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866B1 -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866B1
KR100880866B1 KR1020070017473A KR20070017473A KR100880866B1 KR 100880866 B1 KR100880866 B1 KR 100880866B1 KR 1020070017473 A KR1020070017473 A KR 1020070017473A KR 20070017473 A KR20070017473 A KR 20070017473A KR 100880866 B1 KR100880866 B1 KR 10088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ell
outer shell
helmet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808A (ko
Inventor
임재호
Original Assignee
임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호 filed Critical 임재호
Priority to KR102007001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8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6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forced flow, e.g. by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내부가 쾌적하게 유지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모는 외관을 형성하는 안전모 외피와, 상기 안전모 외피의 내면에 이격설치되는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상기 외피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모{ Safety cap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모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안전모에 대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모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5는 도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모, 20 : 외피,
21 : 흡기구, 22 : 송풍팬,
30 : 내피, 31 : 공기유로,
40 : 아이스팩,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내부가 쾌적하게 유지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소방현장, 기타 산업체의 작업장 등 항상 위험에 노출되는 작업환경에서 근무하게 되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모의 착용을 의무화를 하는 경우가 있다.
안전모는 낙하물 등 외부 충격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정도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 착용한 상태에서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하도록 경량으로 제작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와, 이 외피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피의 내면과 착용자의 머리를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내피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피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와 외피의 내면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생기더라도 외피자체가 반구형상이므로 머리에서 발생된 열기가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는 안전모를 착용하는데 따른 무게감 뿐만 아니라 머리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습기가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는데 따르는 불쾌감에 의해 안전모의 착용을 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적으로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내부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안전모 외피와, 상기 안전모 외피의 내면에 이격설치되는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상기 외피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의 내면 상부에는 상기 공기유로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아이스팩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 일측에는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납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전선은 상기 외피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전선수용홈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외피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흡기구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에는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흡기구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의 내면에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에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아이스팩과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교환을 유도하기 위하여 아이스팩과 송풍팬 사이의 공기유로에 마련되는 제1에어가이드와, 제1에어가이드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순환구조를 형성하도록 외피의 하부 내주연에 마련되는 제2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구 커버는 상기 흡기구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가변식 개폐장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10)는 외관을 이루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하는 안전모 외피(20)와, 상기 외피(20)의 내면과 착용자의 머리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외피(20)의 내면에 설치되는 내피(30)를 포함한다.
안전모 외피(20)와 내피(30)사이의 공간은 안전모 외피(20)에 가해지는 충격이 직접 착용자의 머리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안전모(10)가 착용된 상태에서 안전모(10)와 외부사이의 환기를 위한 공기유로(31)를 형성한다.
또한, 안전모 외피(20)의 후면부, 즉 안전모 외피(20)에서 착용자의 뒷면측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유로(30)를 통해 환기를 위하여 안전모 외피(20) 내외를 관통하는 흡기구(21)가 마련되며, 이 흡기구(21)에는 흡기구(21)를 통해 안전모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로(31)를 통해 안전모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22)이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풍팬(22)은 원심팬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송풍팬(22)의 전방에는 송풍팬(22)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기타 신체부위등이 송 풍팬에 삽입되지 않도록 안전그릴(21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그릴(21a)과는 별도로 흡기구(21)를 개폐하기 위한 흡기구 커버(24)가 안전그릴(21a) 전방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송풍팬(22)을 가동하여야 할 경우에는 흡기구 커버(24)를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겨울철 등 외부의 온도가 하강하여 안전모(10)를 통해 보온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흡기구 커버(24)를 흡기구(21)에 부착하여 흡기구(21)가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안전모(10) 내부의 공기유로(31)에는 송풍팬(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작용을 보강하기 위하여 아이스팩(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이스 팩(40)은 안전모(10)가 사용되는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완전히 사용된 후에는 다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안전모(10)의 외피(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아이스팩(40)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케이스(미도시)에 수용되고 이 케이스가 안전모(10)의 외피(20)에 착탈되며 케이스가 외피(20)에 쉽게 장착되고 사용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외피사이의 체결은 걸림구조에 의해 후크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송풍팬(22)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배터리(27a)가 사용되며, 배터리(27a)가 안전모(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안전모 외피(20)의 일측에는 배터리(27a)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배터리 수납부(27)가 마련된다.
이 배터리 수납부(27)는 배터리(27a)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만큼 안전모 외피(20)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납부(27)의 일면은 내부의 공간에서 배터리(27a)를 착탈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는 배터리 커버(27b)가 결합된다.
