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704B1 -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704B1
KR100885704B1 KR1020070135034A KR20070135034A KR100885704B1 KR 100885704 B1 KR100885704 B1 KR 100885704B1 KR 1020070135034 A KR1020070135034 A KR 1020070135034A KR 20070135034 A KR20070135034 A KR 20070135034A KR 100885704 B1 KR100885704 B1 KR 100885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cable
wir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원상
서수찬
김효수
Original Assignee
함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원상 filed Critical 함원상
Priority to KR102007013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rk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 번의 동작으로 커넥터를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팅된 길이로 절단가능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커팅된 부분의 정밀도가 향상됨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은, 이러한 목적은 권취된 케이블을 가이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피딩부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후단에 상기 이송된 케이블에 대한 기준선을 제공함과 아울러 보강테이프에 걸림부를 형성 절단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커팅수단과, 상기 와이어 부분과 상기 커팅수단에 형성된 기준선을 촬영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젼카메라부와, 상기 비젼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니터부와, 상기 모니터부를 통하여 와이어의 편심됨에 따른 상기 커팅수단을 보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정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상기 피딩부와, 비젼카메라부와, 모니터부 및 커팅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어버튼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Figure R1020070135034
연성 다심 케이블, 보강테이프, 걸림부, 커팅

Description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Forming Apparatus for Hook of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본 발명은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된 도체 와이어의 일면에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중에 화상인식 구조를 통한 정확한 계측과 보정과정에 의해 한 번의 동작으로 커넥터를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팅된 길이로 절단가능하도록 한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연성 다심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은 연성재료인 폴리에스테르(Polyester;PET) 또는 폴리아미드(Polyimide;PI)와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복잡한 회로를 상기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하게 되는 일종의 회로기판으로서, 휨, 겹침, 접힘, 말림, 꼬임, 등의 유연성이 우수하여 공간의 유효한 이용과 입체 배선 등을 필요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카 스테레오, 컴퓨터와 프린터의 헤드 부분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연성 다심 케이블은, 평행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재 도체 와이어와, 상기 도체 와이어를 감싸는 커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완제품의 경우에는 양 선단에 일정 길이 만큼 커버 필름이 제거되어 도체 와이어가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된 도체 와이어의 배면에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이른바 단자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일정한 길이로 커팅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커팅날을 갖는 커팅수단를 통하여 제품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면에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노출부를 커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팅된 노출부에는 전자제품의 인터페이스부와 연결 접속시 걸림가능하도록 걸림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팅시켜 걸림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용하여 걸림부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체 와이어가 노출된 노출부를 커팅시킨 후, 걸림부를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커팅기를 통하여 커팅시킴으로써 걸림부를 형성하게 되는 바, 이러한 종래의 커팅방식에 의하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커팅된 부분의 정밀도가 떨어짐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중에 모니터부를 통한 정확한 판독과 보정과정에 의해 한 번의 동작으로 커넥터를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팅된 길이로 절단가능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중에 모니터부를 통한 정확한 판독과 보정과정에 의해 한 번의 동작으로 커넥터를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팅된 길이로 절단가능하게 됨으로써, 커팅된 부분의 정밀도가 향상됨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노출된 도체 와이어의 일면에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 완료시킴에 따른 상기 보강테이프의 양측단에 커넥터와 접속시 걸림되는 걸림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된 케이블을 가이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피딩부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의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와이어 부분을 감지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후단에 상기 이송된 케이블에 대한 기준선을 제공함과 아울러 보강테이프에 걸림부를 형성 절단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좌,우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커팅수단과, 상기 커팅수단과 감지센서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송에 따른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와이어 부분과 상기 커팅수단에 형성된 기준선을 촬영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젼카메라부와, 상기 비젼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기준선에 대하여 이송된 케이블의 편심 여부를 비교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니터부와, 상기 모니터부를 통하여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와이어의 편심됨에 따른 상기 커팅수단을 보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정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상기 피딩부와, 비젼카메라부와, 모니터부 및 커팅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어버튼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커팅용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그 