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270B1 -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270B1
KR100884270B1 KR1020070081562A KR20070081562A KR100884270B1 KR 100884270 B1 KR100884270 B1 KR 100884270B1 KR 1020070081562 A KR1020070081562 A KR 1020070081562A KR 20070081562 A KR20070081562 A KR 20070081562A KR 100884270 B1 KR100884270 B1 KR 10088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eatment
fabric
release pape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아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07008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제품물성을 재현하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져온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인 프탈레이트 가소제를 배제, 포름알데히드 및 중금속의 제거, 새집증후군의 원인으로 불리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감소/억제 할 수 있는 원재료의 선정/배합, 그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제품 구조 선정하도록 피이브이시수지를 사용하여 Casting 공법으로 이형지(Release Paper) 위에 표지층(2), 발포층(3), 접착제층(4)의 순차적 적층시켜, 겔링(gelling), 발포(Foaming) 시켜 접착제층(4) 코팅 후 직물(5)의 합판 작업 후 이형지를 박리시켜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을 거치고 표면 휘발가능 물질을 배제하고 수성화한 잉크, 처리제를 사용하여 제품표면을 인쇄/처리층(1)을 형성하여 제조한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

Description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Environment-friendly PVC form artifica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구/벽/도어 등 인테리어, 가정/사무용 가구원단, 가방, 자동차 시트카바, 제화용 원단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중금속 등과 관련된 인식확산과 건강에 대한 요구 증가로 친환경 인증 및 마크 사용이 요구되어지고 있어 친환경 인증을 받은 데코시트 등이 인테리어 내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벽지, 데코시트 및 인테리어 내장재용에 관하여는 이에 관련된 친환경 규격이 제정되어져 있으나, 가구 표면재 및 기타 실내사용 인조가죽 등의 표면재에 대하여는 별도의 규정이 마련되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인조가죽들은 데코시트 및 인테리어 내장재의 규격을 적용받고 있다.
현재 친환경 제품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데코시트와 벽면 마감재로 쓰이는 벽지가 후도(두께) 및 볼륨감, 쿠션, 외관효과 등의 한계와 차별화된 제품의 시장요구로 인하여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으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6787호에는 장식성 상감바닥 또는 벽피복물, 지지체와 접착제로 된 접착성 매트릭스층 및 피복물이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공고번호 특1995-7557호에는 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내장재에 있어서, 폴르프로피렌수지와 무기충전제 및 섬유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전자선에 의해 가교 및 화학제에 의해 가교시킨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폼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를 적층하고 상기 쿠션재에는 항균성 및 난연성이 첨가된 폴리에틀린, 폴리프로필렌필름 또는 천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표피재를 일체로 적층 형성시킨 차량 내장재가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508146호에는 폴리리염화비닐수지, 트리메탄올프로판에스테르 가소재, Ca-Zn계안정제, 에폭시계안정제로 구성된 무독 및 저취의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고,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3482416호에는 폴리염화비닐수지에 가소제, 칼슘-아연계 안정제, 발포제를 사용하여 중금속이 배제된 폴리염화비닐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패널 외관용 발포성 보강재가 기재되어 있고,
