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51B1 -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51B1
KR100883151B1 KR1020070017839A KR20070017839A KR100883151B1 KR 100883151 B1 KR100883151 B1 KR 100883151B1 KR 1020070017839 A KR1020070017839 A KR 1020070017839A KR 20070017839 A KR20070017839 A KR 20070017839A KR 100883151 B1 KR100883151 B1 KR 10088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cceleration sensor
acceleration
axis
volt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085A (ko
Inventor
노부타카 이시데라
요스케 코나카
노부유키 코이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3/0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만 컴퓨터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승 동작 검출 방법은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AN ACCELERATION SENSOR}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 및 MCU(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X축, Y축, Z축에 가해진 가속도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1)의 설명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의 외관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 감시 기능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의 상승 검출을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통지하는 처리 흐름도.
도 7은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각도 계산 처리 및 기울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각도 계산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GAIN 처리를 수반하는 각도 계산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기울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캘리브레이션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자기 진단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신호선(10A), 신호선(10B) 및 신호선(10C)마다 자기 진단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를 구비한 기판(1701)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속도 센서 2 : MCU
3 : 제어부 4 : RAM
5 : ROM 6 : 출력부
7 : 입력부 8 : 기록부
9 : 표시부 10 : 신호선
11 : 버스 201 : 가속도 센서 소자
202 : 센스 앰프 203 : 출력 저항
204 : 처리부 205 : NV-ROM
206 : RAM 207 : 멀티플렉서
208 : A/D 컨버터 209 : 레지스터
210 : 자기 진단 드라이버 211 :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
212 : 콘덴서 213 : 자기 진단 검출 저항
501 :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 502 :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
503 : 센서 감시 드라이버 1401 : 버튼
1701 : 기판 1702 : 슬릿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전원을 끄기 직전의 상태를 기록하고, 다시 전원을 넣었을 때 전원을 끄기 직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스탠바이 상태(서스펜드)나 휴지 상태(하이버네이션)로 불리는 것이다. 컴퓨터의 가동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컴퓨터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킨다. 또한, 컴퓨터에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가속도 센서에 의해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한다. 그리고,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하여, 컴퓨터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충격을 검지하여, 컴퓨터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컴퓨터의 가동 상태를 전환하여,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857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2032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5476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5-4544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30448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62249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6473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9624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5826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서는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충격을 검지한 경우도 컴퓨터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만 컴퓨터의 가동 상태를 전환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의 이동과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충격을 구별하여 검지한다. 그리고,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만 컴퓨터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본 정보 처리 장치)는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진 가속도가 정보 처리 장치의 상승 동작에 상당하는 가속도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의 상승 동작을 검출한 경우에만 정보 처리 장치의 상승 동작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 부의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가속도가 소정 범위 이내에 들어가는 경우에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상기 검출부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의 상승 동작에 상당하는 가속도와 정보 처리 장치의 상승 동작에 상당하지 않는 가속도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승 동작 검출 방법은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가해진 가속도가 상승 동작에 상당하는 가속도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승 동작을 검출한 경우에만 상승 동작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실행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가해진 가속도가 상승 동작에 상당하는 가속도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부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회 상기 정보 장치에 가 해지는 적어도 1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와, 상기 가속도 측정부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부와, 상기 측정값 판단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한 경우, 복수의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보다 정확히 검지하기 위한 보정을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보다 정확히 검지하기 위한 보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1 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최대값 판정부를 더욱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2 값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최소값 판정부를 더욱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선에 전압을 거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를 더욱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이며,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 단계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회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적어도 1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 단계와,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 단계와, 상기 측정값 판단 단계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한 경우, 복수의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 단계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보다 정확히 검지하기 위한 보정을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보다 정확히 검지하기 위한 보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이 상기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에 이상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을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이라도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함)에 따른 설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구성은 예시 이며, 본 발명은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골자>
가속도를 검지하는 센서에 압전식 자이로 센서가 있다. 압전식 자이로 센서 는 X축, Y축, Z축에 대한 가속도와,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가속도 변화에 의해 자세의 변화를 검출한다. 그 때문에, 압전식 자이로 센서의 경우, 초기 상태에 있어서 압전식 자이로 센서 자신의 절대 자세가 어떤 각도인지를 다른 센서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 결정한 값으로부터의 변화량을 구하는 것으로 자세 정보를 얻어야한다.
또한, 노트형 PC나 PDA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자이로 센서를 탑재한 경우, 전원 0FF시나 서스펜드 기간 동안의 계속 동작은 소비 전력이 많다. 또한, 압전식 자이로 센서로 자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전원 투입마다 사용자가 절대 자세를 정보 처리 장치에 알리거나 별도의 센서로 초기 상태를 확정시켜야 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압전식 자이로 센서의 경우는 GPS 정보, 지자기 센서 등에 의한 디폴트값을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동시 등에 있어서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값을 기준으로 하여 변화량의 적산을 행한다. 그 결과, 상세한 자세변화를 정확히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압전식 자이로 센서에 의한 자세 검출 수단의 경우, 절대 위치 검출 수단(GPS, 지자기 센서)을 가져야 한다. 그 때문에, 비용 부담이 필연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피에조 저항형 가속도 센서는 피에조 저항형 소자와 종 형상의 추로 이루어진다. 이 종 형상의 추에 가해지는, 즉 가속도 센서의 자세에 의한 힘을 변위 센서 인 피에조 저항형 소자로 검출한다. 이 방식에서는 가속도 센서 자세가 종을 경유하여, 피에조 저항형 소자에 계속하여 가해진다. 그 때문에, 가속도 센서는 중력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의 절대 자세를 취득할 수 있다. 절대 자세란, 중력 방향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자세를 말한다.
