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977B1 - 파워래치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워래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977B1
KR100736977B1 KR1020050118705A KR20050118705A KR100736977B1 KR 100736977 B1 KR100736977 B1 KR 100736977B1 KR 1020050118705 A KR1020050118705 A KR 1020050118705A KR 20050118705 A KR20050118705 A KR 20050118705A KR 100736977 B1 KR100736977 B1 KR 10073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ork
locked state
fork lev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640A (ko
Inventor
임남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고,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부드러운 작동 조작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작동성을 제공하는 내구성 있는 파워래치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워래치시스템{POWER LATCH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래치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베이스플레이트 3; 포크레버
5; 폴레버
7; 리턴스프링 9; 록킹스프링
11; 회동각감지홈 13; 마이크로스위치
15; 신칭모터 17; 크랭크암
19; 신칭레버 21; 오픈레버
23; 록킹레버 25; 피작동핀
27; 가이드핀 29; 핀운동가이드
31; 서브플레이트 33; 오픈스프링
35; 해제모터 37; 매개기어
39; 오픈기어 41; 호형기어
43; 비상레버 45; 해제돌기
47; 래치커버
본 발명은 파워래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나 테일게이트 등에 사용되는 래치장치를 전동식으로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SUV차량 등은 테일게이트를 구비한 경우가 많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일게이트의 잠금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래치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핸들이나 레버 등을 조작하면, 그 조작력을 케이블이나 로드로 전달하여 래치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을 기구적인 메커니즘으로 래치장치에 전달하고, 이 힘으로 래치장치가 구동되면,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등으로 조작력의 전달효율이 떨어져서, 원활하고 부드러운 작동감을 얻기 어려우며,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파손이나 변형 등에 의해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고,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부드러운 작동 조작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작동성을 제공하는 내구성 있는 파워래치시스템을 제 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파워래치시스템은
스트라이커가 삽입될 홈을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됨에 의해 포크부에 끼워진 스트라이커의 잠김상태를 전환하되, 회동각도에 따라 2단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김상태를 구현하는 포크레버와;
상기 포크레버가 상기 포크부에 끼워진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레버와;
상기 포크레버가 1단잠김상태를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으로 상기 포크레버를 회동시켜 2단잠김상태로 전환하는 신칭수단과;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상기 폴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포크레버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상기 신칭수단과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삽입될 홈을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가능하게 설 치되고, 회동됨에 의해 포크부에 끼워진 스트라이커의 잠김상태를 전환하되, 회동각도에 따라 2단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김상태를 구현하는 포크레버(3)와; 상기 포크레버(3)가 상기 포크부에 끼워진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레버(5)와; 상기 포크레버(3)가 1단잠김상태를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으로 상기 포크레버(3)를 회동시켜 2단잠김상태로 전환하는 신칭(cinching)수단과;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상기 폴레버(5)를 회동시켜 상기 포크레버(3)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상기 신칭수단과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에는 사용자가 테일게이트의 아웃터핸들(미도시)을 조작하는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해제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크레버(3)는 원주부분에 상기 폴레버(5)에 의해 걸릴 수 있는 2단의 걸림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걸림턱이 걸린 상태에 따라 1단잠금상태와 2단잠금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포크레버(3)는 도 3 내지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해제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이 해제방향으로 회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7)이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에 함께 구비되어있다.
