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675B1 -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675B1
KR101237675B1 KR1020110015072A KR20110015072A KR101237675B1 KR 101237675 B1 KR101237675 B1 KR 101237675B1 KR 1020110015072 A KR1020110015072 A KR 1020110015072A KR 20110015072 A KR20110015072 A KR 20110015072A KR 101237675 B1 KR101237675 B1 KR 10123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hole
hard hat
module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635A (ko
Inventor
박매실
설정성
Original Assignee
설정성
박매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정성, 박매실 filed Critical 설정성
Priority to KR102011001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6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6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forced flow, e.g. by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식혀주도록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外氣)유입부를 구비하였을 뿐만 아니라, 안전모 내부의 열 발산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을 구비하였으며, 작업자가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도록 조명등 및 고글(눈 보호수단)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킴은 물론, 작업 효율성을 함께 높일 수 있는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경기,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형성된 송풍홀;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홀을 통해 상기 안전모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유입모듈;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는 조명부재; 상기 조명부재로 인가되는 전원을 전달 및 차단하는 조명부재 스위치; 상기 안전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각도 조절이 가능한 눈 보호수단을 포함하는 외기유입모듈을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한다.
또한,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며, 송풍홀이 구비된 안전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모듈하우징;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송풍홀에 바람을 유입하는 송풍부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송풍부재로 전달 및 차단하는 송풍부재 스위치; 및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홀을 포함하는 외기유입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MODULE FOR INFLOWING A AIR AND SAFETY HELMET WITH MODULE FOR INFLOWING A AIR}
본 발명은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명등과 눈을 보호하는 고글(눈 보호수단) 및 착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식혀주도록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라 함은, 공장이나 공사현장 또는 야구 등과 같은 운동경기 등에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모자로서, 그 사용용도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하여 쇠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인라인 스케이트, 사이클, 스케이트 등의 운동 경기 시, 반드시 착용하여 선수를 보호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운동경기가 기존 선수들 만에 국한되어 즐기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에게까지 그 저변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야외활동들이 최근에는 레저 형태를 띄어 각종 이용기구가 제작되고 있는바,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활동들이 야외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때, 안전장비의 필요성이 더욱 두각되고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의 의무사항에 따라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근로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다.
특히, 작업장에서는 일하는 근로자들은 그라인딩 작업 또는 비산물이 발생하는 작업시나 이와 같은 작업이 수행되는 장소에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 고글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착용하였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조명등을 밴드에 연결하고, 밴드를 안전모에 고정시켜 조명등을 사용하였다.
한편,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대부분 육체적인 활동이 많기 때문에 신체 내부에서 생성된 열이 신체 상부로 이동되어 머리로 발산되는데, 이때, 안전모를 착용함으로써 머리를 통해 발산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은 안전모를 착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안전모를 벗어둔 채 작업하거나, 안전모 대신 일반 모자를 쓰고 작업하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이는 안전사고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안전모 착용자들은 작업 환경에 따라 조명등 및 고글을 별도로 구비하여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식혀줄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외기(外氣)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기유입모듈과 함께 조명등이 형성된 외기유입모듈을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기유입모듈, 조명등과 함께 눈을 보호하기 위한 고글(눈 보호수단)이 형성된 외기유입모듈을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기유입모듈, 조명등 및 고글(눈 보호수단)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외기유입모듈을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기유입모듈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안전모에 송풍홀만을 구성하고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보급이 용이한 외기유입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는,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형성된 송풍홀;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홀을 통해 상기 안전모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유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모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조명부재;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조명부재로 전달 및 차단하는 조명부재 스위치;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모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각도 조절이 가능한 눈 보호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모의 상부에는 자연적으로 열을 발산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이 구비된다.
한편,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며, 송풍홀이 구비된 안전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모듈하우징;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송풍홀에 바람을 유입하는 송풍부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송풍부재로 전달 및 차단하는 송풍부재 스위치; 및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에 외기(外氣)유입모듈을 일체형 또는 탈부착형으로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업 활동시 발산되는 열을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식혀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모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을 구비함으로써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자연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안전모 내부의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등 및 고글(눈 보호수단)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외기유입모듈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7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부재 및 송풍부재의 전원공급부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배기홀을 구성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외기유입모듈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안전모에 형성된 송풍홀(100); 송풍홀(10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송풍홀(100)을 통해 안전모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유입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기유입모듈(200)은 안전모의 후단 내주면과 후단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듈하우징(210); 모듈하우징(210)에 내설되는 전원공급부(220); 송풍홀(100)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송풍부재(230);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송풍부재(230)로 전달 및 차단하는 송풍부재 스위치(240); 및 모듈하우징(210)의 후단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홀(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전원공급부(220)의 구성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원공급부(220)는 태양전지, 건전지, 2차전지 등 다양한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220)의 위치는 안전모의 내외부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으나, 작업장에서의 안전 및 미관을 위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기유입모듈(200)의 구성위치도 안전모의 상부 및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안전모의 부피 및 제작비 등을 고려하여 안전모의 후단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홀(100)의 크기는 송풍부재(230)의 크기에 대응시켜 제작하고, 송풍부재(230)는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DC모터에 축결합된 송풍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송풍팬의 회전시 외기유입홀(250)을 통해 외부 공기를 안전모의 내부로 유입시켜 안전모 착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안전모의 후단 외주면에는 개폐수단(260)을 구성함으로써, 모듈하우징(210) 내부에 송풍부재(230) 및 전원공급부(220)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송풍부재(230) 및 전원공급부(220)의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홀(100)에는 송풍부재(230) 동작시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송풍부재(230)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 등과 같은 엉킴방지수단(110)이 더 결합된다.
