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478B1 -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478B1
KR100885478B1 KR1020070052732A KR20070052732A KR100885478B1 KR 100885478 B1 KR100885478 B1 KR 100885478B1 KR 1020070052732 A KR1020070052732 A KR 1020070052732A KR 20070052732 A KR20070052732 A KR 20070052732A KR 100885478 B1 KR100885478 B1 KR 10088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berry
weight
extract
whitening compositio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310A (ko
Inventor
강기운
김영민
천상욱
박화식
Original Assignee
동의나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나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의나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47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뽕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 율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녹두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피부에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뽕나무, 녹두 및 율무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과 미백 활성 물질을 정제 추출하여 제공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항산화, 미백, 뽕나무, 율무, 녹두

Description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NATURAL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ANTIOXIDIZING FUNCTION}
본 발명은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뽕나무, 율무 및 녹두에서 항산화기능과 미백 기능을 갖는 물질을 추출하여 피부 미백과 노화방지 등에 우수한 천연 미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팩에 관한 것이다.
미백은 많은 여성들이 피부 미용에 있어 가장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로 깨끗하고 고운 피부는 모든 여성의 선망의 대상이며, 또한 20대 중반부터 자연적으로 노화되기 시작하는 피부를 나이 들어서까지 탱탱한 피부로 유지하고자 하는 것도 대부분 여성들의 소망이다.
피부가 자외선을 받게 되면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에 있는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며, 이 효소가 피부 조직 중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한 종류인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를 생성시키고, 이 것이 다시 도파퀴논으로 변하면서, 피부색소 침착 현상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을 형성하게 되어 피부가 검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 미백을 위해서는 멜라닌 색소를 형성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하시킬 것이 요구된다.
또한, 호흡과정에서 몸 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산화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인 활성산소가 세포를 손상시키게 되는데, 이 활성 산소가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고 있음이 알려져 근래 항산화 효과가 있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이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미백을 위하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거나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항산화능을 높이기 위하여는 화장품에 대부분 인공 화학약품을 투여하여야 했고, 이러한 인공 화학약품을 장기간 피부에 적용할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기존 인공 화학약품 위주의 원료에서 벗어나 천연 재료를 이용한 제품화 개발이 계속되어 오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미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결과, 천연물질인 뽕나무, 율무, 녹두로부터 항산화 활성과 미백 활성을 갖는 물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이용, 미백과 노화방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미백 조성물을 완성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식물로부터 항산화 기능과 미백 기능을 갖는 물질을 추출하여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천연 미백조성물은 뽕나무, 율무 및 녹두로 이루어지는 데,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뽕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 율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녹두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의 성질을 알아본다.
뽕나무(Morus alba L., mulberry)는 우리나라 산지에 자생하고 재배되며 그 뽕잎은 옛부터 양잠사료와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안학주 등 1982). 한방에서는 혈당을 떨어뜨리고 혈압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고 하여 생약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건강차로도 음용되고 있다.
현대과학의 분석을 통한 뽕잎의 성분과 기능성을 보면, 뽕잎은 약 50여종의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특히 칼슘(Ca), 철(Fe), 칼륨(K)의 함량이 높고, 비타민 A, B, C와 식물섬유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메티오닌(methionine) 등 21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뽕잎의 성분 중 그 기능성이 밝혀진 성분은 다음과 같다. rutin은 혈관강화에, γ-GABA는 혈압강하물질로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鈴木,1996), moracenin, sanggenone가 함유되어 있어 혈압을 강하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뽕잎에는 dimoracin, chalcomoracin 등은 항균작용이 있고, umbelliferone은 소염작용이 밝혀졌다. 그리고 morusin은 항종양, 특수성분으로 DNJ(1-deoxinojirimicin), NN-Me-DNJ, GAL-DNJ, DAB, Calistegin, Fagomine 등이 항당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Flavonoid 성분으로서 Rutin,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뿐만 아니라, Alkaloid 성분으로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갖는 1-deoxynojirimycin이 발견되었다(Yoshikumi 등, 1994, 野田, 1996). 이 밖에도 항알레르기, 탈모억제, 동맥경화, 비만억제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효능이 어떤 성분에 의해서인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뽕잎은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고혈압 환자들의 혈압을 저하하고 안정화시키며, 혈중의 중성지방 농도와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키며 특히 이로운 HDL-콜레스트롤치는 높여주고 해로운 LDL-콜레스트롤치는 낮춰주는 효과를 보인다. 뽕잎은 동맥경화를 치료해주며 혈액의 유동성을 좋게 하며, 장내 세균 중에 이로운 세균의 수를 증가시키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서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뽕잎을 넣고 끓이면 물속에 녹아있던 중금속을 흡착하여 농도를 저하시키며 체내에 있는 중금속의 체외 배출을 도와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뽕잎 진액(엑스)은 세포의 변이원성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암세포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체로 뽕잎은 노화를 억제하고 문화병, 현대인의 성인이 갖는 갖가지 성인병의 발생을 예방하면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율무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한방명으로 `의이(薏苡)'라고 하며, 종자를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하는데,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진통·진경·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신경통·류머티즘·방광결석 등에 약재로 쓴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를 황달과 신경통에 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쓴다.
