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400A - 광파이버 접속 지그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접속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400A
KR20050100400A KR1020057015039A KR20057015039A KR20050100400A KR 20050100400 A KR20050100400 A KR 20050100400A KR 1020057015039 A KR1020057015039 A KR 1020057015039A KR 20057015039 A KR20057015039 A KR 20057015039A KR 20050100400 A KR20050100400 A KR 2005010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re wire
splice
jig
spli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코 혼마
마사히로 하세가와
히데유키 긴파라
히데노리 다카하시
이사오 나카가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0400A/ko
Publication of KR2005010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4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 경량으로 휴대성이 우수하고, 또한 구성이 단순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현장에서의 광파이버의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확실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파이버 접속 지그(30)를, 스플라이스 부재(4)를 협지하여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파지 프래임(33, 35)의 파지 조작에 의해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에 웨지 피이스(39)를 끼워서 광파이버 유지 홈(8)을 확대시키는 지그 본체(31)와, 지그 본체(31)에 설치되고,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 방향으로 연장하는 심선 안내 홈(75)에 의해서 광파이버 심선(19)을 광파이버 유지 홈(8)의 대략 중심 위로 안내하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파이버 접속 지그{OPTICAL FIBER CONNECTING TOOL}
본 발명은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파이버 설치 현장에서의 커넥터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실현하기 위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을 목적으로 SC형 광커넥터가 개발되었다.
이 SC형 광커넥터는 현장 조립도 가능한 지르코니아 페룰(ferrule)에 의한 정렬 구조 및 2중 끼워맞춤 구조를 기본 구성으로 한 것으로, 주로 석영계 싱글 모드 광파이버의 단심 케이블 접속용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 SC형 광커넥터를 더욱 개량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가 개발되어 있다.
이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는 종래의 SC형 광커넥터와의 호환성을 확보하면서, 더욱 저비용으로 고밀도의 설치를 실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도 40 내지 도 43은 종래의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 도시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는 일본 특허 공개 제 1 999-160563 호 공보에 개시된 것으로, 제 1 광파이버(2)를 내장시킨 페룰(3)과, 페룰(3) 및 페룰(3)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제 1 광파이버(2)를 유지하는 스플라이스 부재(4)와, 이 스플라이스 부재(4)의 외주를 덮는 대략 통형상의 커넥터 하우징(23)을 구비하고 있어서, 광파이버 심선(心線)(19)의 선단에 드러난 제 2 광파이버(20)를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로부터 삽입하고, 제 1 광파이버(2)와 제 2 광파이버(20)를 스플라이스 부재(4)내에서 맞대어서, 제 2 광파이버(20)를 제 1 광파이버(2)에 접속한다.
커넥터 하우징(23)은 스플라이스 부재(4)의 전단측의 외주를 덮는 프론트 하우징(17)과,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측의 외주를 덮는 리어 하우징(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프론트 하우징(17)과 리어 하우징(18)은 한쪽의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17a)에, 다른 쪽의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된 유지 피이스(18a)를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화된다.
커넥터 하우징(23)내에는, 수용한 스플라이스 부재(4)를 프론트 하우징(17)의 전단측의 위치 결정 벽(17b)에 가압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16)이 구비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부재(4)는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5)와, 이 베이스 부재(5) 위에 중첩되는 커버 부재(6)와, 중첩된 상태의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를 밀착 상태로 협지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클램프 부재(14, 15)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6)가 중첩되는 베이스 부재(5)의 표면에는 상술한 제 1 광파이버(2) 및 제 2 광파이버(20)를 삽입하는 광파이버 유지 홈(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광파이버 유지 홈(8)은 횡단면이 V자 형상인 홈으로, 홈에 도입된 광파이버가 홈의 내면과 홈 위를 덮는 커버 부재(6)의 표면에 의해 협지되도록, 홈의 폭이나 홈의 깊이 등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5)의 전단에는 전방으로부터 도입된 페룰(3)의 외주를 지지하는 페룰 유지부(7)가 설치된다.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미리, 프론트 하우징(17)에 페룰(3)을 삽입하여 둔다.
그리고,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룰(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제 1 광파이버(2)가 베이스 부재(5)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앞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부재(5)에 페룰(3)을 도입한 후, 베이스 부재(5) 위로 커버 부재(6)를 중첩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를 제 1 및 제 2 클램프 부재(14, 15)에 의해 밀착 상태로 고정해서 스플라이스 부재(4)를 완성한다.
이어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상에 코일 스프링(16) 및 리어 하우징(18)을 끼워서, 리어 하우징(18)과 프론트 하우징(17)을 결합 고정하면, 도 40 및 도 43에 도시하는 완성 형태가 된다.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에의 제 2 광파이버(20)의 접속은 광파이버의 설치 현장 등에서 전용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스플라이스 부재(4)의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의 측면에는, 상호 밀착면을 제 1 및 제 2 클램프 부재(14, 1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서 열기 위한 웨지(wedge) 삽입 슬릿(4a, 4b)이 구비되어 있고, 커넥터 하우징(23)에는 이 웨지 삽입 슬릿(4a, 4b)을 노출시키는 개구(15a, 15b)가 구비되어 있다.