미국특허공보 제6835328호에는 소디움, 포타지움,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안정제와, 납카드늄 및 바륨과 같은 중금속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피브이시이용 안정제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946225호에는 표면처리층에 사용되는 표면처리제로 수성우레탄 또는 아크릴을 이용하여 비유기용제 타입의 냄새가 저감되는 피브이시용 표면처리제와, 표면처리공정에서 수성원료를 사용하여 휘발성물질 및 냄새물질을 저감하는 수용성 잉크를 이용한 다층 구조 장식시트가 공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PVC발포 인테리어 마감재에 대하여 친환경 인증 및 친환경 건축자재 마크 규격 등의 성능에 부합되는 제품이 요구되고 있으나, PVC를 사용하여 0.8mm이상의 두께와 500g/m2이상의 고후도, 고중량을 갖는 인증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두께 및 중량이 증가하면 기존의 단위면적당 VOCs 의 방출량은 증가하기 때문에 개발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금속의 사전배제와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인 프탈레이트 가소제의 친환경가소제로의 대체 및 새집증후군으로 여겨지는 VOCs(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생활공간의 쾌적함 부여함과 동시에, 친환경 수성표면처리로 냄새억제 효과 및 피이브이시 수지를 사용하여 캐스팅(Casting) 가공공법(이형지 위에 졸타입(sol type)의 원료 코팅 후 열성형 가공)에 의한 VOCs저감 친환경 제품제조 표지층(2), 발포층(3), 접착제층(2), 직물(5)의 단계별 적층구조를 이루며 휘발성유기 용제를 배제한 수용성 잉크, 처리제를 사용 한 표면 인쇄/처리 공정으로 제조되어져, 0.8㎜ 이상의 두께와 500g/㎡ 이상의 고중량을 가지며, 피이브이시의 노화/분해 방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안정제 System의 변화(액상→분말상)와, 가소제를 제외한 모든 액상원료의 배제하고, 표면 외관효과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후가공 원료의 친환경 수성화(유기용제 완전배제) 및 전용설비 통하여 냄새, VOCs 저감 시킨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금속, 프탈레이트, 포름알데히드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원재료의 선별적 적용 및 가소제를 제외한 모든 액상원료의 배제를 통하여 휘발가능 물질을 사전 차단하여 기존 액상원료의 분말적용과 기존제품의 물성을 재현할 수 있는 최적의 배합비와 제품 구조를 선정하여 피이브이시 수지를 사용하여 캐스팅(Casting) 공법으로 이형지(Release Paper) 위에 표지층(2), 발포층(3), 접착제층(4)의 순차적 적층시켜, 겔링(gelling), 발포(Foaming) 시켜 접착제층(4) 코팅 후 직물(5)의 합판 작업 후 이형지의 박리 공정을 거쳐 제조하며 2차열처리 가공과 표면 인쇄, 처리시 휘발가능 용제를 완전 배제한 수용성 폴리우레탄(PU)을 적용하여 표면 인쇄/처리층(1) 형성으로 친환경 요구물성 및 냄새 문제를 만족, 개선한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설비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종래의 캐스팅(Casting) 가공공법으로 기존설비 및 가공방법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친환경원재료(Non-Phthalate가소제 사용) 및 비휘발원재료의 사용으로 종래의 문제점으로 여겨졌던,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의 배제와 냄새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친환경인증획득(중금속, 프탈레이트, TVOCs, Formaldehyde 규격기준 통과)하여 시장요구사항에 맞게 제조되어 인테리어 내장재 및 가구용 표면재, 가방, 자동차용 등의 장점으로 친환경관련 여러 용도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표지, 층, 바인더 3개층에 사용되는 피이브이시는 표지층(2) 사용 피이브이시 중합도 1400, 발포층(3) 사용 피이브이시 중합도 1050, 접착제층(4) 사용 피이브이시 중합도 1050으로 서로 다른 중합도를 가진 피이브이시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경도, 원료의 이행을 억제하도록 하며 피이브이시 제조 시 부산물로 남아있는 유화제 및 휘발 가능한 알콜류를 최대한 제거한 피이브이시 수지를 사용하며, 원재료의 특성 및 물성을 재현하기 위하여 표지층(2)과 발포층(3)의 별도의 중합도를 갖는 피이브이수지를 각각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Non-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하여 Phthalate free(환경호르몬 유해의심물질 배제), 가열감량을 최소화하여 상온을 포 함한 고온 하에서의 휘발물질 억제로, 새집증후군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인체유해성 휘발물질(VOCs)의 저감하였다. Non-Phthalate 친환경 가소제로는 LGFLEX BET(LG화학)(주성분;트리메탄올프로판(TMP)계), LGFLEX EBN (LG화학)(주성분;트리메탄올프로판(TMP)계), HEXAMALL DINCH (BASF)(주성분;1,2-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릭산, 디이소노닐에스테르), PYROCIZER (애경)(주성분; 알콜과에스테르혼합물) 등이 사용되어지며, 유동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티졸(Plastisol)을 만들기 위해 유일하게 첨가되어진 액상원료이며, 이외의 기타 원료에서 액상원료는 철저히 배제하였다.
