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137A -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 Google Patents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137A
KR20100022137A KR1020080080655A KR20080080655A KR20100022137A KR 20100022137 A KR20100022137 A KR 20100022137A KR 1020080080655 A KR1020080080655 A KR 1020080080655A KR 20080080655 A KR20080080655 A KR 20080080655A KR 20100022137 A KR20100022137 A KR 2010002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extract
hair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여원
구영조
정용희
하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성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성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성제약
Priority to KR102008008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2137A/ko
Publication of KR2010002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용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에 관한 것으로서, 녹용을 함유하는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엽,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등 한방생약제제를 물 추출하여 얻은 한방 생약 추출물을 유산균을 접종 발효하여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것을 샴푸 조성물에 혼합함으로써 탈모방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탈모방지용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는 녹용을 포함하는 16가지 한방 생약제를 추출하여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 발효함으로써 기존 생약제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저분자화에 의하여 생리활성화 물질을 극대화하며 유효성분 및 약리작용에 있어 두피와 모발에 흡수율이 높고 침투력이 빠르다. 유산균의 면역력 증강 작용이 있어 민감한 두피의 항 알레르기 효과가 있으며 천연생약제제의 발효에 의하여 중금속 등 독성물질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피부세포에 대한 자극이 약하여 민감성 아토피 피부에 좋으며 탈모방지, 두피보호 등 두발건강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탈모, 녹용,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옆,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샴푸, 발효, 보습제, 계면활성제

Description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 Shampoo for Protect from Loose Hair Including Fermented Medicinal Herbs Extract with Deer Antlers and Its Producing Method }
천연물인 녹용과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엽,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등 천연식물 생약 원료물을 최적의 비율로 함유하는 생약추출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발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두발처리 원료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처리용 발효한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에 대해 모두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장기간 사용에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두피 및 모발용 샴푸의 제조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갖고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거쳐 성장 및 탈락한다. 정상인에서 이러한 주기는 보통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60∼100개의 모발이 탈 락하게 된다. 반면 탈모증 환자에서는 모발의 성장 및 탈락 주기 중에서 성장기에 있는 모발 비율이 감소하고 퇴행기 및 휴지기의 모발 비율이 증가하여 비정상적으로 모발의 탈락이 증가된다.
탈모의 원인으로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과잉설, 비듬균 및 기타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탈모 외에도 발모효과 어린모발을 잘 자라게 해 주는 육모효과 가늘고 힘이 없는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는 양모효과의 부진, 피지의 과잉생성, 비듬균의 번식, 가려움 유발, 두피 및 모발의 건조화, 모발의 유연성 저하 및 갈라짐 등 각종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을 유발한다.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 사회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로 인해 상기와 같은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으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탈모를 비롯한 각종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을 방지하고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은 탈모 방지효과, 발모효과, 육모효과, 양모효과, 피지의 과잉생성 억제효과,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 가려움 방지효과,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모발의 유연성 향상효과 또는 갈라짐 방지효과를 우수하게 나타내어야 한다.
또한 두피 및 모발용 샴푸는 사용특성상 장기간에 걸쳐 자주 사용하게 되 므로, 두피를 자극하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되어 온 두피 및 모발 관련 제품들은 상기 증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증상에만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전체적으로 두피 및 모발 상태를 개선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기존의 두피 및 모발 관련 제품들은 그 효과를 나타내는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두피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녹용과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엽,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등 한방생약제제를 함유하며 유산균을 접종 발효하여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 을 개발함으로써 유효성분 및 약리작용에 있어 두피와 모발에 흡수율이 높고 침투력이 빠르며 유산균의 면역력 증강 작용이 있어 민감한 두피의 항 알레르기 효과가 있으며
천연생약제제의 발효에 의하여 중금속 등 독성물질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피부세포에 대한 자극이 약하여 민감성 아토피 피부에 좋으며 탈모방지, 두피보호 등 두발 건강 유지에 탁월한 샴푸를 제공 하고자 한다.