일단이 상기 보정부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보정용 이동부재와, 상기 보정용 이동부재의 좌,우이동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상면에 고정 안착되어 케이블의 보강테이프의 양면에 걸림부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절단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커팅날을 갖는 고정커팅부와, 상기 고정커팅부의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와 일단이 접속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상하 직선 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 면 중앙부에는 상기 비젼카메라부가 케이블의 와어어 부분을 촬영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기준선이 각인된 기준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커팅날과 대응되게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커팅날을 갖는 이동커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노출된 도체 와이어의 일면에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 완료시킴에 따른 상기 보강테이프의 양측단에 커넥터와 접속시 걸림되는 걸림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을 피딩부에 개재시키기 위한 설치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피딩부에 설치된 케이블을 제어부의 조작버튼을 조작함에 따른 상기 피딩부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을 이송시키기 위한 피딩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케이블이 이송되는 중에 감지센서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일부 노출된 도체 와이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와이어를 감지함에 따른 예설정된 시간 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피딩부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비젼카메라부가 와이어와 커팅수단의 기준선을 갖는 기준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부로 전송함에 따른 작업자가 기준선에 대하여 와이어가 편심 이동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와이어가 기준선에 일치됨에 따른 제어부의 조작에 의한 커팅수단의 구동으로 이동커팅날을 갖는 이동커팅부가 상하 직선운동으로 고정커팅날을 갖는 고정커팅부와 접촉되어 상기 와이어 부분에 부착된 보강테이프의 양측면에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시키기 위한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따르면,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중에 모니터부를 통한 정확한 판독과 보정과정에 따른 커팅수단이 한 번 동작함으로써 커넥터를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팅된 길이로 절단시킬 수 있어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를 성형함에 있어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따르면, 보강테이프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이송중에 모니터부를 통한 정확한 판독과 보정과정에 따른 커팅수단이 한 번 동작함으로써 커넥터를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팅된 길이로 절단시킬 수 있어 커팅된 부분의 정밀도가 향상됨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와 함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 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에 의해 걸림부가 형성되어 절단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노출된 도체 와이어(11)(이하, "와이어"로 칭함)의 일면에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A)(이하, "케이블"로 칭함)을 이송 완료시킴에 따른 상기 보강테이프(12)의 양측단에 커넥터(13)와 접속시 걸림가능하도록 걸림부(14)(도 2 참조)를 갖는 케이블(10)로 성형하기 위한 장치로서,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100)는, 상기 권취된 케이블(A)을 가이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피딩부(110)와, 상기 피딩부(110)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A)의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와이어 부분을 감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부(120)와, 상기 감지센서부(120)의 후단에 상기 이송된 케이블(A)에 대한 기준선을 제공함과 아울러 보강테이프(12)에 걸림부(14)를 형성 절단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좌,우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커팅수단(130)과, 상기 커팅수단(130)과 감지센서부(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A)의 이송에 따른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된 와이어(11) 부분과 상기 커팅수단(130)에 형성된 기준선을 촬영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젼카메라부(140) 와,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기준선에 대하여 이송된 케이블(A)의 편심 여부를 비교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니터부(150)와, 상기 모니터부(150)를 통하여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된 와이어(11)의 편심됨에 따른 상기 커팅수단(130)을 보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정부(160)와, 상기 감지센서부(120)에 의해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상기 피딩부(110)와, 비젼카메라부(140)와, 모니터부(150) 및 커팅수단(130)을 제어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어버튼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어부(17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00)의 피딩부(110)는, 권취된 케이블(A)을 일방향 이송시키도록 하우징(B)에 내설된 이송용모터(미도시)와, 상기 이송용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미도시된 이송용 로울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피딩부(110)는 권취된 케이블(A)의 자유단을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피딩부(110)의 이송용 로울러 사이에 개재시킴에 따른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되어 진다.
상기 감지센서부(120)는, 상기 피딩부(11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케이블(A)을 감지 즉, 상기 케이블(A)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된 와이어(11)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감지센서부(120)로부터 감지된 신호 값이 제어부(170)로 인가됨에 따른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딩부(110)를 정지 및 구동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케이블은 비젼카메라부(140) 및 커팅수단(13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팅수단(130)은, 상기 보정부(160)에 의해 보정됨에 따른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와이어(11) 부분을 커팅시킴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11)의 배면에 부착된 보강테이프(12)의 양측면에 걸림부(14)가 형성되도록 커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첨부도면 도 2 참조).
