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149B1 -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149B1
KR101583149B1 KR1020140103908A KR20140103908A KR101583149B1 KR 101583149 B1 KR101583149 B1 KR 101583149B1 KR 1020140103908 A KR1020140103908 A KR 1020140103908A KR 20140103908 A KR20140103908 A KR 20140103908A KR 101583149 B1 KR101583149 B1 KR 10158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mergency
emergency lever
elastic
elastic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준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14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는: 래치하우징에 마련되는 레버결합부와, 레버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동되며 래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비상레버부와, 비상레버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형태로 비상레버부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EMERGENCY LEVER APPARATUS OF TAILGATE LATCH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시 테일게이트 래치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V(Recreational Vehicle),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등의 후방에는 일반 차량과 비교해 보다 확장된 개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테일 게이트 도어가 마련된다. 테일게이트의 하부에는 테일게이트 래치가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을 수행한다. 통상 테일게이트 래치는 차체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테일게이트측에 설치되고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모듈로 구성된다.
종래에 래치모듈에 마련되는 비상레버는 금속 판재를 절단 및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고, 별도로 마련된 금속재 토션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금속재로 이루어진 비상레버의 중량만큼 래치모듈의 하중이 증가되어, 테일게이트 개방 시 테일게이트를 상측으로 젖혀 올리는데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수동으로 젖혀 올리는 경우에도 불편함이 가중되어 보다 경량화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차량 사고가 발생된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약화된 상태일 수 있는데 이러한 다급한 상황에서 비상레버를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해 테일게이트를 상측으로 젖혀 올리는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또한, 토션스프링부재가 금속 선재(線材)로 이루어짐에 따라 물, 습기 등에 취약하여 녹슬거나 탄성력이 저하됨으로써 비상 시 개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86073호(2009.2.20. 등록, 발명의 명칭 :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물, 습기 등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비상 시 테일게이트 래치를 개방시키는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는: 래치하우징에 마련되는 레버결합부; 상기 레버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래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비상레버부; 및 상기 비상레버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형태로 상기 비상레버부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결합부는, 상기 비상레버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레버결합축부; 상기 레버결합축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상레버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레버결합축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결합축부는, 상기 비상레버부에 마련된 축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축부; 상기 조립축부의 둘레에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상레버부에 마련된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진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탈을 구속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래치하우징의 외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와 접하며, 상기 탄성연장부를 지지하는 탄성접촉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가 상기 탄성접촉부의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상기 탄성연장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레버부는, 상기 레버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동축부; 상기 회동축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외부레버부; 및 상기 회동축부에서 상기 잠금장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잠금장치를 가압하는 내부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레버결합부에 마련된 조립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축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의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결합부에 마련된 이탈방지턱부에 걸려 정위치 이탈이 구속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비상레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연결부; 및 상기 레버연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형태로 상기 비상레버부를 탄성 가압하며, 상기 비상레버부가 반대방향으로 회동 시 더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에 의하면, 비상레버부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연장부가 비상레버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플라스틱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 소재로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금속재로 비상레버를 제작하던 경우와 비교해 보다 경량의 무게를 가지면서도 물, 습기 등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비상 시 테일게이트 래치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는 비상레버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의 합성수지 소재로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에 비상레버를 금속재로 구성하던 경우 비상레버의 하중으로 인해 테일게이트 개방 시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수동으로 젖혀 올리는 경우에 불편함이 가중되던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 습기 등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에 금속 선재로 이루어진 토션스프링부재가 물, 습기 등으로 인해 녹슬거나 탄성력이 저하됨으로써 비상 시 개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던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일체로 제작한 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레버결합부의 정위치에 조립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비상레버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금속 판재를 절단 및 프레스 가공하여 비상레버를 제작하고, 별도의 리벳팅부재와 공구를 마련하여 리벳팅 등의 공정에 의해 래치하우징에 축결합하며, 토션스프링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비상레버와 래치하우징에 조립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부품 삭제 및 공정 단순화에 따른 인건비 감소 및 생산성 향상, 이에 따른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정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배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30)는 레버결합부(31), 비상레버부(32), 탄성연장부(33)를 포함한다.