또한, 피이브이시의 노화/분해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기존의 안정제는 액상 형태(type)로 휘발방출 가능한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순도가 높은 분말안정제를 적용하였으며, 피이브이시발포에 주로 사용이 되어지는 ADCA 발포제를 사용하였고, 발포제의 이물질 함량 최소화 (수분 및 기타 휘발가능물질 최소화)하였다.
본 발명의 피이브이시 발포층(3)에 사용되는 발포제는 아조계(Azo Di Carbon Amide) 발포제를 사용하여 완전발포 시스템으로 열과 압력에 의한 추가 가스발생 요소 제거 및 공정 중 발생된 가스에 대하여는 최대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내에서의 추가적 휘발물질 발생 억제하였으며,
종래의 발포제는 적정함량보다 약간 과량의 발포제를 투입하고, 그에 비례한 발포안정제의 투입으로 약간 미발포 상태의 원하는 두께(발포배율)를 얻었으나, 본 발명은 발포제의 소량변동에도 큰 영향을 받는 완전발포 시스템으로 원재료의 추가 2차적 물성변화나 성분변화로 인한 휘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기존 피이브이시 안정제는 유기용제내에 피이브이시의 노화, 분해 방지물질을 녹여 플라스티졸(Plastisol)(예를 들면, 피이브시이가 포함된 액상의 졸형태를 말함)에 첨가하는 형식이나, 본 발명에서는 휘발성 물질을 배제하기 위하여 K-Zn계의 안정제 역할의 주 성분을 유기용제가 아닌 친환경 가소제에 녹여 분산시켜 제품에 적용 하여, 유기용제 및 액상 Type의 원재료의 추가적 첨가를 방지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료는 Plastisol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라스티졸 토너(Plastisol Toner)의 경우 피그먼트(Pigment)를 친환경 가소제와 밀링 분산시켜 졸(sol)에 첨가함으로서 사용 편리성 및 추가적 액상 첨가를 배제하였다.
상기에 기술한 원재료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적정 최적의 배합비로 배합한 플라스틱졸(Plastisol)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직물(5)은 기존 캐스팅(casting)가공에 사용되는 원사(polyester, rayon, cotton)를 사용하며, 직물(5) 제직 시 혹은 염색가공 공정에서 혼입 및 발생 가능한 포름알데히드 등을 직물(5) 원재료에서부터 관리하여 유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아니한 직물(5)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가소제 이행방지 및 표면터치, 표면오염 등의 개선 목적으로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를 기존의 유성처리제에서 유기용제를 완전히 배제한 수용성 PU 표면처리제를 사용하였으며, 캐스팅(Casting)공법에 의하여 여러 층을 적층 코팅하여 제품생산한 비발포층인 표지층(2)을 두어 제품의 표면강도 강화하며, 그 하부에 발포층(3)을 두어 제품의 요구물성인 부드러움(softness)과 쿠션(cushion)을 부여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좌우하는 직물(5)을 친환경 피이브이시 Plastisol 접착제층(4)을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렇듯, 밀도와 경도, 중합도가 다른 여러층을 적층함으로써 내부 원료의 이행을 억제시켰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제품은 이형지를 박리시켜 후가공 공정에서 외관 효과를 위하여 표면 인쇄/처리코팅 공정을 거치게 된다.
표면의 외관효과를 위한 인쇄/처리공정에서 사용되어지는 원재료의 수성화로 유기용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수용성 원재료의 개발적용으로 냄새제거, 휘발물질 제거 하여 기존제품과 동일한 외관효과 재현하였고, 별도의 친환경설비를 이용하여 외부 불순물의 혼입을 억제하며, 여러 차례의 열처리로 휘발물질을 최소화하였다.
표지층 발포층 접착제층
원재료 함량(%) 원재료 함량(%) 원재료 함량(%)
PVC 52 PVC 52 PVC 55
가소제 47 가소제 46 가소제 44
안정제 1 발포제 1 안정제 1
안정제 1
본 발명의 표지층(2)은 비발포층으로 상기 표지층(2) 처방으로 두께 0.10 ~ 0.20㎜코팅하여 밀도 1.25g/㎤의 표지층(2)을 형성하여 제품 외관 물성을 부여하고, 중합도 1400 인 피이브이시 수지를 사용한 고밀도 비발포 피이브이시 시트로서 제품의 하부를 보호하도록 두께 0.10 ~ 0.20㎜가 적당하다.
