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121B1 - 고무 롤러 제조 장치 및 현상 롤러 - Google Patents

고무 롤러 제조 장치 및 현상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121B1
KR100888121B1 KR1020070114736A KR20070114736A KR100888121B1 KR 100888121 B1 KR100888121 B1 KR 100888121B1 KR 1020070114736 A KR1020070114736 A KR 1020070114736A KR 20070114736 A KR20070114736 A KR 20070114736A KR 100888121 B1 KR100888121 B1 KR 10088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mold
end member
dowe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238A (ko
Inventor
고오지 오까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10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8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several expanding or moulding ste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제조 장치는 적어도 원통형 몰드 본체와,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도웰(A, B)로 구성된 몰드를 갖는다.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는 몰드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고무 재료는 하나의 도웰(A)을 통해 몰드 본체로 주입되며 경화되어 성형된다. 장치는 몰드 본체에 도웰(A, B)을 체결하는 클램핑 장치를 갖고, 클램핑 장치는 도웰(B)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한 클램핑 단부 부재와, 클램핑 단부 부재가 도웰(B)과 접촉하도록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갖고, 슬라이딩 수단은 클램핑 단부 부재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와,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클램핑 단부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다.
고무 롤러 제조 장치, 현상 롤러, 클램핑 장치, 슬라이딩 수단,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

Description

고무 롤러 제조 장치 및 현상 롤러{RUBB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EVELOPING ROLLER}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시스템의 화상 형성에 이용되는 현상 롤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몰드 내로 고무 재료를 주입하고 그 후 경화시켜 고무 롤러를 얻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롤러는 몰드 내로 고무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된 몰드는 3개 이상의 부재, 즉 중공 원통형 몰드 본체(파이프 몰드) 및 파이프 몰드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도웰(dowel)로 구성된다. 고무 재료가 주입되고 경화될 때, 도웰은 실린더, 스프링, 나사등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클램핑 부재에 의해 그 양단부에서 파이프 몰드 상에서 클램핑된다. 여기서, 몰드 및 클램핑 부재의 양단부면은 평면 접촉한다.
따라서, 몰드 단부면 및 클램핑 부재면이 열악한 평형관계를 가질 경우, 클램핑 부재 및 몰드면은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또는 부분 접촉하게 됨으로써, 편하중이 그 축방향으로 몰드에 가해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굽힘 모멘트가 몰드 내에 생성되어 몰드를 굴곡시키거나 또는 파이프 몰드와 도웰 사이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몰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 결과, 성형된 고무 롤러 또한 굴곡되고, 어떤 경우에는 런아웃 정밀도가 나빠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전자 사진에 사용되는 롤러의 경우에 있어서, 이런 열악한 런아웃 정밀도는 불균일한 전기 저항 및 불량 화상의 원인이 된다.
추가로, 몰드와 클램핑 부재 사이의 임의의 불균일한 평면 접촉은 그들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켜 최악의 경우 재료 누설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배경 기술로서, 사출 성형 기계(C-형)에서 구형 베어링을 사용하여 몰드를 클램핑하는 방법이 입수 가능하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10-217302호). 그러나, 이 방법에서, 클램핑을 행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구형 베어링과 몰드 사이에 각각 제공되므로, 구형 베어링의 이동량이 슬라이드 가이드에 의해 불가피하게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형 베어링을 이용해서 몰드를 클램핑하는 기술에서, 어떤 경우에는 구형 표면 방향으로의 이동의 도움만으로 편하중이 몰드에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클램핑 시에, 편하중이 몰드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몰드가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갖는 고무 롤러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가짐으로써, 불균일한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 화상의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현상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3개 이상의 부재, 즉 원통형 몰드 본체 및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도웰(A, B)로 구성되는 몰드를 가지며, 샤프트는 몰드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고무 재료가 하나의 도웰(A)을 통해 몰드 본체로 주입되며, 고무 재료가 경화되어 성형되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장치는 고무 재료가 주입될 때 도웰(A, B)을 몰드 본체에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를 갖고, 클램핑 장치는 도웰(B)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클램핑 단부 부재와, 클램핑 단부 부재가 도웰(B)과 접촉하도록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갖고, 슬라이딩 수단은 클램핑 단부 부재의 각도를 조정하는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와,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클램핑 단부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장치의 현상 유닛에 장착되는 현상 롤러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는 상기 고무 롤러 제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 클램핑 시에 편하중이 몰드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몰드가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갖는 고무 롤러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가짐으로써, 불균일한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 화상의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현상 롤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 클램핑 시에 편하중이 몰드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몰드가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갖는 고무 롤러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가짐으로써, 불균일한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 화상의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현상 롤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고무 롤러 제조 장치는 몰드와, 몰드를 클램프하는 클램핑 장치를 갖는다. 몰드는 중공 원통형 몰드 본체와,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도웰(2개 이상의 도웰)을 갖는다.