레버결합부(31)는 래치하우징(10)의 외면부상에 형성되며, 비상레버부(32)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비상레버부(32)는 레버결합부(31)에 조립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회동되며 래치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20)에 작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작동력은 스트라이커(S)를 구속한 상태의 잠금장치(20)가 스트라이커(S)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작동되는 데 요구되는 힘을 의미한다. 탄성연장부(33)는 비상레버부(32)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형태로 비상레버부(32)를 일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여기서 일방향은 비상레버부(32)의 회동방향 중 일측,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상에서는 반시계방향을 의미한다.
래치하우징(10)은 잠금장치(20)와 비상레버장치(30)를 설치가능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래치하우징(10)은 잠금장치(20)를 커버링하면서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하부에 설치된다. 비상레버장치(30)는 래치하우징(10)의 외면부에 설치되며, 단부가 래치하우징(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잠금장치(20)와 마주하게 된다.
잠금장치(20)는 래치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스트라이커(S)를 구속하거나 스트라이커(S)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을 한다. 차량의 테일게이트를 하측으로 내리면서 테일게이트를 닫는 경우, 테일게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S)가 잠금장치(20)로 진입되면서 잠금장치(20)에 의해 구속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20)는 클로(claw)레버(21)와 포올(pawl)레버(24)를 포함한다.
클로레버(21)는 스크라이커(S)가 출입되는 홈부를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포올레버(24)는 클로레버(21)측으로 탄성지지되게 설치된다. 차량의 테일게이트를 닫는 동작을 수행 시 클로레버(21)는 홈부로 진입한 스트라이커(S)에 밀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S)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포올레버(24)는 클로레버(21)에 형성된 잠금홈부(22)에 걸린 상태가 되며, 클로레버(21)는 포올레버(24)에 의해 임의의 회전이 구속된다.
비상레버부(32)의 회동 시, 비상레버부(32)의 단부는 포올레버(24)에 마련된 비상레버접촉부(25)를 가압하여 포올레버(24)를 회동시키게 된다. 포올레버(24)가 비상레버부(32)에 밀려 회동되면서 클로레버(21)로부터 이격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의 클로레버(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초기 각도로 복귀되면서 스트라이커(S)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포올레버(24)는 클로레버(21)에 형성된 개방홈부(23)에 걸린 상태가 되며, 클로레버(21)는 포올레버(24)에 의해 임의의 회전이 구속된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결합부(31)는 레버결합축부(311), 스토퍼부(315), 지지부(316)를 포함한다.
레버결합축부(311)는 비상레버부(32)에 마련된 회동축부(321)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결합축부(311)는 조립축부(312), 가이드홈부(313), 이탈방지턱부(314)를 포함한다.
조립축부(312)는 비상레버부(32)의 회동중심축을 이루는 부분으로, 회동축부(321)의 중앙부에 마련된 축결합부(322)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조립축부(312)는 핀형상을 가지고 래치하우징(10)의 외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축결합부(322)는 핀형상의 조립축부(312)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조립축부(312)의 둘레에 끼워져 조립된다. 조립축부(312)와 축결합부(322)를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축결합부(322)를 조립축부(312)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홈부(313)는 회동축부(321) 중 축결합부(322)의 외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부(323)의 이동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조립축부(312)의 둘레에 원형 또는 호(弧)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23)는 가이드홈부(313)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홈부(313)가 이루는 원형 또는 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예를 들어, 비상레버부(32)가 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이탈방지부(323)는 가이드홈부(313)가 이루는 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탈방지턱부(314)는 가이드홈부(313)에 끼워진 이탈방지부(323)의 이탈을 구속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홈부(313)의 가장자리부에 가이드홈부(313)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턱부(314)는 이탈방지부(323)를 가이드홈부(313)에 삽입하는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탈방지부(323)가 가이드홈부(31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홈부(313)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개가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개의 이탈방지턱부(314)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314a)를 통해 이탈방지부(323)가 가이드홈부(313)로 진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레버부(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레버부(32)의 좌측부가 스토퍼부(315)에 걸리도록 셋팅한 상태에서는 이탈방지부(323)가 이탈방지턱부(314)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후 테일게이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비상레버부(32)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더라도 이탈방지부(323)는 이탈방지턱부(31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토퍼부(315)는 비상레버부(32)의 셋팅 각도를 일정하게 설정,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스토퍼부(315)는 레버결합축부(311)의 일측에, 도 1, 도 2, 도 4상에서는 비상레버부(32)의 회동 범위 중 반시계방향측 경계부에 위치되는 좌측에 배치된다. 스토퍼부(315)는 래치하우징(10)의 외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비상레버부(32)의 일방향 회동을, 즉 반시계방향 회동을 구속한다.