전용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는 제 2 광파이버(20)를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도 44a 및 도 4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웨지 피이스(21)를 끼워서, 밀착 상태의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96735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71999 호 공보
전용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로 스플라이스 부재(4)의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광파이버 심선(19)의 선단으로부터 드러난 제 2 광파이버(20)를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방으로부터 광파이버 유지 홈(8)에 도입하고, 광파이버 유지 홈(8)내에서 제 1 광파이버(2)와 제 2 광파이버(20)를 맞댄다. 그 후에, 웨지 피이스(21)를 웨지 삽입 슬릿(4a, 4b)으로부터 빼내면, 제 1 광파이버(2)와 제 2 광파이버(20)는 단면을 맞댄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에 협지·고정되어서, 제 1 광파이버(2)와 제 2 광파이버(20)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는 스플라이스 부재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탁상 설치형의 베이스 위에 웨지 피이스와, 레버 조작에 의해 웨지 피이스를 진퇴 조작하는 웨지 구동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하기 어렵고, 또한 현장 등에서 한 손으로 간단히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현장에서의 취급상의 불편이나, 지그의 비용이 높아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 자체의 수요의 침체를 초래하는 한가지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어디에서나 공통인 문제로서,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광파이버를 삽입할 때, 광파이버의 중심축을 광파이버 유지 홈의 중심축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는 안내 부재가 없고, 양자의 중심축 맞춤을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수작업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파이버의 중심축이 광파이버 유지 홈의 중심축으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삽입 조작이 행하여진 결과, 광파이버의 선단이 광파이버 유지 홈의 개구 가장자리에 닿아서 파이버 선단의 결손 등을 초래할 우려도 있었다. 이렇게, 파이버 선단의 결손이 발생했을 경우는, 그 결손된 선단부를 제거하고, 광파이버 선단을 정돈하는 수복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성을 더욱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형이면서 경량으로 휴대성이 뛰어나고, 더구나 구조가 단순해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광파이버를 삽입할 때에, 작업자에게 정렬 등의 부담을 가중하는 일없이 광파이버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뛰어난 취급성으로 인해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 자체의 수요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1]∼[12]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1] 광파이버 심선을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파지 조작에 의해 진출하는 웨지 피이스를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웨지 삽입 슬릿에 끼워서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을 확대하는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광파이버 심선을 심선 안내 홈에 의해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대략 중심축 위로 안내하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2] 상기 [1]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는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전후 양단의 각 광파이버 유지 홈에 대응해서 구비된 전후 한쌍의 웨지 피이스와, 각 웨지 피이스마다 파지 조작에 의한 상기 웨지 삽입 슬릿으로의 밀어넣기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웨지 피이스에 대응하여 전후로 분할하여 구비된 전후 한쌍의 분할 파지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는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개구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중심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심선 안내 홈을 갖고, 해당 심선 안내 홈 상에서 광파이버 심선을 활주시킴으로써, 광파이버 심선 선단에 드러난 광파이버를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는 상기 심선 안내 홈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에 결선하는 파이버 직경에 대응한 치수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그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1]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광파이버 심선의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으로의 삽입 작업시에, 상기 심선 안내 홈으로부터 광파이버 심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1] 내지 [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는 상기 심선 안내 홈을 형성한 심선 안내 블록이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1] 내지 [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광파이버를 삽입할 때에,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 [1] 내지 [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웨지 피이스를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측면의 웨지 삽입 슬릿에 끼우기 위해서, 상기 지그 본체의 파지 조작을 시작하자마자,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시키는 조명 점등 스위치를 상기 지그 본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상기 [9]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가 스플라이스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서 파지 조작에 의해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 점등 스위치는 상기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의 이간 거리가 규정 길이 이하로 접근했을 때에 접점부가 접촉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상기 [1] 내지 [10]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 심선을 결선하는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로서, 페룰이 유지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광파이버 심선을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소정의 이간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고, 파지 조작에 의해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한쌍의 파지 프레임과, 이들 파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를 위치결정 고정하는 스플라이스 홀더와, 상기 스플라이스 홀더에 고정된 스플라이스 부재 측면의 웨지 삽입 슬릿에 대향하는 상기 한쪽의 파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 프레임을 파지 조작할 때에 상기 웨지 삽입 슬릿에 끼워서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을 확대하는 웨지 피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를 장착한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를 우측 상부에서 비스듬히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를 좌측 상부에서 비스듬히 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평면도,
도 8은 스플라이스 홀더의 평면도,
도 9는 스플라이스 홀더의 우측면도,
도 10은 스플라이스 홀더의 사시도,
도 11은 도 4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7의 B-B 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웨지 피이스의 동작 설명도로서, 도 15a는 웨지 피이스를 끼우기 전, 도 15b는 웨지 피이스를 끼운 후를 도시하고, 각각 도 1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a 및 도 16b 한쌍의 파지 프레임의 슬라이드 동작 설명도로서, 도 16a는 파지 조작전, 도 16b는 파지 조작시를 도시하고, 도 11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3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G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도 21에 도시한 덮개 부착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정면 상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로서, 도 23a는 좌측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3b는 우측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4는 도 23a 및 도 도 23b에 도시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평면에서 본 동작 설명도로서, 도 24a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24b는 덮개를 폐쇄한 상태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4 실시형태인 덮개 부착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정면 상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로서, 도 25a는 좌측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5b는 우측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평면에서 본 동작 설명도로서, 도 26a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26b는 덮개를 폐쇄한 상태의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5 실시형태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광파이버 지그의 평면도,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광파이버 지그의 정면도,