그런데, 피에조 저항형의 가속도 센서는 피에조 저항막이 파단되는 것에 의한 고장이 있다. 고장의 결과, 신호 출력은 최대 전압 또는 최소 전압 중 어느 하나의 이상값을 나타낸다. 또한, 정전 용량판(빗 모양 전극)의 중력에 의한 물리적인 이동량을 측정하여 절대 자세를 얻는 방법이 있다. 정전 용량판은 반도체 가공 기술에 있어서의 미세 가공에 의한 입체 구조 방식이다. 정전 용량 판형의 가속도 센서는 전극이 걸리는 문제나 변형이 있다. 그 때문에, 정전 용량 판형의 가속도 센서는 단순히 자세 각도에 대한 출력 비직선성이나 자세 드리프트 발생 등의 고장인지 자세 변화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그 결과, 피에조 저항형 가속도 센서에 비교하여, 정전 용량 판형의 가속도 센서는 고장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피에조 저항형 가속도 센서(1)를 사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가속도 센서(1)의 절대 자세를 취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압전식 자이로와 절대 위치 검출 수단(GPS, 지자기 센서 등)의 2개 센서로 행하는 측정 방식에 비해서 저비용 측정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는 가속도 센서(1), MCU(Micro Controller Unit)(2), 제어부(3), RAM(Random Access Memory)(4), ROM(Read Only Memory)(5), 출력부(6), 입력부(7), 기록부(8) 및 표시부(9)로 구성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1)와 MCU(2)는 신호선(10)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MCU(2), 제어부(3), RAM(4), ROM(5), 출력부(6), 입력부(7), 기록부(8) 및 표시부(9)는 상호 버스(1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며, ROM(5)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OM(5)는 본 정보 처리 장치가 기능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 등이 기록되어 있다. RAM(4)은 제어부(3)에 실행시키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기록부(8)는 RAM(4)의 외부 기억으로서 이용된다. 입력부(7)는 예컨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며, 소정의 커맨드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때 등에 조작된다. 출력부(6)는, 예컨대 CRT(Cathode Ray Tube)나 액정 모니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의한 표시 장치나,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 프린터 장치 등의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 등의 휴대 가능한 컴퓨터로서 실현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 및 MCU(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속도 센서(1)는 가속도 센서 소자(201), 센스 앰프(202), 출력 저항(203)을 구비하고 있다. MCU(2)는 레지스터(209), 멀티플렉서(207), A/D 컨버터(208), 처리부(204), NV-ROM(205), RAM(206),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 및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를 구비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1)는 가속도 센서 소자(201)에 가해지는 전압(전압의 변화)을 검출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1)는 가속도 센서 소자(201)에 가해지는 전압을 MCU(2)에 전압의 값(전압값)으로 하여 출력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은 센스 앰프(202)에 의해 증폭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1)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은 신호선(10A), 신호선(10B) 및 신호선(10C)[이하, 신호선(10)으로 표기하는 경우, 신호선(10A), 신호선(10B), 신호선(10C)의 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함]을 통해 멀티플렉서(207)에 입력된다. 멀티플렉서(207)에 입력된 전압값은 순서대로 독출되고, A/D 컨버터(208)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전압값은 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또한, 신호선(10)과 접지 사이에는 콘덴서(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10)과 접지 사이에는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이 설치되어 있다.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을 설치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로부터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에 이르는 신호선(10)의 경로 단선이 발생한 경우, 처리부(204)에 입력되는 전압값은 최소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는 축 방향에 가해진 가속도를 수치로서 출력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터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가속도가 결려 있는지를 수치로서 얻을 수 있다.
도 3은 X축, Y축, Z축에 가해진 가속도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1)의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은 중력 방향과 평행하고 있다. 그리고, X축및 Y축은 Z축과 직행하고 있다. 또한, X축과 Y축은 상호 직행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1)는 도 3의 X축,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 가속도 센서 소자(201)가 설치되어 있다. 피에조 저항형(확산 저항형)의 가속도 센서(1)의 경우, 가속도 센서 소자(201)에 가속도가 가해지면 가속도 센서 소자(201)의 저항값이 변화한다. 그 때문에, 가속도 센서 소자(201)에 가해지는 전압에 변화가 생긴다. 화살표 방향으로 중력(가속도 9.8 m/s2에 상당)이 가해진 경우, 가속도 센서(1)는 가속도 센서 소자(201)에 가해진 가속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검출한다.
처리부(204)는 가속도 센서 소자(201)에 가해지는 전압의 변화로부터 X축, Y축, Z축에 가해진 가속도를 각각 산출한다. X축, Y축, Z축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처리부(204)는 플러스 값을 가속도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산출한 가속도를 레지스터(209)에 기록한다. 한편, Z축 파선의 화살표방향(즉, 중력방향)에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처리부(204)는 마이너스 값을 가속도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산출한 가속도를 레지스터(209)에 기록한다.
도 3의 Z축 실선의 화살표 방향(즉,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 처리부(204)는 플러스 값을 가속도로서 산출한다. 이 때문에, 처리부(204)는 Z축 실선의 화살표 방향(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와 그 이외의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를 구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의 외관도이다. 도 4 의 (A)는 가속도 센서(1)의 정면도이다. 도 4의 (B)는 가속도 센서(1)의 평면도이다. 도 4 의 (C)는 가속도 센서(1)의 측면도이다. 도 4 의 (D)는 가속도 센서(1)의 저면도이다. 단, 도 4의 가속도 센서(1)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가속도 센서(1)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 개요>
도 5는 본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센서 감시 기능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기록부(8)로부터 RAM(4)에 로드되고, 제어부(1)에 의해 실행 제어되는 프로그램이다.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를 통해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로부터의 이벤트를 수신한다. 또한,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를 통해 컴퓨터의 가동 상태를 전환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이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는 애플리케이션과 드라이버 사이의 통신,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전원 제어 등, 오퍼레이팅 시스템 전반의 인터페이스를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공한다.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기록부(8)로부터 RAM(4)에 로드되고, 제어부(1)에 의해 실행 제어되는 드라이버(프로그램)이다.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가속도 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값을 이벤트로서 수신한다. 또한,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가속도 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값을 이벤트로서 수신한 경우,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에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를 통하여 이벤트를 통지(송신)한다.