지지부(316)는 탄성연장부(33)가 휘어진 형태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부(316)는 레버결합축부(311)의 타측에 배치된다. 즉, 레버결합축부(311)를 기준으로 하여 스토퍼부(315)와 반대측에, 도 1, 도 2, 도 4상에서는 비상레버부(32)의 우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16)는 탄성접촉부(317)와 유동방지부(318)를 포함한다.
탄성접촉부(317)는 래치하우징(10)의 외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연장부(33)의 시계방향 일측면과 접하며, 탄성연장부(33)를 반시계방향으로 지지한다. 유동방지부(318)는 탄성연장부(33)가 비상레버부(32)의 회동에 연동하여 변형 및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접촉부(317)의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탄성접촉부(317)의 단부상에 탄성연장부(33)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성연장부(33)는 유동방지부(318)에 걸려 탄성접촉부(317)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정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배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비상레버부와 탄성연장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레버부(32)는 회동축부(321), 외부레버부(324), 내부레버부(326)를 포함한다.
회동축부(321)는 레버결합부(31)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축부(321)는 축결합부(322)와 이탈방지부(323)를 포함한다.
축결합부(322)는 레버결합부(31)의 조립축부(31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부분이다. 축결합부(322)의 형상과 조립 구조에 대해서는 조립축부(312)에 관한 설명에서 부연한 바를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탈방지부(323)는 축결합부(322)의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23)는 레버결합부(31)의 가이드홈부(313)에 삽입되며, 레버결합부(31)의 이탈방지턱부(314)에 걸려 가이드홈부(313) 외부로의 이탈이 구속된다. 이탈방지부(323)는 단턱을 구비하여 가이드홈부(313)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탈방지부(323)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턱부(314)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가이드홈부(313) 내부까지 연장되는 후방돌출부(323a)와, 후방돌출부(323a)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홈부(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턱부(314)에 걸리게 되는 단턱부(323b)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외부레버부(324)는 회동축부(32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325)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가압부(325)를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파지한 상태로 젖히는 동작을 수동으로 행함으로써 외부레버부(324)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가압부(325)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파지할 수 있는 조작면을 제공한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레버부(324)의 후면부상에는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외부레버부(324)의 휨강성을 보강한다.
내부레버부(326)는 회동축부(321)에서 잠금장치(20)측으로 연장되며, 래치하우징(10)을 관통하여 잠금장치(20)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올레버(24)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내부레버부(326)는 가압부(325)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외부레버부(324)와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회동되며 포올레버(24)를 가압한다. 내부레버부(326)의 전면부상에는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레버부(326)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내부레버부(326)의 휨강성을 보강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연장부(33)는 레버연결부(331)와 연장부(335)를 포함한다.
레버연결부(331)는 비상레버부(32)와의 연결부로, 비상레버부(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레버연결부(331)는 비상레버부(32)의 회전중심부인 회동축부(321)상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상레버부(32)의 회동 시 그 변위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탄성연장부(33)가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탄성연장부(33)가 반시계방향측으로, 도 1, 도 2상에서는 상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유지됨에 따라, 레버연결부(331) 중 반시계방향 일면부상에는 압축 응력이, 시계방향 일면부상에는 인장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중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면, 레버연결부(331)가 비상레버부(32)에 고정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연장부(335)의 휨 변형에 연동하여 그 거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레버연결부(331) 중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이 자유단(自由斷, free end)의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레버연결부(331)에 탄성력,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연결부(331)에 작용하는 응력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연장부(335)는 레버연결부(33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고 비상레버부(32)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여기서 반경방향은 비상레버부(32)의 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비상레버부(3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연장부(335)는 더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상레버부(32)의 회동 시 연장부(335)의 단부는 점차 하측으로 이동되다가 비상레버부(32)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연장부(335)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다시 상향 복귀된다.
