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90B1 - 반도체용 접착필름 - Google Patents

반도체용 접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90B1
KR100602290B1 KR1020050035743A KR20050035743A KR100602290B1 KR 100602290 B1 KR100602290 B1 KR 100602290B1 KR 1020050035743 A KR1020050035743 A KR 1020050035743A KR 20050035743 A KR20050035743 A KR 20050035743A KR 100602290 B1 KR100602290 B1 KR 10060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dhesive
film
adhesive film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모
강병언
위경태
신동천
성태현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ie Bond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용 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징에 사용되는 접착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중 5㎛ 이상인 기포를 거대기포라 정의할 때 상기 거대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의 면적 대비 25%이하이고,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전체 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 면적 대비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이 개시된다. 이로써, 반도체 패키징공정시 EMC 공정에서 다이와 접착필름 사이에 유리비드의 침투로 인한 다이크랙이 발생하는 다이 임프린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EMC 공정 후 솔더링(sodering) 공정시 고온(260℃)가열에 의한 내부파열현상이 일어나는 팝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도체, 접착필름, 팝콘, 다이임프린트

Description

반도체용 접착필름{Adhesive film for semiconduc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징을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접착필름 110, 210...접착층
221...제1 접착층 222...제2 접착층
230...다이싱 필름
본 발명은 접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제조되는 다이를 리드프레임, 인쇄회로기판 또는 테이프 배선 기판과 같은 칩 실장 프레임에 본딩할 때 사용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징 공정은 웨이퍼를 단위 반도체 칩으로 절단하는 웨이퍼 다이싱(wafer dicing) 공정, 절단된 반도체 칩을 리드프레임이나 인쇄회로기판 또는 테이프 배선 기판과 같은 기판 등의 칩 실장 프레임에 부착하는 다이 본딩(die bonding)공정, 반도체 칩과 칩 실장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공정 및 반도체 칩들과 본딩와이어를 봉지하는 에폭시 몰딩(EMC:epoxy molding compound) 공정의 단위공정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반도체 칩과 기판, 리드프레임과 칩, 칩과 칩 등 대응하는 각종 소자 사이를 접착시키는데 반도체 칩을 칩 실장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하여 주로 페이스트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페이스트형 접착제는 접착제 도포시 두께 조절이 곤란하고, 블리딩(bleeding)의 문제가 발생하며, 웨이퍼 레벨 공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필름형 다이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 전기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및 고지능이 요구되고 있고 미세한 회로들 간의 접속 또는 미소부품과 미세회로 사이의 접속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보다 정밀하게 제어 가능한 접착제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전자산업의 발전에 따라 반도체의 고집적화가 진행되면서 반도체 소자 는 점점 미세해지는 반면 미세공정에 대한 제어는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리드프레임, 기판 또는 또 다른 칩 등의 칩 실장 프레임와 접착제 사이의 계면에서 기포(void)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는 EMC(epoxy molding compound) 공정시 몰드 원재료인 글래스 비드(glass bead)의 함입에 의해 패키지 계면 박리인 다이크랙(die crack)을 발생하는 다이 임프린트(die imprint)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 테스트에서 고온 예컨대 260℃ 가열에 의한 팝콘(pop corn)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필름 내 일정 수준의 기공을 허용하면서 다이본딩 후 일정수준의 기공이 발생하여도 다이임프린트 또는 팝콘 현상을 방지하여 반도체 패키지 전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은 반도체 패키징에 사용되는 접착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중 5㎛ 이상인 기포를 거대기포라 정의할 때, 상기 거대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의 면적 대비 25%이하이고,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전체 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 면적 대비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도체용 접착필름은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싱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은 반도체 웨이퍼와 접착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제1 접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과의 접착력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용 접착필름은 상기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다이와 칩 실장 프레임을 접착시킨 후 큐어링(curing), 와이어본딩 및 에폭시 몰딩(EMC:epoxy molding compound) 몰딩 후, 항온항습조의 온도가 85℃, 상대습도가 60%인 조건에서 1주일간 방치 후, 최대온도가 260℃인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을 1회 통과했을 때, 팝콘(pop corn)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5℃에서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는 100 내지 10,000MPa이고, 2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 내지 1000MPa이며, 상기 25℃에서의 저장 탄성률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100)은 베이스 필름(110) 및 베이스 필름(110)의 일면에 부착된 접착층(120), 접착층(120)의 노출되는 면에 부착된 보호필름(111)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접착필름의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20)은 베이스 필름(110)이 제거된 후 다이와 리드프레임, 인쇄회로기판 또는 테이프 배선 기판과 같은 칩 실장 프레임 사이를 접착시킨다. 