상기 폴레버(5)는 도 3 내지 6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록킹스프링(9)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신칭수단은 상기 포크레버(3)에 형성된 회동각감지홈(11)과; 상기 회동각감지홈(11)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신칭모터(15)와; 상기 신칭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포크레버(3)를 2단잠김상태로 회동시키는 신칭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칭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신칭모터(15)의 회전력으로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에 수직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크랭크암(17)과; 상기 크랭크암(17)에 연결된 링크에 의해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에 수직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신칭레버(19)와; 상기 신칭레버(19)에 의해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오픈레버(21)와; 상기 오픈레버(21)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오픈레버(21)에 대하여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상에서 병진운동하여 상기 포크레버(3)를 2단잠김상태로 회동시키는 록킹레버(23)와; 상기 록킹레버(23)의 조작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포크레버(3)에 돌출된 피작동핀(25)과; 상기 록킹레버(23)의 회동 및 병진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록킹레버(23)에 돌출된 가이드핀(27)과; 상기 가이드핀(27)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설치된 핀운동가이드(29)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신칭모터(15)와 신칭레버(19)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연결되는 서브플레이트(3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픈레버(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축이 장착되고 그 회동축에는 상기 오픈레버(21)가 상기 신칭레버(19)를 미는 방향으로 상기 오픈레버(21)를 탄지하는 오픈스프링(33)이 설 치되어 있다.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고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과 수직한 회동축을 갖는 해제모터(35)와; 상기 해제모터(35)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매개기어(37)와; 상기 매개기어(37)에 연결되어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회동되어, 상기 폴레버(5)를 회동시키는 오픈기어(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픈기어(39)의 회동축에는 호형기어(41)가 구비되어 상기 매개기어(37)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오픈기어(39)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레버(5)에는 비상시에 수동으로 폴레버(5)를 회동시켜 상기 포크레버(3)가 해제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레버(4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파워래치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테일게이트가 불완전한 잠김상태인 1단잠김상태에서 2단잠김상태로 자동적으로 신칭되는 작동을 살펴본다.
테일게이트를 닫는 힘이 부족하거나 하는 등의 원인으로 도 3과 같이 포크레버(3)가 1단잠김상태 까지만 회동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13)가 상기 포크레버(3)의 회동각감지홈(11)에 의해 포크레버(3)의 회동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현재 1단잠김상태에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신칭모터(15)를 구동하여, 상기 크랭크가 상기 신 칭레버(19)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신칭레버(19)의 회동력은 상기 오픈레버(21)에 전달되고, 이 힘은 상기 록킹레버(23)를 회동 및 병진운동시켜서 상기 록킹레버(23)가 포크레버(3)의 피작동핀(25)을 밀어서 포크레버(3)가 2단잠김상태로 회동되도록 한다.
마이크로스위치(13)는 상기와 같이 포크레버(3)가 2단잠김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칭모터(15)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크랭크와 신칭레버(19)를 원위치시키고, 상기 오픈레버(21) 및 록킹레버(23)는 상기 오픈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되어 신칭작동을 완료한다.
도 7과 도 8은 사용자가 아웃터핸들을 작동시킨 경우에 컨트롤러가 포크레버(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작용이 도시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아웃터핸들의 작동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해제모터(35)를 구동하여, 그 회전력이 상기 매개기어(37)를 통해 상기 오픈기어(39)를 회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오픈기어(39)는 도 8과 같이 상기 폴레버(5)에 돌출된 해제돌기(45)를 밀어서 폴레버(5)가 록킹스프링(9)의 힘을 이기고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포크레버(3)가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폴레버(5)에 연결된 비상레버(43)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래치커버(47)에 힌지축으로 고정되며 사용자가 비상레버(43)를 조작함에 의해 인위적으로 상기 폴레버(5)가 포크레버(3)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 시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고,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부드러운 작동 조작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작동성을 제공하는 내구성 있는 파워래치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6)

  1. 스트라이커가 삽입될 홈을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됨에 의해 포크부에 끼워진 스트라이커의 잠김상태를 전환하되, 회동각도에 따라 2단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김상태를 구현하는 포크레버와;
    상기 포크레버가 상기 포크부에 끼워진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레버와;
    상기 포크레버가 1단잠김상태를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으로 상기 포크레버를 회동시켜 2단잠김상태로 전환하는 신칭수단과;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상기 폴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포크레버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상기 신칭수단과 상기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신칭수단은 상기 포크레버에 형성된 회동각감지홈과, 상기 회동각감지홈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신칭모터와, 상기 신칭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포크레버를 2단잠김상태로 회동시키는 신칭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칭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신칭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포크레버의 회동축에 수직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크랭크암과, 상기 크랭크암에 연결된 링크에 의해 상기 포크레버의 회동축에 수직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신칭레버와, 상기 신칭레버에 의해 상기 포크레버의 회동축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오픈레버와, 상기 오픈레버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오픈레버에 대하여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에서 병진운동하여 상기 포크레버를 2단잠김상태로 회동시키는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레버의 조작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포크레버에 돌출된 피작동핀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고 상기 포크레버의 회동축과 수직한 회동축을 갖는 해제모터와, 상기 해제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포크레버의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되는 매개기어와, 상기 매개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포크레버의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회동되어, 상기 폴레버를 회동시키는 오픈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래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의 회동 및 병진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록킹레버에 돌출된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핀운동가이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래치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레버에는 비상시에 수동으로 폴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포크레버가 해제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레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래치시스템.