이때, 도면상에는 송풍홀(100)의 안쪽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송풍홀(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하여 송풍홀(100)의 내주면 자체에 삽입결합시키거나, 송풍홀(100)의 바깥쪽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엉킴방지수단(11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외기유입홀(250)은 송풍부재(230)의 송풍(모터) 용량을 고려하여 그 크기와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은 상부로 이동한다는 자연법칙을 이용하여 안전모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600)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상부로 자연스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송풍부재(230)의 작동시 외기유입홀(250)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송풍부재(230)를 통해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산된 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된 안전모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안전모 내부의 공기를 식혀줌과 동시에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배기홀(600)을 통해 안전모의 상부로 배출되면서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배기홀(600)의 구성 위치도 안전모의 상부 및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배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기를 위한 송풍팬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제작비와 안전모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부에 형성하고 자연배기효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조명부재(300); 및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조명부재(300)로 전달 및 차단하는 조명부재 스위치(400);가 더 구비되며, 안전모의 측단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눈 보호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조명부재(300)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고, 안전모의 상부, 측면 및 전단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안전모의 전단 외주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공급부(220)와 연결되어 점등 및 소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조명부재(300)의 개수 및 결합 위치와 결합 모양은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220)에는 송풍부재(230)가 연결된 송풍부재 스위치(240) 및 조명부재(300)가 연결된 조명부재 스위치(400)가 연결된다.
도면상에는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송풍부재(230) 및 조명부재(3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송풍부재(230) 및 조명부재(300)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20)를 각각 별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위치도 각각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재(300) 및 송풍부재(230)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는 각각의 전원공급부(220)의 개수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송풍부재 스위치(240)를 안전모의 후단 하부 외주면에 구성하고, 조명부재 스위치(400)를 측단 하부 외주면에 구성하였으나, 송풍부재 스위치(240) 및 조명부재 스위치(400)의 설치 위치는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작업시 외부접촉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모의 하부 외주면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는 송풍부재 스위치(24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써, 도 8에 도시된 것과 그 구성 위치가 다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전원공급부(220), 송풍부재(230), 송푸부재 스위치(240), 조명부재(300) 및 조명부재 스위치(400) 상호 간에 연결된 전기선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착용자의 머리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모의 측단 외주면에 결합된 눈 보호수단(500)은 투명하거나, 햇빛을 차단 또는 용접 등의 작업을 위하여 색상이 들어간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흘러내리지 않도록 소정의 지지를 받으며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며, 송풍홀(100)이 구비된 안전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송풍홀(100)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모듈하우징(210); 모듈하우징(210)에 내설되는 전원공급부(220); 모듈하우징(210)에 내설되며,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송풍홀(100)에 바람을 유입하는 송풍부재(230);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송풍부재(230)로 전달 및 차단하는 송풍부재 스위치(240); 및 모듈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홀(250)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듈하우징(210)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260)이 더 구비된다.
도 10의 구성은 외기유입모듈(200)을 별도로 제작하여 안전모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탈착을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결합 부위는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듈하우징(210)은 송풍홀(100)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안전모에 결합되는 면이 안전모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고, 안전모에 결합되는 면과 하부면을 제외한 외주면이 만곡지게 형성되며, 하부면에 외기유입홀(250)이 형성된다.
이때, 외기유입홀(250)의 형성 위치를 달리할 수 있으나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듈하우징(210)의 하부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홀(100)이 형성된 안전모의 구조 및 외기유입모듈(2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므로 도 10에 일실시예에 의한 외기유입모듈(200)이 결합된 안전모의 형상 및 결합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며, 작동 원리는 도 1 내지 도 9의 외기유입모듈(200)이 안전모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270)에는 송풍부재(230) 동작시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송풍부재(230)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 등과 같은 엉킴방지수단(110)이 더 결합된다.