연장부(335)를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휘어지는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장부(335)가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연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316)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와 같이 변형, 이동되는 연장부(335)가 탄성력과 함께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상레버부(32)에 작용하는 외력을 해제 시, 연장부(335)가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지지부(316)와 접한 상태로 하향 또는 상향 이동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는 합성수지 소재로 일체로 제작된 후, 레버결합부(31)에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은, 회동축부(321)의 축결합부(322)와 이탈방지부(323)를 각각 레버결합축부(311)의 조립축부(312)와 가이드홈부(313)에 계합시키고, 탄성연장부(33)를 지지부(316)에 접촉시킨 후, 비상레버부(32)의 좌측부가 스토퍼부(315)에 걸리도록 비상레버부(32)를 시계방향으로 젖히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비상레버부(32)는 탄성연장부(33)에 의해 스토퍼부(315)측으로 탄성지지된 상태가 되며,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는 각각 이탈방지턱부(314)와 유동방지부(318)에 의해 정위치 이탈이 구속된다. 여기서 정위치는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 각각의 이동이 허락된 설정 범위 이내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부(325)에 외력을 가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레버부(32)를 시계방향으로 젖히면, 탄성연장부(33)는 더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이때, 비상레버부(32) 중 잠금장치(20)와 마주하는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장치(20)에 작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잠금장치(20)의 잠금 해제 작동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면서 스트라이커(S)를 구속하는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상레버부(32)는 래치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전자부품의 단자와 래치하우징(10)의 외부에 마련된 전장품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단자연결부(319)에 걸려 그 시계방향 회동 각도가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비상레버부(32)의 시계방향측에, 도 1, 도 2, 도 9상에서는 우측에 위치되는 요소의 위치나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스토퍼수단을 마련하는 일 없이 비상레버부(32)의 시계방향 회동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에 의하면, 비상레버부(32)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연장부(33)가 비상레버부(32)상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를 플라스틱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합성수지 소재로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금속재로 비상레버를 제작하던 경우와 비교해 보다 경량의 무게를 가지면서도 물, 습기 등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비상 시 테일게이트 래치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량의 합성수지 소재로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에 비상레버를 금속재로 구성하던 경우 비상레버의 하중으로 인해 테일게이트 개방 시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수동으로 젖혀 올리는 경우에 불편함이 가중되던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물, 습기 등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에 금속 선재로 이루어진 토션스프링부재가 물, 습기 등으로 인해 녹슬거나 탄성력이 저하됨으로써 비상 시 개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던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비상레버부(32)와 탄성연장부(33)를 일체로 제작한 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레버결합부(31)상의 정위치에 조립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비상레버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금속 판재를 절단 및 프레스 가공하여 비상레버를 제작하고, 별도의 리벳팅부재와 공구를 마련하여 리벳팅 등의 공정에 의해 래치하우징에 축결합하며, 토션스프링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비상레버와 래치하우징에 조립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부품 삭제 및 공정 단순화에 따른 인건비 감소 및 생산성 향상, 이에 따른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래치하우징 20 : 잠금장치
21 : 클로레버 22 : 잠금홈부
23 : 개방홈부 24 : 포올레버
25 : 비상레버접촉부 30 : 비상레버장치
31 : 레버결합부 32 : 비상레버부
33 : 탄성연장부 311 : 레버결합축부
312 : 조립축부 313 : 가이드홈부
314 : 이탈방지턱부 314a : 개방부
315 : 스토퍼부 316 : 지지부
317 : 탄성접촉부 318 : 유동방지부
319 : 단자연결부 321 : 회동축부
322 : 축결합부 323 : 이탈방지부
323a : 후방돌출부 323b : 단턱부
324 : 외부레버부 325 : 가압부
326 : 내부레버부 331 : 레버연결부
335 : 연장부 S : 스트라이크

Claims (7)

  1. 래치하우징에 마련되는 레버결합부;
    상기 레버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래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비상레버부; 및
    상기 비상레버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형태로 상기 비상레버부를 탄성가압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결합부는,
    상기 비상레버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레버결합축부;
    상기 레버결합축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상레버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레버결합축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결합축부는,
