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071A -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071A
KR20190134071A KR1020180059252A KR20180059252A KR20190134071A KR 20190134071 A KR20190134071 A KR 20190134071A KR 1020180059252 A KR1020180059252 A KR 1020180059252A KR 20180059252 A KR20180059252 A KR 20180059252A KR 20190134071 A KR20190134071 A KR 2019013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holder
optical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741B1 (ko
Inventor
김희중
김근환
지영규
Original Assignee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4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2Assembly tools, e.g. crimping tool or pressing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 광 케이블의 단부에서 광섬유의 노출범위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부와 광 케이블과 커넥터를 결합하는 조립부가 형성된 본체, 그리고 상기 검사부 또는 상기 조립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본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Assembly insertion jig for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본 발명은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에 관한 것이다.
광 케이블은 코어층과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광섬유를 보호하는 제1 피복, 완충재(aramid yarn) 및 제2 피복을 포함한다. 광 케이블을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작업자가 현장에서 광 케이블의 단부에서 제1 피복 및 제2 피복의 적어도 일부분은 탈피하여 광섬유 및 제1 피복을 기설정된 길이만큼 노출시킨다. 노출된 광섬유는 커넥터 내부에서 페룰과 연결되고 제1 피복은 커넥터의 클램프에 고정된다.
광섬유와 제1 피복은 페룰 및 클램프와 결합을 위해 제2 피복을 기준으로 규격에 맞게 노출되어야 한다. 이에, 커넥터 포장지 표면에 표시된 인쇄부에 맞대어 광섬유 및 제1 피복의 노출되는 길이를 측정하였으나, 현장에서 작업자가 광 케이블을 인쇄부에 맞대어 측정하기에는 불편하였고 정확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광 케이블과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해 작업자가 광섬유를 커넥터 내부로 삽입할 때 광섬유 중심과 커넥터 중심을 맞추지 않고 삽입하게 되면서 광섬유가 커넥터 내부면에 걸리어 삽입되면서 휘어져 광섬유가 손상되었다. 손상된 광섬유에 의해 광신호 전송 효율이 저하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7011호 (2001.03.31.) 등록특허 제10-1330325호 (2013.11.08.)
본 발명은 광 케이블의 단부에서 노출된 광섬유의 길이와 광섬유 단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광 케이블과 커넥터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는 광 케이블의 단부에서 광섬유의 노출범위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부와 광 케이블과 커넥터를 결합하는 조립부가 형성된 본체, 그리고 상기 검사부 또는 상기 조립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본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일면에 형성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홀더가 위치하는 검사 홀더 배치영역, 그리고 상기 홀더에 고정된 광 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하는 검사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사 홀더 배치영역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영역에는, 상기 광 케이블의 피복이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과, 상기 광섬유 단부와 피복의 일부분이 위치할 수 있는 광섬유 위치홀과 피복 위치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 위치홀과 상기 피복 위치홀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위치홀에는 확인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 단부가 상기 확인바에 위치하면 상기 광섬유의 노출길이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검사영역에는 상기 본체 길이방향으로 상기 광섬유를 가이드하는 광섬유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광섬유의 단부를 보이는 확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대부는 상기 검사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타면에 형성된 상기 조립부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는 커넥터 영역, 그리고 상기 홀더가 이동할 수 있게 위치하는 조립 홀더 배치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 홀더 배치영역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의 이동으로 상기 홀더에 고정된 광 케이블의 광섬유가 커넥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덮개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클램프를 조작하는 클램프 조작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광 케이블이 놓이는 광 케이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홀더몸체,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케이블 고정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에는 상기 홀더몸체의 이동으로 상기 광 케이블 고정덮개가 접하는 열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 케이블 고정덮개가 상기 열림 가이드에 접하면 상기 광 케이블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광 케이블 가이드홈은, 둘레면이 평면을 이루는 제1 가이드홈, 그리고 둘레면이 곡면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 케이블 가이드홈은, 제3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가이드홈의 너비는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는, 광섬유가 노출된 광 케이블이 놓이는 일면에 상기 광 케이블의 외측 피복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격된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감사는 내측 피복의 단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는 상기 일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확인창에 위치한 상기 광섬유 단부를 확대하는 확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 일측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과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는,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 케이블의 외측 피복을 눌러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은, 상기 광섬유 단부가 위치하는 광섬유 위치창, 그리고 상기 광섬유 위치창과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피복 단부가 위치하는 피복 위치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몸체에 광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광 케이블의 제2 피복이 걸림턱에 접할때 광섬유 단부가 광섬유 위치홀의 확인바에 위치하면 광섬유가 제2 피복으로부터 노출된 길이가 정상범위 내에 위치한 것이다. 