도 6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의 상승 검출을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통지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3)는 카운터(도시하지 않 음)를 초기화한다(S601). 즉, 제어부(3)는 카운터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제어부(3)는 웨이트를 행한다(S602). 여기서, 웨이트란 제어부(3)가 MCU(2)로부터의 판독 처리를 일정 시간 정지하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3)는 웨이트를 행함으로써, MCU(2)로부터의 판독 처리를 일정 간격으로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웨이트를 10 ms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3)는 MCU(2)로부터의 판독 처리를 10 ms 간격으로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는 MCU(2)로부터 판독을 행한다(S603).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는 레지스터(209)에 기록되어 있는 Z축에 가해진 가속도를 판독한다.
또한, 제어부(3)는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A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604). 예컨대, 가속도의 단위를 G(1 G=9.8 m/s2)로 한 경우, 소정의 임계치 A를 1.25 G(1.25×9.8 m/s2)로 한다. 그 경우, 제어부(3)는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1.25 G(1.25×9.8 m/s2)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상기한 값은 예시이며, 소정의 임계치 A는 상기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임계치 A는 가속도 센서(1)의 상승을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즉,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A 이상인 경우,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가해졌다고 판정한다. 이 가속도 센서(1)의 상승을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값은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으로 구해두면 좋다.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A 이상인 경우, 제어 부(3)는 카운터의 값을 인크리먼트한다(S605). 즉, 제어부(3)는 카운터의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 한편,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A 이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3)는 S601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제어부(3)는 카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606). 카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인 경우, 제어부(3)는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대하여 카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인 것을 알린다. 즉, 제어부(3)는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대하여 카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 인 것을 이벤트로서 통지한다(S607). 그리고,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이벤트를 통지한 경우, 제어부(3)는 S601의 처리를 행한다. S602에서 S606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하고, 카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이 되는 경우, 일정 시간 계속하여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가해지고 있다.
예컨대, 웨이트를 10 ms로 설정하고, 소정의 임계치 B를 3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30 ms 가해지고 있다. 즉, 제어부(3)는 S601의 처리로 카운터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S602의 처리로 MCU(2)로부터의 판독을 10 ms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는 S604의 처리로 카운터의 값을 1로 한다. 이 경우, 카운트의 값은 소정의 임계치 B로서 설정한 3 이상이 아니기 때문에, 제어부(3)는 S602의 처리를 다시 행한다. 이 S602에서 S606의 처리를 반복하여, 카운터의 값이 3이 된 경우, 웨이트의 합계 시 간은 30 ms가 된다. 소정의 임계치 A를 1.25 G(1.25×9.8 m/s2)로 한 경우, 가속도 센서(1)에는 1.25 G(1.25×9.8 m/s2) 이상의 가속도가 30 ms 가해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운터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이 되는 경우,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일정 시간 계속하여 가해진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1)의 상승 검출이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이벤트로서 통지된다.
한편,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A 이상이 아닌 경우나, 카운트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B 이상이 아닌 경우, 가속도 센서(1)의 상승은 없는 값으로 한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1)의 상승 검출은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에 통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3)는 카운터의 값을 초기화하여,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일정 시간 계속하여 가해지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와 가속도 센서(1)의 상승과는 무관계인 가속도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의 이동과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물리적 충격을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만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정의 임계치 A를 소정의 범위 C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범위 C에 들어가 있는 경우, 가 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가해졌다고 할 수 있다. 즉, S604의 처리에서 제어부(3)는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범위 C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MCU(2)로부터 판독한 가속도의 값이 소정의 범위 C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정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의 상승에 상당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1)에 가해져 있는지를 보다 상세히 판정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 직접 액세스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를 통해 하드웨어인 가속도 센서(1)와의 액세스를 행한다.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와 가속도 센서(1)의 액세스는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가 기록부(8)로부터 RAM(4)에 로드되고, 제어부(3)가 실행됨으로써 행해진다.
통상,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대기 상태가 된다(S701). 즉,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가속도 센서(1)로부터의 이벤트 대기 상태가 된다. 대기 상태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1)로부터의 이벤트 통지를 받은 경우,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대기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천이된다(S702). 한편, 대기 상태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1)로부터의 이벤트 통지가 없는 경우,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대기 상태를 속행한다.
다음에, 실행 상태로 천이된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에 이벤트를 통지한다(S703). 이 경우, 가속도 센서(1)의 상승을 검출한 것을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에 이벤트로서 통지한다. 그리고, 센서 감시 애 플리케이션(501)에 이벤트를 통지한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는 다시 대기 상태로 천이된다.
도 8에 있어서,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의 동작을 설명한다.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의 동작은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이 기록부(8)에서 RAM(4)에 로드되고, 제어부(3)가 실행됨으로써 행해진다.
통상,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대기 상태가 된다(S801). 즉,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로부터의 이벤트 대기 상태가 된다. 대기 상태에 있어서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로부터의 이벤트 통지를 받은 경우,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대기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천이된다(S802). 한편, 대기 상태에 있어서, 센서 감시 드라이버(503)로부터의 이벤트 통지가 없는 경우,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대기 상태를 속행한다.
다음에, 실행 상태로 천이된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를 전환한다(S803).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의 전환은, 예컨대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기본 소프트웨어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를 전환한 센서 감시 애플리케이션(501)은 다시 대기 상태로 천이된다.
본 실시형태는 Z축 방향에 생긴 가속도를 정보 처리 장치의 상승으로 하여 검출하였지만, 복수의 축을 조합시킴으로써 임의 방향의 상승을 검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처리)
가속도 센서(1)를 탑재한 정보 처리 장치의 잔류 응력이나 잔류 응력의 경시 변화에 의해, 가속도 센서(1)에는 응력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이 출하시에 보이고 있었던 값과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출하시에 보이고 있었던 전압값과 다른, 즉 정상이 아닌 전압값을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고 있었던 경우, 가속도 센서(1) 자세의 정확한 검지를 할 수 없다. 또한,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을 보정한 후에에도 상기 응력에 의해 전압값은 다시 변동한다. 그 경우, 다시,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을 보정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을 보정하는 처리를 캘리브레이션 처리라고 한다.