천연물인 녹용과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엽,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등 천연식물 생약 원료물을 최적의 비율로 함유하는 생약추출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발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두발처리 원료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처리용 발효한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에 대해 모두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장기간 사용에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두피 및 모발용 샴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는 두피 및 모발생육에 유용한 각종 한방재료를 적절히 선정하였고 이 추출액을 유산균 발효에 의하여 그 기능을 극대화시켜 샴푸 조성물에 첨가시킴으로써 샴푸의 사용만으로도 탈모방지, 갈라짐 방지, 가려움 방지, 비듬균, 두피보호 등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샴푸는 원료로 전지 녹용을 상대 55%, 분골 20%, 중대 25%되도록 혼합하여 0.42 중량%되도록 물 혹은 70% 에틸알코올에 넣고 95℃ - 100℃에서 16 - 20시간동안 추출하여 여과 농축하여 녹용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와:
원료 한방생약 추출물 제조 시 물 혹은 70% 에틸알코올에 숙지황 0.5 - 1 중량%, 감초 0.8 - 1.5 중량%, 천궁 0.8 - 1.5 중량%, 두충 0.5 - 1.0 중량%, 계피 0.5 - 1.0 중량%, 당귀 2.5 - 5.0 중량%, 석창포 1.0 - 3.0 중량%, 적하수오 2.5 - 5.0 중량%, 측백엽 2.5 - 5.0 중량%, 생강 1.0 - 3.0 중량%, 백자인 1.5 - 3.0 중량%, 만형자 1.5 - 3.0 중량%, 백지 1.0 - 2.5 중량%, 천초 1.5 - 3.0 중량%, 승마 0.5 - 1.0 중량%를 넣고 95 - 100℃에서 4 - 5시간동안 끓여서 착즙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생약추출액 생성 단계와;
상기 녹용추출액 ( 0.5 - 1.0 중량% )과 원료한방 생약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
상기 추출액을 발효조에 넣고 Lactobacillus속 및 Bifidobacterium속 유산균 스타터를 접종하여 33℃ - 40℃에서 18 - 36시간 발효하여 한방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방발효추출물 15 - 30 중량%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등 3.0 - 8.0 중량%, 계면활성제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드 25 - 35 중량%,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2 - 5 중량%, 코카이도엠이에이 0.5 - 2.0 중량% 등, 보존제로서 메칠파라벤 0.05 - 0.15 중량% 등, 컨디셔닝제로서 디메티콘 2.5 - 4.0 중량% 등, 펄화제로 글라이콜 디스테아레이트 1.0 - 2.0 중량% 등, 킬레이트제로서 소디움 이디티에이 0.04 - 0.1 중량% 등, 정제수 25 -40 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착색제, 착향제를 적당량 혼합하여 샴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방 발효 추출액은 탈모방지효과, 두피보호 등 두발 건강 유지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의 한방 발효추출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약 추출물이 함유하는 녹용은 그늘에서 말린 사슴의 뿔로 보정강장약(補精强壯藥)으로 쓴다. 사슴의 뿔은 늦봄에 저절로 떨어지는데, 곧 그 자리에 새로운 뿔이 자란다. 이 자라기 시작한 뿔을 녹용이라 한다. 부드러운 세모(細毛)로 덮여 있으며 따뜻하고 혈관이 많이 들어 있으며 칼슘이 풍부하다. 한방에서는 이것을 귀한 약으로 쓴다. 8월경부터 가을에 걸쳐 내부에 칼슘이 생겨 골질의 뿔로 된다.
숙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를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감초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기는 줄기를 껍질이 붙은 채로, 또는 껍질을 벗겨서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甘草), 광과감초(Glycyrrhiza glabra L.:光果甘草),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 Batal: 脹果甘草)의 말린 뿌리를 사용한다
감초는 우랄감초, 굽은감초라고 하며 러시아(시베리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감숙성, 신강성), 몽골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유럽감초는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또한 모든 약을 약효를 조화시켜주어 나라의 원로, 임금의 스승이라는 뜻으로 국로(國老)라 부르기도 한다. 감초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다.[甘平]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이 약은 국로(國老), 미초(美草), 밀감(蜜甘), 밀초(蜜草), 영통(靈通), 첨초(甛草), 로초(?草)라고 부르기도 한다.
