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073B1 -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 Google Patents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073B1
KR100886073B1 KR1020070123472A KR20070123472A KR100886073B1 KR 100886073 B1 KR100886073 B1 KR 100886073B1 KR 1020070123472 A KR1020070123472 A KR 1020070123472A KR 20070123472 A KR20070123472 A KR 20070123472A KR 100886073 B1 KR100886073 B1 KR 10088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atch
emergency
rele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강섭
Original Assignee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평편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외측면이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원호 형상의 외주면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홈과, 상기 래치홈과 이격되어 원호 형상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1차 로킹홈 및 2차 로킹홈이 형성된 래치;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1차 로킹홈 및 2차 로킹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래치를 1단 로킹 및 2단 로킹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된 파울 레버; 상기 래치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래치의 1단 로킹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 상기 래치를 2단 로킹 상태로 회전시키는 클로즈 레버;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유선형의 릴리즈 바디와, 상기 릴리즈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 절곡되어 상기 파울 레버의 단부에 접촉하는 해제편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작동시 상기 릴리즈 레버가 상기 파울레버를 상기 래치로부터 로킹 해제시키도록 상기 릴리즈 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비상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일 게이트 래치, 비상 레버, 릴리즈 레버, 비상 해제편, 절곡편,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Tailgate latch having emergency op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리즈 레버의 고장 시에도 테일 게이트 래치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비상 레버가 구비된 테일 게이트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도어는 승객이 출입하기 위한 개폐기능과 함께 승객 및 차량 내부를 외부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와 연결 설치된 래치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래치모듈은 다수의 레버 및 암들로 구성되고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한편, RV 차량이나 승합차량과 같이 후방의 넓은 개방 면적이 요구되는 차량에는 테일 게이트가 설치되며, 테일 게시트의 하부에는 테일 게이트 래치가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의 개폐 작동을 도모한다. 일반적인 테일 게이트는 차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테일 게이트 측에 설치되는 래치 모듈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테일 게이트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테일 게이트 래치에는 릴리즈 레버(10)가 설치되며, 릴리즈 레버(10) 는 스핀들 레버에 접촉하는 스핀들부(30)와, 스핀들 레버에 의해 회동할 때 파울레버와 접촉하여 파울레버를 회전시키는 해제편(40)과, 래치를 로킹 위치에서 언로킹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한 푸쉬레버를 회동시키는 해제부(50)가 형성된 릴리즈 바디(20)로 구성된다(테일 게이트 래치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릴리즈 레버는 파울레버의 회전 및 래치를 언로킹 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성이 모두 하나의 릴리즈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교통사고나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 릴리즈 레버가 휘거나 망가질 경우 테일 게이트 래치를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릴리즈 레버의 고장 시에도 테일 게이트 래치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별도의 비상 레버가 구비된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평편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외측면이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원호 형상의 외주면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홈과, 상기 래치홈과 이격되어 원호 형상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1차 로킹홈 및 2차 로킹홈이 형성된 래치;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1차 로킹홈 및 2차 로킹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래치를 1단 로킹 및 2단 로킹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된 파울 레버; 상기 래치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래치의 1단 로킹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 시 상기 래치를 2단 로킹 상태로 회전시키는 클로즈 레버;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유선형의 릴리즈 바디와, 상기 릴리즈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 절곡되어 상기 파울 레버의 단부에 접촉하는 해제편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작동시 상기 릴리즈 레버가 상기 파울레버를 상기 래치로부터 로킹 해제시키도록 상기 릴리즈 레버를 밀어 회전 시키는 비상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를 제공한다.
상기 릴리즈 레버는 상기 해제편과 인접한 상기 릴리즈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상향 절곡되어 상기 비상 레버에 접촉하는 비상 해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 레버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절곡 연장된 레버 바디와, 상기 레버 바디의 절곡 연장된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회전 동작시 상기 비상 해제편을 밀어 상기 릴리즈 레버를 회전시키는 절곡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레버 바디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회전 동작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에 권취된 후 타단이 상기 레버 바디에 지지되어 회전 동작 후 상기 비상 레버를 회전 동작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는 릴리즈 레버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비상 레버가 구비되어 릴리즈 레버의 고장 시에도 테일 게이트 래치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단, 릴리즈 레버 및 비상 레버를 제외한 테일 게이트 래치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언로킹 상태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언로킹 상태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래치 및 파울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로킹 상태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로킹 상태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래치 및 파울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비상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릴리즈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래치(100)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래치(120)와 파울 레버(130), 클로즈 레버(150), 릴리즈 레버(140) 및 비상 레버(160)로 구성되며,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210)이 테일 게이트 래치(100)의 동작에 관여한다.