중합도 1400의 피이브이시 수지를 사용하여 표면강화를 꾀하였으며, 휘발감량/담가의 개선으로 유기휘발물질 억제하였고, 이차적 반제품에서의 가소제의 이행등을 방지키 위하여, 기존 가공조건(150~170℃)보다 더 고온(180 ~ 200℃)에서 가공하여 액상 가소제의 이행/용출을 억제시켰다.
표지층(2) 겔링(Gelling)은 180 ~ 200℃에서 약 30초가량 가공이 적당하다.
발포층(3)은 상기 표지층(2)의 표면에 적층되며 발포하여 밀도 0.45~0.50g/㎤ 유지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부드러움(Softness)을 부여하며, 중합도 1050 가량의 피이브이시 수지를 이용하여 Azo Di Carbonamide로 발포하며, 발포층(3)은 0.12 ~ 0.40㎜ 코팅이 적당하며, 발포배율은 300% 이하가 적당하다.
가공온도를 200℃ 이상의 고온으로 가공하며 발포시 발열반응에 의한 고온형성으로 저온 휘발가능 물질은 사전에 미리 제거 하였다.
발포층(3) 발포(Foaming)는 190 ~ 230℃에서 약 60초 ~ 90초 가량 가공이 적당하다.
접착제층(4)은 직물(5)과 발포층(3)과의 접착을 위해 사용되며, 이 또한 피이브이시플라스틱졸(피이브이시 Plastisol)을 이용하여 접착하며,
직물(5)은 폴리에스터, 레이진, 면(Polyester, Rayon, Cotton) 등의 직물(5)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여러층의 적층구조를 이루어 가공된 반제품은 이형지를 박리시켜 표면 후가공 설비로 인계된다.
상기의 발포기에서 생산되어진 반제품의 표면 처리는 제품의 외관(시각효과)을 표현 및 가소제의 표면 이행방지, 광택, 터치감 등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며 수성INK 및 처리제로 냄새와 휘발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표면처리 원재료의 전면적인 수성(水性)화로 일체의 유기용제를 배제하고, 수지자체의 용제 및 수성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원재료를 배제하여 혼합된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VOCs 저감시키며,
또한, 수성화되어져 그라비아 인쇄공법으로 표면에 코팅되어진 INK와 표면처리제등을 완벽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건조오븐의 길이와 온도 조절로 휘발분을 제거하여 인쇄/처리층(1)을 형성하였다.
표면에 엠보(무늬)공정은 2차 표면가공을 하는 공정으로 피이브이시 시트를 열을 가하여 표면을 가소화시킨 후 무늬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피이브이시의 가소화를 위해 IR Heater열(약 150℃)을 제품표면에 주사하여 혹여 남아있을 휘발가능 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표면 2차 가공 후 건조오븐을 통과시켜 반복, 순차적인 열가공으로 추후 제품화하여 발생가능성이 있는 휘발물질을 제거 하였다.
본 발명은 피이브이시졸의 제조공정에서 가소제를 제외한 모든 원료를 분말 화(분말안정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중합도가 서로 다른 피이브이시수지를 이용하여 이형지 위에 표지층(2), 발포층(3), 접착제층(4), 직물(5)을 적층하여 제조 후 이형지를 제거하여 제품표면에 휘발성 유기용제를 배제한 수용성 잉크, 처리제로 인쇄/처리층(1)을 형성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공정 (표지층 적층)
중합도 1400 이상인 PVC수지 52kg, Non-Phthalate가소제 로 LGFlex BET 47kg, K-Zn안정제 1kg로 조성된 밀도 1.25g/㎤ PVC졸 컴파운드를 이형지 위에 두께 0.10 ~ 0.20㎜ 로 코팅한 다음, 150 ~ 200℃에서 30초 가열하여 표지층(2)을 겔링(Gelling) 시킨 다음,
제2공정 (발포층 적층)
