서 사용되는 차륜 부착의 냉각 저장고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주방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한, 차륜을 얻을 수 없는 축냉제 사용의 냉각 저장고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상자 부재 내에 저장실을 구성하고, 축냉제의 융해 잠열에 의해 저장실 내를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축냉제를 수납하는 축냉실과, 저장실 내를 복수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구획된 각 실에 축냉제로 냉각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 덕트와,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 부재로 구획된 각 실을 연통하는 연통구와, 구획된 각 실 중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과 상기 축냉실을 연통하는 흡입구와, 각 실의 온도에 의거하여 각 실에의 냉기 공급량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획 부재로 구획되는 각 실을 다른 온도로 독립하여 제어하고, 각 실 내에 다른 온도대에서 냉각을 필요로 하는 수납물을 각각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물의 붕괴도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특히, 구획 부재로 구획되는 각 실 중 축냉실측이 아닌 실의 냉기는 구획 부재의 연통구로부터 축냉실측의 실로 유입하고, 상기 실의 냉기와 함께 흡입구로부터 축냉실로 흡입되게 되므로, 냉기를 순환하기 위한 덕트 구조가 간소화되어 비용의 저감과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연통구에 냉기 유통량 조절 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축냉실측이 아닌 실을 보다 온도가 높은 냉장실로 할 때, 외기온이 낮은 상황에 있어서 연통구의 냉기 유통량 조절 수단에 의해 냉기의 유통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장실의 과냉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양 실을 동일 온도에서 사용할 때에는 연통구의 냉기 유통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소위 풀다운 특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토출 덕트는 축냉제로 냉각된 냉기를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에 공급한 후, 다른 실에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축냉실측이 아닌 실을 보다 온도가 높은 냉장실로 하고, 축냉실측의 실을 보다 온도가 낮은 냉동실로 할 때, 냉장실에의 냉기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 제어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토출 덕트의 각 실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실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와,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에 공급된 냉기를 다른 실측의 토출 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덕트를 구비하고, 이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를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형성하였으므로, 축냉실측의 실에 공급된 냉기가 직접 다른 실에 도달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다른 실에 온도 보장 히터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상기 다른 실이 과냉각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에,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풍향판을 설치하였으므로, 축냉실측의 실에 공급된 냉기가 직접 다른 실에 이르는 문제점을 한층 양호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의 발명에다가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에 버링 가공을 실시하였으므로, 냉기 유입구로부터 흡입된 냉기의 흐름을 정리하고, 상기 다른 실에의 냉기 공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냉기 유입구 주변의 강도의 향상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연통구는 구획 부재에 단락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획 부재 상에 적재된 물품에 의해 연통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여, 다른 실 내에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순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토출 덕트의 각 실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실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고, 각 냉기 토출구를 경사 하방으로 지향시켰으므로, 마찬가지로 각 실에 수납된 물품에 의해 각 냉기 토출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여 각 실 내에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순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흡입구에는 저장실측으로 돌출되는 흡입구 가드를 설치하였으므로, 마찬가지로 축냉실측의 실에 수납된 물품에 의해 흡입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여 상기 실 내에 다량의 물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도 냉기 순환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구획 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떼어 낸 상태에서 저장실의 벽면에 따라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서 구획 부재를 떼어 냄으로써 원하는 온도대의 실의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떼어 냈을 때의 보관 장소를 확보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부품 관리도 용이해진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구획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는 부착구를 구비하고, 이 부착구의 상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획 부재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된 각 실 사이의 단열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다가 저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여닫이식의 한 쌍의 도어를 구비하고, 양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각 도어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비교적 좁은 설치 장소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양 도어의 상호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냉기 누설을 방지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단열 성능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양 도어의 측면은 단차식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양 도어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단열 성능의 개선을 한 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도어의 가공도 비교적 용이하므로, 생산성의 악화도 방지된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2의 발명에다가 양 도어의 측면은 경사져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양 도어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단열 성능의 개선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외측에서 포개지는 측의 도어를 폐쇄하는 힘이 양 도어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단열 성능은 한층 향상된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2,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다가 양 도어의 측면에, 각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단열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양 도어 사이의 단열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냉각 저장고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1의 냉각 저장고의 종단 정면도.
도4는 도1의 냉각 저장고의 구획 부재의 사시도.
도5는 도1의 냉각 저장고의 도어의 맞댐 부분의 확대 평단면도.
도6은 도1의 냉각 저장고의 구획 부재를 떼어 낸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의 덕트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의 덕트 구조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의 도어 맞댐 부분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냉각 저장고의 도어 맞댐 부분의 구조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 저장고의 종단 측면도.
도12는 도11의 냉각 저장고의 종단 정면도.
도13은 도11의 냉각 저장고의 구획 부재의 하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냉각 저장고
1 : 단열 상자 부재
2 : 저장실
2A : 상부 저장실
2B : 하부 저장실
3 : 기계실
4 : 차륜
5 : 구획 부재
7, 7A : 덕트판
8 : 폐색판
9 : 토출 덕트
10A, 10B : 냉기 토출구
11 : 중간 흡입구
12A, 12B : 송풍기
13 : 연통구
14: 슬라이드판
15A, 15B : 도어
16 : 단열 구획판
17 : 축냉실
18 : 축냉제
21 : 흡입구
22A, 22B : 온도 센서
37, 41 : 단열재
42 : 안내 덕트
43 : 냉기 유입구
44 : 풍향판
49 : 흡입구 가드

