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011Y1 -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011Y1
KR200227011Y1 KR2020000032062U KR20000032062U KR200227011Y1 KR 200227011 Y1 KR200227011 Y1 KR 200227011Y1 KR 2020000032062 U KR2020000032062 U KR 2020000032062U KR 20000032062 U KR20000032062 U KR 20000032062U KR 200227011 Y1 KR200227011 Y1 KR 200227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tical cable
housing
hold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견신
Original Assignee
지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견신 filed Critical 지견신
Priority to KR2020000032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011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각종 전기 내지는 전자제품을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 사용되는 광케이블의 접속구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하며, 불량의 발생률을 줄이므로서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함은 물론 인건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여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광케이블(40) 접속구(41) 조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50)의 상부에 프레임지지대(23), 프레임이송대(24), 하우징공급대(25), 프레임(12), 하우징(13)이 결합되어 상호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안내홈()과, 홀더이송대(20), 광케이블홀더(21), 프레임지지대(23), 프레임이송대(24), 하우징공급대(25)를 유기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방사상의 복수개 실린더(26)와, 지지홈(22)을 갖는 광케이블홀더(21)가 대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이송대(20)와, 하우징(13)과 프레임(12)을 적층하기 위한 하우징적층부(32)와 프레임적층부(31)로서 이루어진 공급수단(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faber cable onnecter set-up system}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각종 전기 내지는 전자제품을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 사용되는 광케이블의 접속구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하며, 불량의 발생률을 줄이므로서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함은 물론 인건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여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이 개발되고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으로 광케이블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의 사용용도는 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컴퓨터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기기 등을 들 수 있고, 한편으로는 전원을 공급하는 각종 용도의 전선류 또는 항공기 등 각종 용도의 계기판을 작동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나 전원의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선단에 고무튜브를 결합한 상태에서 결속구와 스프링 및 스토퍼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스토퍼의 선단에는 광케이블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세라믹이 결합되어 이에는 프레임과 하우징을 조립하여 각 기기의 플러그와 접속하므로서 상기 광케이블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의 선단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하우징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지금까지는 광케이블의 선단에 고무튜브, 결속구, 스프링, 스토퍼, 세라믹이 결합된 상태로 공급되면 작업자는 이의 선단에 프레임을 수작업으로 끼운 상태에서 스토퍼에 형성된 홈과 일치되게 한 다음 돌려서 각 홈을 일치시켜 고정하고, 이의 외단에는 접속구를 이루는 하우징을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의 공정을 수작업으로 하게 되면 작업자는 장시간 작업하게 될 경우 손가락에 물집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불량조립의 발생율이 높게 되며, 특히 인건비의 소요가 과도하여 경제성면에서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광케이블의 접속구를 조립할 경우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광케이블의 선단에 접속구를 이루는 고무튜브를 결합한 상태에서 결속구, 스프링, 스토퍼, 세라믹이 결합된 상태로 공급되면 이의 외부에 프레임과 하우징을 조립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을 밀어넣으면 결속구와 스토퍼의 사이에 탄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발력을 받으면서 결속구에 형성된 돌기와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끼운 후 약간 회전을 하게 되면 결속구의 돌기와 일체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의 외단에는 다시 하우징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프레임과 하우징의 크기가 소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파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대로 파지했다고 하더라도 끼워넣을 경우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끼우기가 매우 난이하고, 특히 끼운 후 정위치를 찾아 결속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이의 외단에 끼우는 하우징 역시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우는 작업이 어려워 전반적으로 이를 자동적으로 조립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근자에 들어 광케이블의 사용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의 접속구를 수동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는 공급에 대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 대응할 수 없게 되어 근본적으로 자동조립하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자동 타입으로 프레임과 하우징을 조립하는 방법을 안출하여 실용화하고 있으나, 이 경우는 단순히 지그상에 프레임과 하우징을 개별적으로 안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과 하우징의 공간부에 광케이블의 선단에 복수로 결합된 접속구를 수작업으로 