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20Y1 -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20Y1
KR200237620Y1 KR2020010010028U KR20010010028U KR200237620Y1 KR 200237620 Y1 KR200237620 Y1 KR 200237620Y1 KR 2020010010028 U KR2020010010028 U KR 2020010010028U KR 20010010028 U KR20010010028 U KR 20010010028U KR 200237620 Y1 KR200237620 Y1 KR 200237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optical cable
holder
inner diamet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수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텍 filed Critical (주)포인트텍
Priority to KR2020010010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20Y1/ko

Links

Landscapes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구의 내경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최종 가공물의 전량을 검사할 수 있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주지된 분할장치를 통해 분할회전을 반복하고 주연부에는 가공물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더가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다수의 홀더중 1개소 이상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공을 마친 가공물 인출하고 미 가공된 가공물을 투입하는 가공물 교환부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각 홀더의 회전 이동을 통해 이동되는 가공물에 홀을 가공하는 다수의 홀 가공부,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된 홀 가공부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최종 가공물을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A ho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optical cable connecter}
본 고안은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연결구의 내경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최종 가공물의 전량을 검사할 수 있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케이블 연결구라 함은, 광 케이블용 커넥터에 장착되어 광 케이블을 연결 접속하는 플렌지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일반적인 플렌지형 연결구를 제조하기 위한 각 공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종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로 환봉의 외측단을 가공하는 단부가공 공정(101), 단부의 중앙에 센터를 가공하는 센터가공 공정(102), 센터를 중심으로 관통홀을 가공하는 관통홀가공 공정(103), 관통홀의 외측부만을 확장가공하여 홈부를 형성하는 홈부가공 공정(104), 외경의 외측을 제외한 부분을 가공하여 외측에 돌출단턱을 형성하는 1차 외경가공 공정(105), 1차 가공된 외경의 내측만을 가공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2차 외경가공 공정(106), 환봉을 90도씩 분할 회전시켜 상기 단턱에 순차적으로 요홈을 형성하는 요홈가공 공정(107), 연결구의 내측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봉의 안쪽을 절단하는 환봉절단 공정(108), 및 최종적으로 상기 관통홀과 내측단 사이에 모따기를 형성하는 모따기 공정(109)이 순서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중 내경가공을 진행함에 있어서, 각각의 공정을 공구의 교환을 통해 순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내경가공에 많은 시간이 낭비됨으로 인하여 연결구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가공물의 연속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내경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내경가공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을 가공하기 위한 전용기를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결구의 내경 가공후 최종가공품의 전량을 검사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연결구의 불량이 발생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주지된 분할장치를 통해 분할회전을 반복하고 주연부에는 가공물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더가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다수의 홀더중 1개소 이상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공을 마친 가공물 인출하고 미 가공된 가공물을 투입하는 가공물 교환부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각 홀더의 회전 이동을 통해 이동되는 가공물에 홀을 가공하는 다수의 홀 가공부,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된 홀 가공부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최종 가공물을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C부 확대도.
도 5는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공과정과 검사과정을 나타낸 개략공정도.
도 7은 일반적인 플렌지형 연결구를 제조하기 위한 각 공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회전판
21 : 홀더
3 : 가공물 교환부
31 : 투입바켓
311 : 진동부, 312 : 가이드레일
32 : 배출바켓
321 : 배출관
33 : 교환장치
331 : 작동부, 332 : 핸드척, 333 : 브라켓, 334 : 수평실린더,
335 : 수직 실린더, 336 : 공기투입부, 337 : 노즐
4 : 홀 가공부
41 : 기대
42 : 주축
5 : 검사부
51 : 기대
52 : 카메라
53 : 감지부