도 9는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가다. 캘리브레이션 처리는 캘리브레이션 커맨드를 MCU(2)가 수취함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가 제공하는 캘리브레이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처리는 실행된다.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행해질 때는 가속도 센서(1)의 Z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캘리브레이션 버튼이 눌러진 경우, 제어부(3)는 버스(11)를 경유하여 MCU(2)에 캘리브레이션 버튼이 눌러진 것을 통지한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캘리브레이션 설정 화면에 있어서, 버튼(1401)이 눌러짐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처리는 실행된다.
우선, 캘리브레이션 버튼이 눌러진 것의 통지를 받은 MCU(2) 내의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의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를 클리어한다(S901). 다음에, 처리부(204)는 가속도 센서 소자(201)가 출력된 전압으로부터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을 취득하여, 취득한 값을 RAM(206)에 기록한다(S902). 이 경우, 처리부(204)는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을 각각 수 10 m초 간격으로 4회 취득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이 지정 Min 값 이하인지의 판정을 행한다(S903). 구체적으로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각 축 각각 4개의 전압값의 각 값과 지정 Min 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각 축 4개의 전압값 중 지정 Min 값 이하의 값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지정 Min 값은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을 신호선(10)과 접지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신호선(10)의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도 A/D 컨버터(208)는 플로우팅의 상태가 되지 않는다. 즉,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을 기준 전위와 동레벨(즉, 전압값은 최소가 됨)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신호선(10)의 단선이 발생한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최소가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은 최소 또는 최대가 된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1)의 고장 또는 신호선(10)의 단선 등이 발생한 경우, 처리부(204)가 취득하는 전압값은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할 수 있는 전압값의 최대 또는 최소가 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1)가 정상이며, 또한 신호선(10)에 단선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지정 Min 값보다 큰 값이 된다. 그 때문에,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 압값이 지정 Min 값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가속도 센서(1)의 고장 또는 신호선(10)의 단선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 지정 Min 값은 미리 NV-ROM(205)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지정 Min 값은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면 좋다.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 중 지정 Min 값 이하의 값이 있는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S904). 그리고, 처리부(204)는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 중 지정 Min 값 이하의 값이 아닌 경우,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이 지정 Max 값 이상일지의 판정을 행한다(S905). 구체적으로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각 축 각각 4개의 전압값의 각 값과 지정 Max 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각 축 4개의 전압값 중 지정 Max 값 이상의 값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지정 Max 값은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가속도 센서(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은 최소 또는 최대가 된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1)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처리부(204)가 취득하는 전압값은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할 수 있는 전압값의 최대 또는 최소가 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1)가 정상인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지정 Max 값보다 작은 값이 된다. 그 때문에,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이 지정 Max 값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가속도 센서(1)의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 이 지정 Max 값은 미리 NV-ROM(205)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지정 Max 값은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면 좋다.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 중 지정 Max 값 이상의 값이 있는 경우, 처리부(204)는 S904의 처리를 행한다. 즉,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 중 지정 Max 값 이상의 값이 없는 경우,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4회의 취득 결과 인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지의 판정을 각 축에 대해서 행한다(S906). 즉,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과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지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Y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과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지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Z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과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지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4회의 취득 결과 인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지의 판정을 소정 횟수 행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도시하지 않는 카운터에 의해 소정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 소정 횟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 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지의 판정을 소정 횟수 행하는 것 대신에, 이 판정을 소정 시간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에 의해 소정 시간을 계측한다. 이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D 이하인 경우,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삭제한다(S907). 즉,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X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과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을 삭제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Y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과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을 삭제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Z축의 4회의 취득 결과인 전압값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과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전압값을 삭제한다.
한편, RAM(206)에 기록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아닌 경우, 진동 등을 위해 정상적으로 캘리브레이션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MCU(2)는 레지스터(209)에 캘리브레이션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S908). 사용자에게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장소에서 캘리브레이션 조작을 다시 실행하도록 촉구한다. 그리고,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RAM(206)에 남아 있는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을 평균하고, 평균화한 값을 RAM(206)에 기록한다(S909). 즉, RAM(206)에는 각 축의 전압값이 각각 2개 존재하고 있으며, 처리부(204)는 그 2개의 값을 평균화하여 RAM(206)에 새롭게 기록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평균화하기 이전의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은 RAM(206)으로부터 삭제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RAM(206)에 기록된 Z축의 전압값으로부터 1G(9.8 m/s2)에 상당하는 전압값을 뺀다(S910). Z축에는 항상 1 G(9.8 m/s2)의 가속도가 가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RAM(206)에 기록된 Z축의 전압값으로부터 1 G(9.8 m/s2)에 상당하는 전압값을 뺀다.
또한, 처리부(204)는 NV-ROM(205)에 캘리브레이션값을 기록한다(S911). 구체적으로는, RAM(206)에 기록되어 있는 X축, Y축, Z축의 전압값으로부터 X축, Y축, Z축의 초기값을 뺀 값을 각각 NV-ROM(205)에 기록한다. X축, Y축, Z축의 초기값은 가속도 센서(1)에 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는 경우의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이다. RAM(206)에 기록되어 있는 X축, Y축, Z축의 전압값으로부터 X축, Y축, Z축의 초기값을 뺀 값이 캘리브레이션값이다.
예컨대, RAM(206)에 기록되어 있는 X축의 전압값이 1.5 볼트(V)이며, X축의 초기값이 1.6 볼트(V)라고 한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1)의 X축의 초기값인 1.6 볼트(V)로부터 RAM(206)에 기록되어 있는 X축의 전압값인 1.5 볼트(V)를 뺀 값인 0.1 볼트(V)를 캘리브레이션값으로 한다. 또한, 예컨대, RAM(206)에 기록되어 있는 X축의 전압값이 1.7 볼트(V)이며, X축의 초기값이 1.6 볼트(V)라고 한다. 이 경우, X축의 초기값인 1.6 볼트(V)로부터 RAM(206)에 기록되어 있는 X축의 전압값인 1.7 볼트(V)를 뺀 값인 -0.1 볼트(V)를 캘리브레이션값으로 한다. 또한, X축, Y축, Z축의 초기값은 미리 계측되어 있으며, NV-ROM(205)에 기록되어 있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를 세트한다(S912). 그리고, 처리부(204)는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종료한다.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가 레지스터(209)에 세트된 경우, 캘리브레이션 처리는 완료된다.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완료됨으로써,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을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1)에 가해진 가속도의 정확한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속도 센서(1) 자세의 정확한 검지가 가능해진다.
