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060B1 -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060B1
KR100882060B1 KR1020070046639A KR20070046639A KR100882060B1 KR 100882060 B1 KR100882060 B1 KR 100882060B1 KR 1020070046639 A KR1020070046639 A KR 1020070046639A KR 20070046639 A KR20070046639 A KR 20070046639A KR 100882060 B1 KR100882060 B1 KR 10088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e adhesive
adhesive film
dicing di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660A (ko
Inventor
서준모
강병언
김재훈
성태현
현순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06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51Elemental semiconductors, i.e. Group IV
    • H01L2924/10253Silicon [S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5Mechanical effects
    • H01L2924/351Thermal st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은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있는 다이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은 상온에서 60 ℃ 온도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106 내지 1.0×109 Pa이고, 이 온도범위 내에서의 점착력은 5 내지 300 gf이며, 140∼150 ℃ 온도범위 내에서의 용융점도가 500 내지 5000 Pa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공정시 반도체 칩 상에 위치하는 와이어 본드를 충분히 덮을 수 있고, 2 층 이상의 칩을 쌓는 경우 다이 사이에 들어가며, 칩간 절연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다이접착제층, 저장 탄성율, 점착력, 용융점도

Description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Dicing die adhesive film}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2: 기재
3: 다이접착제층
본 발명은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에서 60 ℃ 온도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106 내지 1.0×109 Pa이고, 이 온도범위 내에서의 점착력은 5 내지 300 gf이며, 140∼150 ℃ 온도범위 내에서의 용융점도가 500 내지 5000j Pa초인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 공정시 반도체 칩 상에 위치하는 와이어 본드를 충분히 덮을 수 있고, 2 층 이상의 칩을 쌓는 경우 다이 사이에 들어가며, 칩간 절연 효과가 뛰어난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기능 경박단소화의 요구에 따라, 어셈블리 업체에서는 멀티칩 패키징(multichip packaging) 또는 시스템-인-패키징(system-in-packaging) 등의 새로운 패키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패키징의 핵심적인 기술 중의 하나가 동일 크기 또는 다른 크기의 칩을 적층하여 패키징을 제조하는 것이다.
칩간 적층을 위하여 종래의 페이스트형 접착제를 대체하여 필름형 다이 접착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 크기의 칩을 적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필름형 스페이서나 또는 더미 실리콘(dummy silicon) 칩과 접착필름을 이용하였다. 이는 동일한 칩의 적층에 있어서 칩의 적층에 있어서 칩의 외각에 외이어 본딩 공간을 주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본딩된 와이어와 상부의 칩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불량을 초래하거나 전기적인 쇼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접착필름이 개발되었다. 이는 다이 본딩시에 다이 접착 필름이 와이어(wire)까지 덮는 형태의 필름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2857호에는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는 제1층과 와이어를 덮는 기능을 하는 제2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의 필름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142274호는 접착제층의 탄성율을 1.0×103 내지 1.0×104 Pa으로 한정하고, 120 ℃ 온도에서 열경화전 접착제층의 용융점도를 100∼200 Pa초로 한정한 다이싱·다이 본드 겸용 점접착 시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접착제층의 탄성율을 1.0×103 내지 1.0×104 Pa로 한정함으로써 현존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1.0×106 내지 1.0×1010 Pa)보다 낮은 저장 탄성율을 갖게 되는데, 이 경우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이용한 다이 접착 외 공정에서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첫째로, 후면 라미네이션(backside lamination) 공정시 상온∼60 ℃의 온도에서 일정 압력이 인가된 롤러(roller)를 사용하여 작업할 경우 다이 접착 필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웨이퍼 상단으로 다이 접착 필름이 올라 탈 수 있다. 둘째로, 절단(sawing) 공정시 상대적으로 약한 다이 접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테잎 버어(tape burr)가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와이어 본드 패드를 막아 와이어 본딩시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의 경우 120 ℃ 온도에서의 열경화전 접착제층의 용융점도를 100∼200 Pa초로 한정함으로써 120 ℃에서 접착제층의 흐름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실제 절단 공정시 웨이퍼와 블래이드(blade)의 마찰에 의해 실제 다이 접착 필름의 표면온도는 80∼140 ℃까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이 접착 필름과 접촉되는 블래이드 표면에 다이 접착 필름의 이물이 기존 다이 접착 필름보다 많이 묻을 수 있으며, 이는 블래이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관련 업계에서 지속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패키지 공정시 반도체 칩 상에 위치하는 와이어 본드를 충분히 덮을 수 있고, 2 층 이상의 칩을 쌓는 경우 다이 사이에 들어가며, 칩간 절연 효과가 향상시키는데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은,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있는 다이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은, 상온에서 60 ℃ 온도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106 