Claims (15)

  1. 단열 상자 부재 내에 저장실을 구성하여 축냉제의 융해 잠열에 의해 상기 저장실 내를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냉각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축냉제를 수납하는 축냉실과,
    상기 저장실 내를 복수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구획된 각 실에 상기 축냉제로 냉각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 덕트와,
    상기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 부재로 구획된 각 실을 연통하는 연통구와,
    상기 구획된 각 실 중 상기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과 상기 축냉실을 연통하는 흡입구와,
    상기 각 실의 온도에 의거하여 각 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에는 냉기 유통량 조절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축냉제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에 공급한 후, 다른 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덕트의 상기 각 실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실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와,
    상기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에 공급된 냉기를 상기 다른 실측의 상기 토출 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를 상기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에는 상기 축냉실측에 위치하는 실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풍향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의 냉기 유입구에는 버링 가공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구획 부재에 단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덕트의 상기 각 실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각 실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고, 각 냉기 토출구를 경사 하방으로 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저장실측으로 돌출되는 흡입구 가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떼어 낸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따라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는 부착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구의 상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여닫이식의 한 쌍의 도어를 구비하고, 양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각 도어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도어의 측면은 단차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도어의 측면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도어의 측면에는 각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단열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KR10-2003-0034577A 2002-05-31 2003-05-30 냉각 저장고 KR100490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9011 2002-05-31
JP2002159011 2002-05-31
JPJP-P-2002-00215307 2002-07-24
JP2002215307A JP4093810B2 (ja) 2002-05-31 2002-07-24 冷却貯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028A KR20030094028A (ko) 2003-12-11
KR100490820B1 true KR100490820B1 (ko) 2005-05-24

Family

ID=3194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577A KR100490820B1 (ko) 2002-05-31 2003-05-30 냉각 저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93810B2 (ko)
KR (1) KR100490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33B1 (ko) 2023-02-13 2024-02-08 주식회사 프로화이어 입상배관 연결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909A (ja) * 2004-07-23 2006-03-02 Sharp Corp 冷蔵庫
JP4514557B2 (ja) * 2004-08-20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100763177B1 (ko) * 2005-04-2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바 가상 머신의 명령어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JP2010196936A (ja) * 2009-02-24 2010-09-09 Nakano Refrigerators Co Ltd 車載冷却キャビネット
JP5442299B2 (ja) * 2009-03-31 2014-03-1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配送台車
CN104236195B (zh) * 2014-09-17 2016-08-24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
KR20210156162A (ko) * 2020-06-17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33B1 (ko) 2023-02-13 2024-02-08 주식회사 프로화이어 입상배관 연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028A (ko) 2003-12-11
JP4093810B2 (ja) 2008-06-04
JP2004053227A (ja)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801B1 (ko) 온도 제어 저장 유닛
US6629429B1 (en) Refrigerator
KR102627719B1 (ko) 냉장고
KR20010040969A (ko) 냉장고
KR102336200B1 (ko) 냉장고
JP3904866B2 (ja) 冷蔵庫
KR100490820B1 (ko) 냉각 저장고
KR20070074209A (ko) 냉장고
KR20100097928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3439981B2 (ja) 冷蔵庫
KR102508224B1 (ko) 냉장고
KR100532903B1 (ko) 냉장고
JP2001041639A (ja) 冷蔵庫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451344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JP2003028551A (ja) 冷蔵庫
KR20030018840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43893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JPH03158681A (ja) 低温庫
KR20070075835A (ko) 냉장고.
KR100434395B1 (ko) 제2냉장실의 고정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냉장고
KR19990003692U (ko) 도어포켓부의 온도상승 방지장치
KR100549080B1 (ko) 냉장고
JPH0548047Y2 (ko)
KR20020078670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