배터리(2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건전지 사이즈인 AA형 건전지 또는 AA형으로 이루어진 니켈 수소 충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으로써의 상기 배터리는 Li-ion 또는 Li-polymer 배터리와 같이 모듈화된 2차전지를 배터리팩(미도시)으로 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2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팩의 충전은 전용 충전기를 통해 이루어지며 배터리의 용량을 대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재충전 가능회수의 향상을 통해 효율적인 배터리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배터리 수납부(27)에는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미도시)가 마련되며, 이 접속단자와 송풍팬(22)사이에는 폐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선(51)이 연결된다.
이때 전선(51)의 중간에는 회로를 개폐하여 송풍팬(22)의 작동의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52)가 마련되며, 이 스위치(52)는 안전모(10) 일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52)는 회로를 단순히 개폐하기만 하는 온-오프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으나, 내부에 가변저항 또는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을 포함하여 회로의 개폐이외에 전류제어를 통한 송풍팬(22)의 속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외피(20)의 내면에는 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전선수용홈(26)이 마련되어 배터리(27a)와 송풍팬(22)사이의 전선(51)이 안전모(10)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전선(51)을 수용하여 전선(51)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안전모(10)는 사용되는 작업장의 종류에 따라 전면에 후레쉬 등의 조명(25)이 설치된 타입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조명(25)의 작동을 위한 전원으로써 상기 배터리(27a)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조명(25)은 다수의 LED를 광원으로 구비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안전모 외피(20)의 후면부에 송풍팬(22)이 설치됨에 따라 외피(20)와 내피(30)사이의 이격공간인 공기유로(31)에서 송풍팬(22)에 의한 공기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송풍팬(2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외피(20)의 내면에는 에어가이드가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가이드(28)는 외피(2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외피(20)의 재질 및 생산공정에 따라 사출성형 등에 의해 외피(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성이 있는 재질 등으로 별도 성형한 후 외피(20) 내면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28)는 송풍팬(2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안전모(10) 내에 설치되는 아이스팩(40)과 열교환되고 이렇게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가 착용자의 머리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공기의 순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가이드(28)는 먼저 송풍팬(22)에서 토출된 공기가 아이스팩(40)과 열교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1에어가이드(28a)를 포함한다.
제1에어가이드(28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2)과 아이스팩(40)사이의 공기 유로(31)의 길이방향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한 쌍이 마련되고 이는 아이스팩(40)을 지나 안전모(10)의 전면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송풍팬(22)에서 토출된 공기는 아이스팩(40)을 거쳐 안전모(10)의 전면으로 유도된다.
에어가이드(28)는 외피(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안전모(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에어가이드(28)에 의해 착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에어가이드(28)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안전모(20) 전체에 걸쳐 순환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28)는 제2에어가이드(28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에어가이드(28b)는 외피(20)의 하부 내주연에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제1에어가이드(28a)에서 유도된 공기가 안전모(10)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순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아이스팩(40)에서 냉각된 공기가 착용자의 머리를 냉각하기 위하여 최대한 활용되어 냉각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2에어가이드(28b)에 의해 공기의 유동거리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전열량이 증가되는 원리가 적용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에어가이드(28b)를 통해 안전모(10) 내의 공기는 외피(20)의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순환된 공기를 다시 송풍팬(22)의 흡입측으로 유도하여 완전한 폐회로 순환이 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즉, 송풍팬(22)의 흡입측이 외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다시 외피(20)의 내측으로도 연통될 수 있도록 바이패스유로(21c)를 구성하고, 이 바이패스 유로(21c)와 송풍팬(22)의 토출측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분리가이드(29)가 더 마련되도록 구성하는 실시예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송풍팬(22)은 흡입측과 토출측이 인접할 수 있도록 횡류팬인 시로코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폐회로 순환구조는 특히 외기의 온도가 제2에어가이드(28b)를 거쳐 순환된 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때 유용한 것으로, 송풍팬(22)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덮개를 흡입유로의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면 외기의 도입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로 도 5에는 가변식 개폐장치(53)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가변식 개폐장치(53)는 흡입구(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중심각에 해당되는 영역이 관통되도록 통공으로 형성된 고정부(53a)와, 이 고정부(53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53a)의 전방 또는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53b)를 포함하며, 회전부(53b)의 중앙에는 회전손잡이(53c)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착용자는 회전부(53b)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53b)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53b)와 고정부(53a)가 완전히 중첩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통공이 개방되고 반대로 중첩되는 영역이 없어지면 도 5에서와 같이 통공이 폐쇄되며, 중첩되는 영역의 조절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흡기구(21)를 개방하여 외기를 도입하도록 하고, 반대로 외기가 고온상태인 경우 흡기구(21)를 닫거나 흡기구(21)를 부분적으로 닫아 폐회로 순환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안전모(10) 내부를 항상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는 후면부에 송풍팬의 설치되어 안전모 내부공간의 환기가 가능하고, 환기기능 뿐만 아니라 착탈가능한 아이스팩에 의해 안전모 내부의 냉각이 가능하다.