천궁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nidium officinale
중국 원산이며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 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방향성 식물이며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 둔다. 천궁이란 중국 쓰촨성의 궁궁(芎샛)이라는 뜻이다.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한다는 말이 있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뿌리 줄기에 1∼2%의 정유를 비롯하여 키니딜라이드, 리거스틸라이드, 네오키니딜라이드, 부틸페랄라이드, 세도닉엑시드, 세큐놀라이드를 함유한다.
두충은 두충 나무과의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의 나무껍질을 말린 약재(한국, 중국, 일본) 한국에서는 두충이라 읽고 한자를 두중(杜仲)으로 쓰지만 중국과 일본은 두충(杜沖)이라 쓴다. 이는 옛날에 두중(杜仲)이라는 사람이 이 약을 먹고 득도하였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사중(思仲), 사선(思仙)이라는 이명도 같은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두충나무는 잎이나 나무껍질에 실 같은 투명한 섬유질이 많아서 목면(木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약의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듯하다.[甘辛溫]
간신(肝腎)기능 부족으로 인한 요통, 무릎통, 몸이 차서 생기는 양위(陽萎), 하복냉감, 소변 자주 보는 증, 태동불안, 자궁출혈 등을 치료하며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혈압강하, 항노화, 콜레스테롤강하, 항염, 진정,진통, 면역 조 절, 혈액응고, 자궁수축, 항알레르기,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두충은 판상으로 바깥면은 회색 또는 어두운 회색이며 세포주름이 많고 껍질에 작은 구멍인 피공(皮孔)이 있으며 안쪽면은 평활하고 어두운 갈색을 띤다. 꺾으면 끈기 있는 가늘고 흰 섬유질의 실이 생긴다. 두충의 이명으로 두중(杜仲), 사중(思仲), 사선(思仙), 목면(木棉), 면(?), 석사선(石思仙), 사운피(絲運皮) 등이 있다.
계피는 우리나라에서는 녹나무과의 육계(Cinnamomum cassia Blume : 肉桂)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를 말한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으며 일본은 육계와 함께 옥계(Cinnamomum zeylanicum? Blume: 玉桂)를 공정생약으로 수재하고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나중에는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辛甘熱]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반관상 또는 말려 들어간 관상을 이루고 바깥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꺾은 면은 적갈색을 띠고 엷은 갈색의 엷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다른 이름으로 육계피(肉桂皮), 관계( 官桂), 대계(大桂), 목계(木桂), 자계(紫桂), 통계(筒桂), 옥계(玉桂), 랄계(辣桂), 균계(菌桂), 계(桂) 등이 있다.
당귀는 한국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中國當歸)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Zuc.) Kitagawa)를 사용한다.
당귀의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이다. 중국당귀나 왜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이 뛰어나다. 하지만 참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더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이 강하다.약리학적으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참당귀는 토당귀(土當歸), 숭검초, 조선당귀라고도 하고, 중국당귀는 당귀(當歸), 문귀(文歸), 건귀(乾歸), 대근(大芹), 상마(象馬), 지선원(地仙圓)이라고도 하며, 왜당귀는 일당귀(日當歸)라고도 한다.
석창포는 천남성과의?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er)의 뿌리줄기를 말린 약재(한국, 일본)를 말하며 중국에서는 같은 이름의 다른 식물인 석창포(Acorus tatarinowii Schott :石菖蒲 )를 사용한다.