이에 검사부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노출된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포장지의 인쇄부에 맞대어 광섬유 노출 길이를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 단부가 한 쌍의 확인바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대부를 통해 확대된 광섬유 단부의 단면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광섬유 단부 단면 모양을 확인할 수 있어 광섬유 단부 단면 모양에 따른 불량을 현장에서 즉시 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의 광 케이블 가이드홈이 광 케이블의 피복 지름에 맞게 제1 내지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하므로 다양한 직경의 광 케이블이 홀더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광 케이블의 피복 지름에 맞추어 홀더를 각각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홀더가 광 케이블의 피복 지름에 제약 받지 않고 홀더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일면에 검사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조립부가 형성되며, 검사부와 조립부에 광 케이블을 고정한 홀더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검사부와 조립부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면 각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분실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검사부와 조립부가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어 일체를 이루므로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의 휴대,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케이블이 홀더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 홀더 배치영역에 위치하면 광섬유의 중심과 커넥터의 중심이 일치하므로 홀더몸체가 본체에서 커넥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광섬유가 커넥터 내부로 반듯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현장에서 광 케이블과 커넥터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몸체에 의해 광 케이블이 고정된 홀더몸체가 조립 홀더 배치영역에서 커넥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광섬유가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어 페룰과 결합될 때 덮개 손잡이가 열림 가이드에 접하게 되면서 덮개몸체가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열리게 되면서 광 케이블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광섬유가 페룰과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몸체가 자동으로 열리어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작업자가 덮개몸체를 조작하지 않아도 광 케이블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작업자의 커넥터와 광 케이블을 조립부에서 분리하는 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 조작바의 타측이 걸림턱에 걸리어 고정될 때 클램프링의 레버를 가압하여 클램프링을 회전시킨다. 회전한 클림팽링은 제2바디를 제1바디를 가압하여 광섬유를 커넥터 내부에 고정하게 된다. 이에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사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의 검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홀더 확대도.
도 4는 도 3을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은 도 2의 본체 확대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를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1의 저면 사시도로서 광 케이블의 조립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광 케이블 고정덮개가 열림 가이드에 접하여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9의 C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에 대하여 도 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의 검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홀더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을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은 도 2의 본체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를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부분 확대이며, 도 9는 도 1의 저면 사시도로서 광 케이블의 조립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광 케이블 고정덮개가 열림 가이드에 접하여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100)는 광 케이블(2)의 피복에서 노출된 광섬유의 길이와 광섬유 단부 단면 모양을 확인하는 검사부(120)와 배치된 커넥터(1)와 광 케이블(2)을 결합하는 조립부(130)가 형성된 본체(110), 그리고 광 케이블(2)이 고정될 수 있으며 검사부(120) 또는 조립부(13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홀더(140)를 포함하며, 광 케이블(2)의 단부에서 노출된 광섬유의 길이와 단면 모양을 확인하며, 커넥터와 광 케이블 결합 시 광 케이블을 반듯하게 가이드 하여 커넥터와 광 케이블의 결합력을 높인다. 검사부(120)는 본체(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부(130)는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검사부(120)와 조립부(130)는 본체(110) 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검사부(120)와 조립부(130)는 본체(110)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휴대성을 높인다.