내지 1.0×109 Pa이고, 이 온도범위 내에서의 점착력은 5 내지 300 gf이며, 140∼150 ℃ 온도범위 내에서의 용융점도가 500 내지 5000 Pa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은 상온에서 60 ℃ 온도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106 내지 1.0×109 Pa이고, 이 온도범위 내에서의 점착력은 5 내지 300 gf이며, 140∼150 ℃ 온도범위 내에서의 용융점도가 500 내지 5000 Pa초인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이 기재 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상온 저장 탄성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상 에폭시와 무기 필러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B-스태징(staging)시 가교도를 높이기 위하여 UV 강도(intensity) 및 조사량(dasage)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용융점도를 140∼150 ℃에서 500∼5000 Pa로 떨어뜨리기 위하여 연화점이 낮은 고상 에폭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셀룰로오스계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1)은 기재(2)와 다이접착제층(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2)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 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포릴우레탄 필름, 아이오노머(ionomer) 수지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또는 이들의 가교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2)는 투명 필름, 착색 필름, 또는 불투명 필름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은 칩(chip) 이면에 다이접착제층(3)을 고정시키고, 기재(2)로부터 픽업하기 때문에 기재(2)와 다이접착제층(3)은 박리가능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기재(2)와 다이접착제층(3)이 접하는 면의 표면장력은 50 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장력 범위에 있어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서로간의 젖음성(wetting)이 좋기 때문에 계면 사이에서 박리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이로써 픽업 특성을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기재(2)의 막 두께는 통상 20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막 두께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소잉(sawing) 공정시 반 컷팅(half cutting)을 위한 두께 마진이 적어 기재가 완전히 컷팅될 수 있고, 픽업 공정 전 확대(expanding)시 인가된 장력에 의하여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이 끊어지거나 복원력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 우에는 소잉 공정시 블래이드(blade)가 깊이 들어가므로 블레이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고, 소잉 공정 후 다이 픽업시 픽업 핀에 의해 칩(chip)을 들어올리기가 힘들며,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기재 확대시 장력이 고르게 인가되기가 힘들어 픽업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다이접착제층(3)은 웨이퍼 다이싱시의 웨이퍼 고정에 이용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반도체 칩 사이의 고정에 이용한다.
반도체 웨이퍼를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1)으로 고정하면서 웨이퍼의 다이싱을 행하고, 그 뒤 웨이퍼 이면에 다이접착제층(3)을 가지는 반도체 칩을 기재로부터 픽업하고, 그 반도체 칩의 다이접착제층(3) 면을 기판의 와이어 형성 면에 서서히 매입하며, 다이접착제층(3) 면을 반도체 칩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와이어의 형성 면은 다이접착제층(3)의 용융온도보다 약간 높고, 또한 그 경화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상기 다이접착제층(3)이 연화한 후, 두께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1)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3)의 저장 탄성률은 상온 내지 60 ℃의 온도범위에서 1.0×106 내지 1.0×109 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접착제층(3)의 저장탄성률 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웨이퍼 후면 라미네이션(wafer backside lamination)시 접착층의 두께 감소 및 웨이퍼 외곽으로 수지 흐름(melt flow)이 발생하여 핫 스테이지(hot stage)를 오염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웨이퍼 후면 라미네이션시 다이접착제층의 흐름성이 낮아 백-그라인딩(back-grinding) 후 웨이퍼 후면에 나선형으로 발생된 스크래치(scratch)를 채울 수 없으므로 웨이퍼와 접착층 사이에 보이드(void) 발생 및 접착력 저하 등의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다이접착제층(3)은 상기 온도범위(상온∼60 ℃) 내에서 점착력이 5 내지 300 gf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접착제층(3)의 점착력 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웨이퍼 후면 라미네이션 후 웨이퍼워 다이접착제 사이에 접착력이 낮아 소잉 공정시 다이 플라잉(die flying) 및 다이 크랙(die crack)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이접착제와 기재 사이에 접착력이 높아져 소잉 후 다이 픽업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반도체 칩의 압접시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3)이 너무 단단하면 와이어가 부러지거나 단선될 우려가 있는 반면, 너무 부드럽다면 다이접착제층(3)이 유동화하고, 다이접착제층(3)의 두께 정밀도 불량에 기인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다이접착제층(3)은 적당한 용해물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1)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3)의 용융점도는 140∼150 ℃ 온도범위 내에서 500 내지 5000 Pa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접착제층(3)의 용융점도 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일정 압력으로 다이접착제층을 누를 때 일정 두께를 유지하지 못하며, 과하게 눌렀을 경우 와이어 본드(wire bond)에 손상을 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상 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융점도가 높아 와이어 본드 사이사이로 다이접착제층이 