<각도 계산 처리, 기울기 검출 처리>
본 실시형태의 각도 계산 처리 및 기울기 검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각도 계산 처리 및 기울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가다. 각도 계산 처리 및 기울기 검출 처리는 소정 간격에 의해 계속하여 행해지는 처리이다.
우선, 처리부(204)는 가속도 센서(1)의 동작이 정상인지를 판정한다(S1001). 구체적으로는,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센서 에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레지스터(209)에 센서 에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가속도 센서(1)의 동작이 정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가속도 센서(1)의 동작이 정상이 아닌 경우, 즉, 레지스터(209)에 센서 에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처리부(204)는 다시 S1001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S1001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가속도 센서(1)의 동작이 정상인 경우, 즉, 레지스터(209)에 센서 에 러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 처리부(204)는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S1002). 구체적으로는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레지스터(209)에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완료된 경우, 즉, 레지스터(209)에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처리부(204)는 각도 계산 처리를 행한다(S1003). 한편,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즉, 레지스터(209)에 캘리브레이션 스테이터스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처리부(204)는 다시 S1001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S1001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기울기 검출 처리를 행한다(S1004). 기울기 검출 처리를 행한 후, 처리부(204)는 다시 S1001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S1001의 처리를 행한다.
도 11에 있어서, 각도 계산 처리(도 10의 S1003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도 계산 처리는 가속도 센서(1)의 현재 자세를 산출하는 처리이다. 즉, 중력 방향에 대한 가속도 센서(1)의 현재 각도를 계산하는 처리이다.
우선, 처리부(204)는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X축, Y축, Z축의 현재 전압값을 판독한다(S1101). 다음에, 처리부(204)는 NV-ROM(205)에 기록되어 있는 캘리브레이션값을 사용하여, 판독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을 보정한다(S1102). 구체 적으로는 처리부(204)는 판독한 X축, Y축, Z축의 각 전압값에 X축, Y축, Z축의 캘리브레이션값을 각각 더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X축의 캘리브레이션값으로 보정한 후의 X축 전압값, Y축 캘리브레이션값으로 보정한 후의 Y축 전압값, Z축 캘리브레이션값으로 보정한 후의 Z축 전압값을 각각 각도로 변환한다(S1103). 이 경우, 처리부(204)는 전압값을 중력 방향에 대한 각도로서 변환한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변환 후의 각도를 X축, Y축, Z축마다 레지스터(209)에 기록한다(S1104). 이 경우, X축의 각도는 레지스터(209)의 GP-X에 기록한다. Y축의 각도는 레지스터(209)의 GP-Y에 기록한다. Z축의 각도는 레지스터(209)의 GP-Z에 기록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각도 계산 처리를 종료한다.
가속도 센서(1)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동일하여도 가속도 센서(1)의 기종에 의해,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이 다르다. 그래서, 가속도 센서(1)의 기종에 의해 다른 전압값의 차를 수정하기 위해 GAIN 처리를 행한다. 도 12에 있어서, GAIN 처리를 수반하는 각도 계산 처리(도 10의 S1003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처리부(204)는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X축, Y축, Z축의 현재 전압값을 판독한다(S1201). 다음에, 처리부(204)는 NV-ROM(205)에 기록되어 있는 캘리브레이션값을 사용하여 판독한 X축, Y축, Z축의 전압값을 보정한다(S1202). 구체적으로는 처리부(204)는 판독한 X축, Y축, Z축의 각 전압값에 X축, Y축, Z축의 캘리브레이션값을 각각 더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캘리브레이션 값으로 보정한 후의 전압값을 레지스 터(209)에 기록되어 있는 GAIN 값을 사용하여 수정한다(S1203). 구체적으로는 처리부(204)는 X축의 캘리브레이션값으로 보정한 후의 X축의 전압값에 GAIN 값을 곱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Y축 캘리브레이션값으로 보정한 후 Y축의 전압값에 GAIN 값을 곱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Z축의 캘리브레이션값으로 보정한 후 Z축의 전압값에 GAIN 값을 곱한다. 이 경우, GAIN 값은 가속도 센서(1)에 대응한 값을 이용한다. 즉, 처리부(204)는 본 정보 처리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1)의 기종에 대응하는 GAIN 값을 이용한다. 예컨대, GAIN 값으로서, 가속도 센서(1A)에 대해서는 0.9, 가속도 센서(1B)에 대해서는 1.1 등의 수치를 이용한다. 이 GAIN 값은 가속도 센서(1)의 기종마다 구하면 좋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GAIN 값으로 수정한 후 X축의 전압값, Y축의 전압값, Z축의 전압값을 각각 각도로 변환한다(S1204). 이 경우, 처리부(204)는 전압값을 중력 방향에 대한 각도로서 변환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변환 후의 각도를 X축, Y축, Z축마다 레지스터(209)에 기록한다(S1205). 이 경우, X축의 각도는 레지스터(209)의 GP-X에 기록한다. Y축의 각도는 레지스터(209)의 GP-Y에 기록한다. Z축의 각도는 레지스터(209)의 GP-Z에 기록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GAIN 처리를 수반하는 각도 계산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에 있어서, 기울기 검출 처리(도 10의 S1004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의 GP-X, GP-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를 취득한다(S1301). 다음에,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의 GP-X에 기록되어 있는 각 도가 레지스터(209)의 GTHX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 이하인지를 판정한다(S1302).
레지스터(209)의 GP-X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가 레지스터(209)의 GTHX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 이하인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의 GP-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가 레지스터(209)의 GTH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 이하인지를 판정한다(S1303).
레지스터(209)의 GP-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가 레지스터(209)의 GTH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 이하인 경우, 처리부(204)는 기울기 검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레지스터(209)의 GP-X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가 레지스터(209)의 GTHX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 이하가 아닌 경우(S1302의 처리에서 부정이라고 판정한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이벤트 플래그를 세트한다(S1304).