KR1020050118705A 2005-12-07 2005-12-07 파워래치시스템 KR10073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705A KR100736977B1 (ko) 2005-12-07 2005-12-07 파워래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705A KR100736977B1 (ko) 2005-12-07 2005-12-07 파워래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40A KR20070059640A (ko) 2007-06-12
KR100736977B1 true KR100736977B1 (ko) 2007-07-09

Family

ID=3835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705A KR100736977B1 (ko) 2005-12-07 2005-12-07 파워래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073B1 (ko) 2007-11-30 2009-02-26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344A (en) * 1987-06-16 1989-01-19 Erowa Ag Tool housing magazine including tool exchanger and work housing magazine including work exchanger
JPH116344A (ja) 1997-06-17 1999-01-12 Asmo Co Ltd 扉体の施解錠装置
KR20000002612U (ko) 1998-07-09 2000-02-07 홍종만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JP2002250162A (ja) * 2001-02-26 2002-09-06 Aisin Seiki Co Ltd 車両ドア開閉装置
KR20030039752A (ko) 2001-11-14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2단 잠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344A (en) * 1987-06-16 1989-01-19 Erowa Ag Tool housing magazine including tool exchanger and work housing magazine including work exchanger
JPH116344A (ja) 1997-06-17 1999-01-12 Asmo Co Ltd 扉体の施解錠装置
KR20000002612U (ko) 1998-07-09 2000-02-07 홍종만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JP2002250162A (ja) * 2001-02-26 2002-09-06 Aisin Seiki Co Ltd 車両ドア開閉装置
KR20030039752A (ko) 2001-11-14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2단 잠김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개2002-250162
특개평11-634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073B1 (ko) 2007-11-30 2009-02-26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40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239B2 (en) Vehicle door opening closing device
US6017067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JP477534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7434853B2 (en) Door latch apparatus
JP497280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EP3115529B1 (en) Vehicle door look control
US7762594B2 (en) Uni-directional cinching latch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a cinching latch assembly
US6655179B2 (en)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JP2002081250A (ja) 動力クローズ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の安全装置
JP4072111B2 (ja) 動力装置
KR100853908B1 (ko)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파워 클로징 도어 래치
KR20160030026A (ko)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
KR100736977B1 (ko) 파워래치시스템
WO2016098158A1 (ja) 開放制御装置
US11384572B2 (en)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and door system provided with door latch device
JP444887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中継操作装置
JP4173982B2 (ja) キャビネットの施解錠装置
JP367398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CA2427054A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KR102219164B1 (ko) 테일 게이트와 트렁크에 적용되는 래치
JPH10159421A (ja) 車両バックドア等のラッチ装置
JP670706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171921B1 (ko) 전동식 게이트 래치 시스템
JP4399214B2 (ja) 開閉体のクロージャ装置
KR20080009840A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