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조금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辛苦溫] 석창포는?방향성 정유는 습담을 없애고? 경락의 흐름을 수월하게 해주고 비위의 습 기를 제거하고 가슴 답답한 증상, 동통, 입안에서 설태가 끼는 증상 등을?치료한다.??정신을 맑게 하여?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고 건망, 불면, 이명 등을 치료한다. 정신이 혼미하거나 귀가 잘 들리지 않을 때, 눈이 침침하고 머리가 무거울 때?효과를 나타낸다.??인후염, 성대부종으로 음성이 변화되거나?풍습성사지마비동통, 종기, 옴 버짐 및 타박상에도 응용된다. 약리작용으로?진정 작용,?항경련 작용,?위장 평활근의 경련, 기관과 회장(回腸)의 경련을 풀어주며 소화액 분비 촉진과 위장의 이상 발효 억제작용,? 피부진균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다른 이름으로?수검초(水劍草), 요구(堯?), 창본(昌本), 창양(昌陽), 창초(昌草), 창포(菖蒲), 구절창포(九節昌蒲) 등이 있다.
적하수오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학명Pleuropterus multflorus
마디풀과 원산지 중국 분포지역 지리산 능선과 계방산 계곡 중국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가꾸고 있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원통 모양으로 짧다. 잎자루 밑부분에는 짧은 잎집이 있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강장제·강정제·완하제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하며 생잎을 곪은 데 붙여서 고름을 흡수시킨다. 이와 비슷한 것에는 나도하수오(P. cilinervis)가 있으며, 높은산의 능선과 계곡에서 자란다
측백엽은 우리나라에서는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의 어린 가지와 잎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측백(Platycladus orientalis(L.) Franco:側柏)을 말하며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에 수재되지 않았다. 이 약의 맛은 쓰고 밋밋하며 성질은 차다.[苦澁寒]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고 해수,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출혈시간단축, 진해, 거담작용이 있고 혈압강하, 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비늘잎 모양의 소엽이 겹쳐 연결되어 서로 마주 나고 중엽은 능형이다. 이 약은 잎이 많으며 가지가 적은 것이 좋다.
생강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생강과의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신선한 뿌리줄기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매우 맵다.[辛]
생강은 외감성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강은 강근(姜根), 모강(母薑), 백랄운(百辣蕓), 염량소자(炎凉小子), 인지초(因地草), 자강(子薑), 자강(紫薑)이라고도 한다.
백자인은 측백나무열매를 말하며 보혈제로 쓰인다.
만형자는 마편초과의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의 열매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만형(Vitex trifolia L. var. simplicifolia Cham.:蔓荊)과 삼엽만형(Vitex trifolia L.:三葉蔓荊)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순비기나무와 삼엽만형을 말한다. 만형(蔓荊)이란 이름은 싹이 늦게 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
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다.[辛苦寒]
만형자는 감기로 인한 어지럼증, 두통, 잇몸이 아픈 증상, 눈이 멍멍하고 충혈되고 눈물이 나며 붓고 아픈 증상, 고혈압, 저림증과 근육이 떨리는 증상에 쓰인다. 두통질환에 좋아 베갯속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진정, 진통, 해열, 내장순환촉진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원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바깥 면은 흑색이나 흑갈색이고 아래쪽으로부터 ⅓~⅔는 회백색의 얇은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가볍고 질이 단단하여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이 약의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열매 속이 넷으로 갈라졌고 그 안에 백색의 작은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다른 이름으로 소형(小荊), 형자(荊子), 만형자(萬荊子), 만형실(蔓荊實), 만청자(蔓靑子) 등이 있다.
백지는 산형과의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또는 그 변종의 뿌리를 말려 만든 약재(한국)이다. 중국에서는 구릿대만을 쓰며 일본에서는 구릿대 및 대만당귀(Angelica dahurica var. formosana : 臺灣當歸)를 사용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 [辛溫] 백지는 유행성 감기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을 다스리는 진통약이며, ?위장장애,?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등에 유효하다. 또한 월경 뒤 하혈이나, 대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 ?창양, 종독, 피부궤양 등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항균 작용, 동물의 연수 혈관 운동 중추, 호흡중추, 미주 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 작용,?관상동맥 혈류량 증가작용, 백전풍(白?風 : 살갗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은설병(銀屑病 : 만성피부병으로, 홍반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 비늘가루가 생기는 병증)에 유효작용이 보고되었다. 다른 이름으로?방향(芳香), 백채(白?), 부리(??), 약(藥), 완(莞), 택분(澤芬), 력마(?麻), 효(?),?향백지(香白芷)라고도 한다. ?