그리고, 처리부(204)는 제어부(3)에 이벤트를 통지한다(S1305). 또한, 레지스터(209)의 GP-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가 레지스터(209)의 GTHY에 기록되어 있는 각도 이하가 아닌 경우(S1303의 처리로 부정이라고 판정한 경우), 처리부(204)는 S1304의 처리를 행한다.
레지스터(209)의 GTHX 및 GTHY에는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각도를 설정한다. 가속도 센서(1)가 소정값 이상 기울어져 있을 경우, 처리부(204)는 제어부(3)에 이벤트를 통지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3)는 이벤트의 통지를 받은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의 가동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자기 진단 처리>
자기 진단 처리는 NV-ROM(205)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진단 처리 프로그램이 처리부(204)에 판독됨으로써 실행된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는 신호선(10A)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을 강제적으로 고전압값 또는 저전압값으로 하는 출력 장치이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는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을 강제적으로 고전압값 또는 저전압값으로 하는 출력 장치이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는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을 강제적으로 고전압값 또는 저전압값으로 하는 출력 장치이다. 여기서,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로 표기하는 경우,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의 전부를 포함한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가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을 강제적으로 올린 경우의 전압값을 출력 레벨 고(高)의 전압값이라고 한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가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을 강제적으로 내린 경우의 전압값을 출력 레벨저(低)의 전압값이라고 한다. 이 경우,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은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하는 전압값과 구별할 수 있는 전압값으로 한다. 즉,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은 가속도 센서(1)가 출력할 수 없는 범위의 전압값으로 한다.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이 되도록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이 되도록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구동을 제어한 경우,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의 DIAGBIT(1)를 세트한다.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 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이 되도록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구동을 제어한 경우,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의 DIAGBIT(1)를 리셋한다. 또한,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 및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마다 DIAGBIT(1)를 갖고 있다.
또한,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전압값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고임피던스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상태로 한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상태로 하는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의 DIAGBIT(2)를 세트한다.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고임피던스 상태로 함으로써,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정지 상태로 한다.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정지 상태로 하는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의 DIAGBIT(2)를 리셋한다. 통상,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정지 상태로 해둔다. 또한, 자기 진단 제어 레지스터(211)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 및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마다 DIAGBIT(2)를 갖고 있다.
도 15는 자기 진단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상태로 한다(S1501). 이 경우,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이 되도록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 규정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S1502). 신호선(10)이 정상 상태이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된다. 즉, 신호선(10)에 단선 또는 단락 등이 발생한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 규정 범위 내가 되지 않는다.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 전압값의 규정 범위는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으로 구하면 좋다.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태로 한다(S1503).
한편,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S1504).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로 제어하여도 좋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S1505). 가속도 센서(1)의 출력전압값이란, 가속도 센서(1)가 통상의 동작시에 출력하는 전압값을 말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소정 시간 내에서 판정을 행한다. 처리부(204)는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에 의해,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로 제어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이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정상 상태이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가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된다. 즉, 가속도 센서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가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되지 않는다. 가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는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으로 구하면 좋다.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S1506).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자기 진단 처리를 행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 및 신호선(10)이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1)와 MCU가 정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1)가 정확하게 동작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10)이 정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10)에 단선이나 단락 등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A/D 컨버터(208)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A/D 컨버터(208)가 정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D 컨버터(208)가 정확하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을 이용하여, 신호선(10A), 신호선(10B) 및 신호선(10C)마다 자기 진단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처리부(204)가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의 구동을 개별로 제어한다. 여기서 도 16에서는 대표로서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 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 한다(S1601). 이 경우, 처리부(204)는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이 되도록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에, 처리부(204)는 신호선(10A)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S1602).
신호선(10A)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 규정 범위 내인 경우, 처리부(204)는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S1603).
신호선(10A)이 정상 상태의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된다. 즉, 신호 선(10A)에 단선 또는 단락 등이 발생한 경우,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되지 않는다. 신호선(10A)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는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으로 구하면 좋다.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 경우, 처리부(204)는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S1604).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 경우, 신호선(10A)과 신호선(10B) 사이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신호선(10A)과 신호선(10B) 사이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되지 않는다. 그 결과, 처리부(204)는 신호선(10A)과 신호선(10B)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인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로 한다(S1605).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 한 경우의 처리를 종료한다.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이면, 신호선(10A)과 신호선(10C) 사이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신호선(10A)과 신호선(10C)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고 있으면,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되지 않는다. 그 결과, 처리부(204)는 신호선(10A)과 신호선(10C)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신호선(10A)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출력 레벨고의 전압값 또는 출력 레벨저의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S1602의 처리로 부정이라고 판정한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S1606).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로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S1603의 처리로 부정이라고 판정한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다(S1607).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로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속도 센서(1)의 출력 전압값의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S1604의 처리로 부정이라고 판정한 경우), 처리부(204)는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 다(S1608).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출력 상태로부터 출력 정지 상태로 제어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처리부(204)는 신호선(10A)과 신호선(10B)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4)는 신호선(10A)과 신호선(10C)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신호선(10B)과 신호선(10C) 사이의 단락에 의해,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과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동일한 값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신호선(10B)에 단선이 발생하고, 신호선(10B)과 신호선(10C) 사이에 단락이 발생한다. 신호선(10B) 및 신호선(10C) 사이의 단락 개소가 신호선(10B)의 단선 개소보다도 A/D 컨버터(208)에 가까운 경우, 신호선(10B)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은 신호선(10C)을 통해 A/D 컨버터(208)에 들어가는 전압값과 동일한 값이 된다. 즉, 신호선(10B)에 단선이 발생하여도 처리부(204)는 신호선(10B)의 단선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없다.
여기서,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를 출력 상태로 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도 16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게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를 출력 상태로 한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즉, 도 16의 처리에 대해서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로 재판독한다. 그리고,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를 자기 진단 드라이 버(210A)로 재판독한다. 또한, 신호선(10A)을 신호선(10B)으로 재판독한다. 또한, 신호선(10B)을 신호선(10A)으로 재판독한다.