중합도 1050인 PVC수지 52kg, Non-Phthalate가소제로 LGFlex BET 46kg, 아조계(Azo Di-Carbonamide) 발포제 1kg, K-Zn안정제 1kg로 조성된 배합원료를 상기 표지층(2)의 상부에 0.15 ~ 0.40㎜로 코팅하여 적층한 다음, 190 ~ 230℃에서 60초 ~ 90초동안 발포배율 300% 이하로 발포층(3)을 형성한 다음,
제3공정(직물 적층)
중합도 1050인 PVC수지 55kg, Non-Phthalate가소제로 LGFlexBET 44kg, K-Zn 안정제 1kg로 조성된 접착제층(4)을 상기 발포층(3) 상부에 적층 시킨 다음, 상기 접착제층(4)의 상부에 직물(5)을 얹어 온도 150~180℃에서 약 30 ~ 45초간 겔링(Gelling) 시켜 직물(5)을 접착시켜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제4공정(사전처리)
그라비아 인쇄로 용제를 완전히 제거하여 만든 수용성 폴리우레탄(PU) 처리제와 잉크를 사용하여 표면인쇄/처리 코팅하여 경시변화에 따른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시킨 다음,
제5공정(엠보싱,후처리)
엠보싱기에서 2차 열가공에 의한 엠보(무늬)를 성형 후, 2차 인쇄/처리층(1)을 형성하여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1공정 (표지층 적층)
중합도 1400 이상인 PVC수지 52kg, Non-Phthalate가소제 로 HEXAMALL DINCH (BASF) 47kg, K-Zn안정제 1kg로 조성된 밀도 1.25g/㎤ PVC졸 컴파운드를 이형지의 위에 두께 0.10 ~ 0.20㎜ 로 코팅한 다음, 150 ~ 200℃에서 30초 가열하여 표지층(2)을 겔링(Gelling) 시킨 다음,
제2공정 (발포층 적층)
중합도 1050인 PVC수지 52kg, Non-Phthalate가소제로 HEXAMALL DINCH (BASF) 46kg, 아조계(Azo Di-Carbonamide) 발포제 1kg, K-Zn안정제 1kg로 조성된 배합원 료를 상기 표지층(2)의 상부에 0.15 ~ 0.40㎜로 코팅하여 적층한 다음, 190 ~ 230℃에서 60초 ~ 90초동안 발포배율 300% 이하로 발포층(3)을 형성한 다음,
제3공정(직물 적층)
중합도 1050인 PVC수지 55kg, Non-Phthalate가소제로 HEXAMALL DINCH (BASF) 44kg, K-Zn안정제 1kg로 조성된 접착제층(4)을 상기 발포층(3) 상부에 적층 시킨 다음, 상기 접착제층(4)의 상부에 직물(5)을 얹어 온도 150~180℃에서 약 30 ~ 45초간 겔링(Gelling) 시켜 직물(5)을 접착시켜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제4공정(사전처리)
그라비아 인쇄로 용제를 완전히 제거하여 만든 수용성 폴리우레탄(PU) 처리제와 잉크를 사용하여 표면인쇄/처리하여 경시변화에 따른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시킨 다음,
제5공정(엠보싱,후처리)
엠보싱기에서 2차 열가공에 의한 엠보(무늬)를 성형 후, 2차 인쇄/처리층(1)을 형성하여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상부에 인쇄/처리층(1)과, 상기 인쇄/처리층(1)의 하부에 형성되며 중합도 1400 이상인 고중합도의 PVC로 조성된 표지층(2)과, 상기 표지층(2)의 하부에 형성 되며 중합도 1050인 저중합도의 PVC수지로 조성된 발포층(3)과, 상기 발포층(3)의 하부에 적층된 접착제층(4)과, 상기 접착제층(4)의 하부에 접착고정된 직물(5)로 구성된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의 구조인 것이다.
실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1과 실시예2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를 샘플로 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결과를 얻었다.