도 30은 도 27에 도시한 광파이버 지그의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지그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확대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지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확대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6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정면도,
도 35는 도 34의 H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7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37은 도 36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평면도,
도 38은 도 36에 도시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우측면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41은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의 스플라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2는 스플라이스 부재의 구성부품의 일부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43은 도 40에 도시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의 측면도,
도 44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44a는 사용 직전, 도 44b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또한, 도면중의 부호 1은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 2는 광파이버, 3은 페룰, 4는 스플라이스 부재, 4a, 4b는 웨지 삽입 슬릿, 8은 광파이버 유지 홈, 19는 광파이버 심선, 20은 광파이버, 30은 광파이버 접속 지그, 31은 지그 본체, 32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 33, 35는 파지 프레임, 33d, 35d는 표면, 37은 스플라이스 홀더, 39는 웨지 피이스, 41은 조명 수단, 43은 조명 점등 스위치, 47은 가이드 축, 49는 용수철 부재, 51 내지 56은 위치 규제용 단부, 53a, 54a는 테이퍼형 면, 58, 59는 판스프링, 71은 스트랩용 구멍, 74는 나사, 75는 심선 안내 홈, 78은 광파이버 접속 지그, 79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 80은 심선 안내 홈, 82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83은 파이버 삽입 가이드, 84는 심선 안내 홈, 85, 86은 가이드 블록, 87은 덮개, 89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 90, 91은 가이드 블록, 93은 심선 안내 홈, 94는 덮개, 96은 광파이버 접속 지그, 97은 파이버 삽입 가이드, 98은 가이드 블록 본체, 99는 슬라이드 기구, 100은 심선 안내 블록, 101은 심선 안내 홈, 102는 핀, 103은 긴 구멍, 105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107은 지그 본체, 111, 112는 파지 프레임, 121, 122는 분할 파지 프레임, 125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127은 파이버 삽입 가이드, 129는 심선 안내 홈, 130은 파이버 삽입 가이드, 131은 심선 안내 홈, 135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 136은 심선 안내 홈, 140은 파이버 삽입 가이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광파이버 접속 지그(30)는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에 조립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광파이버 심선(19)으로부터 드러난 광파이버(20)를 삽입 접속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스플라이스 부재(4)의 전단측에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3)이 미리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 페룰(3), 스플라이스 부재(4), 광파이버 심선(19), 광파이버(20) 등은 기본적으로 도 40 내지 도 43에 도시한 기존 제품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30)는 손바닥에 파지할 수 있는 크기의 지그 본체(31)와, 이 지그 본체(31)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의 지그 본체(31)는 소정의 이간 거리(L)를 두고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손바닥상에서 파지 조작함으로써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과, 이들 파지 프레임(33, 35) 사이에 배치되어 장전하는 스플라이스 부재(4)를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 고정하는 스플라이스 홀더(37)와, 스플라이스 홀더(37)에 장전된 스플라이스 부재(4) 측면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대향한 한편의 파지 프레임(33)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하여 서로 접근시켰을 때에, 스플라이스 부재(4)의 길이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진출하여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끼워서, 광파이버 유지 홈(8)을 확대하는 한쌍의 웨지 피이스(39)를 주요부로서 구비한다.
한쌍의 웨지 피이스(39)는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끼워서 광파이버 유지 홈(8)을 열기 위한 두께가, 스플라이스 부재(4)의 전단측에 위치해서 웨지 삽입 슬릿(4a)에 끼워지는 웨지 피이스(39)와 후단측에 위치해서 웨지 삽입 슬릿(4b)에 끼워지는 하는 웨지 피이스(39)에서 상이하다. 즉, 광파이버(20)를 협지·고정하는 부위에 대응한 전단측의 웨지 삽입 슬릿(4a)에서는 두텁게, 광파이버 심선(19)을 협지·고정하는 부위에 대응한 후단측의 웨지 삽입 슬릿(4b)에서는 피복 두께를 고려해서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웨지 피이스(39)는 스플라이스 부재(4)에 접속하는 광파이버 심선의 파이버 직경이 변경될 경우(예컨대, 피복 외경이 0.25mmΦ 및 0.9mmΦ)에, 적용되는 광파이버 심선에 따라 두께를 바꿀 수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개방이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그 본체(31)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광파이버(20)를 삽입 접속할 때에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 수단(41)과, 광파이버(20)를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삽입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파지 조작을 시작하자마자 조명 수단(41)을 점등시키는 조명 점등 스위치(43)(도 6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을 손바닥(45)에 올리고, 각각의 외측면(33b, 35b)이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파지부가 되는 것으로, 금속판의 프레스성형이나,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파지하기 쉬운 외곽형상을 부여하지만,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은 도 5 및 도 12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의 파지 프레임(33, 35)의 대향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축(47, 47)에 의해 서로 접근 또는 이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각 가이드 축(47)상에 끼워져서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 용수철 부재(49)에 의해 서로 이간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파지 조작에 의해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끼워진 웨지 피이스(39)는 파지 조작을 해제했을 때의 스프링 부재(49)의 가압력에 의해, 웨지 삽입 슬릿(4a, 4b)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스프링 부재(49)의 스프링 강도가 설정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홀더(3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파지 프레임(35)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이 스플라이스 홀더(37)에 웨지 삽입 슬릿(4a, 4b)을 노출시켜서 장전하는 스플라이스 부재(4)에 대하여, 다른쪽의 파지부(33)로부터 진출하는 웨지 피이스(39)를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스플라이스 홀더(37)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4)를 재치하는 재치면(37a)에 돌출 형성한 여러개의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4)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플라이스 부재(4)를 위치 결정한다.