하나의 도웰(본 명세서에서 "도웰 A")은 고무 재료를 관통 주입하는 도웰이다. 고무 롤러를 형성하는 고무 재료는 도웰(A)에 제공되는 일부 관통 구멍을 통해 몰드로 주입된다.
클램핑 장치는 다른 도웰(본 명세서에서 "도웰 B")에 대해 클램핑 단부 부재를 활주하도록 하여 전자를 후자에 접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갖는다. 슬라이딩 수단은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 및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도웰(A, B)이 몰드 본체 상에 클램핑될 때 몰드의 원통형 중심축 상에서 이동 가능하여, 클램핑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슬라이딩 수단은 클램핑 시에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클램핑 단부 부재를 도웰(B)과 긴밀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 및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다.
클램핑 단부 부재가 도웰(B)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관해 언급하면, 클램핑 단부 부재가 도웰(B)에 대해 설정될 수 있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가 도웰(B)의 단부면으로부터 가능한 가까이에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클램핑 단부 부재의 측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램핑 단부 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가 도웰(B)의 단부면으로부터 가능한 가까이에 있는 위치에서 클램핑 단부 부재의 측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 및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가짐으로써, 장치는 각각의 몰드에 대해 변경될 수도 있는 임의의 몰드 단부면을 다룰 수 있다.
따라서, 몰드 및 클램핑 장치는 평면에 대해 몰드 중심축 상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어 몰드 단부면과 클램핑 부재 사이에 접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편하중이 몰드 단부면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의 굽힘 모멘트가 몰드 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몰드는 굴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중심 주축(샤프트) 및 얻어지는 고무 롤러 모두 곧게 될 수 있어,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약속한다.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
본 발명에서,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로서, 구형 베어링, 구형 이동 기구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특히, 3개 이상의 부재, 즉 원통형 몰드 본체 및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 도웰(A, B)로 구성된 몰드에 있어서, 클램핑할 때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단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몰드 중심축을 상정했을 때 접촉하는 도웰 단부면에 대해 클램핑 단부 부재의 중심축과 몰드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 각도의 변경은 조합에 따라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는 구형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형 베어링이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에 사용되는 경우에, 하중은 슬라이딩 수단의 구동 유닛으로부터 순서대로 구형 베어링 및 클램핑 단부 부재를 통해 도웰(B)로 가해진다. 하중이 각도 조정 작용을 갖는 구형 베어링을 통해 가해지는 것만큼, 클램핑 단부 부재가 도웰(B)의 단부면과 긴밀히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의 효과를 갖는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몰드 및 클램핑 장치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 위치가 테이퍼링된 표면과 볼록 구형 표면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방법이 또한 이용 가능하다. 테이퍼링된 표면의 중심이 볼록 구형 표면의 접선에서 접점을 형성하는 테이퍼 각도로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는, 클램핑 단부 부재가 원통형 몰드의 중심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도웰(B)의 외향 단부면과 그것과 접촉하는 클램핑 단부 부재 사이의 접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클램핑 단부 부재는 도웰(B)의 외측 단부면 각도에 따라 각도 조정이 된다.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는 몰드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 단부 부재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도웰(B)과 접촉하는 클램핑 단부 부재가 각도 조정이 가능한 클램핑부 본체와 결합하는 부분에서 간극이 형성되고, 탄성 부재가 그 간극에 제공되는 방법이 이용가능하다.