하우징(110)은 테일 게이트 래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평편하고,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외측면이 상향 연장되는 형상이다. 평편한 바 닥면에 전술한 각종 부품이 수용되고, 외측면상에 비상 레버(emergency lever, 1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는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호 형상의 외주면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홈(126)과, 원호 형상의 외측면을 따라 래치홈(126)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1차 로킹홈(122) 및 2차 로킹홈(124)이 구비된다.
래치홈(126)에 스트라이커가 걸린 상태에서 1차 로킹홈(122)에 파울 레버(130)가 걸림 유지되면 1단 로킹 상태, 2차 로킹홈(124)에 파울 레버(130)가 걸림 유지되면 2차 로킹 상태가 된다. 1차 로킹 상태는 테일 게이트를 닫으면 이루어지고, 2차 로킹 상태는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래치(120)가 회전하여 이루어진다.
파울 레버(130)는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120)의 회전 경로상에 걸림부(132)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파울 레버(130)는 래치(120)의 1차 로킹홈(122) 또는 2차 로킹홈(124)에 걸림으로써 래치(120)를 로킹상태로 유지하고, 릴리즈 레버(140)에 의해 1차 로킹홈(122) 또는 2차 로킹홈(124)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120)가 로킹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한다.
클로즈 레버(150)는 래치(120)에 연결 설치되며, 일단이 액추에이터(200)에 연결된 케이블(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120)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클로즈 레버(150)는 테일 게이트가 폐쇄되어 래치(120)가 1단 로킹 상태일 때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에 의해 케이블(210)이 당겨지면(혹은 밀리도록 설정될 수 있 음) 회동하면서 래치(120)를 회전시켜 래치(120)가 2단 로킹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래치(120)를 회동시킴으로써 파울 레버(130)의 걸림부(132)가 래치의 2차 로킹홈(12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래치(120)를 2단 로킹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레버(140)는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선형의 릴리즈 바디(142) 일측은 파울 레버(130)의 단부에 접촉된다. 즉, 릴리즈 바디(142)의 일단에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 절곡되어 파울 레버(130)의 단부에 접촉하는 해제편(144)이 형성된다. 또한, 릴리즈 바디(142)에는 해제편(144)에 인접하여 릴리즈 바디(142)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비상 레버(160)에 접촉하는 비상 해제편(146)이 형성된다. 이와는 별도로 하우징(110)에는 비상 레버(160)가 설치된다.
릴리즈 레버(140)는 래치(12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테일 게이트 래치의 하우징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들에 의해 회동하여 래치(120)의 로킹 상태를 유지하는 파울 레버(130)를 밀어줌으로써 래치(120)와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러나 릴리즈 레버(140)가 파손되어 래치(12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비상 레버(160)를 이용해 릴리즈 레버(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비상 레버(160)는 회전축(167)에 의해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타단은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 절곡 연장되는 레버 바디(162)와, 레버 바디(162)로부터 절곡 형성된 절곡편(164) 및 가압부(166)로 구성된다. 비상 레버(160)는 토 션 스프링(168)에 의해 하우징(110)에 대해 지지된다.
절곡편(164)은 하우징(110) 내측면으로 연장된 레버 바디(162)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비상 레버(160)의 회전 동작시 비상 해제편을 밀어줌으로써 릴리즈 레버(14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166)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위치한 레버 바디(162)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비상 레버(160)의 회전 동작시 비상 레버(160)를 회동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토션 스프링(168)은 일단이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비상 레버(160)의 회전축에 권취된 후 타단이 비상 레버(160)의 레버 바디(162)에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토션 스프링(168)은 비상 레버(160)의 회전 동작 후 비상 레버(16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에 있어서 릴리즈 레버와 비상 레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의 언로킹 상태 즉, 래치(120)의 언로킹 상태에서 비상 레버(160)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 사고나 외부의 강한 충격 등에 의해 릴리즈 레버(140)가 파손된 경우에는 전술한 테일 게이트 래치(100) 내부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통해 릴리즈 레버(140)를 작동할 수 없으므로 비상 레버(160)를 사용하게 된다.
즉, 수동으로 비상 레버(160)의 가압부(166)를 가압하면 비상 레버(160)가 회동하면서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한 절곡편(164)이 릴리즈 레버(140)의 비상 해제편(146)을 밀게 된다.