재치면(37a)의 후단부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면(37a)보다 약간 높게 형성한 바닥 벽부(37b)가 설치되고, 이 바닥 벽부(37b)의 단부에 스플라이스 부재(4)의 하우징 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켜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스플라이스 홀더(37)는 재치면(37a) 및 바닥 벽부(37b)의 일부에 형성한 부착구멍(37c)을 거쳐서, 파지 프레임(35)의 바닥 벽부(35a)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각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중, 스플라이스 부재(4)의 선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규제용 단부(53, 54)에는 도 8 및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들 사이에 삽입하는 스플라이스 부재(4)를 소정 위치로 안내하는 각도 α의 테이퍼형 면(53a, 54a)이 구비되어 있다. 이 테이퍼형 면(53a, 54a)의 경사각(α)은 예컨대 20° 전후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각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의 상단의 내측 에지부에도, 스플라이스 부재(4)를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 사이로 안내하는 모따기부(51b, 52b, 55b, 5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플라이스 홀더(37)에서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선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규제용 단부(53, 54)의 이간 간격(S1)은 스플라이스 부재(4)의 중간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규제용 단부(52, 55)의 이간 간격(S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치 규제용 단부(53, 54)의 이간 간격(S1)은 스플라이스 부재(4)의 선단의 폭(W1)(도 1 참조)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치수 설정에 의해, 위치 규제용 단부(53, 54)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전단측에 노출되는 페룰(3)을 봉쇄하지 않지만, 스플라이스 부재(4)를 전단측으로 이동 불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조명 수단(41)은 점등 관으로서 LED를 이용하고 있다. 이 조명 수단(41)을 온·오프(on·off) 하는 조명 점등 스위치(43)는 도 5 및 도 6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이간 거리가 규정 거리 이하에 접근했을 때에 접점부가 도통 접속되는 판스프링(58, 59)을 이용한 구조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수단(41)을 유지하는 램프 홀더(61)는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후단측에 구획형성되는 램프 수용부(62)에 수용 유지된다. 여기에 수용된 LED의 광축은 스플라이스 홀더(37)에 고정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를 향하고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주변을 조명한다.
조명 점등 스위치(43)는 전지를 내장한 전지 홀더(64)와 조명 수단(41) 사이의 급전 회로를 온·오프한다. 전지 홀더(64)는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바닥 벽부에 구획형성되는 전원 수용부(66)에 수용 유지된다.
전원 수용부(66)를 갖는 파지 프레임(35)의 바닥면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홀더(64)의 바닥부를 노출시켜서, 전지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교환용의 나사 결합식 커버(6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이 지그 본체(31)의 표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 부근으로부터 광파이버(20)측으로 연장된 파지 프레임(33, 35)의 표면(33d, 35d)의 높이(H1)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지지면의 높이(H2)보다도 낮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표면(33d, 35d)과,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 하면 사이에 간극(S3)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파지 프레임(35)에 스트랩용 구멍(71)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지그 본체(31)에서는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 조작에 의해 접근시키지 않는 상태일 때는,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지 피이스(39)는 스플라이스 홀더(37)상의 스플라이스 부재(4)로부터 이간한 상태에 있고, 또한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축(47)상에 끼워진 용수철 부재(49)는 조립시의 예비 압축 상태에 있다.
그리고,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하여 접근시키면,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지 피이스(39)가 스플라이스 홀더(37)상의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또한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축(47)상에 끼워진 나사 부재(49)는 조립시의 예비 압축 상태보다 더욱 압축한 상태가 된다.
도 15b 및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 조작해서 접근시킨 상태에서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웨지 피이스(39)가 끼워지고,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을 확장시킨 상태가 되기 때문에, 광파이버(20)의 광파이버 유지 홈(8)으로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광파이버(20)를 삽입한 후에는, 파지 프레임(33, 35)의 파지 조작을 해제하면, 용수철 부재(49)의 복원력에 의해 파지 프레임(33, 35)이 원래의 이간 간격으로 돌아가고, 웨지 피이스(39)가 웨지 삽입 슬릿(4a, 4b)으로부터 빠져나오고, 광파이버(20)가 스플라이스 부재(4)를 구성하고 있는 베이스 부재(5)와 커버 부재(6)에 협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서로 접속하는 페룰(3)의 광파이버(2)(도 33 참조)와 광파이버 심선(19)으로부터 드러난 광파이버(20)의 대향면 사이에는 굴절율 정합재 등의 도포·충전에 의해, 접속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적당히 접착제를 도포해 둠으로써, 스플라이스 부재(4)에 있어서의 광파이버(2, 20)간의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는 파지 프레임(35)의 전면에 구비된 나사 구멍(73)에 결합되는 나사(육각형 구멍을 가는 나사)(74)에 의해, 파지 프레임(35)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는 파지 프레임(35)에 설치된 상태일 때, 스플라이스 홀더(37)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 방향(도 1 참조)으로 연장하는 심선 안내 홈(75)을 갖고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4)에 접속하는 광파이버 심선(19)을 이 심선 안내 홈(75)에 의해, 광파이버 유지 홈(8)의 대략 중심축(Y1) 위로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심선 안내 홈(75)은 광파이버 심선(19)을 상방으로부터 끼워지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홈이며, 홈의 상부의 측면은 광파이버 심선(19)을 끼우기 쉽도록 테이퍼부(75a)를 갖고 있지만, 홈의 바닥부측의 폭 치수(b1)(도 2 참조)는 접속하는 광파이버 심선(19)의 파이버 직경에 대응해서 설정한 것으로, 광파이버 심선(19)에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고밀도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홀더(37)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으로부터 소정 거리(L2)만큼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심선 안내 홈(75)을 갖는 것으로, 이 심선 안내 홈(75) 위에 설치한 광파이버 심선(19)을 심선 안내 홈(75)뿐만 아니라 스플라이스 부재(4)측으로 활주시킴으로써, 광파이버 심선(19)의 선단에 드러난 광파이버(20)를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삽입 안내한다.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으로부터 심선 안내 홈(75)까지의 소정 거리(L2)는 구체적으로는 광파이버 심선(19)의 선단에 드러난 광파이버(20)의 광파이버 유지 홈(8)으로의 삽입 거리 이상으로 설정하면 좋다. 