밀어넣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반자동이라고 하지만 실제는 거의 수작업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하되고, 인건비의 지출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불필요한 경비를 낭비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국 상기 반자동 타입의 조립장치는 광케이블 접속구를 자동화하고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고는 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상기의 광케이블 접속구의 자동조립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선단에 조립되는 접속구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장치를 안출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함은 물론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건비의 소요를 최소로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광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된 각 고무튜브, 결속구, 스프링, 스토퍼, 세라믹이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되면 작업자는 이를 홀더이송대에 안치된 광케이블홀더의 지지홈에 끼우면 받침대의 각 실린더가 작동하여 광케이블홀더, 홀더이송대, 프레임지지대, 프레임이송대 등이 상호 유기적인 작동을 하면서 여건에 부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서 각 프레임과 하우징이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과 하우징을 공급하는 수단은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공급수단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자동 공급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프레임과 하우징을 공급하여 조립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광케이블의 접속구에 대한 양산성을 일층 개선하고, 특히 불량조립을 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작업에 따른 신속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인력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인건비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광케이블 선단에 접속구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광케이블 선단에 접속구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이기 위한 기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의 광케이블을 홀딩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광케이블홀더가 진입하여 광케이블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프레임지지대가 진입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프레임이송대가 진입하여 프레임이 프레임지지대에 이동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홀더이송대가 진입하여 광케이블의 선단에 프레임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프레임지지대와 프레임이송대가 후진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하우징공급대가 진입하여 광케이블의 선단에 하우징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포함한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3 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를 포함한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1 : 안내홈
12 : 프레임 13 : 하우징
20 : 홀더이송대 21 : 광케이블홀더
22 : 지지홈 23 : 프레임지지대
24 : 프레임이송대 25 : 하우징공급대
26 : 실린더
30 : 공급수단 31 : 프레임적층부
32 : 하우징적층부
40 : 광케이블 41 : 접속구
42 : 고무튜브 43 : 결속구
44 : 스프링 45 : 스토퍼
46 : 세라믹
50 : 본체 51 : 이동라인
52 : 걸이대
본 고안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40)의 선단에 결합되는 접속구(41)를 자동으로 조립하기 위한 장치를 안출한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은 본체(50)의 상부에 설치된 받침대(10)에는 각각의 하우징(13)과 프레임(12), 프레임지지대(23)와 프레임이송대(24)가 상호 작동가능하게 하는 안내홈(11)을 형성하고, 이의 전방에는 실린더(26)의 작동으로 전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이송대(20)를 설치하며, 상기 홀더이송대(2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케이블홀더(21)를 설치하되, 상기 각 광케이블홀더(21)의 내단에는 대향으로 광케이블(4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22)을 형성하여 각 실린더(26)에 의해 유기적인 작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받침대(10)의 표면에 형성된 안내홈(11)의 횡방향에는 프레임지지대(23)와 프레임이송대(24)가 각각 결합되어 실린더(26)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각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공급하거나 정지시켜 각각의 조립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후방측에는 하우징공급대(25)가 실린더(26)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3)을 전방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여 광케이블(40)의 선단에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조립작동을 하는 하우징(13)과 프레임(12)의 공급수단(30)은 다수의 부품을 적층할 수 있는 하우징적층부(32)와 프레임적층부(31)로서 구성하여 평상시 공급수단(30)의 하우징적층부(32)와 프레임적층부(31)에 각 하우징(13)과 프레임(12)을 복수로 적층한 상태에서 여건에 따라 하부의 받침대(10)상에 형성된 안내홈(11)에 자유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내홈(11)측으로 프레임(12)과 하우징(13)이 낙하하게 되면 각각의 실린더(26)가 상호 작동하여 광케이블홀더(21), 홀더이송대(20), 프레임이송대(24), 프레임지지대(23), 및 후방의 하우징공급대(25)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광케이블(40)에 선단에 자동으로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각각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각의 실린더(26)가 작동하는 것은 메인 콘트롤박스의 회로 구성에 의해 상호 유기적인 작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회로의 구성이나 전기적인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부품의 형상이나 크기 및 재질은 대상물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이러한 형상이나 크기 및 재질의 변화 역시 본 고안에서 득하고자 하는 기본 사항이다.