제조공정 상 접착필름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는 접착층 내부에 잔존하는 기포와 접착층과 칩 실장 프레임와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포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접착층 내부에 포함된 기포는 그 크기에 따라 거대기포(macro pore)와 미세기포(micro pore)로 구분되는 바, 여기서 상기 거대기포는 지름의 길이가 5㎛ 이상인 기포, 상기 미세기포는 지름의 길이가 5㎛이하인 기포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필름에서 상기 접착층(120)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거대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의 면적의 25%이하이고,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전체 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 면적의 30%이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행하는 여러가지 조치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포 크기와 양을 조절함으로써 다이 임프린트(die imprint) 현상과 팝콘(pop cor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11)은 접착층(120)의 노출되는 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PE) 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반도체용 접착필름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반도체용 접착필름(100)을 제조하는 공정은 먼저 접착층용 조성물을 믹싱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110)에 믹싱된 접착필름용 조성물을 150㎛이하의 두께, 바람직하게 10 내지 100㎛의 두께로 코팅한다. 이때 코팅되는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코터(coater)의 라인 스피드, 토출량 및 립패드(lip pad)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조절한다. 그 후 액상의 코팅액을 베이스 필름(110) 상에서 필름형태로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가열, 자외선조사 공정을 거친다. 이때 가열 공정은 액상의 코팅액 속에 잔존하는 용매가 제거될 수 있도록 끓는점 이상의 온도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조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베이스필름(110)과의 접착력을 조절될 수 있으며 접착층(120) 자체의 점착력도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필름(110)과 접착층(120)의 접착력은 권취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5gf/cm를 유지되며, 베이스 필름(110)의 박리가 원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100gf/cm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공정 이후에는 접착층(120)의 노출면에 보호필름을 덮는다.
상기와 같은 공정 중에 다음과 같은 조절로서 접착층 내의 기포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조성물의 믹싱단계에서 끓는점(boiling point)이 다른 코솔벤트(cosolvent)를 첨가하여 상기 건조단계에서 잔류 용매(solvent)의 급격한 휘발을 억제함으로써 접착층(120) 내 큰 기포가 발생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번째로, 상기 믹싱단계에서는 교반기에 의해 코팅액 내에 함입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믹싱단계 이후에 일정시간동안 진공처리를 하여 탈포공정을 실시함으로서 접착층 내의 기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세번째로, 조성물 믹싱후 코팅액을 유출시킬 때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실시하는데, 필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코팅액에 함유되는 기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네번째로, 상기 건조공정시 급속한 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단의 수를 증가시켜 천천히 승온시키게 되면 코팅후 용매의 휘발에 의하여 코팅된 접착층표면 및 접착층 내부에 기포를 작게 할 수 있다.
다섯번째로 상기 건조공정에서 열풍건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휘발된 용매를 배기시키기 위하여 흡입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열의 유량과 흡입력을 조절함으로써 접착층 내의 기포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120)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에폭시계 수지, 유기필러, 경화제 및 무기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고상 에폭시 수지와 액상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스페놀A, 비스페놀F, 페녹시 수지 또는 크레졸노볼락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고 반응수축률이 매우 작으며 휘발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계적 성질, 전기 절연성,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상기 유기필러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스터이미드, 나일론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또는 알루미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민계, 무수물계 및 아미드계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잠재성 경화제 또는 용융점이 높은 경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층은 금속필러를 더 포함하여 전기전도성을 더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채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접착필름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200)은 베이스필름(210), 상기 베이스필름(210) 상에 부착된 접착층(221, 222) 및 접착층(221, 222) 상에 부착된 다이싱필름(230)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싱 필름(230)은 반도체 웨이퍼 다이싱 공정에서 일시적으로 반도체 웨이퍼에 부착되어 웨이퍼 절단 시에 웨이퍼를 고정지지하는 필름이다. 