이것은 광파이버 심선(19)의 피복 부분만을 안내하여, 심선 안내 홈(75)상에서 광파이버 심선(19)을 활주시킬 때에, 광파이버(20)와 슬라이드하여 상처를 내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는 예컨대 투명 수지 등의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30)에서는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외형치수를 손바닥에 들어오는 정도로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경량이고, 뛰어난 휴대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 상호의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 자체가,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대한 웨지 피이스(39)의 진퇴 조작을 겸하고 있어서, 웨지 피이스(39)를 진퇴 조작하는 전용의 구동 장치나, 웨지 피이스(39)를 진퇴 조작하기 위한 전용 레버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구성 및 조작이 단순해져서, 염가로 제조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지그 자체가 손바닥에 들어오고, 현장 등에서 한 손의 파지 조작으로 간단히 제 2 광파이버(20)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에 대한 현장에서의 제 2 광파이버(20)의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더욱 중요한 점은, 지그 본체(31)에 구비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32)가 심선 안내 홈(75)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9)을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 위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광파이버(20)를 삽입할 때에, 광파이버(20)의 중심축을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에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광파이버(20)를 삽입할 때에, 작업자에게 정렬 등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없이 광파이버(20)를 간단하고 확실히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삽입할 수 있고, 스플라이스 부재(4)를 통한 광파이버 설치 현장에서의 광파이버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취급성의 향상이나 제조 비용의 저비용화가 실현되고,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 자체의 수요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30)에서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32)의 심선 안내 홈(75)은 스플라이스 홀더(37)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으로부터 광파이버(20)의 삽입 길이 이상의 이간 거리(L2)를 형성하여 구비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파이버(20)의 삽입 조작시에는 광파이버 심선(19)의 피복 부분만이 심선 안내 홈(75) 위를 활주하게 되고, 광파이버(20)가 슬라이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30)에서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를 지그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스플라이스 부재(4)에 접속하는 광파이버 심선의 파이버 직경이 변경될 경우에는, 변경되는 파이버 직경에 대응한 심선 안내 홈을 갖은 파이버 삽입 가이드로 전환하는 것만으로, 이전과 동일한 정렬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접속하는 파이버 직경의 변경에 염가로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 자체에, 여러 종류의 파이버 직경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30)에서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부재(4)에 광파이버 심선을 접속하는 작업시에, 광파이버(20)가 드러난 부분의 변위를 투명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를 거쳐서 외부로부터 간단히 육안 확인할 수 있고, 광파이버(2)를 스플라이스 부재(4)에 삽입 접속하는 작업이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는 투명 재료로 형성했지만, 반드시 투명하지 않고, 반투명의 재료여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광파이버(2)를 스플라이스 부재(4)에 삽입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대한 웨지 피이스(39)의 진퇴 조작을 겸하는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 상호의 이동 기구가, 한쌍의 가이드 축(47, 47)과 용수철 부재(49)의 조합에 의한 단순한 연결 기구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지그의 구성부품의 절감이나, 구조의 단순화나, 소형화에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30)는 현장 등에서 제 2 광파이버(20)의 접속 작업을 할 때에, 조명 수단(4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어두워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을 보기 어려워지는 일이 없고,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육안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접속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수단(41)은 파지 프레임(33, 35)의 파지 조작의 도중에 자동적으로 점등하는 구성으로, 파지 프레임(33, 35)의 파지 조작을 해제한 때에는 자동적으로 소등하기 때문에, 조명 수단(41)의 점등 시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쓸데없는 점등을 없애는 것으로, 조명 수단(41)에 사용하는 전지 등의 쓸데없는 전력소모의 방지와 전지 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점등 스위치(43)로서, 제조가 용이한 판스프링(58, 59)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구성 자체를 비교적 간단히 하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점등 스위치(43)를 구성하는 판스프링(58, 59)의 가압력을 웨지 피이스(39)를 웨지 삽입 슬릿(4a, 4b)으로부터 인출할 때의 가압력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 만큼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서로의 이간 방향으로 미는 용수철 부재(49) 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후단부측의 표면은 광파이버(20)를 삽입 접속하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보다 낮고,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부가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광파이버(20)를 삽입할 때, 스플라이스 부재(4)의 후단의 육안 확인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스플라이스 부재(4)를 쥐고 스플라이스 홀더(37)에 대해 탈착할 때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 프레임(35)에 스트랩용 구멍(7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랩용 구멍(71)에 연결된 스트랩 끈 등으로 지그를 신체에 묶어둠으로써, 작업중에 지그를 떨어뜨리거나 분실하는 등의 불편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휴대성이나 취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플라이스 부재(4)를 위치 고정하는 스플라이스 홀더(37)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외면에 접촉해서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가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에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삽입을 안내하는 테이퍼형 면(53a, 54a), 모따기부(51b, 52b, 55b, 56b) 등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부재(4)의 위치 규제용 단부(51 내지 56)를 향해서 스플라이스 부재(4)를 미는 단순한 조작으로, 스플라이스 부재(4)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실현되고, 광파이버(20)의 접속 작업의 작업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78)는 지그 본체(31)의 전면에, 파이버 삽입 가이드(79)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지그 본체(31)는 먼저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공통이다.
파이버 삽입 가이드(79)는 지그 본체(31)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을 따라 연장하는 심선 안내 홈(80)을 갖고 있어서, 그 심선 안내 홈(80)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9)을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대략 중심축 위로 안내한다는 점 및 나사(74)에 의해 지그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파이버 삽입 가이드(79)는 심선 안내 홈(80)이, 도 18에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측방으로 개구된 홈이다.