즉, 상기 커팅수단(1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B)에 내설되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커팅용 모터(1311)의 회전축(1312)에 편심되게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부재(131)와, 상기 회전부재(131)의 상부에 그 일단이 상기 보정부(160)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보정용 이동부재(137)와, 상기 보정용 이동부재(137)의 좌,우이동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상면에 고정 안착되어 케이블(A)의 보강테이프(12)의 양면에 걸림부(14)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절단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커팅날(1381)을 갖는 고정커팅부(138)와, 상기 고정커팅부(138)의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131)와 일단이 접속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상하 직선 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비젼카메라부(140)가 케이블(A)의 와어어(11) 부분을 촬영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기준선이 각인된 기준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커팅날(1381)과 대응되게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커팅날(1391)을 갖는 이동커팅부(13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131)의 외주면에 그 상면이 접촉되어 상하 직선 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부재(132)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2)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고정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131)의 회전에 대응되게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바(133)와, 상기 이동바(133)를 각각 가이드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B)의 양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입설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134)과, 상기 이동바(133)의 상단에 일단이 각각 고정 연결되고, 저면에는 상기 이동커팅부(139)를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가압부재(135)로 이루어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팅부(1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의 동작으로 상기 이동커팅부(139)와 접촉됨으로 인한 보강테이프(12)에 걸림부(14)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절단가능하도록 상면 중앙부에는 걸림부형성용 날과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날을 포함하는 고정커팅날(1381)이 형성된 고정판(1382)과, 상기 고정판(1382)의 모서리에 상기 이동커팅부(139)를 가이드이동시키도록 고정 구비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138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커팅부(13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383)를 관통시켜 상기 가압부(135)의 이동에 대응되게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걸림부형성용 날과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날로 형성된 이동커팅날(1391)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가이드판(1392)과, 상기 가이드판(1392)에 복원을 위한 탄성스프 링(1393)을 개재시켜 고정 연결되며 중앙부에는 이동커팅날(1391)을 갖는 이동판(1394)과, 상기 이동판(1394)을 가압부(135)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중첩되어 구비되는 연결판(139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판(1392)과 이동판(1394) 그리고 연결판(1395)의 전면 중앙부에는 노치형상으로 절취되는 기준면(1392a,1394a,1395a)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면(1392a,1394a,1395a)의 중앙부에는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의 촬영에 따른 모니터부(150)에 표시되는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형성된다.
상기 비젼카메라부(14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대응되게 이송 정지된 상기 케이블(A)의 와이어(11) 부분과 상기 커팅수단(130)의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형성된 기준면(1392a,1394a,1395a)을 포함하여 촬영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비젼카메라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수단(130)의 가이드프레임(134)과 고정 연결된 고정프레임(14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에는 촬영할 때 피사체 즉, 상기 와이어(11) 부분과 상기 커팅수단(130)의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형성된 기준면(1392a,1394a,1395a)을 포함하여 선명하게 조영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42)에 라이트부(141)가 더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부(150)는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에서 촬영한 와이어 부분과 커팅수단(130)의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형성된 기준면(1392a,1394a,1395a)에 대한 촬영물을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전송받아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 으로 상기 기준선(1392b,1394b,1395b)에 대하여 와이어(11)가 편심되어 이송되는가를 확인 및 판단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보정부(160)는 상기 커팅수단(130)를 좌우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161)와, 