천초는 우리나라에서는 꼭두서니과의 꼭두서니(Rubia akane Nakai)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말한다. 중국도 우리나라와 같으나 사용 부위가 뿌리 및 뿌리줄기이며 일본은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고 성질은 차다.[苦寒]천초는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자궁출혈, 대장출혈에 지혈작용을 하며 생리불순, 혈액순환장애, 어혈을 풀어주는데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진해, 거담, 자궁평활근수축, 혈액응고단축반응, 항암, 방광 결석형성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다른 이름으로 천초근(?草根), 홍천근(紅?根), 지소본(地蘇本), 천근(?根), 토숙본초(土宿本草), 혈견수(血見愁), 활혈단(活血丹), 지소목(地蘇木), 천초(?草), 모수(茅蒐), 여려(茹?), 염비초(染緋草), 풍자초(風車草), 과산용(過山龍), 우만(牛蔓)이 있다.
승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줄기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천승마(Cimicifuga foetida L.:川升麻)를 서승마(西升麻)라 하고, 흥안승마(Cimicifuga dahurica Max.:興安升麻)를 북승마(北升麻)라 하며, 대삼엽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大三葉升麻)를 관승마(關升麻)라고 해서 구별하여 쓰고 있다. 일본에서는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를 비롯해서 천승마(Cimicifuga foetida L.:川升麻), 촛대승마(Cimicifuga simplex(DC.) Wormsk. ex Turcz. 단수승마(單穗升麻))를 말한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차다.[辛甘寒]
승마는 외감성 발열, 두통, 홍역 초기 발진, 열독으로 인한 두통, 인후염, 잇몸병, 혓병, 피부병, 신체허약으로 인한 권태, 오랜 설사, 탈항, 자구하수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해열, 항염, 진통, 항경련, 해독, 심장억제, 혈압강하, 장관 및 자궁억제,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
본 발명의 목적인 탈모방지 및 두피보호를 위한 천연한방생약은 아래와 같이 선정되었다.
보혈제는 당귀, 측백엽, 백자인, 숙지황, 녹용, 천궁 등이 될 수 있으며 침투 및 혈류촉진은 당귀와 천궁 등이다.
강장 및 강정작용은 숙지황, 천궁, 적하수오, 녹용이 맡고 피부노화억제는 감초, 녹용, 당귀가 맡는다.
모포부활작용은 숙지황과 감초가 갖고 있으며 5-리덕타제 억제제는 감초, 천궁, 지황, 당귀, 백자인, 적하수오, 백지 등이 될 수 있다.
두피 진정작용은 천궁, 두충, 석창포, 만형자, 승마 등이 가지고 있으며 항암작용은 당귀와 천초가 가지고 있으며 항산화작용은 계피와 감초가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항균력 및 항 염증작용은 감초, 두충, 계피, 석창포, 생강, 백지, 승마 등이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샴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방생약 추출액 생성단계
원료로 전지 녹용을 상대 55%, 분골 20%, 중대 25%되도록 혼합하여 0.42 중량%되도록 물 혹은 70% 에틸알코올에 넣고 95℃ - 100℃에서 16 - 20시간동안 추출하여 여과 농축하여 녹용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와 :
물 혹은 70% 에틸알코올에 숙지황 0.5 - 1 중량%, 감초 0.8 - 1.5 중량%, 천궁 0.8 - 1.5 중량%, 두충 0.5 - 1.0 중량%, 계피 0.5 - 1.0 중량%, 당귀 2.5 - 5.0 중량%, 석창포 1.0 - 3.0 중량%, 적하수오 2.5 - 5.0 중량%, 측백엽 2.5 - 5.0 중량%, 생강 1.0 - 3.0 중량%, 백자인 1.5 - 3.0 중량%, 만형자 1.5 - 3.0 중량%, 백지 1.0 - 2.5 중량%, 천초 1.5 - 3.0 중량%, 승마 0.5 - 1.0 중량%를 넣고 95 - 100℃에서 4 - 5시간동안 끓여서 착즙하여 추출액을 생성하고 여기에 녹용 추출액을 0.5 - 1.0 중량%되도록 혼합하여 한방생약추출액을 생성 한다.