54 : 제어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며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주지된 분할장치(22)를 통해 분할회전을 반복하고 주연부에는 가공물(W)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더(21)가 구비된 회전판(2)과, 상기 다수의 홀더(21)중 1개소 이상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공을마친 가공물 인출하고 미 가공된 가공물을 투입하는 가공물 교환부(3)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각 홀더(21)의 회전 이동을 통해 이동되는 가공물(W)에 홀을 가공하는 다수의 홀 가공부(4),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된 홀 가공부(4)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최종 가공물을 검사하는 검사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공물 교환부(3)와 홀 가공부(4) 및 검사부(5)들은 상기 회전판(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장착됨으로서, 연결구의 내경가공시 연속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로서, 상기 가공물 교환부(3)는,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며 진동부(311)를 포함하는 투입바켓(31;도1참조) 및 배출관(321)이 포함되는 베출바켓(32;도1참조)과, 상기 투입바켓(31)에서 가공물이 일렬로 배축되는 가이드레일(312)과, 상기 가이드레일(312)과 상기 회전판(2)에 장착된 홀더(21)의 상부 및 홀더(21)의 하부에 장착되어 가공된 가공물을 배출하고 가이드레일(312)의 미 가공물(W)을 상기 홀더(21)에 투입하는 교환장치(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환장치(33)는 회전판(2)을 경계로 상부에 위치되는 작동부(331)와 하부에 위치되는 공기투입부(336)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작동부(331)는, 가공물(W)을 수취하는 핸드척(332)이 장착되고 상기 배출바켓(32)과 연결된 배출관(321)이 장착된 브라켓(333)과, 이 브라켓(333)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수직실린더(334, 335)가 상호 연동되고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투입부(336)의 노즐(337)은 가공물(W)이 장착되는 중공의 홀더(21)의 바로 하측에 장착됨으로서, 공기압력을 통해 가공물(W)을 상기 배출관(321)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C부 확대도로서, 상기 홀 가공부(4)는, 프레임(1)에 장착되는 기대(41)와,기대(41)의 안쪽에 장착되어 모터(M)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되고 회전되는 주축(4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주축(42)에는 드릴, 리이머, 보링바, 엔드밀 등의 여러종류의 절삭공구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1의 D-D선 단면도로서, 상기 검사부(5)는,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는 기대(51)와, 이 기대(51)의 내측에 장착되어 홀더(21)에 삽입된 가공물(W)의 내경을 검사할 수 있도록 렌즈(521)가 가공물(W)과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카메라(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52)의 데이터를 인식하여 불량을 감지하는 감지부(53)와 이 감지부(53)로부터 불량을 인식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54)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작은, 가공물의 교체과정과, 미 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과정과, 최종가공물을 검사하는 검사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공물 교체과정에서는, 회전판(2)의 홀더(21)에 삽입되어 있는 최종가공물을 인출하고 가이드레일(312)를 통해 공급되는 미 가공물(W)을 투입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먼저, 교환장치(33)의 수직 실린더(335)를 하강시켜 배출관(321)을 홀더(21)의 바로 상부로 이동되게 하고 핸드척(332)이 가이드레일(312)에 채워진 미 가공물(W)을 수취하게 한다.
그리고 홀더(21)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투입부(336)를 작동시켜 노즐(337)에서 공기를 홀더(21)의 중공부로 불어줌으로서, 홀더(21)에 장착된 가공물(W)을 배출관(321)을 통해 배출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수직 실린더(33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수평실린더(334)를 작동시켜 미 가공물(W)이 수취된 핸드척(332을 비어있는 홀더(21)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다음 수직실린더(335)를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핸드척(332)에 수취된 미 가공물(W)을 홀더(21)에 장착한 후, 핸드척(332)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서 가공물(W)을 교체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공과정은 상기와 같이 가공물이 교체된 후 진행되는 것으로서, 편의상의 황삭홀 가공과 사상홀 가공 및 사상홈 가공만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 가공물(W)이 장착된 홀더(21)가 회전 이동되어 첫 번째의 홀 가공부(4)에 도착되면 드릴을 통해 황삭홀이 가공된다. 다음 황삭홀이 가공된 가공물(W)이 회전 이동되어 두 번째의 홀 가공부(4)에 도착되면 리이머를 통해 사상홀이 가공된다. 다음 사상홀이 가공된 가공물(W)이 회전 이동되어 마지막의 홀 가공부(4)에 도착되면 리이머를 통해 사상홈이 가공됨으로서, 가공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공과정은 편의상 황삭홀 가공과 사상홀 가공 및 사상홈 가공만을 설명하였으나, 홀 가공부(4)의 개수를 가감하여 세부적인 가공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검사과정은 상기와 같이 가공을 완료한 후 완제품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21)에 끼워진 완제품이 검사부에 도착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2)가 작동되어 불량여부를 판독함으로서, 전량의 완제품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52)의 판독중 감지부(53)에서 불량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제어부(54)에서 인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멈춤으로서, 불량품의 과다 생산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최종적으로 검사과정을 마친 완제품은 전술한 가공부 교환부(3)의 작동을 통해 배출바켓(32)로 취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작동은 연속적으로 반복 진행됨으로서, 연결구의 내경 가공을 신속히 수행함은 물론, 내경가공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구 내경의 연속가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연결구의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광 테이블 연결구의 내경가공 전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구의 내경 가공후 최종가공품의 전량을 검사함으로서, 불량률의 극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구의 불량이 발생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멈추게함으로서, 불량품의 생산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며,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주지된 분할장치(22)를 통해 분할회전을 반복하고, 주연부에는 가공물(W)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더(21)가 구비된 회전판(2)과;