율무는 약알칼리성 체질로 만들어주는 곡식으로, 이뇨 작용이 있어 부종이나 신장 ,방광, 결석 등에 유효하며 근육통과 신경통에 효과가 있고 거친 피부나 습진, 버짐이 생겼을 때 율무 삶은 물에 자주 씻어주면 호전되며 여드름, 기미와 주근깨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율무쌀로 밥을 짓거나 죽을 끓여 먹으면 폐병에 좋고 묵이나 밥, 차로 만들어 장기간 복용하면, 암이나 각종 성인병을 예방 및 치료해 주며, 각종 간 질환, 황달에는 율무 삶은 물을 자주 마셔주면 치유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로 회복, 자양 강장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품이고 각종 영양소도 풍부하며 체력을 튼튼하게 하고 머리를 좋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두는 노폐물을 해독하며 열을 내리고 식욕을 돋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로회복 및 입술이 마르고 입속이 헐었을 때 먹으면 효과적이다. 소화를 돕고 오줌이 잘 나오게 하는 작용도 있어 해독과 더불어 그 해독이 오줌을 통하여 급속히 몸 밖으로 배설하는 것을 돕는다. 식료본초(食療本草)에서는 녹두의 약효에 대해 녹두는 원기를 보하는데 좋고 오장을 조화하며 정신을 안정시킨다고 전하며 또한 풍을 쫓고, 피부를 아름답게 한다고 한다.
피부 미용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녹두를 곱게 갈아서 따뜻한 물에 이겨 크림처럼 만들어 잠들기 전에 얼굴에 바르면 피부 지방이 제거되어 살결이 고와지고 여드름과 주근깨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은 피부염 치료에 효과가 있어 의약품 및 화장품에서 화장독이나 여드름 예방제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한 특성을 갖는 뽕나무, 율무 및 녹두를 정제 추출하여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활성산소 제거능이 떨어져 항산화 효과가 미비하고, 뽕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면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뽕나무 추출물은 뽕잎, 뽕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되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뽕나무 원료 총중량에 대하여 뽕잎 50 내지 67 중량% 및 뽕뿌리 33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뽕잎의 비율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높아지고 뽕뿌리의 비율이 높을수록 미백 효과가 높아지는데, 뽕잎과 뽕뿌리가 상기와 같은 비율로 혼합될때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동시에 최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원료확보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도 최적의 혼합 비율이 된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에 있어서, 율무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미백 효과가 미비하고, 율무 추출물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향상되는 효과없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에 있어서, 녹두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미백 효 과가 미비하고, 녹두 추출물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향상되는 효과없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을 구성하는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은 각각의 원료에 물을 가하여 고온에서 추출하고 여과, 냉각시킨후, 감압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어,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은, 뽕잎, 뽕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5~10배의 물을 가하고 이를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고 여과, 냉각시킨후 이 냉각액을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뽕나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율무에 5~10배의 물을 가하고 이를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고 여과, 냉각시킨후 이 냉각액을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율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녹두에 5~10배의 물을 가하고 이를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고 여과, 냉각시킨후 이 냉각액을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녹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뽕나무 추출액 40 내지 60 중량%, 율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녹두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다.
뽕나무 추출물 제조를 위하여, 뽕잎, 뽕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뽕 원료로서 준비하고 이를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상기 뽕 원료 중량에 대하여 5~10배의 물을 가하고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냉각시킨다. 이 냉각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 되면 농축을 중지하여 뽕나무 추출물을 수득한다.
뽕나무 추출물 제조시 뽕잎과 뽕뿌리가 혼합되어 사용될 때는 뽕 원료 총중량에 대하여 뽕잎 50 내지 67 중량% 및 뽕뿌리 33 내지 50 중량%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율무 추출물 제조를 위하여, 통율무를 율무 원료로서 준비한다. 상기 율무 원료 중량에 대하여 5~10배의 물을 가하고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냉각시킨다. 이 냉각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 되면 농축을 중지하여 율무 추출물을 수득한다.