흘러들어가지 못하고, 이 또한 와이어 본드에 손상을 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1)의 다이접착제층(3)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고무, 범용 고상 및 액상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고무는 그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필름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다이접착제층(3)에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의 함량 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탄성력 및 B-스태징 후 표면 점착력이 떨어져 웨이퍼 후면 라미네이션 공정 후 소잉 공정시 웨이퍼와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사이에 접착력이 낮아지게 되고, 다이 플라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뢰성 테스트시 PCB와 디아 사이에서 발생하는 CTE 미스매치(mismatch)에 의한 열적 스트레스(thermal stress)를 해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신뢰성 수준이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에폭시 함량이 적어져 경화(cure) 후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 수준이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범용 고상 및 액상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녹시계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용 고상 및 액상 에폭시 수지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다이접착제층(3)에 5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용 고상 및 액상 에폭시 수지의 함량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에폭시 함량이 적어져 경화 후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 수준이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무의 함량이 적어져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탄성력 및 B-스태징 후 표면 점착력이 떨어져 웨이퍼 후면 라미네이션 공정 후 소잉 공정시 웨이퍼와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사이에 접착력이 낮아지게 되고, 다이 플라잉이 발생할 수 있고, 신뢰성 테스트시 PCB와 다이 사이에서 발생하는 CTE 미스매치에 의한 열적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신뢰성 수준이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퍼옥사이드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에폭시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의 다이접착제층에 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범위에 있어서,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속도 및 경화밀도가 낮아져 경화 후 내열성 및 내흡수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반응된 경화제가 불순물 로 작용할 수 있어 경화 후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온 보관시 제품의 경시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성 및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이 다이싱 필름의 다이접착제층은 상기 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무기필러, 경화촉진제, 경화저하제, 희석제 등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이접착제층은 반도체 장치의 반도체 칩 간을 접착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이접착제층을 이용하여 2 층 이상의 반도체 칩을 적층할 경우에는 다이접착제층이 하부 칩 상단의 와이어를 덮고, 두께가 하부 칩으로부터 와이어의 최상단 높이 보다 두꺼운 것, 특히 와이어의 최상단 높이보다 1 내지 100 ㎛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이에 대비되는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점착필름을 기재필름 또는 다이싱필름으로 하고, 다이접착필름을 기재필름 내 점착층 부분과 라미네이션된 2 층 구조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0 ㎛이었으며, 다이접착필름의 두께는 75±2 ㎛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접착필름의 구성물은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20 중량%, 고상 에폭시 수지 50 중량%, 액상 에폭시 수지 25 중량%, 아민 경화제 5 중량%로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다이접착필름의 특성으로는 상온 저장탄성률이 800 MPa, 상온 표면 점착력이 50 gf이었으며, 60 ℃ 저장탄성률이 700 MPa, 60 ℃ 표면 점착력이 100 gf이었다. 또한, 140 ℃에서의 용융점도는 2000 Pa초였으며, 150 ℃에서의 용융점도는 5000 Pa초였다.
실시예 2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점착필름을 기재필름 또는 다이싱필름으로 하고, 다이접착필름을 기재필름 내 점착층 부분과 라미네이션된 2 층 구조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0 ㎛이었으며, 다이접착필름의 두께는 75±2 ㎛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접착필름의 구성물은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0 중량%, 고상 에폭시 수지 55 중량%, 액상 에폭시 수지 30 중량%, 아민 경화제 5 중량%로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다이접착필름의 특성으로는 상온 저장탄성률이 100 MPa, 상온 표면 점착력이 15 gf이었으며, 60 ℃ 저장탄성률이 60 MPa, 60 ℃ 표면 점착력이 200 gf이었다. 또한, 140 ℃에서의 용융점도는 1000 Pa초였으며, 150 ℃에서의 용융점도는 3000 Pa초였다.
실시예 3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점착필름을 기재필름 또는 다이싱필름으로 하고, 다이접착필름을 기재필름 내 점착층 부분과 라미네이션된 2 층 구조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0 ㎛이었으며, 다이접착필름의 두께는 75±2 ㎛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접착필름의 구성물은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0 중량%, 고상 에폭시 수지 30 중량%, 액상 에폭시 수지 40 중량%, 아크릴계 수지 10 중량%, 아민 경화제 10 중량%로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다이접착필름의 특성으로는 상온 저장탄성률이 10 MPa, 상온 표면 점착력이 50 gf이었으며, 60 ℃ 저장탄성률이 4 MPa, 60 ℃ 표면 점착력이 300 gf이었다. 또한, 140 ℃에서의 용융점도는 500 Pa초였으며, 150 ℃에서의 용융점도는 1500 Pa초였다.