상기 고정부(16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함에 따른 직선방향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핀(162)을 갖는 핸들부(163)와, 상기 고정부에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핸들부(163)의 이동핀(16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팅수단(130)의 보정용 이동부재(137)와 고정 연결된 보정용바(164)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방법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방법은, 케이블 설치단계(S100)와, 피딩단계(S200)와, 감지단계(S300)와, 촬영단계(S400)와, 모니터링 단계(S500)와, 커팅단계(S600)로 대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설치단계(S100)는, 상기 케이블(A)의 자유단을 피딩부(110)에 개재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피딩단계(S200)는, 상기 설치단계(S100)에 의해 피딩부(110)에 설치된 케이블(A)을 제어부(170)의 조작버튼을 조작함에 따른 상기 피딩부(110)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A)을 이송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감지단계(S300)는 상기 피딩단계(S200)에 의해 케이블(A)이 이송되는 중에 감지센서부(120)로부터 상기 케이블(A)의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되어 일부 노출된 도체 와이어(11)를 감지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촬영단계(S400)는 상기 간지단계(S300)에 의해 와이어(11)를 감지함에 따른 예설정된 시간 후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한 피딩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비젼카메라부(140)가 와이어(11)와 커팅수단(130)의 기준선(1392b,1394b,1395b)을 갖는 기준면(1392a,1394a,1395a)을 촬영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S500)는, 상기 촬영단계(S4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150)부로 전송함에 따른 작업자가 기준선에 대하여 와이어(11)가 편심 이동되는가를 확인하여 보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커팅단계(S600)는 상기 모니터링 단계(S500)에 의해 와이어(11)가 기준선(1392b,1394b,1395b)에 일치됨에 따른 제어부(170)의 조작에 의한 커팅수단(130)의 구동으로 이동커팅날(1391)을 갖는 이동커팅부(139)가 상하 직선운동으로 고정커팅날(1381)을 갖는 고정커팅부(138)와 접촉되어 상기 와이어(11) 부분에 부착된 보강테이프(12)의 양측면에 걸림부(14)를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단계(S500)에 의해 와이어(11)가 기준선(1392b,1394b,1395b)에 대하여 일방향 편심 이동되었을 경우 보정단계(S700) 즉, 와이어의 편심 이동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보정부(160)를 통하여 커팅수 단(130)을 편심방향에 대응되게 이동시켜 보정하기 위한 단계를 통하여 보정 후 절단단계(S600)를 통하여 걸림부를 성형 완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권취된 평면 케이블을 이송시킴에 따른 걸림부를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가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A)의 자유단을 피딩부(110)의 이송용로울러 사이에 개재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A)이 피딩부(110)의 이송용로울러에 개재되면, 작업자가 제어부(170)에 구비된 제어버튼을 누름시킴에 따른 성형장치(100)는 구동하게 된다.
상기 성형장치(100)의 구동으로 피딩부(110)의 이송용로울러가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케이블(A)은 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A)이 이송되는 중에 감지센서부(120)에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되어 일부분 노출된 와이어(11) 부분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부(12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감지된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부(120)로부터 인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상기 제어부는(170) 피딩부(110)를 일정시간 후 멈춤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블(A)의 와이어(11) 부분을 감지센서부(120)가 감지함에 따른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70)로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비젼카메라부(140)에서 와이어(11) 부분과 커팅수단(130)의 이동커팅부(139)에 형성된 기준선(1392b,1394b,1395b)을 갖는 기준면(1392a,1394a,1395a)을 촬영가능하도록 위치 이동시킨 후, 멈춤시키기 위해 상기 피딩부(110)를 일정시간 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와이어(A) 부분이 커팅수단(130)의 이동커팅부(139)에 형성된 기준선(1392b,1394b,1395b)을 갖는 기준면(1392a,1394a,1395a)에 위치하게 되면, 비젼카메라부(14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촬영하게 된다.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모니터부(150)로 전송되고, 전송된 이미지는 상기 모니터부(150)에 모니터링 가능하게 표시되어 진다.
즉, 상기 모니터부(150)에 표시된 이미지는 외어어(11)와, 상기 와이어(11)의 정렬 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커팅수단(130)의 이동커팅부(139)에 형성된 기준면(1392a,1394a,1395a)의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표시되어 진다.
이와 같이 모니터부(150)에 와이어(11)와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표시되면, 작업자는 와이어(11)가 상기 기준선(1392b,1394b,1395b)을 기준으로 일측 즉, 왼쪽방향으로 변심되어 이송되고 있는지를 확인 판단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11)가 왼쪽방향으로 편심되어 이송되었을 경우, 작업자는 보정부(160)를 통하여 커팅수단(130)를 이동시킴으로써 보정이 완료되어 진다.