구형 베어링이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에 사용되는 경우,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클램핑 단부 부재 상에 샤프트를 제공하고, 구형 베어링의 내부에 샤프트를 삽입하기 위한 홀을 제공하고, 샤프트와 홀 사이에 갭을 제공하여, 이 갭 내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샤프트의 주연 방향으로 탄성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램핑 단부 부재의 축 및 샤프트를 중심으로 배치된 탄성 부재가 구형 베어링의 샤프트 홀부에 제공되어, 클램핑 단부 부재의 클램핑 중심축(클램핑력의 중심축)이, 원통형 몰드 본체와 그 원통형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부착되는 도웰(A, B)을 통해 연장하는 중심축(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구형 베어링 내부 홀과 클램핑 단부 부재의 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 간 극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는 관점에서, 탄성 부재로서 O-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탄성 수지, 젤형 재료 또는 액상 재료를 그 내에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예로 될 수 있는 바와 같이, O-링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임의의 부재가 구형 베어링 내부 홀 및 클램핑 단부 부재의 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 간극에서 주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 시일은 원통형 간극을 채울 수 있는, 탄성 수지, 젤형 재료 또는 액상 재료를 그 내에 포함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는 클램핑 단부 부재와 몰드 사이의 접촉부에서,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의 임의의 축 어긋남의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딩 수단
슬라이딩 수단을 위한 구동 유닛으로서, 공기 실린더, 유압 실린더, 스프링, 나사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무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
고무 롤러는 3개 이상의 부재, 즉 원통형 몰드 본체 및 그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도웰(A, B)로 구성된 몰드의 내부 중앙에 샤프트를 배치하고, 하나의 도웰(A)을 통해 몰드 본체로 고무 재료를 주입하고, 고무 재료를 경화하여 그것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고무 재료
본 발명에 있어서, 고무 재료는 원통형 몰드 내로 주입되기 때문에, 고무 재 료로서 액상 고무 재료가 바람직하다.
액상 고무 재료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롤러로 될 때 우수한 세팅 성능이 획득가능한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현상 롤러
본 발명의 고무 롤러 제조 장치에 의해, 전자 사진 장치의 현상 유닛에 장착될 현상 롤러에 적합한 고무 롤러가 얻어진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롤러 제조 장치에 있어서,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 및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슬라이딩 수단이 사용되어 크램핑 시에 클램핑 단부 부재가 도웰과 균일하게 긴밀히 접촉할 수 있다. 이것은 임의의 편하중이 몰드(도웰)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몰드가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런아웃 정밀도를 갖는 고무 롤러가 획득될 수 있다. 추가로, 이 고무 롤러는 현상 롤러로서 높은 적합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 롤러 제조 장치가 전자 사진용 현상 롤러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예1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구성부, 즉 내측 표면 형태로서 내경 12mm 및 길이 240mm의 실린더 형태를 갖는 몰드 본체(파이프 몰드)와, 그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상부 도웰(1: 도웰B) 및 하부 도웰(3: 도웰A)로 구성된 몰드가 사용된다. 도면에서, 2b는 몰드 중심축을 표시한다.
그 본체 내에서, 재료 주입 홀로서 각각 직경 1.8mm의 홀(관통홀)이 하부 도웰에 제공된다. 홀은 주연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제작된 8개의 홀이다. 또한, 그 중앙에 직경 5mm의 홀이 하부 도웰(접촉 도웰)에 제공된다.
몰드의 모든 구성부에 있어서, 몰드는 프리하든 강(prehardened steel)으로 이루어진다.
직경 6mm 및 길이 250mm의 샤프트(4)가 몰드의 내부에 삽입된다.
도2에 도시되고 또한 부분 확대도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는 도웰(B)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긴밀히 접촉되는 각도 조정 기구[구형 베어링(5): 상부 도웰(1)과 클램핑 단부 부재(6b) 사이의 접촉을 조정한다]와, 위치 조정 기구[O-링(9)]이다. 클램핑 장치와 몰드 사이의 접촉부는 평면이다. 구형 베어링(5) 및 O-링(9)을 가짐으로써, 상부 도웰(1)은 클램핑 단부 부재(6b)와 양호하게 접촉할 수 있다. (THK Co., Ltd.에 의해 제조된)모델 번호 제SB8호가 구형 베어링으로서 사용된다.