나아가, 안전모 내부의 에어가이드에 의해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는 안전모 내부 전체에 고루 전달되도록 순환되고, 가변식 개폐장치에 의해 송풍팬에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도 조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혹서기 등 열악한 작업환경하에서도 안전모 내부의 상태를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률을 향상시켜 산업재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환구조를 통해 냉각효율이 향상되어 장시간동안 아이스팩의 냉각작용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안전모 외피와, 상기 안전모 외피의 내면에 이격설치되는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상기 외피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외피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에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의 내면 상부에는 상기 공기유로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아이스팩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일측에는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납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전선은 상기 외피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전선수용홈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외피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흡기구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에는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흡기구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아이스팩과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교환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팩과 송풍팬 사이의 공기유로에 마련되는 제1에어가이드와, 상기 제1에어가이드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순환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피의 하부 내주연에 마련되는 제2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커버는 상기 흡기구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가변식 개폐장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KR1020070017473A 2007-02-21 2007-02-21 안전모 KR10088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473A KR100880866B1 (ko) 2007-02-21 2007-02-21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473A KR100880866B1 (ko) 2007-02-21 2007-02-21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08A KR20080077808A (ko) 2008-08-26
KR100880866B1 true KR100880866B1 (ko) 2009-01-30

Family

ID=3988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473A KR100880866B1 (ko) 2007-02-21 2007-02-21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70B1 (ko) 2009-01-09 2010-12-23 고환복 헬멧
KR20200086642A (ko) * 2019-01-08 2020-07-17 주식회사 포윈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59Y1 (ko) * 2012-08-31 2014-06-03 김상기 안전모
CN106820393A (zh) * 2017-02-08 2017-06-13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具有远程遥控功能的智能头盔
KR102263909B1 (ko) * 2021-03-16 2021-06-11 (주)이젠리버텍 헤드램프 일체형 안전모
KR102469613B1 (ko) * 2021-05-31 2022-11-22 이청남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CN113796615B (zh) * 2021-09-28 2023-09-01 王谭昇 一种多用途头盔
KR200497974Y1 (ko) * 2022-08-10 2024-05-03 이청남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4731U (ko) * 1988-05-11 1989-11-17
JPH04131620U (ja) * 1991-05-16 1992-12-03 有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ヘルメツトの換気装置
JP2003119611A (ja) 2001-10-17 2003-04-23 Toshiji Hara 安全帽
KR200355641Y1 (ko) * 2004-02-04 2004-07-07 이수근 작업용 쿨링 헬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4731U (ko) * 1988-05-11 1989-11-17
JPH04131620U (ja) * 1991-05-16 1992-12-03 有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ヘルメツトの換気装置
JP2003119611A (ja) 2001-10-17 2003-04-23 Toshiji Hara 安全帽
KR200355641Y1 (ko) * 2004-02-04 2004-07-07 이수근 작업용 쿨링 헬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70B1 (ko) 2009-01-09 2010-12-23 고환복 헬멧
KR20200086642A (ko) * 2019-01-08 2020-07-17 주식회사 포윈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KR102346731B1 (ko) * 2019-01-08 2022-01-03 주식회사 포윈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08A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866B1 (ko) 안전모
CN105405995B (zh) 用于电动自行车的蓄电池箱
US9241529B1 (en) Air-cooled hard hat
US20070137685A1 (en) Solar power-operated cooling helmet
US20080295220A1 (en) Fan-Based Cooler for Head-Protection Gear
US9486018B2 (en) Torso cooling unit for personal wear
US20140143934A1 (en) Transportable air circulating and cooling assembly for use with a head covering
KR101981941B1 (ko) 냉풍벨트
US20130142656A1 (en) Body Cooling System
JP2003119611A (ja) 安全帽
KR200472959Y1 (ko) 안전모
KR100995312B1 (ko) 냉각장치가 부착된 안전모
KR200389555Y1 (ko) 냉방 조끼
JP2012140737A (ja) ヘルメット及びチョッキ
KR101237675B1 (ko)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JP6963802B2 (ja) リュックサック型の人体用送風装置
KR102170308B1 (ko)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KR101228517B1 (ko) 안전모
KR20220007943A (ko)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방호복
KR20100008599U (ko) 통풍형 안전모
JP3217144U (ja) 冷却衣服
TWI639395B (zh) Smart air conditioning helmet
US20230301389A1 (en) Helmet air circu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20140095250A (ko) 송풍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