비상 해제편(146)이 밀리면서 릴리즈 레버(140)를 회전시키면, 릴리즈 레버(140)에 형성된 해제편(144)이 파울 레버(130)를 밀어 파울 레버(130)와 래치(120) 간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래치(120)가 로킹 상태에서 언로킹 상태로 전환되므로 릴리즈 레버(140)가 파손되더라도 테일 게이트 래치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도어의 파손 및 고장으로 차량에 탑승객 갇힌 상황에서 탑승객이 수동으로 비상 레버를 조작하여 테일 게이트 래치를 개방함으로써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테일 게이트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언로킹 상태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언로킹 상태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래치 및 파울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로킹 상태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로킹 상태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래치 및 파울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비상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테일 게이트 래치에서 릴리즈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테일 게이트 래치 110 : 하우징
120 : 래치 130 : 파울레버
140 : 릴리즈 레버 142 : 레버 바디
144 : 해제편 146 : 비상 해제편
150 : 클로즈 레버 160 : 비상 레버
162 : 바디 164 : 절곡편
166 : 가압부 168 : 지지 스프링
200 : 액추에이터 210 : 케이블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평편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외측면이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원호 형상의 외주면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홈(126)과, 상기 래치홈(126)과 이격되어 원호 형상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1차 로킹홈(122) 및 2차 로킹홈(124)이 형성된 래치(120);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1차 로킹홈(122) 및 2차 로킹홈(124)에 걸림으로써 상기 래치(120)를 1단 로킹 및 2단 로킹시키는 걸림부(132)가 형성된 파울 레버(130);
    상기 래치(12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래치(120)의 1단 로킹 상태에서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210)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200)의 작동 시 상기 래치(120)를 2단 로킹 상태로 회전시키는 클로즈 레버(150);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되며, 유선형의 릴리즈 바디(142)와, 상기 릴리즈 바디(14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 절곡되어 상기 파울 레버(130)의 단부에 접촉하는 해제편(144)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14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회전축(16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작동시 상기 릴리즈 레버(140)가 상기 파울 레버(130)를 상기 래치(120)로부터 로킹 해제시키도록 상기 릴리즈 레버(140)를 밀어 회전시키는 비상 레버(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레버(140)는 상기 해제편(144)과 인접한 상기 릴리즈 바디(142)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대해 상향 절곡되어 상기 비상 레버(160)에 접촉하는 비상 해제편(1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160)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 절곡 연장된 레버 바디(162)와, 상기 레버 바디(162)의 절곡 연장된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회전 동작시 상기 비상 해제편(146)을 밀어 상기 릴리즈 레버(140)를 회전시키는 절곡편(1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레버 바디(16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회전 동작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가압부(1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 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10)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167)에 권취된 후 타단이 레버 바디(162)에 지지되어 회전 동작 후 상기 비상 레버(160)를 회전 동작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16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KR1020070123472A 2007-11-30 2007-11-30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KR10088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72A KR100886073B1 (ko) 2007-11-30 2007-11-30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72A KR100886073B1 (ko) 2007-11-30 2007-11-30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073B1 true KR100886073B1 (ko) 2009-02-26

Family

ID=4068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472A KR100886073B1 (ko) 2007-11-30 2007-11-30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0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88B1 (ko) * 2009-05-26 2011-03-2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테일게이트 래치
KR101163467B1 (ko) 2010-03-31 201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래치 비상 해제 장치
KR101583149B1 (ko) * 2014-08-11 2016-01-0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01B1 (ko) 2001-06-25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래치
KR100736977B1 (ko) 2005-12-07 2007-07-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래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01B1 (ko) 2001-06-25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래치
KR100736977B1 (ko) 2005-12-07 2007-07-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래치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88B1 (ko) * 2009-05-26 2011-03-2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테일게이트 래치
KR101163467B1 (ko) 2010-03-31 201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래치 비상 해제 장치
KR101583149B1 (ko) * 2014-08-11 2016-01-0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99500B (zh) 具闩锁机构和带重置装置的外侧释放机构的闭合闩锁组件
KR102005604B1 (ko) 플랩 또는 도어 용 록
US20150204118A1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20050230982A1 (en) Vehicle door inside handle assembly
US20110204660A1 (en) Vehicular latch with single notch ratchet
JP6980966B2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US8881564B2 (en) Free floating paddle actuation system
KR100886073B1 (ko)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KR100535081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구조
KR100853908B1 (ko)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파워 클로징 도어 래치
EP1084323B1 (en) Latch mechanism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KR20150106003A (ko) 차량 도어 록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20110086336A (ko) 후드 래치 어셈블리
JP4095543B2 (ja) ドア開閉装置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410854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2단 잠김구조
JP4477445B2 (ja) タイヤラックの開閉機構
KR10065552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JP6442757B2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KR100980717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록킹 어셈블리
KR200377616Y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