여기서, 커넥터(1)는 하우징(), 프레임, 클램프, 스토퍼, 페룰, 부트 등을 포함하며, 광 케이블(2)은 광섬유(21), 내측 피복(제1 피복(22)), 외측 피복(제2 피복(23)), 완충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광 케이블(2)의 단부에서 제1 피복(22) 및 제2 피복(23)이 탈피되어 광섬유(21)가 노출되어 있다. 즉, 제1 피복(22)은 제2 피복(23)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L1)만큼 노출되어 있고, 광섬유(21)는 제1 피복(22)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L2)만큼 노출되어 있다. 제2 피복(23)의 지름은 제1 피복(22)의 지름보다 크며, 제2 피복(23)을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및 광 케이블의 피복 지름과 단면 모양은 광 케이블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1) 및 광 케이블(2)의 세부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공지된 광 커넥터(특허등록 제10-1330325호), 부트 장치, 이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및 광 커넥터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1371652호)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고하면 홀더(140)는 홀더몸체(141), 그리고 광 케이블 고정덮개(144)를 포함한다.
홀더몸체(141)는 광 케이블(2)을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광 케이블(2)을 고정한 상태에서 검사부(120) 또는 조립부(130)에 배치되어 본체(110)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즉, 홀더몸체(141)는 광 케이블(2)의 광섬유 길이를 점검하고자 할 때에는 검사부(120)에 배치되고, 광 케이블(2)과 커넥터(1)를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조립부(130)에 배치된다. 배치된 홀더몸체(141)는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광 케이블(2)의 제2 피복(23) 부분이 홀더몸체(141)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제2 피복(23)의 일부분과 제1 피복(22) 및 광섬유(21)는 홀더몸체(14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홀더몸체(141) 상면에는 광 케이블(2)이 위치하는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은 제1 가이드홈(142a) 및 제2 가이드홈(142b)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홈(142a) 및 제2 가이드홈(142b)은 홀더몸체(141)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142a)은 둘레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가이드홈(142b)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홈(142a) 둘레면 상부측에 제2 가이드홈(142b)이 형성되며 제1 가이드홈(142a)과 제2 가이드홈(142b)은 연결되어 있다. 제1 가이드홈(142a)에는 제2 피복(23)이 사각 단면을 이루는 광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홈(142b)에는 제2 피복(23)이 원형 단면을 이루는 광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홈(142a) 또는 제2 가이드홈(142b)에는 제2 피복(23) 부분이 위치한다.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은 제3 가이드홈(14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홈(142c)은 홀더몸체(141) 상면에서 제1 가이드홈(142a)과 제2 가이드홈(142b)을 벗어나 한 쌍의 돌기가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는 홀더몸체(141)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 사이에 제3 가이드홈(142c)이 형성되며, 제3 가이드홈(142c)의 너비(W1)는 제2 가이드홈(142b)의 너비(W2) 보다 작으므로 제3 가이드홈(142c)에는 제1 가이드홈(142a) 또는 제2 가이드홈(142b)에 고정되지 못하는 광 케이블(2)이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에, 제2 피복(23)보다 지름이 작은 제1 피복(22) 부분이 제3 가이드홈(142c)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광 케이블 고정덮개(144)는 덮개몸체(144a), 누름부재(144b) 및 덮개 손잡이(144d)를 포함하며, 홀더몸체(141)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에 위치한 광 케이블(2)을 눌러 고정한다.
덮개몸체(144a)는 홀더몸체(141) 상면에 배치되어 일측이 홀더몸체(141)와 힌지 연결되어 있다. 덮개몸체(144a)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덮개몸체(144a)의 하면 일부분은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에 위치한 광 케이블(2)과 마주하여 광 케이블(2)을 눌러 고정한다.
누름부재(144b)는 광 케이블(2)과 마주하는 덮개몸체(144a) 하면에 형성되어 광 케이블(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누름부재(144b)는 광 케이블(2)을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 바닥으로 가압하여 광 케이블(2)을 더욱 고정한다.