    상기 다수의 홀더(21)중 1개소 이상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공을 마친 가공물 인출하고 미 가공된 가공물을 투입하는 가공물 교환부(3)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각 홀더(21)의 회전 이동을 통해 이동되는 가공물(W)에 홀을 가공하는 다수의 홀 가공부(4);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된 홀 가공부(4)와 상기 가공물 교환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최종 가공물을 검사하는 검사부(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교환부(3)와 홀 가공부(4) 및 검사부(5)들은 상기 회전판(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교환부(3)는,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며 진동부(311)를 포함하는 투입바켓(31) 및 배출관(321)이 포함되는 배출바켓(32)과, 상기 투입바켓(31)에서 가공물이 일렬로 배출되는 가이드레일(312)과, 상기 가이드레일(312)과 상기 회전판(2)에 장착된 홀더(21)의 상부 및 홀더(21)의 하부에 장착되어 가공된 가공물을 배출하고 가이드레일(312)의 미 가공물(W)을 상기 홀더(21)에 투입하는 교환장치(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장치(33)는 회전판(2)을 경계로 상부에 위치되는 작동부(331)와 하부에 위치되는 공기투입부(336)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31)는 가공물(W)을 수취하는 핸드척(332)이 장착되고 상기 배출바켓(32)과 연결된 배출관(321)이 장착된 브라켓(333)과 이 브라켓(333)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수직실린더(334,335)가 상호 연동되게 조립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투입부(336)의 노즐(337)은 가공물(W)이 장착되는 중공의 홀더(21)의 바로 하측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가공부(4)는, 프레임(1)에 장착되는 기대(41)와, 기대(41)의 안쪽에 장착되어 모터(M)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되고 회전되며 각기 여러 공구가 장착되어 있는 주축(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5)는,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는 기대(51)와, 이 기대(51)의 내측에 장착되어 홀더(21)에 삽입된 가공물(W)의 내경을 검사할수 있도로 렌즈가 가공물(W)과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카메라(52)를 포함하며, 카메라(52)의 데이터를 인식하여 불량을 감지하는 감지부(53)와 이 감지부(53)로부터 불량을 인식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5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KR2020010010028U 2001-04-10 2001-04-10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KR200237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28U KR200237620Y1 (ko) 2001-04-10 2001-04-10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28U KR200237620Y1 (ko) 2001-04-10 2001-04-10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073A Division KR20020080037A (ko) 2001-04-10 2001-04-10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20Y1 true KR200237620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028U KR200237620Y1 (ko) 2001-04-10 2001-04-10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89B1 (ko)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9-02-25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89B1 (ko)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9-02-25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200B1 (ko) 가공물 디버링 장치
CN105666145B (zh) 一种车轮加工全自动生产系统及其加工工艺
EP2116325B1 (en) Machine tool
CN105598695A (zh) 径向钻孔自动加工装置
CN101213048A (zh) 超精加工机和方法
TWI831781B (zh) 加工裝置
KR20120075911A (ko) 복합요크가공기
CN114951730B (zh) 一种偏心零件自动配重夹具、油泵泵体自动化生产线及加工工艺
CN205571912U (zh) 一种车轮加工全自动生产系统
KR102346242B1 (ko) 자동 면취 장치
KR200237620Y1 (ko)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KR20190089298A (ko)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 케이지 제조장치
CN208513676U (zh) 灯罩多工位钻孔装置
CN108817446A (zh) 灯罩多工位钻孔装置
CN102784943B (zh) 一种盲孔加工装置
CN114042950A (zh) 加工锥形平底超深盲孔的加工方法及成型刀具
KR20020080037A (ko) 광 케이블 연결구의 내경 가공장치
KR102165481B1 (ko) 화장품용기의 검사장치 및 검사공정
KR20180080804A (ko) 플랜지 복합 가공장치
KR101574096B1 (ko) 오토로딩수단을 가지는 브로칭 머신
CN214922190U (zh) 端板钻攻一体式加工系统
CN103921130A (zh) 用于加工转向器齿条的程控组合机床
KR20220144161A (ko) 볼트 드릴링 방법
CN105903997A (zh) 一种钻削加工多孔圆柱形工件的机床及操作方法
CN206662711U (zh) 一种电机端盖加工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