즉, 상기 모니터(150)에 표시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커팅수단(130)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와이어(11)가 기준선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작업자는 상기 보정부(160)의 핸들부(163)를 일방향 회전시킨다.
상기 핸들부(163)의 회전으로 이동핀(162)이 커팅수단(130)의 보정용 이동부 재(137)에 고정연결된 보정바(164)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정바(164)의 이동으로 커팅수단(130)의 보정용 이동부재(137)가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커팅수단(130)의 고정커팅부(138)와 상기 고정커팅부(138)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커팅부(139)가 동시에 이동하게 됨으로써 편심된 와이어(11)의 중앙부가 기준선(1392b,1394b,1395b)에 일치하게 됨으로써 보정이 완료되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11)의 보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어부(170)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함에 따른킴 상기 피딩부(110)와 커팅수단(130)이 구동하게 된다.
상기 피딩부(110)의 구동으로 케이블(A)의 와이어(11)는 커팅수단(130)의 고정커팅부(138) 상면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커팅수단(130)의 커팅용 모터(1311)가 구동함에 따른 이동커팅부(139)가 하향 이동함으로써 보강테이프(12)의 양측에는 걸림부(14)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절단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보강테이프(14)가 부착된 와이어(11) 부분이 커팅장치(130)의 고정커팅부(139) 상면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커팅장치(130)의 커팅용모터(1311)가 구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축(1312)에 편심되게 고정 연결된 회전부재(13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31)의 회전으로 회전력 전달부재(132)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2)에 연결된 이동바(133) 및 상기 이동바(133)의 상단에 고정 연결된 가압부재(135)가 하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135)의 하향 이동으로 이동커팅부(139)가 고정커팅부(138)측 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걸림부형성용 날과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날을 포함하는 이동커팅날(1391)이 고정커팅부(138)에 형성된 고정커팅날(1381)에 접촉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보강테이프(12)의 양측면에는 이동 및 고정커팅날(1391,1381)에 대응되게 걸림부(14)가 형성됨과 아울러 절단됨으로써 성형이 완료되어 진다.
이와 같이 성형된 걸림부를 갖는 연성 다심 케이블은 와이어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갯수로 배열되도록 성형되므로 커넥터 접속 연결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에 의해 걸림부가 형성된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의 커팅수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의 커팅수단 중 고정커팅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의 커팅수단 중 이동커팅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성 다심 케이블 11 ; 와이어
12 ; 보강테이프 14 ; 걸림부
100 ; 성형장치 110 ; 피딩부
120 ; 감지센서부 130 ; 커팅수단
140 ; 비젼카메라부 150 ; 모니터부
160 ; 보정부 170 ; 제어부

Claims (7)

  1. 일정 간격으로 노출된 도체 와이어(11)의 일면에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A)을 이송 완료시킴에 따른 상기 보강테이프(12)의 양측단에 커넥터(13)와 접속시 걸림되는 걸림부(14)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된 케이블(A)을 가이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피딩부(110)와;
    상기 피딩부(110)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A)의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와이어 부분을 감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부(120)와;
    상기 감지센서부(120)의 후단에 상기 이송된 케이블에 대한 기준선을 제공함과 아울러 보강테이프(12)에 걸림부(14)를 형성 절단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좌,우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커팅수단(130)과;
    상기 커팅수단(130)과 감지센서부(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A)의 이송에 따른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된 와이어(11) 부분과 상기 커팅수단(130)에 형성된 기준선을 촬영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젼카메라부(140)와;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기준선에 대하여 이송된 케이블(A)의 편심 여부를 비교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니터부(150)와;
    상기 모니터부(150)를 통하여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된 와이어(11)의 편심됨에 따른 상기 커팅수단(130)을 보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정부(160)와;