도면중 도 12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 경우는 프레임(12)과 하우징(13)의 공급수단(30)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션 타입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진동에 의한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진동에 의한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공급수단(30)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안내홈(11)의 정위치에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나선형의 이동경로를 통해 상측으로 정렬 이동되어 별도의 이동라인(51)을 통해 받침대(10)에 형성된 안내홈(11)의 각 위치로 자동공급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도 13 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 경우는 광케이블(40)의 공급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특징이 있는 바, 즉 광케이블(40)을 공급하는 걸이대(52)를 회전타입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회전을 시키면서 상기 걸이대(52)에 걸려있는 광케이블(40)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1 과 같은 상태로 된 공급수단(30)을 개별적으로 복수개 구비하여 평상시 작업이 없을 경우 상기 공급수단(30)에 마련된 프레임적층부(31)와 하우징적층부(32)에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다수 적층한 상태에서 교체 사용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광케이블(40) 선단에 조립되는 접속구(41)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장치를 안출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함은 물론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건비의 소요를 최소로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광케이블(40)의 선단에 결합된 각 고무튜브(42), 결속구(43), 스프링(44), 스토퍼(45), 세라믹(46)이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되면 작업자는 이를 홀더이송대(20)에 안치된 광케이블홀더(21)의 지지홈(22)에 끼우면 받침대(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각 실린더(26)가 작동하여 광케이블홀더(21), 홀더이송대(20), 프레임지지대(23), 프레임이송대(24), 하우징공급대(25) 등이 상호 유기적인 작동을 하면서 여건에 부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서 각 프레임(12)과 하우징(13)이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공급하는 수단은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하우징적층부(32)와 프레임적층부(31)로 이루어진 공급수단(30)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자동 공급수단(30)를 설치하여 이동라인(51)을 각 안내홈(11)의 하우징(13)과 프레임(12)이 위치하는 장소로 이동되게 하므로서 상기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공급하여 조립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광케이블(40)의 접속구(41)에 대한 양산성을 일층 개선하고, 특히 불량조립을 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작업에 따른 신속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인력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인건비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작동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하여 광케이블(40)의 선단에 접속구(41)를 조립할 경우 1차 공정에서 고무튜브(42), 결속구(43), 스프링(44), 세라믹(46)이 조립된 상태로 공급되면 이의 선단에 최종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결합하므로서 접속구(4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바, 전 공정에서 광케이블(40)의 선단에 고무튜브(42), 결속구(43), 스프링(44), 세라믹(46)이 결합된 상태로 공급되면 작업자는 상기 광케이블(40)의 선단측으로 잡고 광케이블홀더(21)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22)에 끼우면 전기적인 회로장치에 의해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방의 실린더(26)가 작동하게 되어 각 광케이블홀더(21)는 홀더이송대(20)의 상부에서 내향으로 좁혀지게 되어 광케이블(40)의 고무튜브(42)측을 잡고 홀딩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안내홈(11)의 상단에는 하우징적층부(32)와 프레임적층부(31)에 하우징(13)과 프레임(12)이 적층된 상태의 공급수단(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급수단(30)에 적층된 프레임(12)과 하우징(13)은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바, 즉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프레임지지대(23)와 연결된 실린더(26)가 작동하여 프레임지지대(23)를 안내홈(11)의 내측으로 밀게 되면 도 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편의 프레임이송대(24)와 연결된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상기 프레임이송대(24)를 내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이송대(24)는 프레임적층부(31)의 하단으로 밀고 들어가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적층부(31)에서 낙하된 프레임(12)은 프레임이송대(24)가 작동하므로 인해 전술한 프레임지지대(23)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공급수단(30)의 프레임적층부(31) 하단측의 프레임(12)이 낙하하게 되면 프레임이송대(24)가 작동하여 상기 프레임(12)이 프레임지지대(2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곧바로 전방의 홀더이송대(20)와 연결된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상기 홀더이송대(20)를 포함한 광케이블(40)을 지지하고 있는 광케이블홀더(21) 전체를 프레임(12)이 있는 안쪽으로 밀게 된다.
상기의 작동으로 광케이블홀더(21)에 지지된 광케이블(40)의 선단측이 홀더이송대(20)가 작동함에 따라 프레임지지대(23)에 안치된 프레임(12)의 공간부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프레임(12)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40)의 선단에 결합된 결속구(43)와 스토퍼(45)에는 프레임(12)과 결합을 하기 위한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요홈()에 의해 프레임(12)이 상호 결합된다.