이렇게 접착필름에 다이싱 필름을 구비됨으로 반도체 패키징공정시 별도의 다이싱 필름을 웨이퍼에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221, 222)은 제1 접착층(221) 및 제2 접착층(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층(221)은 다이와의 접착력이 높은 부분으로써, 베이스 필름에 직접 부착된다. 상기 제2 접착층(222)은 다이싱 필름과의 접착력이 낮은 접착필름으로써 상기 제1 접착층(120)에 부착된다. 이렇게 접착층을 상이한 접착력을 갖는 층들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다이픽업시 다이싱필름(230)가 용이하게 박리되고 그 후 접착층만으로 다이본딩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은 상기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다이와 칩 실장 프레임을 접착시킨 후 큐어링(curing), 와이어본딩 및 에폭시 몰딩(EMC:epoxy molding compound) 몰딩 후, 항온항습조의 온도가 85℃, 상대습도가 60%인 조건에서 1주일간 방치 후, 최대온도가 260℃인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을 1회 통과했을 때, 팝콘(pop corn)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용 접착필름은 다이싱 공정 및 다이픽업공정에 이어 진행되는 큐어링(curing) 공정 후 25℃에서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은 100 내지10,000MPa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큐어링 공정 후 상이한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열 스트레스를 완충할 수 있어 반도체 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280℃에서 저장탄성률은 0.1 내지 1,000MPa이며, 25℃의 저장탄성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일 고온에서 저장탄성률 값이 0.1MPa 이하라면 내부응역이 지나치게 낮아져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1000MPa인 경우에는 열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h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반도체용 접착필름(100)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징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a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1)를 준비한다. 그런 후 도 3b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1)의 배면에 보호필름(111)을 벗긴 접착필름(100)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라미네이션한다. 라미네이션 온도는 다이와 접착필름간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온 이상에서 실시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필름 내 저분자 물질들의 흐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60℃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그 후 베이스필름(110)을 벗겨낸다. 그 후 도 3c와 같이 접착필름(100) 라미네이션 공정 후 별도의 다이싱 필름(130)을 다시 라미네이션한다. 만일 다이싱 필름이 미리 부착된 접착필름(200)을 사용한다면 도 3c와 같은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웨이퍼 백사이드 라미네이션 공정이라 하는데 이외에도 보드 온 칩(BOC:board on chip)공정에서 일정한 폭으로 슬릿팅(slitting)된 접착필름을 펀치 툴을 사용하여 원하는 면적만큼 접착시키는 펀칭(punching)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폭으로 슬릿팅(slitting)된 다이접착필름을 나이프(cutting knife)를 이용하여 원하는 면적만큼 절단하고 픽업툴을 사용하여 기판에 접착시키는 컷앤플레이스(cut and place)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후 도 3d와 같이 블레이드(2)를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1)를 소정의 칩크기로 절단하는 다이싱 공정을 거치고, 수세 건조공정을 거친다. 또한 다이싱 공정은 웨이퍼와 접착층을 완전히 절단하며, 다이싱 필름(130)은 일정 깊이까지만 절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다이싱 공정후 절단된 다이(4)는 도 3e와 같이 픽업툴(3)을 이용하여 다이픽업된다. 그 후 도 3f와 같이 소정의 칩 실장 프레임(5) 상에 다이(4)를 부착하는 다이본딩 공정을 거친다. 그런 후 다이와 기판 사이의 접착력을 보다 강하게 하게 위하여 경화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런 후 도 3g와 같이 반도체 칩과 기판을 와이어 본딩(6)하여 연결하고, 도 3h와 같이 반도체 몰딩(moding)(7)공정을 행하여 반도체 패키징을 완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표 1의 실시예1, 실시예2 및 비교예1 내지 3과 같이 접착층 내에 포함된 기포의 크기가 다양한 접착필름을 준비하였다. 여기서 기포의 관찰은 주사전자현미경(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500배율 이상에서 단위면적당 기포의 면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횟수는 3회 이상 실시하였으며, 측정면적은 1*1㎠이며, 측정시료는 경화된 접착필름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신뢰성을 MRT 테스트로 실시하였다. 즉 JEDEC/IPC에서 제시한 MRT(Moisture Resistance Test) 조건에서 실시하며 그 조건은 85℃, 상대습도 60%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일주일간 방치한 후 최대온도가 260℃인 리플로우 조건에서 3회 이상 실장된 시료를 흘려보내어 내부에 팝콘(pop corn) 현상 발생 및 잔존 기포의 확산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그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상기 팝콘현상이란 반도체 패키징공정에 있어서 EMC 공정 후 솔더링 공정시 고온(260℃)가열에 의한 내부파열이 일어나는 현상을 뜻하는 것이며 이는 초음파 주사 현미경(SAM: scanning acoustic microscope)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기포면적비율 MRT 테스트 결과
접착층의 면적대비 접착층 내 거대기포의 총면적 비율(%) 접착층의 면적대비 접착층 내 전자기포의 총면적 비율(%)
실시예1 12 30 합격
실시예2 5 15 합격
비교예1 30 65 불합격
비교예2 28 45 불합격