    상기 감지센서부(120)에 의해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게 상기 피딩부(110) 와, 비젼카메라부(140)와, 모니터부(150) 및 커팅수단(130)을 제어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어버튼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130)은, 상기 하우징(B)에 내설되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커팅용 모터(1311)의 회전축(1312)에 편심되게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부재(131)와, 상기 회전부재(131)의 상부에 그 일단이 상기 보정부(160)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보정용 이동부재(137)와, 상기 보정용 이동부재(137)의 좌,우이동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상면에 고정 안착되어 케이블(A)의 보강테이프(12)의 양면에 걸림부(14)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절단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커팅날(1381)을 갖는 고정커팅부(138)와, 상기 고정커팅부(138)의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131)와 일단이 접속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상하 직선 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비젼카메라부(140)가 케이블(A)의 와어어(11) 부분을 촬영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기준선이 각인된 기준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커팅날(1381)과 대응되게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커팅날(1391)을 갖는 이동커팅부(1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상기 회전부재(131)의 외주면에 그 상면이 접촉되어 상하 직선 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력 전달부재(132)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2)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고정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131)의 회전에 대응되게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바(133)와, 상기 이동바(133)를 각각 가이드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B)의 양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입설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134)과, 상기 이동바(133)의 상단에 일단이 각각 고정 연결되고, 저면에는 상기 이동커팅부(139)를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가압부재(135)로 이루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팅부(138)는, 한 번의 동작으로 상기 이동커팅부(139)와 접촉됨으로 인한 보강테이프(12)에 걸림부(14)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절단가능하도록 상면 중앙부에는 걸림부형성용 날과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날을 포함하는 고정커팅날(1381)이 형성된 고정판(1382)과, 상기 고정판(1382)의 모서리에 상기 이동커팅부(139)를 가이드이동시키도록 고정 구비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138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커팅부(139)는, 상기 가이드바(1383)를 관통시켜 상기 가압부(135)의 이동에 대응되게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걸림부형성용 날과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날로 형성된 이동커팅날(1391)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홀이 형성된 가이드판(1392)과, 상기 가이드판(1392)에 복원을 위한 탄성스프링(1393)을 개재시켜 고정 연결되며 중앙부에는 이동커팅날(1391)을 갖는 이동판(1394)과, 상기 이동판(1394)을 가압부(135)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중첩되어 구비되는 연결판(139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판(1392)과 이동판(1394) 그리고 연결판(1395)의 전면 중앙부에는 노치형상으로 절취되는 기준면(1392a,1394a,1395a)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면(1392a,1394a,1395a)의 중앙부에는 상기 비젼카메라부(140)의 촬영에 따른 모니터부(150)에 표시되는 기준선(1392b,1394b,1395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6. 일정 간격으로 노출된 도체 와이어(11)의 일면에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되어 권취된 연성 다심 케이블(A)을 이송 완료시킴에 따른 상기 보강테이프(12)의 양측단에 커넥터(13)와 접속시 걸림되는 걸림부(14)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A)의 자유단을 피딩부(110)에 개재시키기 위한 설치단계(S100)와;
    상기 단계에 의해 피딩부(110)에 설치된 케이블(A)을 제어부(170)의 조작버튼을 조작함에 따른 상기 피딩부(110)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A)을 이송시키기 위한 피딩단계(S200)와;
    상기 단계에 의해 케이블(A)이 이송되는 중에 감지센서부(120)로부터 상기 케이블(A)의 보강테이프(12)가 부착되어 일부 노출된 도체 와이어(11)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단계(S300)와;
    상기 단계에 의해 와이어(11)를 감지함에 따른 예설정된 시간 후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한 피딩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비젼카메라부(140)가 와이어(11)와 커팅수단(130)의 기준선(1392b,1394b,1395b)을 갖는 기준면(1392a,1394a,1395a)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단계(S400)와;
    상기 단계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150)부로 전송함에 따른 작업자가 기준선에 대하여 와이어(11)가 편심 이동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단계(S500)와;
    상기 단계에 의해 와이어(11)가 기준선(1392b,1394b,1395b)에 일치됨에 따른 제어부(170)의 조작에 의한 커팅수단(130)의 구동으로 이동커팅날(1391)을 갖는 이동커팅부(139)가 상하 직선운동으로 고정커팅날(1381)을 갖는 고정커팅부(138)와 접촉되어 상기 와이어(11) 부분에 부착된 보강테이프(12)의 양측면에 걸림부(14)를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시키기 위한 커팅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S500)에 의해 와이어(11)가 기준선(1392b,1394b,1395b)에 대하여 일방향 편심 이동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보정부(160)를 통하여 커팅수단(130)을 편심방향에 대응되게 이동시켜 보정하기 위한 보정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방법.