또한, 심선 안내 홈(80)의 바닥부의 폭(b1)은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심선 안내 홈(80)의 스플라이스 부재(4)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L3)는 광파이버 심선(19)의 피복부만이 접촉하고, 광파이버(20)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으로부터의 이간 치수를 확보하면서, 광파이버 심선(19)의 슬라이드 동작이 안정되도록, 가능한 한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삽입 가이드에 구비하는 심선 안내 홈의 방향은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여도, 횡으로 개구된 형태여도 상관없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82)는 지그 본체(31)의 전면에, 파이버 삽입 가이드(83)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 파이버 삽입 가이드(83)는 지그 본체(31)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을 따라 연장하는 측방 개구형의 심선 안내 홈(84)을 갖고 있어서, 그 심선 안내 홈(84)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9)을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대략 중심축 위로 안내한다는 점 및 나사(74)에 의해 지그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파이버 삽입 가이드(83)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블록(85, 86)으로 분할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85)은 좌측방 개구형의 심선 안내 홈(84)을 갖고 있어서, 나사(74)에 의해 파지 프레임(3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이드 블록(86)은 광파이버 심선(19)의 광파이버 유지 홈(8)으로의 삽입 작업시에, 심선 안내 홈(84)으로부터 광파이버 심선(19)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87)를 갖고 있어서, 나사(74)에 의해 파지 프레임(3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이드 블록(86)은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가이드 블록(85)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2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86)을 가이드 블록(85)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가이드 블록(85)의 심선 안내 홈(84)으로 광파이버 심선(19)을 삽입하고, 그 후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하여 쌍방을 접근시키면, 심선 안내 홈(84)에 삽입된 광파이버 심선(19)의 가이드 블록(86)측으로의 이동이 덮개(87)에 의해 구속되어, 심선 안내 홈(84)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렇게 심선 안내 홈(84)으로부터의 광파이버 심선(19)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87)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속 작업중에 광파이버 심선(19)이 심선 안내 홈(84)으로부터 이탈하여 광파이버의 선단이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등의 문제를 확실히 피할 수 있고, 지그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심선 안내 홈(84)이 덮개(8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선 안내 홈(84)의 개구 방향으로의 간극 치수도 홈 폭(b1)과 동일해져서, 상하 및 측방의 어디로도 광파이버 심선(19)의 흔들림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파이버 삽입 가이드(89)는 지그 본체(31)에 개별적으로 나사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블록(90, 91)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좌측의 가이드 블록(90)에는 광파이버 심선(19)을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에 안내하는 심선 안내 홈(93)이 구비되고, 오른쪽의 가이드 블록(91)에는 광파이버 심선(19)의 심선 안내 홈(93)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94)가 구비된다는 점에서는 제 3 실시형태의 파이버 삽입 가이드(83)와 공통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파이버 삽입 가이드(89)에서는 심선 안내 홈(93)은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이며, 덮개(94)는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의 파지 조작에 의해 심선 안내 홈(93)의 상방을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라도,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중 한쪽의 파지 프레임(33)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125)는 지그 본체(31)의 전면에, 파이버 삽입 가이드(127)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 파이버 삽입 가이드(127)는 상방 개구형의 심선 안내 홈(129)을 갖고 있는 점 및 나사에 의해 지그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심선 안내 홈(129)은 광파이버 심선(19)으로부터 드러난 광파이버(20)를 활주시키는 폭 치수(b2)[예컨대, 광파이버(20)에 대응해서 0. 125mmΦ)로 설정되는 동시에,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개구되고, 또한 이 개구된 위치로부터 홈의 바닥부를 향해서 경사져서, 홈의 바닥부가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을 따라 연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심선 안내 홈(129)은 광파이버(20)를 상방의 개구로부터 삽입해서 홈의 바닥부로 이동시킨 후, 홈의 바닥부상에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축선 방향으로 활주시킴으로써, 광파이버(20)를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으로 안내한다.