비교예 1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점착필름을 기재필름 또는 다이싱필름으로 하고, 다이접착필름을 기재필름 내 점착층 부분과 라미네이션된 2 층 구조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0 ㎛이었으며, 다이접착필름의 두께는 75±2 ㎛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접착필름의 구성물은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30 중량%, 고상 에폭시 수지 50 중량%, 액상 에폭시 수지 10 중량%, 아크릴계 수지 4 중량%, 아민 경화제 6 중량%로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다이접착필름의 특성으로는 상온 저장탄성률이 1500 MPa, 상온 표면 점착력이 0.5 gf이었으며, 60 ℃ 저장탄성률이 1200 MPa, 60 ℃ 표면 점착력이 3 gf이었다. 또한, 140 ℃에서의 용융점도는 10000 Pa초였으며, 150 ℃에서의 용융점도는 30000 Pa초였다.
비교예 2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점착필름을 기재필름 또는 다이싱필름으로 하고, 다이접착필름을 기재필름 내 점착층 부분과 라미네이션된 2 층 구조의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0 ㎛이었으며, 다이접착필름의 두께는 75±2 ㎛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접착필름의 구성물은 수소화된 아크릴로니 트릴 부타디엔 고무 5 중량%, 고상 에폭시 수지 10 중량%, 액상 에폭시 수지 65 중량%, 아크릴계 수지 15 중량%, 아민 경화제 10 중량%로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다이접착필름의 특성으로는 상온 저장탄성률이 0.3 Pa, 상온 표면 점착력이 310 gf이었으며, 60 ℃ 저장탄성률이 0.02 MPa, 60 ℃ 표면 점착력이 400 gf이었다. 또한, 140 ℃에서의 용융점도는 200 Pa초였으며, 150 ℃에서의 용융점도는 300 Pa초였다.
Figure 112007035476792-pat0000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공정시 반도체 칩 상에 위치하는 와이어 본 드를 충분히 덮을 수 있고, 2 층 이상의 칩을 쌓는 경우 다이 사이에 들어가며, 칩간 절연 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8)

  1.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있는 다이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은, 상온에서 60 ℃ 온도에서의 저장 탄성율이 1.0×106 내지 1.0×109 Pa이고, 이 온도범위 내에서의 점착력은 5 내지 300 gf이며, 140∼150 ℃ 온도범위 내에서의 용융점도가 500 내지 5000 Pa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필름, 아이오노머(ionomer) 수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다이접착제층은, 그 접하는 면의 표면장력이 50 m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접착제층은,
    고무 10 내지 50 중량%;
    고상 및 액상 에폭시 수지 50 내지 89 중량%; 및
    경화제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수소화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및 액상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계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퍼옥사이드계 경화제 및 페놀계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은, 유기 필러, 무기 필러, 경화촉진제, 경화저하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KR1020070046639A 2007-05-14 2007-05-14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KR10088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39A KR100882060B1 (ko) 2007-05-14 2007-05-14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39A KR100882060B1 (ko) 2007-05-14 2007-05-14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60A KR20080100660A (ko) 2008-11-19
KR100882060B1 true KR100882060B1 (ko) 2009-02-10

Family

ID=4028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639A KR100882060B1 (ko) 2007-05-14 2007-05-14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0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762A (ja) 2001-08-27 2004-02-12 Hitachi Chem Co Ltd 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3020A (ja) 2004-04-20 2006-07-13 Hitachi Chem Co Ltd 接着シート、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02290B1 (ko) 2005-04-28 2006-07-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필름
KR100765621B1 (ko) 2005-06-03 2007-10-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다이싱 다이 접착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762A (ja) 2001-08-27 2004-02-12 Hitachi Chem Co Ltd 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3020A (ja) 2004-04-20 2006-07-13 Hitachi Chem Co Ltd 接着シート、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02290B1 (ko) 2005-04-28 2006-07-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필름
KR100765621B1 (ko) 2005-06-03 2007-10-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다이싱 다이 접착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60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8001B2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兼用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00081258A1 (en)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WO2010074060A1 (ja) 熱硬化型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WO2006118033A1 (ja) シート状アンダーフィル材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008124B2 (en) Adhesive film for semiconductor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adhesive film
JP2005327789A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兼用粘接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1187571A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2006303472A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2006261529A (ja) フリップチップ実装用アンダーフィルテープ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005258B2 (ja)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005324B2 (ja)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8135448A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2008231366A (ja)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213313B2 (ja)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51581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回路部材接続用接着シート
JP5976716B2 (ja) 熱硬化型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5005325B2 (ja)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02846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TW202105620A (zh) 具有支石墓結構的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支持片的製造方法及積層膜
KR100882060B1 (ko)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JP6013709B2 (ja) 熱硬化型ダイボンドフィルム、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8098228A (ja) 保護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1166159A (ja) 熱硬化型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2013187376A (ja) 半導体装置用接着フィルム、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WO2023048188A1 (ja) フィルム状接着剤、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一体型フィルム、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