덮개 손잡이(144d)는 덮개몸체(144a) 타측에서 돌출되어 홀더몸체(141)의 가장자리를 벗어나 돌출되어 있다. 덮개 손잡이(144d)의 일부분은 홀더몸체(141)의 걸림턱(143)에 걸려 고정된다. 덮개 손잡이(144d)가 고정될 때 누름부재(144b)는 광 케이블(2)을 누르면서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에 광 케이블(2)은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 가이드홈(142c)의 광 케이블(2)과 마주하는 덮개몸체(144a)의 하면에도 광 케이블(2)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부재(144c)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140)의 광 케이블 가이드홈(142)이 광 케이블(2)의 피복 지름에 맞게 제1 내지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하므로 다양한 직경의 광 케이블이 홀더몸체(14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광 케이블(2)의 피복 지름에 맞추어 홀더(140)를 각각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체(110)의 검사부(120)는 검사영역(120b), 그리고 검사 홀더 배치영역(120a)을 포함한다.
검사영역(120b)은 본체(110)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검사 홀더 배치영역(120a)은 본체(110) 상면 타측에 형성되어있다. 검사영역(120b)과 검사 홀더 배치영역(120a)의 위치를 본체(110) 상면의 일측과 타측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검사영역(120b)과 검사 홀더 배치영역(120a)은 단차(120c)를 두고 경계를 이룬다. 검사 홀더 배치영역(120a)의 표면은 본체(110) 상면 위에 가상으로 형성한 임의의 가상 수평선(H1)을 기준으로 검사영역(120b) 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검사 홀더 배치영역(120a)을 이루는 본체(110) 상면에는 광 케이블(2)을 고정한 홀더몸체(141)가 결합되면서 본체(110)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한 홀더몸체(141)는 단차(120c)에 걸리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검사영역(120b)을 이루는 본체(110)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광섬유(21) 및 제1 피복(22)이 위치하는 광섬유 안착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120c)와 이웃한 검사영역(120b) 부분에는 홀더(140)가 단차(120c)에 걸린 상태에서 제2 피복(23)이 걸리는 걸림턱(120d)이 형성되어 있다.
검사영역(120b)에는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확인창은 광섬유 안착홈(125)과 연결된 광섬유 위치홀(122)과 피복 위치홀(123)을 포함한다. 광섬유 위치홀(122)과 피복 위치홀(123)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광섬유 위치홀(122)에는 한 쌍의 확인바(124)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광섬유 위치홀(122)과 피복 위치홀(123)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광섬유 위치홀(122), 확인바(124) 및 피복 위치홀(123)은 걸림턱(120d)으로부터 떨어진 기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 위치홀(122)은 피복 위치홀(123)보다 걸림턱(120d)으로부터 더 떨어져 있다.
제2 피복(23)이 걸림턱(120d)에 걸린 상태에서 광섬유(21)의 단부는 광섬유 위치홀(122)에 위치하여 한 쌍의 확인바(124)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피복(22)의 단부는 피복 위치홀(123)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2 피복(23)으로부터 광섬유(21) 및 제1 피복(22)이 노출된 길이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한 것이다. 그러나, 광섬유(21)가 한 쌍의 확인바(124)를 벗어나 있고 제1 피복(22)이 피복 위치홀(123)을 벗어나 있으면 광섬유(21) 및 제1 피복(22)은 제2 피복(23)으로부터 노출길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1 피복(22)과 제2 피복(23)을 더 탈피하여 제2 피복(23)으로부터 노출된 제1 피복(22)과 광섬유(21)의 길이를 다시 조절한다. 이에 종래에 포장지의 인쇄부에 맞대어 광섬유 노출 길이를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검사부(120)는 확대부(126)를 더 포함한다.
확대부(126)는 검사영역(120b)에 배치되어 광섬유(21)의 단부 단면을 확대한다. 확대부(126)의 일측은 본체(110)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확대부(126) 타측 및 타측과 접하는 검사영역(120b) 부분에는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확대부(126)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확대부(126)는 힌지 연결되지 않고 자석만으로 검사영역(120b)에 고정될 수 있다.