클램핑 장치는 구형 베어링(5), O-링(9), 클램프 판(지지판: 6a), 클램핑 단부 부재(6b), 공기 실린더(6c), 샤프트(6d), 클램프 판(6e)을 갖는다. 클램프 판(6a) 및 클램핑 단부 부재(6b)는 편평한 판이다.
상부 도웰(1), 파이프 몰드(2a, 몰드 본체) 및 하부 도웰(3)이 상기 클램핑 장치의 클램프 판(6a)과 클램핑 단부 부재(6b, 이동가능한 판) 사이에서 함께 체결되고, 공기 실린더(6c)를 클램핑 장치의 클램프 판 중심축(8)의 방향으로 압출하여 클램핑한다. 클램핑력은 590N으로 설정된다.
열경화 액상 실리콘 고무가 몰드로 주입되고 100℃로 고무를 경화하여 고무 롤러를 얻는다. 성형에 사용되는 액상 실리콘 고무는 2팩 혼합형의 열경화성 실리콘 고무이고, 점도 150Pa·s를 갖는다. 또한, 고무는 카본 블랙과 혼합되어 고무에 전도성을 제공한다.
얻어진 고무 롤러의 런아웃은 3지점, 즉 고무 롤러의 양단부로부터 10mm 이격된 지점 및 그 중간 지점에서 측정된다. 런아웃을 측정하기 위해, 고무 롤러가 베어링 상에 배치되고, 기준면으로부터 롤러 외경까지의 간극이 롤러의 주연 방향으로 100개의 지점에서 (Keyence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레이저 치수 측정기로 측정된다. 측정을 위해 결과로서 측정된 값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을 감산함으로써 얻은 값을 런아웃으로 간주한다. 결과가 표1에 도시된다. 중앙부에서의 런아웃은 25㎛ 이하이고 양단부에서의 런아웃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예1
도4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장치가 클램핑 장치로서 사용된다. 이 클램핑 장치는 고정식이며, 몰드와 접촉하는 부분은 평면이다.
앞서 언급한 사용을 제외하고는, 고무 롤러는 예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고, 그 런아웃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결과가 표1에 도시된다.
표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1의 고무 롤러는 비교예1의 고무 롤러보다 작은 런아웃을 갖는다. 특히, 비교예1에 있어서, 롤러는 중앙부에서 큰 런아웃을 가지는데, 이는 몰드가 편향되었음을 나타낸다. 비교예1에 있어서,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웰(1)과의 접촉은 클램핑 단부 부재(6b)로 인해 각각의 몰드마 다 상이하여, 각도(θ)가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몰드에 있어서 접촉을 균일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표1
단부에서의 런아웃(하부) 중앙부에서의 런아웃 단부에서의 런아웃(상부)
예1 9㎛ 10㎛ 10㎛
비교예1 17㎛ 15㎛ 19㎛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의 청구항의 범위는 그러한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몰드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몰드 및 클램핑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클램핑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4는 비교예1에 사용된 클램핑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5는 비교예1에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에서의 한쪽으로 치우친 접촉으로 인한 편하중을 도시하는 개략도.

Claims (7)

  1. 원통형 몰드 본체 및 상기 몰드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도웰(A, B)을 포함하는 3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된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의 내부 중심에 샤프트가 배치되고, 고무 재료가 하나의 도웰(A)을 통해 상기 몰드 본체로 주입되며, 상기 고무 재료가 경화되어 성형되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고무 재료가 주입될 때 상기 몰드 본체에 상기 도웰(A, B)을 체결하는 클램핑 장치를 갖고,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도웰(B)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클램핑 단부 부재와, 상기 클램핑 단부 부재가 상기 도웰(B)과 접촉하도록 상기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클램핑 단부 부재의 각도를 조정하는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와, 상기 몰드 본체의 원통형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단부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클램핑 단부 부재가 상기 도웰(B)과 접촉하도록 하는 구형 베어링을 포함하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단부 부재는 상기 구형 베어링의 내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갖고, 상기 클램핑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배치된 탄성 부재를 갖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O-링 또는 탄성 시일인 고무 롤러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공기 실린더, 유압 실린더, 스프링 및 나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고무 롤러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재료는 액상 고무 재료인 고무 롤러 제조 장치.
  7. 전자 사진 장치의 현상 유닛에 장착되는 현상 롤러이며,
    상기 현상 롤러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무 롤러 제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현상 롤러.