또한, 광파이버(20)의 삽입 조작시에는 광파이버(20)가 심선 안내 홈(129)상을 슬라이드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버 삽입 가이드(127)와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이 접근한 이간 거리(L6)로 설치되고, 광파이버(20)의 이동 범위를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설명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125)에서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127)는 심선 안내 홈(129)이 경사져서 개구된 형태이며, 광파이버(20)를 심선 안내 홈(129)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켜서 홈의 바닥부에 배치하는 구조이므로, 경사면의 한 벽면이 덮개의 작용을 하고, 광파이버(20)가 심선 안내 홈(129)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고, 지그로서의 신뢰성과 접속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127)는 지그 본체(31)의 전면으로부터 스플라이스 홀더(37)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를 향해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파이버(20)를 슬라이드시키는 심선 안내 홈(129)의 육안 확인이 양호해서, 접속 작업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삽입 가이드의 더욱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 및 도 32의 파이버 삽입 가이드(130, 135)는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을 따라 연장하는 상방 개구형의 심선 안내 홈(131, 136)을 갖고 있는 점 및 나사에 의해 지그 본체(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이전의 제 5 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도 31의 실시형태에서는, 심선 안내 홈(131)은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보다 약간 상방측에 소정 간격(H3)만 오프셋 되어 있고, 슬라이드하는 광파이버(20)가 광파이버 유지 홈(8)의 개구단을 향해서 형성된 테이퍼형 면(81)을 따라 이동해서 광파이버 유지 홈(8)으로 안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2의 실시형태에서는, 심선 안내 홈(136)은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β)으로 경사져서, 광파이버(20)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프셋량(H3)은 1mm 정도로 하고, 경사각(β)은 5°내지 10°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실시형태의 경우, 광파이버(20)를 심선 안내 홈(131, 136) 위로 활주시켜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삽입할 때에, 광파이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삽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6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96)는 지그 본체(31)의 전면에 나사(74)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97)가 나사(74)에 의해 파지 프레임(35)에 고정되는 가이드 블록 본체(98)와,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Y1)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 기구(99)를 거쳐서 가이드 블록 본체(98)에 지지되는 심선 안내 블록(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심선 안내 블록(100)에, 광파이버 심선(19)을 지그 본체(31)에 유지된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 위로 안내하는 심선 안내 홈(101)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심선 안내 홈(101)은 상방으로 개구된 홈으로, 바닥부측의 폭은 안내하는 광파이버 심선(19)의 외형에 대응해서 설정되며, 상기의 각 실시형태와 같이, b1로 설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99)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선 안내 블록(100)의 측방으로 돌출한 핀(102)을, 가이드 블록 본체(98)에 형성한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긴 구멍(103)에 끼운 것이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 본체(98)의 전장(L4)에 대하여, 심선 안내 블록(100)의 슬라이드 길이는 L5이다. 이 슬라이드 길이(L5)는 스플라이스 부재(4)에 접속하는 광파이버 심선(19)의 광파이버(20)의 삽입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선 안내 홈(101)을 갖는 심선 안내 블록(100)을 스플라이스 부재(4)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광파이버 심선(19)이 유지된 심선 블록(100)을 이동 조작함으로써, 스플라이스 부재(4)로의 광파이버의 접속시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이동량을 적정량으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강제로 광파이버를 밀어넣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한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105)는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에 조립된 스플라이스 부재(4)로의 광파이버 심선(19)의 접속이 아니라,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체(單體)의 스플라이스 부재(4)에 대하여, 그것의 전후 양단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각각 광파이버 심선(19)을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스플라이스 부재(4)를 유지하는 지그 본체(107)의 전후 양단에, 광파이버 심선(19)을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안내하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32)가 구비되고, 또한 광파이버 유지 홈(8)의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 수단(41)도 지그 본체(107)의 전후 양단에 구비된 구성이다. 파이버 삽입 가이드(32)나 조명 수단(41)은 제 1 실시형태의 지그 본체(31)에 구비한 것과 같은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지그 본체(107)는 스플라이스 부재(4)를 유지하는 스플라이스 홀더(37)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111, 112)을 구비하고, 이들 한쌍의 파지 프레임(111, 112)을 파지함으로써, 웨지 피이스(39)가 스플라이스 부재(4)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끼워지고, 각 광파이버 유지 홈(8)을 밀어서 개방하는 점은 이상의 각 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단지, 본 실시형태의 지그 본체(107)에서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4)의 전후 양단의 각 광파이버 유지 홈(8)에 대응해서 전후에 각각 웨지 피이스(3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 웨지 피이스(39)마다 파지 조작에 의해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밀어넣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후 한쌍의 웨지 피이스(39, 39)에 대응하여, 우측의 파지 프레임(112)이 전후 한쌍의 분할 파지 프레임(121, 122)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 분할 파지 프레임(121, 122)은 가이드 축(47)에 의해 대향하는 파지 프레임(111)측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공통이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된 광파이버 접속 지그(105)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부재(4)의 양단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순차로 광파이버 심선(19)을 접속할 경우, 우선 스플라이스 부재(4)의 일단측의 광파이버 유지 홈(8)으로의 광파이버 심선의 삽입을 끝낸 후, 스플라이스 부재(4)의 타단측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광파이버 심선의 삽입을 실행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부재(4)의 양단의 광파이버 유지 홈(8)이 전후 한쌍의 분할 파지 프레임(121, 122)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웨지 피이스(39, 39)를 끼울 수 있는 구성이면, 뒤로부터의 광파이버 심선의 접속 조작시에, 광파이버 심선을 이미 접속한 광파이버 유지 홈(8)을 열고, 접속된 광파이버 심선이 빠져나가 버릴 우려가 없고, 스플라이스 부재(4)의 양단의 광파이버 유지 홈(8)에 차례로 광파이버 심선을 접속할 경우도, 뛰어난 취급성과 작업의 확실성을 얻을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140)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의 파이버 삽입 가이드를 생략한 것으로,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고, 따라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간단히 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140)는 소정의 이간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손바닥상에서 파지 조작함으로써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과, 이들 파지 프레임(33, 35) 사이에 배치되어 장전하는 스플라이스 부재(4)를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 고정하는 스플라이스 홀더(37)와, 스플라이스 홀더(37)에 고정된 스플라이스 부재(4) 측면의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대향한 한쪽의 파지 프레임(33)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쌍의 파지 프레임(33, 35)을 파지 조작해서 서로 접근시켰을 때에, 웨지 삽입 슬릿(4a, 4b)에 끼워서 광파이버 유지 홈(8)을 확대시키는 한쌍의 웨지 피이스(39)를 구비한다.