광섬유(21)와 제1 피복(22)의 길이 측정 시 확대부(126)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광섬유(21)의 단부 단면 모양을 확인 시 확대부(126)는 눕혀져 저면이 본체(110) 상면과 마주한다. 이때 확대부(126)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확대부(126)는 확인바(124)에 위치한 광섬유(21) 단부를 확대한다. 작업자는 현장에서 절단된 광섬유(21)의 단부를 확대부(126)를 통해 확대하여 절단된 단면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광섬유(21) 단부 단면 모양을 확인할 수 있어 광섬유 단부 단면 모양에 따른 불량을 현장에서 즉시 조치할 수 있다.
확대부(126)는 볼록렌즈 따위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확대부(126)는 광섬유(21)의 단부 단면 모양을 촬영하여 모니터, 스마트 폰 따위의 영상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장치는 실시간으로 전송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확대부(126)는 광섬유 단부를 확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대부(126)를 통하여 광섬유(21)의 단부 단면 모양을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작업자가 현장에서 즉시 판별할 수 있다. 광섬유(21)의 단부 단면 모양이 불량인 경우 작업자는 광섬유(21)를 다시 절단할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광섬유(21) 단부 단면 모양을 확인할 수 있어 광섬유 단부 단면 모양에 따른 불량을 현장에서 즉시 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21)의 단부 단면 모양 불량에 따른 광신호 전송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더 참고하면, 본체(110)의 조립부(130)는 커넥터 영역(130a) 및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을 포함한다.
커넥터 영역(130a)은 본체(110) 하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은 본체(110) 하면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영역(130a)과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의 위치를 본체(110) 하면의 일측과 타측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 영역(130a)과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은 단차(130c)를 두고 경계를 이룬다.
커넥터 영역(130a)에는 조립된 커넥터(1)가 놓이는 커넥터 안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안착홈(132)은 본체(110) 하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커넥터 안착홈(132)의 둘레는 커넥터(1)의 가장 외부에 위치한 하우징(11) 둘레를 감싼다.
본체(110) 하면에는 커넥터(1)를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 고정덮개(150)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고정덮개(150)는 본체(110)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이며 본체(110)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걸리어 고정된다. 커넥터 고정덮개(150)는 커넥터(1)를 커넥터 안착홈(132) 바닥면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에는 홀더몸체(141)가 결합되면서 커넥터(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한 홀더몸체(141)는 단차(130c)에 걸리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홀더몸체(141)가 커넥터(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피복(23)으로부터 노출된 광섬유(21)는 커넥터(1) 내부로 삽입되어 페룰(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될 수 있다. 광 케이블(2)이 홀더몸체(141)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섬유(21)의 중심과 커넥터(1)의 중심이 일치하므로 홀더몸체(141)가 본체(110)에서 커넥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광섬유(21)가 커넥터(1) 내부로 반듯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현장에서 광 케이블과 커넥터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1을 더 참고하면 홀더몸체(141)가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에서 이동하여 단차(130c)에 접할 때 덮개 손잡이(144d)와 접하는 열림 가이드(133)가 조립 홀더 배치영역(130b)에 형성되어 있다. 열림 가이드(133)는 경사면을 이루며 덮개 손잡이(144d)가 열림 가이드(133)에 접한 상태에서 홀더몸체(141)가 커넥터(1) 방향으로 이동하면 덮개 손잡이(144d)는 열림 가이드(133)을 따라 이동하고 이때 열림 가이드(133)가 경사져 있으며 걸림턱(143)에 걸린 덮개몸체(144a)의 걸림력이 해제되어 광 케이블 고정덮개(144)가 광 케이블(2)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광섬유(21)가 페룰과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몸체(144a)가 자동으로 열리어 광 케이블을 덮개몸체(144a)에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광 케이블과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커넥터와 광 케이블을 조립부에서 분리하는 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광섬유(21)가 커넥터(1) 내부로 삽입되어 클램프를 통과한 후 페룰과 결합된다. 클램프는 광섬유(21)가 커넥터(1) 내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클램프는 통과하는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바디, 제2바디 및 제1바디와 제2바디를 감싸며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바디를 제1바디 방향으로 누르는 클램핑링을 포함한다. 제2바디의 누름으로 광섬유는 클램프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클램프링의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12)가 커넥터(1)의 하우징(1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2를 더 참고하면, 커넥터 영역(130a)에는 클램프 조작바(160)가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조작바(160)는 레버(12)가 노출되어 있는 커넥터(1)의 일부분을 덮고 있으며 일측이 본체(110)와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본체(110)의 걸림턱(도시하지 않음)에 걸리어 고정된다. 