KR1020070114736A 2006-11-13 2007-11-12 고무 롤러 제조 장치 및 현상 롤러 KR100888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6569 2006-11-13
JP2006306569A JP4990600B2 (ja) 2006-11-13 2006-11-13 ゴムローラ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238A KR20080043238A (ko) 2008-05-16
KR100888121B1 true KR100888121B1 (ko) 2009-03-13

Family

ID=3944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736A KR100888121B1 (ko) 2006-11-13 2007-11-12 고무 롤러 제조 장치 및 현상 롤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90600B2 (ko)
KR (1) KR100888121B1 (ko)
CN (1) CN10058177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650B1 (ko) 2021-10-06 2021-12-10 김양래 실리콘 고무 롤러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330B1 (ko) * 2010-05-06 2011-10-06 자화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롤러
JP5744443B2 (ja) * 2010-08-31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現像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0874B2 (ja) * 2011-02-17 2013-07-17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型締装置
JP4935947B1 (ja) * 2011-07-13 2012-05-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
JP5035484B1 (ja) * 2012-03-07 2012-09-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ゴム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126A (ja) * 1992-09-04 1994-03-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0743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17302A (ja) * 1997-02-03 1998-08-18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
JP2006171785A (ja) 1996-09-26 2006-06-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452A (ja) * 2001-08-02 2003-02-13 Canon Inc ゴムローラの製造方法
CN1278839C (zh) * 2003-04-15 2006-10-11 陈贤斌 一种包膜压力辊的成型模具
JP4678150B2 (ja) * 2003-08-12 2011-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ゴムロールの製造装置、製造システムおよび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
JP4179967B2 (ja) * 2003-11-11 2008-11-1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弾性ローラ成形用金型及び弾性ローラの成形方法
JP4512399B2 (ja) * 2004-04-05 2010-07-28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成形機
JP2006015652A (ja) * 2004-07-02 2006-01-19 Canon Chemicals Inc ゴムローラの製造装置
JP4690142B2 (ja) * 2005-08-12 2011-06-01 キヤノン化成株式会社 ゴムローラ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126A (ja) * 1992-09-04 1994-03-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0743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171785A (ja) 1996-09-26 2006-06-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H10217302A (ja) * 1997-02-03 1998-08-18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650B1 (ko) 2021-10-06 2021-12-10 김양래 실리콘 고무 롤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90600B2 (ja) 2012-08-01
JP2008122675A (ja) 2008-05-29
CN101181810A (zh) 2008-05-21
CN100581774C (zh) 2010-01-20
KR20080043238A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121B1 (ko) 고무 롤러 제조 장치 및 현상 롤러
US7980845B2 (en) Molding apparatus
US9701053B2 (en) Fixing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US20090191299A1 (en) Molding apparatus
JP3851297B2 (ja) 管状物の製造装置、製造方法および管状物
KR100534984B1 (ko)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장치
JP4376545B2 (ja) 円すいころ軸受の円すい面形状測定方法
JP4690142B2 (ja) ゴムローラの製造装置
KR20130060108A (ko) 실리콘 블랭킷
JP2010046814A (ja) 弾性ローラの成形金型
JP2022116332A (ja) 圧縮試験治具、材料試験機、および材料試験機における平行度調整方法
JP4113807B2 (ja) ゴムローラの製造方法
JP2006015652A (ja) ゴムローラの製造装置
JP4906101B2 (ja) 固定治具、注型装置及び成形装置
JP2007015211A (ja) ゴムローラの製造方法
US4910845A (en) Precision transport roller
KR20200080963A (ko) 복합 성형품의 성형장치
JP5161614B2 (ja) 弾性ローラの成型用金型
CN220575868U (zh) 一种精密无空行程二维测量平台装置
JP2008188907A (ja) 押出し成形金型および成形方法
JP2005022841A (ja) ローラ用シャフトおよびローラ
CN219618421U (zh) 一种注塑机模高精密注射塑化部件
CN113276347B (zh) 偏心调节装置、镜片注塑模具以及偏心调节系方法
JP5224501B2 (ja) 成形金型及びローラの製造方法
JP2004098443A (ja) 光軸位置補正機能を有する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