이때, 도면상에는 홀(270)의 안쪽에 엉킴방지수단(110)을 결합시킨 것으로 개략적으로 그 위치만 도시하였으나, 홀(27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작하여 홀(270) 내주면에 삽입결합시킬 수 있으며, 엉킴방지수단(110)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100 : 송풍홀 110 : 엉킹방지수단
200 : 외기유입모듈 210 : 모듈하우징
220 : 전원공급부 230 : 송풍부재
240 : 송풍부재 스위치 250 : 외기유입홀
260 : 개폐수단 270 : 홀
300 : 조명부재 400 : 조명부재 스위치
500 : 눈 보호수단 600 : 배기홀

Claims (12)

  1.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형성된 송풍홀;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홀을 통해 상기 안전모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유입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외기유입모듈은,
    상기 안전모의 후단 내주면과 후단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듈하우징;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송풍홀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송풍부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송풍부재로 전달 및 차단하는 송풍부재 스위치; 및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하우징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홀에는,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시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상기 송풍부재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엉킴방지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외기유입모듈이 구비된 안전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조명부재; 및
    상기 조명부재로 인가되는 전원을 전달 및 차단하는 조명부재 스위치;
    가 더 형성된 외기유입모듈이 구비된 안전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각도 조절이 가능한 눈 보호수단이 더 형성된 외기유입모듈이 구비된 안전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이 더 형성된 외기유입모듈이 구비된 안전모.
  8. 삭제
  9. 운동경기, 레저 활동 및 작업장에서 사용하며, 송풍홀이 구비된 안전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모듈하우징;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모듈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송풍홀에 바람을 유입하는 송풍부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송풍부재로 전달 및 차단하는 송풍부재 스위치; 및
    상기 모듈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홀을 포함하는 외기유입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더 구비된 외기유입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하우징은,
    상기 송풍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모에 결합되는 면이 상기 안전모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안전모에 결합되는 면과 하부면을 제외한 외주면이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에 외기유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유입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는,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시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상기 송풍부재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엉킴방지수단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유입모듈.
KR1020110015072A 2011-02-21 2011-02-21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123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72A KR101237675B1 (ko) 2011-02-21 2011-02-21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72A KR101237675B1 (ko) 2011-02-21 2011-02-21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35A KR20120095635A (ko) 2012-08-29
KR101237675B1 true KR101237675B1 (ko) 2013-02-26

Family

ID=4688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072A KR101237675B1 (ko) 2011-02-21 2011-02-21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1017A1 (en) * 2018-09-17 2020-03-26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fety beacon for a welding protec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006B1 (ko) * 2021-01-27 2021-04-22 주식회사 카네기솔루션 작업용 안전모
KR200493530Y1 (ko) * 2021-01-27 2021-04-22 주식회사 카네기솔루션 냉각장치를 갖는 작업용 안전모
KR102454369B1 (ko) * 2022-07-12 2022-10-14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82Y1 (ko) * 1994-07-08 1996-06-17 주식회사 한국아쿠아텍 팬이 설치된 안전모
JP2003119611A (ja) * 2001-10-17 2003-04-23 Toshiji Hara 安全帽
KR20080029414A (ko) * 2006-09-29 2008-04-03 설관욱 안전모의 통풍구조
KR20100008599U (ko) * 2009-02-20 2010-08-30 이대홍 통풍형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82Y1 (ko) * 1994-07-08 1996-06-17 주식회사 한국아쿠아텍 팬이 설치된 안전모
JP2003119611A (ja) * 2001-10-17 2003-04-23 Toshiji Hara 安全帽
KR20080029414A (ko) * 2006-09-29 2008-04-03 설관욱 안전모의 통풍구조
KR20100008599U (ko) * 2009-02-20 2010-08-30 이대홍 통풍형 안전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1017A1 (en) * 2018-09-17 2020-03-26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fety beacon for a welding protection device
US11337483B2 (en) 2018-09-17 2022-05-24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fety beacon for a welding pro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35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736B1 (ko) 다기능 안전모
US7114194B2 (en) Safety helmet having a ventilation assembly
KR101237675B1 (ko)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1532888B1 (ko) 환기수단 내장형 모자
KR100880866B1 (ko) 안전모
CN108308777A (zh) 控制温度智能安全帽
KR20080029414A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US20140359917A1 (en) Headgear with fan assembly device
KR101100558B1 (ko) 강제통풍기능을 갖춘 안전모
CN213604725U (zh) 一种电力施工用安全帽
CN202060075U (zh) 强光工作室防护安全帽
CN204245251U (zh) 一种电力施工用安全帽
JP3113280U (ja) 換気装置およびその換気装置を備えたヘルメット
US20150223549A1 (en) Helmet having dual cooling layers
CN203058460U (zh) 一种透气性安全帽
JP2012140737A (ja) ヘルメット及びチョッキ
KR20110038932A (ko) 냉, 온풍기를 장착한 안전모
CN204653898U (zh) 一种电力安全帽
CN213215570U (zh) 带有防脱落的三维智能定位安全帽
KR200472826Y1 (ko) 자외선 및 빗물 차단용 안면보호장치
CN218483848U (zh) 一种工程监管用防护装置
CN211048512U (zh) 一种建筑工地用口罩一体式安全帽
CN214547594U (zh) 一种具有除尘效果的隧道施工用防尘安全帽
CN221012126U (zh) 一种多功能安全帽
CN210094770U (zh) 一种具有降温作用的建筑用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