클램프 조작바(160)의 타측이 걸림턱에 걸리어 고정될 때 레버(12)를 가압하여 클램프링을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클림프링은 제2바디가 제1바디를 가압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이에 레버(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본체(110) 일면에 검사부(120)가 형성되고 타면에 조립부(130)가 형성되며, 검사부(120)와 조립부(130)에 광 케이블을 고정한 홀더(1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검사부와 조립부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면 각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검사부(120)와 조립부(130)가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100)의 휴대, 보관 및 사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조립부(130)를 생략한다. 이에 본체(110) 일면에 광섬유의 노출된 길이를 확인하는 확인창과 광 케이블의 제2 피복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확인창에 위치한 광섬유의 단부를 확대할 수 있는 확대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 일면에 광 케이블을 고정한 홀더(140)가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검사부(120)를 생략한다. 이에 본체(110) 일면에 커넥터와 광섬유을 결합하는 조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부에는 광 케이블을 고정한 홀더가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커넥터 11: 하우징
12: 레버 2: 광 케이블
21: 광섬유 22: 제1 피복
23: 제2 피복
100: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10: 본체 111, 120d, 143: 걸림턱
120: 검사부 120a: 검사 홀더 배치영역
120b: 검사영역 120c, 130c: 단차
120d: 걸림턱 121, 131: 슬라이드 공간
122: 광섬유 위치홀 123: 피복 위치홀
124: 확인바 125: 광섬유 안착홈
126: 확대부 130: 조립부
130a: 커넥터 영역 130b: 조립 홀더 배치영역
132: 커넥터 안착홈 133: 열림 가이드
140: 홀더 141: 홀더몸체
142: 광 케이블 가이드홈 142a: 제1 가이드홈
142b: 제2 가이드홈 142c: 제3 가이드홈
144: 광 케이블 고정덮개 144a: 덮개몸체
144b, 144c: 누름부재 144d: 덮개 손잡이
150: 커넥터 고정덮개 160: 클램프 조작바
L1: 제2 피복에서 제1 피복이 노출 길이
L2: 제1 피복에서 광섬유가 노출된 길이
W1: 제3 가이드홈 너비 W2: 제2 가이드홈 너비
H1: 가상 수평선

Claims (18)

  1. 광 케이블의 단부에서 광섬유의 노출범위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부와 광 케이블과 커넥터를 결합하는 조립부가 형성된 본체, 그리고
    상기 검사부 또는 상기 조립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본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 일면에 형성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홀더가 위치하는 검사 홀더 배치영역, 그리고
    상기 홀더에 고정된 광 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하는 검사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 홀더 배치영역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3. 제2항에서,
    상기 검사영역에는, 상기 광 케이블의 피복이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과, 상기 광섬유 단부와 피복의 일부분이 위치할 수 있는 광섬유 위치홀과 피복 위치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 위치홀과 상기 피복 위치홀은 구획되어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4. 제3항에서,
    상기 광섬유 위치홀에는 확인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 단부가 상기 확인바 에 위치하면 상기 광섬유의 노출길이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5. 제3항에서,
    상기 검사영역에는 상기 본체 길이방향으로 상기 광섬유를 가이드하는 광섬유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6. 제2항에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광섬유의 단부를 보이는 확대부를 더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7. 제6항에서,
    상기 확대부는 상기 검사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힌지 연결되어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8. 제1항에서,
    상기 본체 타면에 형성된 상기 조립부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는 커넥터 영역, 그리고
    상기 홀더가 이동할 수 있게 위치하는 조립 홀더 배치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홀더 배치영역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의 이동으로 상기 홀더에 고정된 광 케이블의 광섬유가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9. 제8항에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덮개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클램프를 조작하는 클램프 조작바
    를 더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0. 제1항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광 케이블이 놓이는 광 케이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홀더몸체,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케이블 고정덮개
    를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1. 제10항에서,
    상기 조립부에는 상기 홀더몸체의 이동으로 상기 광 케이블 고정덮개가 접하는 열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 케이블 고정덮개가 상기 열림 가이드에 접하면 상기 광 케이블의 고정력이 해제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2. 제10항에서,
    상기 광 케이블 가이드홈은
    둘레면이 평면을 이루는 제1 가이드홈, 그리고
    둘레면이 곡면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연결되어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3. 제12항에서,