상기재료의 배합비는 본 발명의 탈모 방지용 샴푸에 첨가되는 각종 한방 재료가 최적의 효과를 내게하며 그 제조 비용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수차례 실험을 통해 정해진 비율이다.
2. 한방발효추출물 생성단계
상기 한방생약추출액을 발효조에 넣고 멸균하여 냉각한 다음 미리 준비된 Lactobacillus속 및 Bifidobacterium속 유산균 스타터를 접종하여 33℃ - 40℃에서 18 - 36시간 액상으로 발효하여 한방 발효 추출물을 생성한다. 이 때 스타타로 사용하는 유산균은 주식회사 메디오젠에서 고기능성 발효 한방화장품용으로 순수 분리하여 배양한 유산균제제를 기준으로 하여 접종량을 결정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추출물을 살균하고 여과 정제하여 샴푸 조성물에 첨가될 한방 발효 추출물을 생성한다.
3. 샴푸 제조단계
상기 한방발효추출물 15 - 30 중량%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등 3.0 - 8.0 중량%, 계면활성제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드 25 - 35 중량%,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2 - 5 중량%, 코카이도엠이에이 0.5 - 2.0 중량% 등, 보존제로서 메칠파라벤 0.05 - 0.15 중량% 등, 컨디셔닝제로서 디메티콘 2.5 - 4.0 중량% 등, 펄화제로 글라이콜 디스테아레이트 1.0 - 2.0 중량% 등, 킬레이트제로서 소디움 이디티에이 0.04 - 0.1 중량% 등, 정제수 25 -40 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착색제, 착향제를 적당량 혼합하여 샴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따라 본 발 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추출탱크에 정제수를 준비하고 아래의 표 1과 같은 비율로 천연 한방 재료를 혼합한 다음 90 - 95℃에서 5시간 동안 자숙한 다음 착즙하여 한방생약 추출액을 제조한 다음 녹용추출액을 0.81 중량%되도록 혼합한다.
표 1.
구 분 첨가량(중량%) 비 고
숙지황 0.65
감초 1.08
천궁 1.08
두충 0.87
계피 0.87
당귀 3.46
석창포 1.73
적하수오 3.46
측백엽 3.46
생강 1.52
백자인 2.16
만형자 2.16
백지 1.52
천초 2.16
승마 0.87
정제수 72.14
상기 한방생약추출액을 발효조에 넣고 멸균하여 냉각한 다음 미리 준비된 Lactobacillus속 유산균
L. rhamnosus 스타터를 1.2 gr/l 접종하여 38℃에서 24시간 액상으로 발효하여 한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추출물을 살균하고 여과 정제하여 샴푸 조성물에 첨가될 한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한방발효추출물에 표 2와 같은 비율로 샴푸 조성물과 혼합하여 샴푸를 제조한다
표 2.