녹두 추출물 제조를 위하여, 녹두를 준비하고 녹두 원료 중량에 대하여 5~10배의 물을 가하고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냉각시킨다. 이 냉각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 되면 농축을 중지하여 녹두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 각각을 물 존재하에서 추출할때, 90℃ 이하에서 추출하면 각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므로 90℃ 이상에서 추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을 각 원료에서 추출할때 자동추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추출액을 냉각후 각각의 냉각액을 진공농축기에서 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각 추출액의 농도가 낮아 최종 제조되는 미백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가 미비하고 5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추출액들을 혼합시에 잘 혼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이 제조된 후, 상기 뽕나무 추출액 40 내지 60 중량%, 율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녹두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을 혼합하여 천연 미백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뽕나무 추출물 제조시 뽕잎만을 이용하여 뽕잎 추출물을 만들고 또한 뽕뿌리만을 이용하여 뽕뿌리 추출물을 만든후 이들을 일정 비율 혼합하여 뽕나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뽕나무 추출물 총중량에 대하여 뽕잎 추출물 50 내지 67 중량% 및 뽕뿌리 추출물 33 내지 50 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은 로션, 크림 또는 팩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은 팩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팩을 이루는 구성성분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8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포함하는 팩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이 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황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가 미비하고, 8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팩의 제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습팩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미백조성물 제조
뽕나무 원료(뽕잎 300g과 뽕뿌리 200g을 세척한 후 음지에서 상온으로 건조시킨 것) 500g, 율무 원료(잘 건조된 통율무를 조분쇄한 것) 250g, 녹두 원료(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껍질부분 다량 함유) 250g를 준비하였다. 각각의 원료에 5배의 정수를 각각 가하고 자동추출기에 넣고 95℃에서 순환시키면서 24시간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된 액을 250mesh로 2회 여과한 후 냉각시켰다. 냉각된 액을 60℃의 진공농축기에 넣고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뽕나무 추출물 50g, 율무 추출물 25g 및 녹두 추출물 25g을 혼합하여 천연 미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보습팩(젤리팩) 제조
CARBOPOL 940 2g, CARBOPOL 941 1.8g, 프로필렌글라이콜 26g, 글리세린 130g, 소듐히알루미네이트 50g,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2g,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2g, 메칠파라벤 2g, 페녹시에탄올 3g, 트리에탄올아민 3g,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백 조성물 60g, 에탄올 50g, 잔부 정제수 670g을 유화탱크에서 교반 혼합한후 탈포 및 여과하여 본 발명의 보습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원료로서 뽕나무와 녹두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원료로서 뽕나무와 율무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황산화 활성 시험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미백조성물을 이용하여 DPPH 황산화측정법으로 각각의 황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시험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미백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RC50,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of control)
실시예 1 437 88.1
비교예 1 858 40.2
비교예 2 1066 45.0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무처리의 활성산소 소거능을 0%라고 할때, 50%의 활성산소 소거능(RC50)을 위한 시료의 양(농도)이 실시예 1에서는 437㎍/㎖, 비교예 1에서는 858㎍/㎖, 비교예 2에서는 1066㎍/㎖였다. 그러므로 시료의 황산화 활성이 크면 클수록 낮은 농도의 추출물로도 활성 산소를 충분히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이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도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활성이 저해되어 멜라닌 색소 형성이 억제됨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시험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젤리팩의 소비자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검사능력이 있는 검사원 30명(여성 20대 ~ 50대)을 대상으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보습팩을 15일간 취침 전 세안후 피부에 사용하도록 하고 그 기호도를 5점 척도법의 관능검사법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아주나쁨, 2. 나쁨, 3. 적당함, 4. 좋은 5. 아주좋음.
Figure 112007039752502-pat00001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습팩을 임상실험한 결과 향기, 색깔, 보습력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양호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보습팩은 피부 보습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피부에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뽕나무, 녹두 및 율무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과 미백 활성 물질을 정제 추출하여 제공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 미백 조성물로 제공되는 팩은 미백 효과는 물론 피부 탄력성 개선, 노폐물 제거, 보습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뽕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 율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녹두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뽕나무 추출물은 뽕잎 50 내지 67 중량% 및 뽕뿌리 33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되어 얻어지며,
    상기 뽕나무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녹두 추출물은 각각의 원료에 5~10 배의 물을 가하여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고 여과, 냉각시킨후, 이 냉각액을 고형분 함량이 40~50 중량%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52732A 2007-05-30 2007-05-30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KR10088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732A KR100885478B1 (ko) 2007-05-30 2007-05-30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732A KR100885478B1 (ko) 2007-05-30 2007-05-30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10A KR20080105310A (ko) 2008-12-04
KR100885478B1 true KR100885478B1 (ko) 2009-02-24

Family

ID=4036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732A KR100885478B1 (ko) 2007-05-30 2007-05-30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175B1 (ko) * 2017-01-17 2018-08-3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폴리스, 모링가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5887B1 (ko) * 2018-11-28 2023-03-29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녹차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방법
WO2024049229A1 (ko) * 2022-08-31 2024-03-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뽕나무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094B1 (ko) * 1993-12-21 1997-11-13 한동근 정제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00038844A (ko) * 1998-12-09 2000-07-05 유상옥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094B1 (ko) * 1993-12-21 1997-11-13 한동근 정제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00038844A (ko) * 1998-12-09 2000-07-05 유상옥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2권 6호, pp.1409-1413(2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10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13873997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3579A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10098124A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16725B1 (ko)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20511514A (ja) アザミ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メラニン生成促進用組成物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100760670B1 (ko)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80180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85478B1 (ko)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9094B1 (ko)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139373B1 (ko) 미백용 피부 미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마스크 팩
WO2019172626A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154606B2 (ja)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KR20100010315A (ko)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생약 화장료 조성물
KR10099130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5480B1 (ko) 한방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6879B1 (ko)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