1. Phthalate 검출시험
항목 결과
DINP (Diisononyl phthalate) N.D
DNOP (Di-n-octyl phthalate) N.D
DEHP (Di-2-ethylhexyl phthalate) N.D
DIDP (Diisodecyl phthalate) N.D
BBP (Butyl benxyl phthalate) N.D
DBP (Di butyl phthalate) N.D
(N.D=Not Detect)
2. 중금속(Heavy Metal) 검출시험
항목 결과
Pb (납) N.D
Sb (안티몬) N.D
As (비소) N.D
Cd (카드뮴) N.D
Cr (크롬) N.D
Hg (수은) N.D
Se (셀레늄) N.D
3.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방출량시험
항목 결과
Formaldehyde N.D
4. 휘발성물질(TVOCs) 방출량시험
항목 결과
피이브이시발포 인조가죽(실시예1) 0.020mg/㎡h
피이브이시발포 인조가죽(실시예2) 0.098mg/㎡h
도1 본 발명의 피이브이시발포시트 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인쇄/처리층(1), 표지층(2), 발포층(3), 접착제층(4), 직물(5).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 (표지층 적층)
    중합도 1400의 PVC수지 52중량%, Non-Phthalate가소제로 LGFLEX BET(LG화학), LGFLEX EBN (LG화학), HEXAMALL DINCH (BASF), PYROCIZER (애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47중량%, K-Zn 분말안정제 1중량%로 이루어진 표지층(2)으로 조성된 원료를 이형지의 상부에 두께 0.10 ~ 0.20㎜ 로 코팅한 다음, 150 ~ 200℃에서 30초 가열하여 상기 표지층(2)을 겔링(Gelling)화 시킨 다음,
    제2공정 (발포층 적층)
    중합도 1050의 PVC수지 52중량%, Non-Phthalate가소제로 LGFLEX BET(LG화학), LGFLEX EBN (LG화학), HEXAMALL DINCH (BASF), PYROCIZER (애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46중량%, 아조계발포제(Azodicarbonamid) 1중량%, K-Zn 분말안정제 1중량%로 이루어진 원료로 조성된 발포층(3)을 상기 표지층(2)의 상부에 두께 0.12 ~ 0.40㎜적층한 다음, 190 ~ 230℃에서 60초 ~ 90초동안 발포배율 300% 이하로 발포 시켜 적층한 다음,
    제3공정(직물 적층)
    중합도 1050의 PVC 55중량%, Non-Phthalate가소제로 LGFLEX BET(LG화학), LGFLEX EBN (LG화학), HEXAMALL DINCH (BASF), PYROCIZER (애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44중량%, K-Zn 분말안정제 1중량%로 이루어진 접착제층(4)을 상기 발포층(3) 상부에 적층시킨 다음, 상기 접착제층(4)의 상부에 직물(5)을 얹어 온도 150~180℃에서 30 ~ 45초간 겔링시켜 직물(5)을 접착시켜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제4공정(사전처리)
    그라비아 인쇄로 용제를 완전히 제거하여 만든 수용성 폴리우레탄(PU) 처리제와 잉크를 사용하여 표면인쇄/처리하여 경시변화에 따른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시킨 다음,
    제5공정(엠보싱,후처리)
    엠보싱기에서 2차가열로 표면을 가소화시켜 엠보(무늬)를 성형 후, 그라비아 인쇄로 용제를 완전히 제거하여 만든 수용성 폴리우레탄(PU) 처리제와 잉크를 사용하여 2차 인쇄/처리층(1)을 형성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70081562A 2007-08-14 2007-08-14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8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62A KR100884270B1 (ko) 2007-08-14 2007-08-14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62A KR100884270B1 (ko) 2007-08-14 2007-08-14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270B1 true KR100884270B1 (ko) 2009-02-17

Family

ID=4068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562A KR100884270B1 (ko) 2007-08-14 2007-08-14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27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9286A1 (de) * 2010-11-24 2012-05-31 Evonik Oxeno Gmbh Verwendung von di(isononyl)cyclohexansäureester (dinch) in verschäumbaren pvc-formulierungen
KR101175100B1 (ko) 2011-04-06 2012-08-21 (주)아이앤에스 피브이씨 정전기방지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490B1 (ko) * 2013-12-13 2014-08-21 삼화페인트 공업주식회사 Pvc 플라스티졸 도료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칼라 강판
KR20160080723A (ko) * 2014-12-30 2016-07-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용 입체 열전사 필름
KR20160107491A (ko) * 2015-03-04 2016-09-19 (주)엘지하우시스 냄새 저감형 직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403B1 (ko) * 2016-09-23 2018-05-18 주식회사 아이앤에스 발포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운동매트의 제조방법
KR101860844B1 (ko) * 2016-11-24 2018-05-25 (주)아이앤에스 연질발포폼 시트의 제조방법
KR101911549B1 (ko) 2011-10-14 2019-01-0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인쇄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00790A (ko) * 2018-02-21 2019-08-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가죽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2051A (ko) * 2018-11-26 2020-06-03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991A (ko) * 1997-04-03 1998-11-16 이상수 방음용 건축내장 시이트
KR20040055091A (ko) * 2002-12-20 2004-06-26 황달영 경질층 및 발포층으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시트의제조방법