또한,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를 출력 상태로 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도 16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게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를 출력 상태로 한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즉, 도 16의 처리에 대해서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를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로 재판독한다. 그리고,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를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로 재판독한다. 또한, 신호선(10A)을 신호선(10C)으로 재판독한다. 또한, 신호선(10C)을 신호선(10A)으로 재판독한다.
이와 같이,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A),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B) 및 자기 진단 드라이버(210C)를 각각 출력 상태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처리부(204)는 신호선(10A), 신호선(10B) 및 신호선(10C) 중 어디에서 단선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4)는 신호선(10A)과 신호선(10B)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4)는 신호선(10A)과 신호선(10C)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4)는 신호선(10B)과 신호선(10C)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자기 진단 처리는 캘리브레이션 처리의 실행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502)가 제공하는 캘리브레이션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처리 및 자기 진단 처리는 실행된다. 또한, 자기 진단 처리가 캘리브레이션 처리의 실행과 동시에 행해지고 있는 경우,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종료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자기 진단 처리에 있어서, 처리부(204)가 레지스터(209)에 디바이스 에러 플래그를 세트한 경우, 처리부(204)는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자기 진단 처리를 행하는 경우, 도 2에서 도시하는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9의 S903에서 S905의 처리 대신에,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9의 S 902의 처리 후,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부(204)는 자기 진단 처리의 종료 후에 S906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에서 도시하는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2에서 도시하는 출력 저항(203)의 임피던스와 자기 진단 검출 저항(213)과의 저항값의 변동(제조 변동)에 의한 오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더욱 고정밀도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에 가해진 가속도를 구하는 수단이나 가속도 센서의 각도를 구하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가속도 센서에 가해진 가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구하는 수단이나 가속도 센서의 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구하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가속도 센서(1)를 구비한 기판(170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701)은 한 쌍의 대략 L자형의 슬 릿(1702)을, 각 슬릿(1702)으로 대략 직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슬릿(1702)의 내측에 가속도 센서(1)가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슬릿(1702)은 각 변이 중첩되지 않도록 기판(170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릿(1702)은 각 슬릿(1702)이 대상이 되도록 기판(170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릿(1702)은 각 변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기판(1702)에 설치되어 있다. 슬릿(1702)은 기판(1701)에 대략 L 자형으로 절결된 절결이다. 기판(1701)에 한 쌍의 슬릿(1702)을 설치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에 가해지는 응력이 각 슬릿(1702)에 흡수된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1)를 탑재한 정보 처리 장치의 잔류 응력에 의해 발생한 가속도 센서(1)에 가해지는 응력이 경감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컴퓨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에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여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 컴퓨터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 mm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다.
(부기 1)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2)
상기 제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3)
상기 가속도가 소정 범위 이내에 들어가는 경우에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상기 검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4)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단계를 구비하는 상승 동작 검출 방법.
(부기 5)
상기 제어 단계는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상승 동작 검출 방법.
(부기 6)
상기 가속도가 소정 범위 이내에 들어가는 경우에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상기 검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상승 동작 검출 방법.
(부기 7)
컴퓨터에
한쪽 방향의 가속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승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8)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9)
상기 가속도가 소정 범위 이내에 들어가는 경우에 상승 동작으로서 검출하는 상기 검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10)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부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회 상기 정보 처 리 장치에 가해지는 적어도 1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와,
상기 가속도 측정부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부와,
상기 측정값 판단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한 경우, 복수의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1)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1 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최대값 판정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2)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2 값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최소값 판정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또는 부기 11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3)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선에 전압을 거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내지 부기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4)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 단계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회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적어도 1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측정 단계와,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 단계와,
상기 측정값 판단 단계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한 경우, 복수의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방법.
(부기 15)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1 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최대값 판정 단계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한 보정 방법.
(부기 16)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2 값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최소값 판정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 또는 15에 기재한 보정 방법.
(부기 17)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선에 전압을 거는 자기 진단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자기 진단을 행하는 자기 진단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보정 방법.
(부기 18)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는 컴퓨터에,
사용자로부터의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 단계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회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가해지는 적어도 1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측정 단계와,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 단계와,
상기 측정값 판단 단계에 의해,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특정한 폭에 들어가는 것을 판단한 경우, 복수의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19)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1 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최대값 판정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한 보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20)
복수의 상기 측정값이 제2 값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최소값 판정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또는 19에 기재한 보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21)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컴퓨터의 접속선에 전압을 거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자기 진단을 행하는 자기 진단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내지 부기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보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만 컴퓨터 가동 상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부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복수회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와,
    상기 가속도 측정부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특정 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부와,
    상기 측정값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특정 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제1 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최대값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제2 값 이상인 것을 판정 하는 최소값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선에 전압을 인가하는 자기 진단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접속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보정 지시가 입력되는 보정 지시 입력 단계와,
    상기 보정 지시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복수회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의 가속도에 관한 측정값을 복수회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 단계와,
    상기 가속도 측정 단계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특정 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판정하는 측정값 판단 단계와,
    상기 측정값 판단 단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특정 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방법.