    상기 비상레버부에 마련된 축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축부;
    상기 조립축부의 둘레에 원형 또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상레버부에 마련된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진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탈을 구속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래치하우징의 외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와 접하며, 상기 탄성연장부를 지지하는 탄성접촉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가 상기 탄성접촉부의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상기 탄성연장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레버부는,
    상기 레버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동축부;
    상기 회동축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외부레버부; 및
    상기 회동축부에서 상기 잠금장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잠금장치를 가압하는 내부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레버결합부에 마련된 조립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축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의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결합부에 마련된 이탈방지턱부에 걸려 정위치 이탈이 구속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비상레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연결부; 및
    상기 레버연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형태로 상기 비상레버부를 탄성 가압하며, 상기 비상레버부가 반대방향으로 회동 시 더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KR1020140103908A 2014-08-11 2014-08-11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KR10158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08A KR101583149B1 (ko) 2014-08-11 2014-08-11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08A KR101583149B1 (ko) 2014-08-11 2014-08-11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149B1 true KR101583149B1 (ko) 2016-01-07

Family

ID=5516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908A KR101583149B1 (ko) 2014-08-11 2014-08-11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752A (zh) * 2019-06-24 2019-08-16 宁波市勇博车业有限公司 具有紧急释放杆的汽车尾门锁
CN110173171A (zh) * 2019-06-24 2019-08-27 宁波市勇博车业有限公司 汽车尾门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24Y1 (ko) * 2002-11-08 2003-02-12 주식회사 신흥기공 자동차 트렁크 비상 개방장치
KR100886073B1 (ko) * 2007-11-30 2009-02-26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KR101338257B1 (ko) * 2012-05-21 2013-12-06 주식회사 모코 트렁크 리드 래치의 비상용 레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24Y1 (ko) * 2002-11-08 2003-02-12 주식회사 신흥기공 자동차 트렁크 비상 개방장치
KR100886073B1 (ko) * 2007-11-30 2009-02-26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KR101338257B1 (ko) * 2012-05-21 2013-12-06 주식회사 모코 트렁크 리드 래치의 비상용 레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752A (zh) * 2019-06-24 2019-08-16 宁波市勇博车业有限公司 具有紧急释放杆的汽车尾门锁
CN110173171A (zh) * 2019-06-24 2019-08-27 宁波市勇博车业有限公司 汽车尾门锁
CN110130752B (zh) * 2019-06-24 2024-06-25 宁波市勇博车业有限公司 具有紧急释放杆的汽车尾门锁
CN110173171B (zh) * 2019-06-24 2024-07-12 宁波市勇博车业有限公司 汽车尾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429B2 (en) Latch apparatus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10273724B2 (en) Door lock device
US9181734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CN106661904B (zh) 车辆用门锁装置
JP6240922B2 (ja) 自動車用ロックおよび製造方法
US20120112477A1 (en) Movable wedge device for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and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US10094147B2 (en) Rear compartment latch with power and manual release mechanism
US10941591B2 (en) Vehicle tailgate locking device
WO2014045933A1 (ja) 乗物用ラッチ装置
EP3073036B1 (en)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US20210355722A1 (en) Motor vehicle lock
JP7380693B2 (ja) 自動車用ロック
US10526823B2 (en) Vehicle door latching device
US10352069B2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10158314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US9534426B2 (en) Child protector mechanism
KR20190107407A (ko)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EP3665348B1 (en)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0597908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EP2940235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2015231770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WO2013035605A1 (ja) 車両用ドアのロック装置
EP2894284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7000736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