KR20040076000A (ko) * 2003-02-24 2004-08-31 기영상 피브이씨 배합물을 이용한 얼룩무늬 풀-커버 타포린 및 그제조방법
KR100706403B1 (ko) * 2006-05-11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인조피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991A (ko) * 1997-04-03 1998-11-16 이상수 방음용 건축내장 시이트
KR20040055091A (ko) * 2002-12-20 2004-06-26 황달영 경질층 및 발포층으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시트의제조방법
KR20040076000A (ko) * 2003-02-24 2004-08-31 기영상 피브이씨 배합물을 이용한 얼룩무늬 풀-커버 타포린 및 그제조방법
KR100706403B1 (ko) * 2006-05-11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인조피혁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9286A1 (de) * 2010-11-24 2012-05-31 Evonik Oxeno Gmbh Verwendung von di(isononyl)cyclohexansäureester (dinch) in verschäumbaren pvc-formulierungen
KR101175100B1 (ko) 2011-04-06 2012-08-21 (주)아이앤에스 피브이씨 정전기방지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11549B1 (ko) 2011-10-14 2019-01-0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인쇄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1490B1 (ko) * 2013-12-13 2014-08-21 삼화페인트 공업주식회사 Pvc 플라스티졸 도료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칼라 강판
KR20160080723A (ko) * 2014-12-30 2016-07-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용 입체 열전사 필름
KR102177621B1 (ko) * 2014-12-30 2020-11-1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용 입체 열전사 필름
KR102097842B1 (ko) * 2015-03-04 2020-04-06 (주)엘지하우시스 냄새 저감형 직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7491A (ko) * 2015-03-04 2016-09-19 (주)엘지하우시스 냄새 저감형 직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403B1 (ko) * 2016-09-23 2018-05-18 주식회사 아이앤에스 발포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운동매트의 제조방법
KR101860844B1 (ko) * 2016-11-24 2018-05-25 (주)아이앤에스 연질발포폼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47094B1 (ko) * 2018-02-21 2019-11-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가죽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0790A (ko) * 2018-02-21 2019-08-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가죽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2051A (ko) * 2018-11-26 2020-06-03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16409B1 (ko) * 2018-11-26 2023-04-03 (주)엘엑스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270B1 (ko) 친환경 피이브이시발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945642B (zh) 透气膜的制造方法
KR100757180B1 (ko) 고무졸을 이용한 염화비닐-고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00330333A1 (en)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a textile sheet material, produ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of use thereof
NO170619B (no) Laminat med flekkbestandig overflate, fremgangsmaate for dets fremstilling samt anvendelse derav
KR101265500B1 (ko) 방염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S5944963B2 (ja) プリント絞模様を有する塩化ビニルシ−トの製造方法
JP4882144B2 (ja) 壁紙の製造方法
US4423110A (en) Process for forming open cell sheet, sheet formed by process, intermediate for forming said sheet and process for forming said intermediate
KR101277424B1 (ko) 수지를 피복 코팅한 섬유 원사로 만든 직물을 사용한 바닥장식재
JP2000211049A (ja) 発泡化粧材
KR102367362B1 (ko) 인조가죽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인조가죽
JPS6245047B2 (ko)
JPS6117270B2 (ko)
EP1496148B1 (en) Wallpaper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JPH09157427A (ja) ペースト状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作られる合成樹脂層をもつ積層体
KR100982359B1 (ko) 천연 또는 합성 섬유와 발포층이 조화된 바닥재
KR20190030595A (ko)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인조가죽
KR101133360B1 (ko) 저휘발성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191804B2 (ja) 積層体
JPH1158659A (ja) ケミカルエンボス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09414U (ja) 吸着性クッションフロア
EP1931732A1 (en) Plastisol composition, a breathable and absorbent polymeric material, process and use therefor
JPS6332915B2 (ko)
JP2000218747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