구 분 첨가량(ml)
용 제 정제수 100
발효한방추출물 상기추출액 25
계면활성제 소듐라우릴설페이드 3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8.0
코카미도엠이에이 3.0
보습제 글리세린 8
컨디셔닝제 디메티콘 3.5
펄화제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1.5
킬레이트제 소디움이디티에이 0.05
보존제 메칠파라벤 0.1
착색제 색소 적량
착향제 적량
[ 비교실험 1 ]
전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녹용을 추출 시간별로 비교한 추출율을 표 3. 및 그림 1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주목할 것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형분 함량 및 녹용의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갱글리오사이드의 지표물질인 시알산의 추출율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표 3. 녹용의 추출시간별 추출율 비교
시료번호 추출시간 20mL씩 농축하였을때의의 무게 농축후 MeOH에 녹는 양 sialic acid 정량값 평균
No.1 3시간 30분 110mg 10mg 4.132
No.2 6시간 30분 134mg 9mg 1.423
No.3 9시간 30분 148mg 9mg 8.280
No.4 12시간 30분 174mg 10mg 5.961
No.5 16시간 30분 180mg 6mg 9.168
그림 1. 녹용 추출시간별 시알산 추출율
Figure 112008058797907-PAT00001
그림 2. 녹용 추출시간별 고형분 추출율
Figure 112008058797907-PAT00002
[ 비교실험 2 ]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제조된 샴푸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타사의 샴푸를 탈모 증세가 있는 20 - 7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1일 1회 사용토록 한 다음 그 만족도를 점수로 나타내게 하여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구분 본실시예 샴푸 1 샴푸 2
탈모방지효과 9.1 5.4 4.6
갈라짐 방지효과 8.3 6.3 6.5
가려움방지효과 8.2 6.2 6.3
보습효과 8.1 7.2 7.1
피부자극완화효과 9.2 7.3 7.2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샴푸는 타사의 샴푸에 비하여 탈모 방지, 갈라짐 방지, 가려움 방지, 보습 및 피부자극 완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첨가한 한방생약제가 가지는 고유의 성분을 추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추출액을 유산균에 의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저분자화 하고 생리활성 물질을 극대화시켜 유효성분의 피부침투가 빠르며 피부자극을 완화 시킨 것이 탈모방지 및 모근의 발육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1. 두발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과 두피 보호 등 두발 건강유지를 위한 원료추출물에 있어서 녹용과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엽,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등 천연식물 생약 원료물을 0.6~4W%범위로 함유하는 생약추출물을 발효시켜 제공되는 탈모방지, 두피보호등 두발건강유지용 발효한방 생약추출물.
  2. 두발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과 두피 보호 등 두발 건강유지를 위한 원료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녹용과 숙지황, 감초, 천궁, 두충, 계피, 당귀, 석창포, 적하수오, 측백엽, 생강, 백자인, 만형자, 백지, 천초, 승마 등 천연식물 생약 원료물을 0.6~4W%범위로 함유하는 생약추출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발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두발처리 원료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처리용 발효한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서 원료로 전지 녹용을 상대 55%, 분골 20%, 중대 25%되도록 혼합하여 0.42 중량%되도록 물 혹은 70% 에틸알코올에 넣고 95℃ - 100℃에서 16 - 20시간동안 추출하여 여과 농축하여 녹용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와 :
    원료 한방생약 추출물 제조 시 물 혹은 70% 에틸알코올에 숙지황 0.5 - 1 중량%, 감초 0.8 - 1.5 중량%, 천궁 0.8 - 1.5 중량%, 두충 0.5 - 1.0 중량%, 계피 0.5 - 1.0 중량%, 당귀 2.5 - 5.0 중량%, 석창포 1.0 - 3.0 중량%, 적하수오 2.5 - 5.0 중량%, 측백엽 2.5 - 5.0 중량%, 생강 1.0 - 3.0 중량%, 백자인 1.5 - 3.0 중량%, 만형자 1.5 - 3.0 중량%, 백지 1.0 - 2.5 중량%, 천초 1.5 - 3.0 중량%, 승마 0.5 - 1.0 중량%를 넣고 95 - 100℃에서 4 - 5시간동안 끓여서 착즙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생약추출액 생성 단계와 :
    상기 녹용추출액 ( 0.5 - 1.0 중량% )과 원료한방 생약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
    상기 혼합액을 발효조에 넣고 Lactobacillus속 및 Bifidobacterium속 유산균 스타터를 접종하여 33℃ - 40℃에서 18 - 36시간 발효하여 한방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