또한, 웨지 피이스(39), 조명 수단(41), 스플라이스 홀더(37), 전원 수용부 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이버 삽입 가이드를 생략한 광파이버 접속 지그(140)여도, 지그자체가 손바닥에 들어오고, 현장 등에서 한 손의 파지 조작으로 간단히 광파이버(20)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1)에 대한 현장에서의 광파이버(20)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더구나, 파이버 삽입 가이드를 생략한 만큼, 구조의 단순화나 소형화에 기여하고, 제조 비용의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확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의하면, 손바닥에 들어올 정도로 소형화되어, 소형 경량이면서 뛰어난 휴대성을 얻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의 광파이버로의 간단한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FTTH(Fiber to the home)의 진전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지그 본체에 구비한 파이버 삽입 가이드가, 심선 안내 홈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을 광파이버유지 홈의 중심축 위에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광파이버를 삽입할 때에, 작업자에게 정렬 등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없이 광파이버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할 수 있고, 스플라이스 부재를 통해서 광파이버 설치 현장에서의 광파이버 접속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 심선을 접속하는 스플라이스 부재의 형태가, 스플라이스 부재 단독의 경우뿐만 아니라,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로서 조립된 상태에서의 스플라이스 부재에도 가능하게 되고, 예컨대 광파이버 설치 현장에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예비 길이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에도, 커넥터 접속 위치에 지그를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속 작업을 달성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뛰어난 취급성으로 인해,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 자체의 수요증대를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광파이버 심선을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파지 조작에 의해 진출하는 웨지 피이스를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웨지 삽입 슬릿에 끼워서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을 확대시키는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광파이버 심선을 심선 안내 홈에 의해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대략 중심축 위로 안내하는 파이버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는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전후 양단의 각 광파이버 유지 홈에 대응하여 구비된 전후 한쌍의 웨지 피이스와, 각 웨지 피이스마다 파지 조작에 의한 상기 웨지 삽입 슬릿으로의 밀어넣기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쌍의 웨지 피이스에 대응하여 전후로 분할하여 구비된 전후 한쌍의 분할 파지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는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개구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중심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심선 안내 홈을 갖고, 해당 심선 안내 홈상에서 광파이버 심선을 활주시킴으로써, 광파이버 심선 선단에 드러난 광파이버를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는 상기 심선 안내 홈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에 결선하는 파이버 직경에 대응한 치수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그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파이버 심선의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으로의 삽입 작업시에, 상기 심선 안내 홈으로부터 광파이버 심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삽입 가이드는 상기 심선 안내 홈을 형성한 심선 안내 블록이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광파이버를 삽입할 때에,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의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피이스를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 측면의 웨지 삽입 슬릿에 끼우기 위해서, 상기 지그 본체의 파지 조작을 시작하자마자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시키는 조명 점등 스위치를 상기 지그 본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가 스플라이스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서 파지 조작에 의해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 점등 스위치는 상기 좌우 한쌍의 파지 프레임의 이간 거리가 규정 길이 이하로 접근했을 때에 접점부가 접촉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광파이버 접속 지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 심선을 결선하는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로서, 페룰이 유지된 메카니컬 스플라이스형 커넥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12. 광파이버 심선을 스플라이스 부재의 광파이버 유지 홈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에 있어서,
    소정의 이간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어, 파지 조작에 의해 서로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한쌍의 파지 프레임과, 이들 파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플라이스 부재를 위치결정 고정하는 스플라이스 홀더와, 상기 스플라이스 홀더에 고정된 스플라이스 부재 측면의 웨지 삽입 슬릿에 대향하는 상기 한쪽의 파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지 프레임을 파지 조작할 때에 상기 웨지 삽입 슬릿에 끼워서 상기 광파이버 유지 홈을 확대하는 웨지 피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접속 지그.
KR1020057015039A 2005-08-16 2003-02-17 광파이버 접속 지그 KR20050100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5039A KR20050100400A (ko) 2005-08-16 2003-02-17 광파이버 접속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5039A KR20050100400A (ko) 2005-08-16 2003-02-17 광파이버 접속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400A true KR20050100400A (ko) 2005-10-18

Family

ID=3727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039A KR20050100400A (ko) 2005-08-16 2003-02-17 광파이버 접속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0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67B1 (ko) * 2011-11-30 2013-12-11 주식회사 옵텔콤 광 매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컨넥터
CN108169852A (zh) * 2016-12-07 2018-06-15 福州高意光学有限公司 一种端面无损的光纤连接器制作方法
CN110346889A (zh) * 2019-08-12 2019-10-18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光纤夹具与光纤调试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67B1 (ko) * 2011-11-30 2013-12-11 주식회사 옵텔콤 광 매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컨넥터
CN108169852A (zh) * 2016-12-07 2018-06-15 福州高意光学有限公司 一种端面无损的光纤连接器制作方法
CN110346889A (zh) * 2019-08-12 2019-10-18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光纤夹具与光纤调试设备
CN110346889B (zh) * 2019-08-12 2024-04-05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光纤夹具与光纤调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0484B2 (ja) 光ファイバ接続治具
EP1750151B1 (en) Installation tool for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ribbon connector
RU2137164C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и крыш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CN101105557B (zh) 可逆光纤连接器
US6095695A (en) Optical connector, and using method and tool thereof
WO2004092795A1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US7534051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converter
EP2724188B1 (en) Field terminable optical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for jacketed cable
US7452138B2 (en) Optical connector
JP3602339B2 (ja) 光コネクタ
JP4153418B2 (ja) 光学接続構造
CN109901268A (zh) 一种可现场拼接的光纤连接器
KR20040075977A (ko)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JP2002023006A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
KR20050100400A (ko) 광파이버 접속 지그
JP3952166B2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型コネクタ用光ファイバ接続治具
JP4339023B2 (ja) 光コネクタ、コネクタホルダ
JP7028137B2 (ja) 多心光コネクタ及び光ケーブル接続方法
JP2013015787A (ja) 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H11160579A (ja) 光コネクタ
JP2002196189A (ja) 光コネクタ
JP3675991B2 (ja) 光ファイバ接続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
JP4209036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方式
JP2006227575A (ja) 光コネクタ用工具、工具付き光コネクタ
JP2001235656A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および光コネクタ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