즉, 프레임(12)은 프레임지지대(23)의 내측에 고정상태로 대기하고 있으면 광케이블홀더(21)의 지지홈(22)에 결합된 광케이블(40) 전체가 전방의 실린더(26)의 작동으로 홀더이송대(20)가 작동하여 이의 선단에 프레임(12)이 강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40)의 선단에 프레임(12)이 결합되면 다음의 작동으로 도 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지지대(23)를 이동하는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상기 프레임지지대(23)를 후방으로 당겨내고 프레임이송대(24)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음의 프레임(12)은 하부로 자동낙하하게 되고, 상기 낙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각 실린더(26)는 후방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2)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측의 실린더(26)가 작동하여 도 1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공급대(25)를 안쪽으로 밀게 되면 하우징적층부(32)에서 낙하된 하우징(13)을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12)이 결합된 광케이블(40)의 선단은 광케이블홀더(21)의 지지홈(22)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로 있으므로 후방의 실린더(26)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3)은 프레임(12)의 외부측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40)의 선단에 접속구(41)가 되는 프레임(12)과 하우징(13)이 결합되면 자동으로 양측의 광케이블홀더(21)를 작동하는 각 실린더(26)가 후방으로 당기게 되어 작업자는 조립된 광케이블(40)을 인출하면 되고, 이와 동시에 다음의 작업준비를 하기 위해 자동으로 전방측의 실린더(26)가 작동하여 광케이블홀더(21)를 포함한 홀더이송대(20) 전체를 전방으로 당겨내는 과정을 거치므로서 광케이블(40)의 접속구(41)를 자동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40)의 선단에 접속구(41)를 이루는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능률성을 크게 개선할 뿐만 아니라 조립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인건비의 소요를 최소화하며, 특히 불량조립의 발생률을 근본적으로 배제하여 양산성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조립을 하는 과정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 경우는 1차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40)의 선단에 프레임(12)과 하우징(13)의 조립이 완료되면 각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광케이블(40)을 인출하고, 다음 광케이블(40)을 광케이블홀더(21)에 결합하면 양단의 실린더(26)가 동시에 작동하여 각 광케이블홀더(21)가 대향으로 밀려들어와 지지홈(22)에 광케이블(40)의 고무튜브(42)측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광케이블(40)이 고정되면 프레임지지대(23)의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안내홈(11)의 안쪽으로 이동되고, 연속적으로 프레임이송대(24)의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상기 프레임이송대(24)가 안쪽으로 들어가면 프레임이송대(24)의 전방에 낙하한 프레임(12)은 프레임이송대(24)의 진행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지지대(23)측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광케이블홀더(21)가 설치된 홀더이송대(20)의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상기 프레임(12)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40)의 선단에는 고무튜브(42), 결속구(43), 스프링(44), 스토퍼(45), 세라믹(46)이 결합된 상태로 접속구(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지지대(23)상에 안치된 프레임(12)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2)이 광케이블(40)의 선단에 결합되면 도 10 과 같이 프레임이송대(24)와 프레임지지대(23)는 각각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후방의 실린더(26)가 작동하여 하우징공급대(25)가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면서 안내홈(11)에 위치하는 하우징(13)을 밀어서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된 프레임(12)의 외단측에 결합되는 과정을 거치므로서 광케이블(40)의 선단에 접속구(41)를 조립하는 작업을 마치게 된다.
도 12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는 하우징(13)과 프레임(12)을 공급하는 공급수단(30)을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자동으로 구성하여 이동라인(51)을 따라 안내홈(11)의 적정위치에 각 하우징(13)과 프레임(12)을 공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구(41)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각 공급수단(30)에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각각 투입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션 작동을 하게 되면 하부에서부터 프레임(12) 및 하우징(13)이 질서를 유지하면서 나선형으로 된 로드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별도 설치된 이동라인(51)을 따라 안내홈(11)의 적정위치로 공급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자동으로 접속구(41)를 완전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3 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는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고, 광케이블(40)을 걸어두기 위한 걸이대(52)를 별도로 회전타입으로 구성하므로서 개별적으로 각각의 광케이블(40)을 하나씩 인출하여 광케이블홀더(21)의 지지홈(22)에 결합할 경우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회전형으로 된 걸이대(52)에는 광케이블(40)이 개별적으로 걸려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의 과정으로 광케이블(40)의 선단에 접속구(41)를 조립하고 일단 조립이 완료된 광케이블(40)을 분리한 상태에서 다음의 광케이블(40)을 광케이블홀더(21)의 지지홈(22)에 결합할 경우 인접한 위치에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해당하는 걸이대(5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이를 인출하여 다음의 작업을 위한 광케이블홀더(21)의 지지홈(22)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보장함은 물론 걸이대(52) 자체가 회전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는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연속적으로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1 과 같은 상태로 된 공급수단(30)을 개별적으로 복수개 구비하여 평상시 작업이 없을 경우 상기 공급수단(30)에 마련된 프레임적층부(31)와 하우징적층부(32)에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다수 적층한 상태에서 교체 사용가능한 것으로, 이 경우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일단 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공급수단(30)을 