비교예3 20 50 불합격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접착층 내에 포함된 거대기포의 총면적이 접착층 면적 대비 25% 이내이며, 접착층 내에 포함된 전체기포의 총면적이 접착층 면적 대비 30% 이내인 실시예1 및 실시예2만이 MRT 테스트를 합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반도체 패키징공정에 있어서 EMC 공정 후 솔더링 공정시 고온(260℃)가열에 의한 내부파열이 일어나는 팝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용 접착필름은 반도체 패키징공정시 EMC 공정에서 다이와 접착필름 사이에 유리비드의 침투로 인한 다이크랙이 발생하는 다이 임프린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EMC 공정 후 솔더링(sodering) 공정시 고온(260℃)가열에 의한 내부파열현상이 일어나는 팝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서 반도체 패키징 공정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패키징에 사용되는 접착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중 5㎛ 이상인 기포를 거대기포라 정의할 때, 상기 거대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의 면적 대비 25%이하이고, 상기 접착층에 포함된 전체 기포의 총면적은 전체 접착층 면적 대비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싱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반도체 웨이퍼와 접착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제1 접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접착층과 다이싱 필름과의 접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용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다이와 칩 실장 프레임을 접착시킨 후 큐어링(curing), 와이어본딩 및 에폭시 몰딩(EMC:epoxy molding compound) 몰딩 후, 항온항습조의 온도가 85℃, 상대습도가 60%인 조건에서 1주일간 방치 후, 최대온도가 260℃인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을 1회 통과했을 때, 팝콘(pop corn)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는 100 내지 10,000MPa이고,
    2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 내지 1000MPa이며, 상기 25℃에서의 저장 탄성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용 접착필름.
KR1020050035743A 2005-04-28 2005-04-28 반도체용 접착필름 KR10060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743A KR100602290B1 (ko) 2005-04-28 2005-04-28 반도체용 접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743A KR100602290B1 (ko) 2005-04-28 2005-04-28 반도체용 접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290B1 true KR100602290B1 (ko) 2006-07-18

Family

ID=3718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743A KR100602290B1 (ko) 2005-04-28 2005-04-28 반도체용 접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60B1 (ko) 2007-05-14 2009-02-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248A (ja) * 1996-10-31 1998-05-22 Hitachi Cable Ltd 半導体パッケージ用接着テープ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248A (ja) * 1996-10-31 1998-05-22 Hitachi Cable Ltd 半導体パッケージ用接着テープ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60B1 (ko) 2007-05-14 2009-02-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다이싱 다이 접착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15975A1 (fr) Dispositif semi-conducteur, substrat de montage d&#39;une puce de semi-conducteur,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adhesif, et film a double couche d&#39;adhesif
TWI512070B (zh) 製造半導體之黏著組成物及膜
KR100845092B1 (ko) 접착수지 조성물, 접착필름, 다이싱 다이본딩 필름 및반도체 장치
JP2002093825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4957064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960276B2 (ja) 樹脂シート、半導体装置、および樹脂シートの使用方法
CN111630640B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膜状粘接剂及粘接片材
JPWO2019220540A1 (ja) 半導体装置、並びに、その製造に使用する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一体型テープ
KR100602290B1 (ko) 반도체용 접착필름
KR100642889B1 (ko) 반도체용 접착필름
TWI512077B (zh) 黏合性質及耐熱性優異的熱固性雙面黏合性薄膜
JP7375764B2 (ja) 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6070B1 (ko) 반도체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필름
KR102305022B1 (ko) Fod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JP7255146B2 (ja) 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251167B2 (ja) 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0245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フィルム状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一体型フィルム
WO2020065783A1 (ja) 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4228B2 (ja) ウェハボンディングシート、ウェハ積層体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2256227A (ja) 感光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なら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08956B1 (ko) 반도체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필름
KR102240909B1 (ko) Fod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WO2022137552A1 (ja) フィルム状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一体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47594A1 (ja) フィルム状接着剤、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一体型フィルム、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435458B2 (ja) 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