KR1020070017839A 2006-03-01 2007-02-22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KR100883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5327 2006-03-01
JP2006055327A JP2007233753A (ja) 2006-03-01 2006-03-01 加速度センサ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085A KR20070090085A (ko) 2007-09-05
KR100883151B1 true KR100883151B1 (ko) 2009-02-10

Family

ID=3847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839A KR100883151B1 (ko) 2006-03-01 2007-02-22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31846B2 (ko)
JP (1) JP2007233753A (ko)
KR (1) KR100883151B1 (ko)
CN (1) CN1010300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7194B2 (en) 1988-06-13 2011-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I346281B (en) * 2007-12-03 2011-08-01 Wistr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0015535A (ja) * 2008-06-02 2010-01-21 Sony Corp 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校正方法
JP5315857B2 (ja) * 2008-08-22 2013-10-16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DE102010028827B4 (de) * 2010-05-11 2021-07-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bgleichen eines Beschleunigungssensors
DE102010028828B4 (de) * 2010-05-11 2019-07-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Bestimmung eines Ruhezustands
US9192065B2 (en) 2010-08-18 2015-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DE102011006427A1 (de) * 2011-03-30 2012-10-04 Robert Bosch Gmbh Drehratensensor und Verfahren zur Kalibrierung eines Drehratensensors
KR101906410B1 (ko) * 2011-04-19 2018-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쉬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3186225B (zh) * 2011-12-31 2016-09-28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状态切换方法和装置
US9400226B2 (en) 2013-04-09 2016-07-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ransducer-including devices
US9365413B2 (en) * 2013-05-29 2016-06-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ransducer-including devic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ir calibration
CN107333328A (zh) * 2017-06-06 2017-11-07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wifi耗电控制方法、及存储设备
JP7310598B2 (ja) 2019-12-25 2023-07-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
CN111308125B (zh) * 2020-02-24 2021-08-20 北京大学 一种基于光纤Sagnac干涉仪的加加速度探测方法及加加速度计
CN112347422B (zh) * 2020-10-27 2023-07-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加速度矫正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028A (ja) * 1995-12-14 1997-06-24 Hitachi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
KR20030087417A (ko) * 2002-05-09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 정보 단말기의 자동 전원 오프 장치 및 방법
KR20040107376A (ko) * 2003-06-12 2004-12-2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컴퓨터 장치, 시스템 가동 상태의 전환 제어 방법, 주변장치에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60120728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의 시동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903B2 (ja) * 1993-07-10 1996-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テリ駆動携帯型デ―タ機器
JPH0830448A (ja) 1994-07-14 1996-02-02 Nec Corp プログラム仕様整合検査装置
JP3131099B2 (ja) 1994-08-22 2001-01-3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加速度情報の演算回路
JPH096473A (ja) 1995-06-21 1997-01-10 Sharp Corp 電子機器
JPH09120323A (ja) 1995-10-25 1997-05-06 Canon Inc 電源制御方法及び装置及び電子機器
JPH10150596A (ja) * 1996-11-20 1998-06-0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H11268646A (ja) * 1998-03-23 1999-10-05 Tokico Ltd 鉄道車両用振動制御装置
JP2000047760A (ja) * 1998-08-03 2000-02-18 Toshiba Tec Corp 携帯機器
KR100610235B1 (ko) * 1998-11-30 2006-08-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로봇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0235207A (ja) * 1999-02-16 2000-08-29 Canon Inc 支持状態判定装置及び像振れ補正装置
JP2001042978A (ja) * 1999-08-03 2001-02-16 Canon Inc 電子機器、省電力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466198B1 (en) * 1999-11-05 2002-10-15 Innoventions, Inc. View navigation and magnification of a hand-held device with a display
DE10202140A1 (de) * 2002-01-21 2003-08-0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ohlraums in einem monokristallinen Siliziumsubstrat und Halbleiterbaustein mit einem Hohlraum in einem monokristallinen Siliziumsubstrat mit einer epitaktischen Deckschicht
JP2003262648A (ja) * 2002-03-11 2003-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加速度センサの出力補正装置および出力補正方法
US7016705B2 (en) * 2002-04-17 2006-03-21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ed battery-operated device using sensors
JP2004119624A (ja)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基板
JP4041979B2 (ja) * 2003-04-02 2008-02-06 株式会社生方製作所 墜落判定システム
US20060112754A1 (en) * 2003-04-11 2006-06-01 Hiroshi Yamamoto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acceleration sensor axis information
DE10357870B4 (de) * 2003-12-11 2013-02-07 Robert Bosch Gmbh Sensor mit symmetrischer Begrenzung eines Signals
JP4550500B2 (ja) * 2004-04-01 2010-09-22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多軸センサを有する力センサ装置における応力検出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る力センサ装置。
KR101215677B1 (ko) * 2004-08-12 2012-12-26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속도 계측 장치
JP4753065B2 (ja) * 2005-02-04 2011-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US20070036348A1 (en) * 2005-07-28 2007-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vement-based mode switching of a handheld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028A (ja) * 1995-12-14 1997-06-24 Hitachi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
KR20030087417A (ko) * 2002-05-09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 정보 단말기의 자동 전원 오프 장치 및 방법
KR20040107376A (ko) * 2003-06-12 2004-12-2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컴퓨터 장치, 시스템 가동 상태의 전환 제어 방법, 주변장치에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60120728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의 시동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0096A (zh) 2007-09-05
JP2007233753A (ja) 2007-09-13
KR20070090085A (ko) 2007-09-05
US20070205982A1 (en) 2007-09-06
US7831846B2 (en) 2010-11-09
CN101030096B (zh)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151B1 (ko)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US11408787B2 (en) Control methods for a force sensor system
CN110568951B (zh) 压力信号处理
US20210325967A1 (en) In-situ monitoring, calibration, and testing of a haptic actuator
US8026906B2 (en) Integrated force sensitive lens and software
WO2018000874A1 (zh) 一种触摸压力检测装置、显示屏及触控电子设备
JP6966471B2 (ja) 座標測定プローブ本体
KR20190079677A (ko) 사용자 입력 감지 장치
US9606628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that drives actuator, electronic apparatus that drives actuator, and control method for driving actuator
WO2015080696A1 (en) Self-calibration of force sensors and inertial compensation
US7997126B2 (en) Textur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90366B1 (ko) 입력펜 및 이를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
EP226757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drop impact 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876207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検出方法
JP5460758B2 (ja) 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位置補正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18974B2 (ja) 加速度センサシステム、及び自己診断方法
JP5285350B2 (ja) 重量測定装置
JP7003629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状態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099859A (zh) 下落检测装置、磁盘装置、以及便携式电子设备
WO2020161893A1 (ja) タッチパネルの押込検知装置、電子機器、及び、タッチパネルの押込検知方法
WO2020161894A1 (ja) タッチパネルの押込検知装置、電子機器、及び、タッチパネルの押込検知方法
US20190265035A1 (en) Vibration apparatus
JP5073363B2 (ja) 閉鎖ループ櫛型駆動センサ
JP7279771B2 (ja) 電子機器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JP2002174640A (ja) 加加速度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