    상기 광 케이블 가이드홈은,
    제3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이드홈의 너비는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너비 보다 작은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4. 광섬유가 노출된 광 케이블이 놓이는 일면에 상기 광 케이블의 외측 피복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격된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감사는 내측 피복의 단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5. 제14항에서,
    상기 일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확인창에 위치한 상기 광섬유 단부를 확대하는 확대부를 더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6. 제14항에서,
    상기 일면 일측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과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7. 제16항에서,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 케이블의 외측 피복을 눌러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18. 제14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은
    상기 광섬유 단부가 위치하는 광섬유 위치창, 그리고
    상기 광섬유 위치창과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피복 단부가 위치하는 피복 위치창
    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KR1020180059252A 2018-05-24 2018-05-24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KR102055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52A KR102055741B1 (ko) 2018-05-24 2018-05-24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52A KR102055741B1 (ko) 2018-05-24 2018-05-24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71A true KR20190134071A (ko) 2019-12-04
KR102055741B1 KR102055741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252A KR102055741B1 (ko) 2018-05-24 2018-05-24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197A (zh) * 2020-08-27 2020-12-29 上海传输线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三研究所) 一种控制光纤切割长度的方法及其切割夹具和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97B1 (ko) * 2021-03-04 2023-05-2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1-06-15 지견신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JP2008064895A (ja) * 2006-09-05 2008-03-2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2013531280A (ja) * 2010-07-19 2013-08-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組立ツール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組立法
KR101330325B1 (ko) 2012-05-04 2013-11-14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11Y1 (ko) 2000-11-16 2001-06-15 지견신 광케이블 접속구 조립장치
JP2008064895A (ja) * 2006-09-05 2008-03-2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2013531280A (ja) * 2010-07-19 2013-08-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組立ツール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組立法
KR101330325B1 (ko) 2012-05-04 2013-11-14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197A (zh) * 2020-08-27 2020-12-29 上海传输线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三研究所) 一种控制光纤切割长度的方法及其切割夹具和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741B1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0484B2 (ja) 光ファイバ接続治具
US8434948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optical cable
JP5395616B2 (ja) フェルールホルダ
US10025037B2 (en) Method of splicing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splicing device
US10139568B2 (en) Optical fiber splicing tool and optical fiber splicing method
WO2011078072A1 (ja) 光ファイバホルダおよび光ファイバ心線の保持方法
KR102055741B1 (ko)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지그
JP2012515936A (ja) 光ファイバ接続のための成端システム
US5533160A (en) Apparatus for splicing optical fibers
JP5470663B2 (ja) 光ファイバ用整列治具、光ファイバの整列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方法
JP6628247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4684182B2 (ja) 光コネクタ
JP2007121878A (ja) 光コネクタの接続工具
JP2007171824A (ja) 光ファイバホルダ
JP4980658B2 (ja) 光受信機
JP6159429B1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856487B2 (ja) 接続損失測定方法及び挿入損失測定方法
US10209474B2 (en) Fiber arrangement member and optical wiring unit
JP4155153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5888881B2 (ja) 光コネクタ
JP6340491B1 (ja) 整線部材および光配線ユニット
JP2005062361A (ja) 光ファイバ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2007057806A (ja) 光受信機の光ファイバ収容部におけるwdmフィルターホルダ
KR20050100400A (ko) 광파이버 접속 지그
JPH10288716A (ja) 単心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