다수개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적층부(31)와 하우징적층부(32)에는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다수 적층한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상기 안내홈(11)에 결합된 공급수단(30)의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모두 조립하고 나면 미리 준비한 다른 공급수단(30)을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 경우는 작업의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이고, 각 프레임(13)과 하우징(13)의 공급에 따른 시간의 지연을 방지하므로서 조립작업의 능률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광케이블(40)의 선단에 조립되는 접속구(41)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장치를 안출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증대함은 물론 조립과정이 일련의 자동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건비의 소요를 최소로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광케이블(40)의 선단에 부품이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되면 작업자는 이를 광케이블홀더(21)에 끼우면 각 실린더(26)가 상호 유기적인 작동을 하면서 여건에 부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서 각 프레임(12)과 하우징(13)이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공급하는 수단은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공급수단(30)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자동 공급수단(30)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공급하여 조립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광케이블(40) 접속구(41)의 조립에 대한 양산성을 일층 개선하고, 특히 불량조립을 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립작업에 따른 신속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인력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인건비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어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4)

  1. 광케이블(40) 접속구(41) 조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50)의 상부에 설치된 받침대(10)에는 프레임지지대(23), 프레임이송대(24), 하우징공급대(25), 프레임(12), 하우징(13)이 결합되어 상호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안내홈()과,
    홀더이송대(20), 광케이블홀더(21), 프레임지지대(23), 프레임이송대(24), 하우징공급대(25)를 유기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방사상의 복수개 실린더(26)와,
    지지홈(22)을 갖는 광케이블홀더(21)가 대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이송대(20)와,
    하우징(13)과 프레임(12)을 적층하기 위한 하우징적층부(32)와 프레임적층부(31)로서 이루어진 공급수단(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12)과 하우징(13)의 공급수단(30)을 바이브레이션 타입의 나선형 공급수단(30)을 이용하여 이동라인(51)을 통해 안내홈()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광케이블(40)을 공급하는 걸이대(52)를 회전타입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회전을 시키면서 상기 걸이대(52)에 걸려있는 광케이블(40)을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30)을 개별적으로 복수개 구비하여 평상시 작업이 없을 경우 상기 공급수단(30)에 마련된 프레임적층부(31)와 하우징적층부(32)에 프레임(12)과 하우징(13)을 다수 적층한 상태에서 교체 사용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KR2020000032062U 2000-11-16 2000-11-16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KR200227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62U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0-11-16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62U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0-11-16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011Y1 true KR200227011Y1 (ko) 2001-06-15

Family

ID=7309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62U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0-11-16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0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695B1 (ko) * 2001-04-10 2003-07-07 (주)포인트텍 광 케이블 연결구의 요홈 가공장치
KR100848189B1 (ko)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9-02-25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190134071A (ko) 2018-05-24 2019-12-04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695B1 (ko) * 2001-04-10 2003-07-07 (주)포인트텍 광 케이블 연결구의 요홈 가공장치
KR100848189B1 (ko)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KR100885704B1 (ko) 2007-12-21 2009-02-25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걸림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190134071A (ko) 2018-05-24 2019-12-04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6733B2 (ja) スクリューバルブの配管口のカシメ及びバーリング複合機
CN202474374U (zh) 排插
CN109038176A (zh) 一种接口pin针的铆接组装机构
CN107950083B (zh) 追加型带盘保持装置
KR200227011Y1 (ko)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CN210723649U (zh) 一种新型USB type-c公头成品组装设备
EP0669683A2 (en) Connector housing supplying device
JP6764997B2 (ja) データ作成装置及びデータ作成方法
CN206118301U (zh) 一种全自动多功能异形插件机
CN205609804U (zh) 二合一通讯连接器
CN216758902U (zh) 雨刷杆头组装装置及雨刷组装设备
US6671954B2 (en) Rubber plug insertion apparatus and rubber plug insertion method
CN210120123U (zh) 一种光伏硅片的脱胶承载周转装置
CN207884039U (zh) 一种示教器的转接器
CN207841307U (zh) 用于异形插件机的取插机械手
CN105375236B (zh) 换向器云母片和铜片混合排片装置
CN219529757U (zh) 一种过桥齿轮
CN210360155U (zh) 一种线缆组装用压扣机
CN211221039U (zh) 纽扣打孔用多工位配合装置
KR102466806B1 (ko) 모터코어의 코일 자동삽입 장치
CN217182619U (zh) 一种线夹件上料固定机构
CN210243684U (zh) 一种可快速切换治具的fct测试机
CN217122331U (zh) 一种充电器插件的快速装配装置
CN218461576U (zh) 一种打孔机
CN218275468U (zh) 一种换向器输送装置及其铜排插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