    상기 한방발효추출액 15 - 30 중량%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등 3.0 - 8.0 중량%, 계면활성제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드 25 - 35 중량%,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2 - 5 중량%, 코카이도엠이에이 0.5 - 2.0 중량% 등, 보존제로서 메칠파라벤 0.05 - 0.15 중량% 등, 컨디셔닝제로서 디메티콘 2.5 - 4.0 중량% 등, 펄화제로 글라이콜 디스테아레이트 1.0 - 2.0 중량% 등, 킬레이트제로서 소디움 이디티에이 0.04 - 0.1 중량% 등, 정제수 25 -40 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착색제, 착향제를 적당량 혼합하 여 샴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KR1020080080655A 2008-08-19 2008-08-19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20100022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55A KR20100022137A (ko) 2008-08-19 2008-08-19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55A KR20100022137A (ko) 2008-08-19 2008-08-19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137A true KR20100022137A (ko) 2010-03-02

Family

ID=4217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55A KR20100022137A (ko) 2008-08-19 2008-08-19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213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359B1 (ko) * 2010-11-23 2013-06-20 서범구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KR101310970B1 (ko) * 2010-10-14 2013-09-23 소셜테크 주식회사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CN103655903A (zh) * 2013-12-16 2014-03-26 青岛百瑞吉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治疗黄发的中药药剂
KR101478945B1 (ko) * 2014-01-08 2015-01-02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CN105939703A (zh) * 2014-03-07 2016-09-14 生物纳米圣三有限公司 含有乡土植物和天然中草药提取物的洗发水组合物
WO2017065488A1 (ko) * 2015-10-12 2017-04-20 이충식 주름을 개선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CN108245455A (zh) * 2018-03-02 2018-07-06 东莞市炫墨生物科技有限公司 植物防脱发剂及其在日化用品中的用途
KR20190068911A (ko) * 2017-12-11 2019-06-19 육상조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459653B1 (ko) * 2022-02-28 2022-10-28 (주)제이비 바이오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녹각 또는 녹용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70B1 (ko) * 2010-10-14 2013-09-23 소셜테크 주식회사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1277359B1 (ko) * 2010-11-23 2013-06-20 서범구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CN103655903A (zh) * 2013-12-16 2014-03-26 青岛百瑞吉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治疗黄发的中药药剂
KR101478945B1 (ko) * 2014-01-08 2015-01-02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WO2015133710A1 (ko) * 2014-01-08 2015-09-11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CN105939703A (zh) * 2014-03-07 2016-09-14 生物纳米圣三有限公司 含有乡土植物和天然中草药提取物的洗发水组合物
WO2017065488A1 (ko) * 2015-10-12 2017-04-20 이충식 주름을 개선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JP2018527414A (ja) * 2015-10-12 2018-09-20 リ チュンシクLEE, Chung Sik しわを改善した機能性化粧品の製造方法
KR20190068911A (ko) * 2017-12-11 2019-06-19 육상조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N108245455A (zh) * 2018-03-02 2018-07-06 东莞市炫墨生物科技有限公司 植物防脱发剂及其在日化用品中的用途
KR102459653B1 (ko) * 2022-02-28 2022-10-28 (주)제이비 바이오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녹각 또는 녹용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6236677A (zh) 一种养发护发生发茶麸纯植物酵素洗发液及其制备方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34561A (ko) 사상의학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2026535B1 (ko)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157909A (zh) 一种防脱发洗发水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05342908A (zh) 一种缓解皱纹的积雪草中药美容抗皱膏及其制备方法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CN105616318A (zh) 一种抗皱紧肤的积雪草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516146B1 (ko) 복합 기능성 한방비누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20150067487A (ko) 두피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656930A (zh) 一种生发、乌发的中药洗发水及其制备方法
CN102670479B (zh) 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CN104522661A (zh) 含金银花提取物的保健含片及其生产方法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KR101237635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
JP2001233727A (ja) 化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