KR1020070135034A 2007-12-21 2007-12-21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0885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34A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7-12-21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34A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7-12-21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704B1 true KR100885704B1 (ko) 2009-02-25

Family

ID=4068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34A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7-12-21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7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452B1 (ko) 2009-02-04 2011-04-07 함원상 연성 다심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068644B1 (ko) * 2010-03-02 2011-09-28 은성산업(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 성형장치
CN113375558A (zh) * 2021-06-23 2021-09-10 深圳市泰科盛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ffc软排线和麦拉贴合的检测系统
CN115235350A (zh) * 2022-09-16 2022-10-25 江阴市千里马电工材料有限公司 电缆缆芯长度预测系统及方法
CN117497254A (zh) * 2023-12-29 2024-02-02 广州丰泰美华电缆有限公司 应用于电缆生产的自动化挤出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1-06-15 지견신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KR200237620Y1 (ko) 2001-04-10 2001-10-11 (주)포인트텍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KR100311282B1 (ko) 1999-01-14 2001-11-02 김상렬 접속케이블 자동검사시스템
KR100848189B1 (ko)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82B1 (ko) 1999-01-14 2001-11-02 김상렬 접속케이블 자동검사시스템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1-06-15 지견신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KR200237620Y1 (ko) 2001-04-10 2001-10-11 (주)포인트텍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KR100848189B1 (ko)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452B1 (ko) 2009-02-04 2011-04-07 함원상 연성 다심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068644B1 (ko) * 2010-03-02 2011-09-28 은성산업(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 성형장치
CN113375558A (zh) * 2021-06-23 2021-09-10 深圳市泰科盛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ffc软排线和麦拉贴合的检测系统
CN115235350A (zh) * 2022-09-16 2022-10-25 江阴市千里马电工材料有限公司 电缆缆芯长度预测系统及方法
CN115235350B (zh) * 2022-09-16 2022-12-27 江阴市千里马电工材料有限公司 电缆缆芯长度预测系统及方法
CN117497254A (zh) * 2023-12-29 2024-02-02 广州丰泰美华电缆有限公司 应用于电缆生产的自动化挤出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497254B (zh) * 2023-12-29 2024-03-15 广州丰泰美华电缆有限公司 应用于电缆生产的自动化挤出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704B1 (ko)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EP1449626B1 (en)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with visual sensor for checking the gripping state
CN101842195B (zh) 把持设备和把持设备控制方法
CN111579558A (zh) 产品的视觉检测方法、视觉检测装置及视觉检测生产线
JP6718352B2 (ja) 基板搬送ハンドの診断システム
KR100848189B1 (ko)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CN114494420A (zh) 一种柔性电路板组装装置及方法
US9240661B2 (en) Apparatus for feeding crimp terminals on a carrier strip into a crimping press
WO2016046932A1 (ja)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5158686B2 (ja) 吸着部品表裏判定装置及び吸着部品表裏判定方法
JP4707607B2 (ja) 部品認識データ作成用画像取得方法及び部品実装機
JP2014123621A (ja) スプライシング誤作業検出装置
KR101068644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 성형장치
JP2008100324A (ja) 断裁品検査装置
KR100921318B1 (ko) 플랫케이블 슬리팅장치
KR101026452B1 (ko) 연성 다심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JP6131315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6999422B2 (ja)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18054478A (ja) ツイスト電線のピッチ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線ツイスト装置
JP6707403B2 (ja) 実装関連処理装置
JP200915836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TWI798100B (zh) 電子設備組裝裝置和電子設備組裝方法
JP2008139260A (ja) 画像表示装置、外観検査装置、クリーム半田印刷機、及び画像表示方法
JP2020069736A (ja) 印刷システム
KR101470153B1 (ko) 배선 부품의 촬상을 위한 이송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오배선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